KR20140099577A - 박형 휴대용 카메라 내장 기기용 파지 보조 도구 - Google Patents

박형 휴대용 카메라 내장 기기용 파지 보조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577A
KR20140099577A KR1020130012117A KR20130012117A KR20140099577A KR 20140099577 A KR20140099577 A KR 20140099577A KR 1020130012117 A KR1020130012117 A KR 1020130012117A KR 20130012117 A KR20130012117 A KR 20130012117A KR 20140099577 A KR20140099577 A KR 20140099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ortable device
camera
buil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부
최창준
Original Assignee
노아테크놀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아테크놀로지(주) filed Critical 노아테크놀로지(주)
Priority to KR1020130012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9577A/ko
Publication of KR2014009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등 휴대기기의 내장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때 오는 불편한 그립 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스 형태나 외부 부착형 또는 Dock 형태로서 휴대기기를 수납하고 유사한 셔터나 각종 설정 기능을 위한 일반 카메라와 유사한 인터페이스의 버튼이나 작동부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휴대기기로 전송하여 카메라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휴대기기의 보조 전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박형 휴대용 카메라 내장 기기용 파지 보조 도구 {Grip for slim portable Appliance which has camera inside}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된 얇은 휴대용 전기 및 전자 기기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때 얇은 형상에 따른 파지의 불안정과 촬영 감각의 불만족을 해소하기 위해 일반 전용 카메라와 유사한 파지의 편의성을 위한 구조형상과 셔터 동작 등을 카메라 내장 기기로 통신 전송할 수 있는 케이스 또는 보조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내장된 얇은 형상의 휴대용 전기 전자 기기로는 휴대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태블릿 PC 등(이하 휴대기기라 한다)을 들 수 있다. 이들을 스크래치나 외부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심미성을 더하기 위해 케이스를 사용한다. 그러나 심미성을 위해 이들 케이스는 최대한 본래 기기의 형상의 모양을 반영하여 얇고 가볍게 제작된다. 휴대기기의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할 때 얇은 형상으로 인해 케이스를 쥐고 촬영할 경우 붙잡는 형태도 불편하고 잘못하면 미끄러져 떨어트릴 수 있는 등 촬영 자세나 파지의 불편을 해소해 주는 케이스는 없다.
휴대기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경우 일반카메라와 동일한 그립 감을 줄 수 있고 일반 카메라와 유사한 카메라 작동행위로서 휴대기기의 내장 카메라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휴대기기에 부착하거나 휴대기기를 포섭하는 케이스의 형태로서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최대한 보통 카메라와 유사한 촬영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휴대기기에 부착하는 부착형 보조 기기 또는 휴대기기를 포섭하는 케이스의 형태로서 카메라 촬영 시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는 외부형상부와 필요한 셔터 누름을 포함하여 휴대기기 작동 기능을 위한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며 그 인터페이스 기능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사용의도를 휴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기능을 구현하고 휴대기기 상의 카메라 기능 작동 프로그램에서 이와 대응하는 통신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받아들여 이를 반영하여 카메라 작동을 하게하여 편리하게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장차 휴대기기의 내장 카메라의 성능이 일반 카메라의 것과 유사하게 매우 좋아질 경우 다수 공중의 사람이 일반 카메라를 대신하여 휴대기기로서 사진이나 연속화상을 촬영하게 될 경우 휴대폰을 수납한 케이스 또는 부착물의 형태로서 적용 시 파지가 편리하게 휴대기기로서 내장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일반 카메라와 유사한 셔터, 조리개, 카메라 타이머 등의 설정 조정을 가능하게 해서 편리하게 휴대기기로서 일반카메라 정도의 편리성을 가지고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보조 전원의 수납공간으로 사용하는 경우 휴대기기의 보조전원기능을 수행한다.
도1: 본 발명의 모식도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휴대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태블릿 PC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발명이다.
이들 휴대기기를 감싸는 케이스 형태거나 휴대기기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부착 형의 형태도 가능하다. DOCK형태로 꼽는 형태도 가능하고 꼽는 방향은 상하좌우 기구적으로 결찰만되면 어느 방향도 무관하다.
얇은 형태로 제작되어 휴대성을 강조한 이들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촬영 시 그립 감이 매우 나쁘고 셔터 등 조작감도 나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 시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외형상의 돌출부인 그립부(10)를 둔다. 그립부는 성인의 손의 해부학적 통계 수치를 반영하여 제작한다. 두 번 째 마디인 중지골간, 세 번째 마디인 근위지 골간 그리고 손바닥의 중수골간과 능형골 외 기타 골의 해부학적 통계적 평균 크기를 반영하여 편안하게 손으로 파지하면서도 미끄러지지 않는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는 모양과 크기를 구현한다.
일반 카메라의 경우 셔터, 카메라 타이머, 조리개, 초점, 기타 카메라 설정 기능 등 다양한 작동부를 가진다. 이는 파지한 경우 손가락을 이용하여 쉽게 최적의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기에도 셔터 기능, 부가적으로 손가락으로 노출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 조리개 값을 설정하는 기능, 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설정하는 기능, 배터리 절약을 위해 휴면 중인 휴대기기를 깨우는 기능, 기타 카메라나 휴대기기의 상태 정보나 촬영 환경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 초점을 맞추는 기능, 기타 편의를 위한 설정 기능과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 촬영 화면을 통신으로 미리 설정된 이격지의 서버나 데이터 저장소로 전송하는 기능 등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휠 또는 버튼 또는 터치센서 또는 볼 또는 슬라이더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부(20)를 가진다.
이들 인터페이스부(2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의도를 휴대기기로 전송하여 반영하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유무선 USB 연결, 또는 적외선, 또는 광 케이블, 또는 썬더볼트 통신, 또는 ISM 밴드 무선통신, 또는 시리얼포트통신, 또는 패러럴포트통신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통신부(30)를 가진다.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조작신호를 해석하여 그에 따라 휴대기기의 고유 기능 또는 내장된 카메라 기능 또는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기기 상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인 소프트웨어부(40)를 가진다.
상기한 그립부(10), 인터페이스부(20), 통신부(30), 소프트웨어부(40)외에 휴대기기를 수납하며 휴대기기와의 결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과 외형, 탈부착을 편하게 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기구적장치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쉽게 본 발명기기와 휴대기기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또 의도하는 경우는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스프링 또는 탄성의 금속물을 동원한 갈고리, 집게, 슬라이딩 문턱 등 다양한 기구적 수단을 동원할 수 있다.
본 발명 기기의 작동을 위한 전원은 휴대 기기로부터 받을 수도 있고 내부에 휴대용 전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휴대 기기에 보조 휴대 전원 공급장치로서 이 전지를 활용하거나 작동용 전지와 분리하여 순수 보조 휴대 전원 공급장치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를 전원부((60)라 칭한다.
이 전원부에서 휴대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는 USB 케이블을 통할 수도 있고 기타 휴대기기에서 사용하는 전원 인터페이스에 맞춘 별도의 유선 공급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무선전기 공급도 가능하다. 전원부(60)는 내장된 전지일 수도 있고 상용의 교환 가능한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 홀더의 형태로서 판매하는 상용 전지를 꽂아 사용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일반 카메라와 동일한 사용법을 구현하기 위해 외부 피사체의 화면을 그대로 또는 광학 센서로 처리하여 접안 시 보여주는 뷰 파인더를 부가할 수도 있다.
해당사항없음

Claims (4)

  1. 카메라 기능이 내장된 휴대 기기(100)의 카메라 기능 사용시 파지 그립 감을 향상시켜주는 외부 형상물인 그립부(10); 셔터 기능, 부가적으로 손가락으로 노출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 조리개 값을 설정하는 기능, 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설정하는 기능, 배터리 절약을 위해 휴면 중인 휴대기기를 깨우는 기능, 기타 카메라나 휴대기기의 상태 정보나 촬영 환경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 초점을 맞추는 기능,기타 편의를 위한 설정 기능과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촬영 화면을 통신으로 미리 설정된 이격지의 서버나 데이터 저장소로 전송하는 기능 등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휠 또는 버튼 또는 터치센서 또는 볼 또는 슬라이더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부(20); 이들 인터페이스부(2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의도를 휴대기기로 전송하여 반영하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유무선 USB 연결, 또는 적외선, 또는 광 케이블, 또는 썬더볼트 통신, 또는 ISM 밴드 무선통신, 또는 시리얼포트통신, 또는 패러럴포트통신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통신부(30);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조작신호를 해석하여 그에 따라 휴대기기의 고유 기능 또는 내장된 카메라 기능 또는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기기 상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인 소프트웨어부(40);를 구성요소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내장 카메라 작동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케이스 형태 또는 부착형의 기기
  2. 상기 1항에 있어 휴대기기의 보조전원으로 공급 가능한 내장 전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용의 표준 전지를 수납하여 이 전원을 받아 보조전원으로 공급해주는 전원부(60)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내장 카메라 작동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케이스 형태 또는 부착형의 기기
  3. 상기 1항에서 휴대 기기를 수납하는 기능과 더불어 휴대 기기와의 원하지 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적 결찰 기능 및 의도 시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기구적 분리 기능의 편의를 위한 기능부로서 스프링 또는 탄성의 금속체의 복원력을 동원한 갈고리, 슬라이딩 문턱, 누름 장치 등의 하나 이상을 이용한 기구적장치부(50)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내장 카메라 작동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케이스 형태 또는 부착형의 기기
  4. 상기 1항에 있어 광학적 수단을 동원하거나 전자적 수단을 거처 피사체의 영상을 접안하여 확인할 수 있는 뷰파인더를 추가한 휴대용 기기의 내장 카메라 작동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케이스 형태 또는 부착형의 기기
KR1020130012117A 2013-02-04 2013-02-04 박형 휴대용 카메라 내장 기기용 파지 보조 도구 KR20140099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17A KR20140099577A (ko) 2013-02-04 2013-02-04 박형 휴대용 카메라 내장 기기용 파지 보조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17A KR20140099577A (ko) 2013-02-04 2013-02-04 박형 휴대용 카메라 내장 기기용 파지 보조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577A true KR20140099577A (ko) 2014-08-13

Family

ID=5174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117A KR20140099577A (ko) 2013-02-04 2013-02-04 박형 휴대용 카메라 내장 기기용 파지 보조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957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578A (ja) * 2000-08-21 2002-02-28 Konica Corp カメラ撮影用ホルダ
KR20110002823A (ko) * 2010-12-14 2011-01-10 전용중 충전 가능한 이동형 보조전원의 기능과 광학줌 기능을 갖는 일체형 케이스의 착탈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578A (ja) * 2000-08-21 2002-02-28 Konica Corp カメラ撮影用ホルダ
KR20110002823A (ko) * 2010-12-14 2011-01-10 전용중 충전 가능한 이동형 보조전원의 기능과 광학줌 기능을 갖는 일체형 케이스의 착탈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05401A1 (en) Ergonomic handle for smartphone video recording
JP7403641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電子デバイス、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7899318B2 (en) Photographic apparatus and photographic method
EP3975531A1 (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folding screen
CN110798552A (zh) 一种音量调节方法及电子设备
JP6105953B2 (ja) 電子機器、視線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視線入力方法
CN115344173A (zh) 一种分屏显示的操作方法及电子设备
CN110456938A (zh) 一种曲面屏的防误触方法及电子设备
TWI578777B (zh) 相機裝置及相機裝置控制方法
CN209089061U (zh) 应用于手持电子设备的握持装置和拍摄组件
AU2016423230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KR20120116088A (ko) 망원렌즈 및 광학줌렌즈, 보조전원장치, 적외선 조명장치 와 선택필터 슬라이딩 셔터장치를 갖는 홍채인식용 휴대용 단말기 일체형 케이스의 착탈식 장치
CN110691165A (zh) 一种导航操作方法及电子设备
CN103929581A (zh) 一种指尖相机及其照相方法
KR20140099577A (ko) 박형 휴대용 카메라 내장 기기용 파지 보조 도구
CN111184323A (zh) 一种电子设备
US20140050346A1 (en) Electronic device
CN209930379U (zh) 一种触控手势拍照装置
US10075816B2 (en) Mobile device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nd determin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JP5913696B1 (ja) 電子機器カバー
TWI516984B (zh) 眼鏡
US20110216235A1 (en) Electronic Mirror
CN105652451A (zh) 一种智能眼镜
CN113031802A (zh) 一种触控区域调整方法及装置
KR101524619B1 (ko) 적외선 센서의 물체 감지를 통해 화면 표시가 제어되는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