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300A - Packag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Packaging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300A
KR20140099300A KR1020147017815A KR20147017815A KR20140099300A KR 20140099300 A KR20140099300 A KR 20140099300A KR 1020147017815 A KR1020147017815 A KR 1020147017815A KR 20147017815 A KR20147017815 A KR 20147017815A KR 20140099300 A KR20140099300 A KR 20140099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ckaging container
blank
lid
inden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1618B1 (en
Inventor
야스시 코쿠분
히데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토판 프로스프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토판 프로스프린트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85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 B65D5/6691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the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an internal frame or the like for maintaining the lid in the closed position by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4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65D85/10484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having roun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65D85/10564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having means for holding the lid in a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포장 용기(1)는, 피 포장체(T)를 수납함과 아울러, 그 상부가 개구하는 수납체(5)와, 수납체(5)의 개구를 폐색하는 뚜껑체(6)와, 수납체(5) 및 뚜껑체(6)를 일체로, 또, 뚜껑체(6)를 수납체(5)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7)와, 수납체(5) 및 뚜껑체(6)에 마련되어, 서로 간섭함으로써, 힌지부(7)를 중심으로, 수납체(5)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동한 뚜껑체(6)의 이동을 규제하는 간섭부(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The packaging container 1 includes a housing 5 housing the article to be packaged T and having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 lid 6 cover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5, 5 and the lid body 6 and the hinge portion 7 for integrally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 lid body 6 and the lid body 6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body 5, And interfering portions 8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lid 6 pivo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body 5 with the hinge portion 7 as the center by interfering with each other.

Description

포장 용기{PACKAGING CONTAINER}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피 포장체를 포장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for packaging a packaged body.

현재, 종이 담배(紙卷煙) 등의 피 포장체를 포장하는 포장 용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8-087775호 공보 및 일본 특개 2002-96823호 공보에는, 피 포장체를 수납하는 수납체와, 이 수납체의 개구단(開口端)을 덮는 뚜껑체(蓋體)를 구비하며, 수납체에 대해 뚜껑체가 회동(回動) 가능한 포장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 용기는, 수납체 및 뚜껑체가 일체로 형성된다. 포장 용기는, 뚜껑체를 회동시켜 수납체의 개구단을 개방함으로써, 수납체 내의 피 포장체를 꺼내기가 가능하게 된다.BACKGROUND ART Currently, a packaging container for packaging a packaged body such as paper and cigarette is know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s. 2008-087775 and 2002-96823 disclose a storage body for storing a packaged body and a lid for covering an opening end of the storage body And a lid body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body. In such a packaging container, the accommodating body and the lid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by opening the opening end of the accommodating body by rotating the lid body, the to-be-packaged body in the accommodating body can be taken out.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08-08777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8-087775 특허문헌 2 : 일본 특개 2002-96823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02-96823

상술한 포장 용기에서는, 이하의 문제가 있었다. 즉, 상술한 포장 용기는, 종이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체와 뚜껑체의 연속부가, 뚜껑체가 회동하는 힌지부로 된다. 이 힌지부는, 포장 용기를 형성할 때에 종이 소재를 압압하여 형성한 압흔(壓痕)이, 포장 용기의 개봉시에 꺾어짐으로써 형성된 접힌 자리이다. 이 때문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뚜껑체를 회동시킨 후, 뚜껑체의 유지를 해제하면, 해당 힌지부의 복원력에 의해, 뚜껑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The above-described packaging contain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the packaging container described above is formed of a paper material, and the continuous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body and the lid is a hinge portion in which the lid rotates. The hinge portion is a folded portion formed by bending an indentation formed by pressing a paper material when the packaging container is formed when the packaging container is opened. Therefore, when the lid body is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and then the holding of the lid body is released, the lid body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body is clo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portion.

이 때문에, 수납체 내의 피 포장체를 꺼내는 데에는, 뚜껑체를 회동 후 유지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손에 여유가 없는 등의 조건 하에서는, 뚜껑체의 유지를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뚜껑체를 회동한 후, 뚜껑체를 유지하는 일없이, 뚜껑체의 회동 상태, 즉, 수납체의 개구가 개방된 열림 상태를 유지 가능한 포장 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in order to take out the object to be packed in the accommodating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lid is held after being rotated, but the lid can not be hel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no room for the han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packaging container capable of maintaining a pivotal state of the lid body, that is, an opened state in which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body is opened, without holding the lid body after rotating the lid body.

그래서 본 발명은, 수납체의 개구가 개방된 열림 상태의 유지가 용이하게 가능해지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n open state of an accommodating body can be easily opened.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achieve the object,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 포장 용기는, 피 포장체를 수납함과 아울러, 그 상부가 개구하는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의 개구를 폐색하는 뚜껑체와, 상기 수납체 및 상기 뚜껑체를 일체로, 또, 상기 뚜껑체를 상기 수납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체 및 상기 뚜껑체는, 서로 간섭함으로써,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수납체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동한 뚜껑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간섭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housing for housing a to-be-packed body, the housing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cover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dy, And a hinge portion that rotatably connects the lid body to the accommodating body, wherein the accommodating body and the lid body are interfer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ccommodating body and the lid body pivot about the hinge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ccommodating body And an interfering portion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one lid.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체의 개구가 개방된 열림 상태의 유지가 용이하게 가능해지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body can be opened and the open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그 포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3은, 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도 4는, 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6은, 그 포장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7은, 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도 8은, 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도 15는, 그 포장 용기의 블랭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Fig. 3]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ank of the packaging container.
[Fig. 4]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lank of the packaging container.
[Fig. 5]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Fig. 7]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ank of the packaging container.
[Fig. 8]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lank of the packaging container.
[Fig. 9]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ank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ank of the packaging container.
[Fig. 11]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ank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ank of the packaging container.
[Fig. 13]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blank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ank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ank of the packaging container.

(제 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를,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ackaging container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의 구성을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포장 용기(1)의 구성을 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그 포장 용기(1)에 이용되는 제 1 블랭크(3)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그 포장 용기(1)에 이용되는 제 2 블랭크(4)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container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from the front.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lank 3 us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1. Fig.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lank 4 us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1. Fig.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용기(1)는, 수납체(5)와, 뚜껑체(6)와, 힌지부(7)와, 간섭부(8)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 용기(1)는, 이들 수납체(5), 뚜껑체(6), 힌지부(7) 및 간섭부(8)가 일체로 형성된다. 포장 용기(1)는, 피 포장체의 포장시에 있어서는 그 외형 모양이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다.
1 to 4, the packaging container 1 includes a housing body 5, a lid body 6, a hinge portion 7, and an interference portion 8.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accommodating body 5, the lid body 6, the hinge portion 7, and the interference portion 8.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its outer shape at the time of packaging the to-be-packaged body.

또한, 포장 용기(1)는, 포장 용기(1)의 닫힘 상태에서, 포장 용기(1)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부 몸체(9)와, 포장 용기(1)의 닫힘 상태에서, 그 내부에 위치하여, 포장 용기(1)의 내부 형상 일부를 형성하는 내부 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provided with an outer body 9 for form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in the closed stat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and a sealing member And an internal body 10 for forming a part of the internal shap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외부 몸체(9)는, 수납체(5)의 일부, 뚜껑체(6), 힌지부(7) 및 간섭부(8)의 일부를 구성한다. 내부 몸체(10)는, 수납체(5)의 다른 부분, 및, 간섭부(8)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The outer body 9 constitutes a part of the accommodating body 5, the lid body 6, the hinge portion 7, and a part of the interference portion 8. The inner body 10 constitutes another portion of the housing 5 and another portion of the interfering portion 8.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장 용기(1)는, 예를 들면, 피 포장체인 종이 담배(T)를 포장 가능한, 소위 담배 상자이며, 수납체(5) 내부에 내포체(內包體)를 갖고 있다. 포장 용기(1)는, 그 재료로서, 종이 담배(T)를 포장 가능한 종이 소재가 이용된다.
Specifically,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for example, a so-called cigarette box in which a paper cigarette T to be packed can be packed, and has an inner packaging body inside the storage body 5 . As the material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a paper material capable of packaging a paper cigarette (T) is used.

이러한 종이 소재의 일 예로서, 예를 들면 미드 웨스트 베코 사 제, 하이 일드 프린트 코트(등록상표)의 구라메지가 221g/㎥인 종이 소재가 이용된다. 또, 종이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맞게 사용 가능하다.
As an example of such a paper material, a paper material having 221 g / m < 3 > of Kuromeji made by Midwest Bakco and High Print Coat (registered trademark) is used. In addition, the paper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suitably used.

내포체는, 예를 들면, 포장 용기(1)의 개봉까지, 종이 담배(T) 다발을 직접 포장하여, 종이 담배(T)의 열화(劣化)를 방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내포체는, 보습성 및 보향성(保香性) 등을 갖고 있다. 이 내포체는, 주로, 알루미늄 막이 증착 또는 적층된 종이가 이용된다.
The inner porous body is formed so as to directly wrap a bundle of paper cigarettes (T), for example, until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paper cigarette T. The porosity has moisture retentivity and retentivity. This internal foam body is mainly made of paper on which an aluminum film is deposited or laminated.

포장 용기(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소재로부터, 펀칭(打拔) 가공에 의해 형성된 블랭크(2)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formed by assembling a blank 2 formed by punching from a paper material.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체(5)는, 외부 몸체(9)의 일부 및 내부 몸체(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납체(5)는, 외부 몸체(9)의 일부 및 내부 몸체(10)에 의해, 수납체(5)의 내부를 개구하는 개구단을 갖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housing body 5 is constituted by a part of the outer body 9 and the inner body 10. [ The housing body 5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n opening end opening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ody 5 by a part of the external body 9 and the internal body 10. [

구체적으로는, 수납체(5)는, 외부 몸체(9)에 의해 상단부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개구한다. 수납체(5)는, 외부 몸체(9)의 경사지는 개구의 내주면(內周面)에 마련된 내부 몸체(10)에 의해, 외부 몸체(9)의 개구의 상단으로부터 뻗어서 마련(延設)된 벽이 형성된다. 수납체(5)는, 외부 몸체(9)의 일부 및 내부 몸체(10)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 모양의 상부가 개구하는 상자 몸체로 형성된다. 수납체(5)는, 외부 몸체(9)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제 1 전벽(前壁)(11), 제 1 후벽(後壁)(12), 한 쌍의 제 1 측벽(13) 및 저벽(底壁)과, 내부 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5 is opened by inclining downward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by the outer body 9. The inclined sheet of the outer body 9 is exten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outer body 9 by the inner body 10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A wall is formed. The housing body 5 is formed by a part of the outer body 9 and the inner body 10 and a box body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s opened. The housing body 5 includes a first front wall 11 formed by a part of the outer body 9, a first rear wall 12, a pair of first side walls 13, (Bottom wall), and an inner body 10.

제 1 전벽(11)은, 직사각형 모양, 예를 들면, 평면에서 봐서 폭 방향이 높이 방향보다 짧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후벽(12)은, 높이 방향으로 제 1 전벽(11)보다 높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후벽(12)은, 그 상단에 힌지부(7)를 개재하여 뚜껑체(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후벽(12)은, 그 상단연(上端緣)(힌지부(7))의 양단 측이, 하방으로 경사져 잘라진다. 바꿔 말하면, 제 1 후벽(12)은, 그 상단연의 양단부가 중심 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높이에서, 뚜껑체(6)와 연속하는 힌지부(7)가 마련된다.
The first front wall 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whose width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height direction in plan view. The first rear wall 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is higher than the first front wall 11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irst rear wall (12)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id body (6) via a hinge (7) at the upper end thereof. Both ends of the upper end edge (hinge portion 7) of the first rear wall 12 are inclined downwardly and cut. In other words, the first rear wall 12 is formed such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ar wall 12 are inclined upward toward the center side, and a hinge portion 7 continuous with the lid 6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제 1 측벽(13)은, 제 1 전벽(11) 및 제 1 후벽(12)을 연결함과 아울러, 그 상단이 경사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측벽(13)은, 그 상단이 제 1 후벽(12)으로부터 제 1 전벽(11)을 향해 경사 각도가 증가하는 서로 다른 2개의 경사 각도에 의해 하방으로 경사진다. 저벽은, 평면에서 봐서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 1 전벽(11), 제 1 후벽(12) 및 한 쌍의 제 1 측벽(13)을 이들 하단 측에서 연결한다.
The first side wall 13 connects the first front wall 11 and the first rear wall 12 and has a trapezoidal shape with an upper end inclined. For example, the first sidewall 13 is inclined downward by two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t which the upper end thereof is inclined from the first rear wall 12 toward the first front wall 11. The bottom wall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connects the first front wall 11,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pair of first side walls 13 at the lower ends thereof.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몸체(10)는, 제 1 전벽(11), 제 1 후벽(12)의 일부, 및, 제 1 측벽(13)의 내면을 따라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몸체(10)는, 전내벽(前內壁)(15)과, 한 쌍의 측내벽(側內壁)(16)과, 후내벽(後內壁)(17)을 구비하고 있다.
2, the inner body 10 is provid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wall 11, a part of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first side wall 13. [ Specifically, the inner body 10 has a front inner wall 15, a pair of side inner walls 16, and a rear inner wall 17 .

전내벽(15)은, 제 1 전벽(11)의 내면에 마련되어, 제 1 전벽(11)의 상방으로부터 돌출한다. 측내벽(16)은, 한 쌍의 제 1 측벽(13)의 내면에 각각 마련되어, 제 1 측벽(13)의 상방으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후내벽(17)은, 제 1 후벽(12)의 적어도 일부, 더 말하면, 적어도 제 1 후벽(12)의 상단연의 양단부의 경사부의 전부 및 힌지부(7)의 일부에 위치하여, 제 1 후벽(12)의 내면에 마련된다.
The front inner wall 15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wall 11 and protrudes from above the first front wall 11. Side inner walls 16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side walls 13 and projec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13, respectively. The rear inner wall 17 is locate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rear wall 12,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inclined portion at both ends of at least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ar wall 12 and a part of the hinge portion 7, (Not shown).

또한, 내부 몸체(10)는, 전내벽(15), 측내벽(16) 및 후내벽(17)이 제 1 전벽(11), 제 1 후벽(12) 및 제 1 측벽(13)의 내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내부 몸체(10)는, 외부 몸체(9)의 제 1 전벽(11), 제 1 후벽(12) 및 제 1 측벽(13)을 따른 벽을 형성하고, 뚜껑체(6)의 안내 및 뚜껑체(6)의 찌그러짐을 방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inner body 10 has a front inner wall 15, a side inner wall 16 and a rear inner wall 17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ront wall 11,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first side wall 13 And is adher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The inner body 10 forms a wall along the first front wall 11,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first side wall 13 of the outer body 9, (6) is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또한, 내부 몸체(10)는, 그 제 1 후벽(12)에 위치하는 부위가, 간섭부(8)의 일부를 구성한다. 내부 몸체(10)는, 뚜껑체(6)가 수납체(5)의 개구단을 폐색 시에, 뚜껑체(6)의 내면과 적어도 그 일부가 간섭함으로써, 뚜껑체(6)를 수납체(5)에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inner body 10 has a portion located on the first rear wall 12 as a part of the interference portion 8. The inner body 1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lid body 6 closes the opening end of the accommodating body 5,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6 interferes with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6, 5).

뚜껑체(6)는, 외부 몸체(9)의 다른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뚜껑체(6)는, 제 2 전벽(21)과, 제 2 후벽(22)과, 한 쌍의 제 2 측벽(23)과, 상벽(24)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체(6)는, 수납체(5)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수납체(5)의 개구를 폐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cover 6 is constituted by another part of the outer body 9. [ The cover 6 has a second front wall 21, a second rear wall 22, a pair of second side walls 23, and a top wall 24. The lid body 6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dy 5 by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5. [

제 2 전벽(21)은, 평면에서 봐서 폭 방향이 높이 방향보다 길고, 또, 그 폭이 제 1 전벽(11)과 거의 동일 치수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front wall 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ose width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plan view and whose widt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front wall 11.

제 2 후벽(22)은, 높이 방향으로 제 1 전벽(21)보다 높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후벽(22)은, 그 하단에 힌지부(7)를 개재하여 수납체(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후벽(22)은, 그 하단연(下端緣)(힌지부(7))의 양단 측이, 하방으로 경사져서 잘라진다.
The second rear wall 2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igher than the first front wall 21 in the height direction. The housing body 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rear wall 22 via a hinge portion 7 at the lower end thereof. Both end sides of the lower end edge (hinge portion 7) of the second rear wall 22 are inclined downward and cut.

바꿔 말하면, 제 2 후벽(22)은, 그 하단연의 양단부가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서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후벽(12)과 연속하는 힌지부(7)가 마련된다. 또 바꿔 말하면, 제 2 후벽(22)은, 양단이 경사짐으로써, 제 1 후벽(12)을 향하여 힌지부(7)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6)를 갖는다.
In other words, the second rear wall 22 is formed such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lower end thereof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and the hinge portion 7 continuous with the first rear wall 12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second rear wall 22 has a protruding portion 26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hinge portion 7 toward the first rear wall 12 by being inclined at both ends.

제 2 측벽(23)은, 제 2 전벽(21) 및 제 2 후벽(22)을 연결한다. 제 2 측벽(23)은, 그 하단이 경사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측벽(23)은, 그 하단의 경사 각도가, 제 1 측벽(13)의 상단의 경사 각도와 거의 동일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상벽(24)은, 평면에서 봐서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 2 전벽(21), 제 2 후벽(22) 및 한 쌍의 제 2 측벽(23)을 상단 측에서 연결한다.
The second side wall 23 connects the second front wall 21 and the second rear wall 22. The second side wall 23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hose lower end is inclin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23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13. The upper wall 24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connects the second front wall 21, the second rear wall 22 and the pair of second side walls 23 at the top side.

힌지부(7)는, 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 사이에 마련되며, 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을 일체로 연결한다. 힌지부(7)는, 제 1 후벽(12)에 대해 제 2 후벽(22)을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7)는, 종이 소재 상에 압압에 의해 형성된 압흔(7a) 또는 비연속의 절단부(7b)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The hinge portion 7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second rear wall 22 and integrally connects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second rear wall 22. [ The hinge portion (7)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rear wall (22)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rear wall (12). The hinge portion 7 is formed of an indentation 7a formed by pressing on a paper material or a discontinuous cut portion 7b or the like.

간섭부(8)는, 제 2 후벽(22)에 마련된 돌출부(26)와, 수납체(5)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에의 뚜껑체(6)의 회동시에, 돌출부(26)와 접촉하는 접촉부(27)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26)는, 뚜껑체(6)의 제 2 후벽(22)에 마련되며, 제 2 후벽(22)으로부터 힌지부(7)를 통해 뚜껑체(6)와는 반대 측, 즉 수납체(5)의 제 1 후벽(12) 측으로 돌출한다.
The interfering portion 8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26 provided on the second rear wall 22 and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with the protruding portion 26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lid 6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accommodating body 5 27). The projecting portion 26 is provided on the second rear wall 22 of the lid body 6 and extends from the second rear wall 22 to the side opposite to the lid body 6 via the hinge portion 7, The first rear wall 12 of the first housing 10 is protruded.

구체적으로는, 돌출부(26)는, 제 2 후벽(22)의 하단연의 양단부에, 힌지부(7)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45도로 경사지며, 제 2 후벽(22) 및 제 2 측벽의 능부(陵部)에 걸쳐 각각 마련된 돌기이다.
Specifically, the projecting portion 26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referably 45 degrees, downwardly from the end of the hinge portion 7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edge of the second rear wall 22, 22 and the second sidewall of the second sidewall.

접촉부(27)는, 뚜껑체(6)의 회동시에, 힌지부(7)로부터 수납체(5)의 내측을 향해 돌출한 돌출부(26)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27)는, 수납체(5)의 내벽에, 돌출부(26)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뻗어서 마련된 내부 몸체(10)의 후내벽(17)이다.
The abutting portion 27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projecting portion 26 projecting from the hinge portion 7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body 5 while rotating the lid body 6. The abutting portion 27 is a rear inner wall 17 of the inner body 10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body 5 and extending to a position facing the projecting portion 26. [

다음으로, 이러한 포장 용기(1)를 형성하는 블랭크(2), 및, 블랭크(2)에 의한 포장 용기(1)의 형성 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3 및 도 4 중, 쇄선(鎖線)은, 블랭크(2)의 접음선(折線)을 나타내며, 실선은 절단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접음선이란, 블랭크(2)의 조립시에, 블랭크(2)를 접어 넣는 부위이며, 예를 들면, 블랭크(2)의 제조시에, 접음선을 안내했던 압흔이 형성된다. 이하, 접음선을 「압흔」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절단부란, 소위 커팅 에지(切刃)라고 불리는 블랭크(2) 형성시에 절단한 부위이다.
Next, the blank 2 forming the packaging container 1 and the forming method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by the blank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3 and 4, the chain line represents the fold line of the blank 2, and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cut portion. The folding line is a position at which the blank 2 is folded when the blank 2 is assembled. For exampl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blank 2, an indentation for guiding the folding line is formed. Hereinafter, the folding line will be described as " indentation ". The cutting portion is a portion cut at the time of forming the blank 2 called a cutting edge (cutting edge).

블랭크(2)는, 제 1 블랭크(3) 및 제 2 블랭크(4)를 구비하고 있다.The blank 2 is provided with a first blank 3 and a second blank 4.

제 1 블랭크(3)는, 수납체(5)의 일부 및 뚜껑체(6)로 이루어지는 외부 몸체(9)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片)이다. 제 1 블랭크(3)는, 후면(31)과, 저면(32)과, 제 1 전면(33)과, 상면(34)과, 한 쌍의 제 1 측면(35)과, 제 2 전면(36)과, 한 쌍의 제 2 측면(37)과, 제 1 접착면(38)을 구비하고 있다.
The first blank 3 is a piece of material obtained by punching a paper material in a shape obtained by expanding an outer body 9 composed of a part of the accommodating body 5 and a lid 6. [ The first blank 3 includes a rear surface 31, a bottom surface 32, a first front surface 33, an upper surface 34,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35, a second front surface 36 ,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37), and a first adhesive surface (38).

후면(31)은, 제 1, 제 2 후벽(12, 22), 및, 힌지부(7)를 형성한다. 후면(31)은, 제 1, 제 2 후벽(12, 22)을 조합한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후면(31)은, 압흔(50, 51, 52, 53)을 통해 저면(32), 상면(34), 및, 제 1 접착면(38)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The rear face 31 forms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 and 22 and the hinge portion 7. The rear surface 3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 and 22 are combined. The rear face 3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face 32, the upper face 34 and the first bonding face 38 via the indentations 50, 51, 52 and 53.

후면(31)은, 압흔(54) 및 복수의 절단부(55, 56)를 갖는다. 이 압흔(54) 및 절단부(55)가 힌지부(7)를 형성함과 아울러, 절단부(56)가 돌출부(26)를 형성한다. 또한, 후면(31)은, 해당 힌지부(7) 및 돌출부(26)에 대해 한쪽, 바꿔 말하면 하방이 제 1 후면(41)을, 해당 힌지부(7) 및 돌출부(26)에 대해 다른쪽, 바꿔 말하면 상방이 제 2 후면(42)을 형성한다.
The rear face 31 has an indentation 54 and a plurality of cuts 55, 56. The indentation 54 and the cut portion 55 form the hinge portion 7 and the cut portion 56 forms the protrusion 26. [ The rear surface 31 has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7 and the protruding portion 26, in other words, the first rear surface 41 downwardly, and the other rear surface 41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7 and the protruding portion 26 , In other words, the upper part forms the second rear surface 42. [

후면(31)은, 압흔(50, 51, 52, 53)이 절곡됨으로써, 제 1 후면(41) 및 제 2 후면(42)에 의해, 저면(32)(저벽) 및 상면(34)(상벽(24))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을 구성한다.
The back surface 31 is formed by bending the indentations 50, 51, 52 and 53 so that the bottom surface 32 (bottom wall) and the top surface 34 (12) and a second rear wall (22) orthogonal to the first rear wall (12).

압흔(54)은, 후면(31)의 측방의 압흔(52, 53) 사이에, 압흔(52, 53)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바꿔 말하면, 압흔(52, 53)과 이간하여 뻗어서 마련된다. 절단부(56)는, 압흔(54)의 양단부로부터, 제 1 후면(41) 측을 향해 압흔(52, 53)까지 경사져서 형성된다.
The indentation marks 54 extend between the indentations 52 and 53 on the side of the rear face 31 to a position close to the indentations 52 and 53 or in other words extend away from the indentations 52 and 53. The cut portions 56 are formed by inclining from both ends of the indentation 54 toward indentations 52 and 53 toward the first rear surface 41 side.

저면(32)은, 저벽을 형성한다. 저면(32)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압흔(50, 57)을 통해 후면(31) 및 제 1 전면(33)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저면(32)은, 압흔(50, 57)이 절곡됨으로써, 후면(31)(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에 대해 직교하는 저벽을 구성한다.
The bottom surface 32 forms a bottom wall. The bottom surface 3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urface 31 and the first front surface 33 through the indentations 50 and 57. The bottom surface 32 forms the bottom wall orthogonal to the rear surface 31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second rear wall 22) by bending the indentations 50 and 57.

제 1 전면(33)은, 제 1 전벽(11)을 형성한다. 제 1 전면(33)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압흔(57, 58, 59)을 통해 저면(32) 및 한 쌍의 제 1 측면(35)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전면(33)은, 압흔(57, 58, 59)이 절곡됨으로써, 저면(32)(저벽)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전벽(11)을 구성한다.
The first front surface (33) forms a first front wall (11). The first front surface 33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32 and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35 through indentations 57, 58 and 59. The first front surface 33 constitutes a first front wall 11 orthogonal to the bottom surface 32 (bottom wall) by bending the indentations 57, 58 and 59.

상면(34)은, 상벽(24)을 형성한다. 상면(34)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압흔(51, 60)을 통해 후면(31) 및 제 2 전면(36)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면(34)은, 압흔(51, 60)이 절곡됨으로써, 후면(31)(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 및 제 2 전면(36)(제 2 전벽(21))에 대해 직교하는 상벽(24)을 구성한다.
The upper surface 34 defines a top wall 24. The upper surface 34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urface 31 and the second front surface 36 through indentations 51 and 60. The upper surface 34 is formed by bending the indentations 51 and 60 so that the rear surface 31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second rear wall 22) and the second front surface 36 (the second front wall 21)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 쌍의 제 1 측면(35)은, 제 1 측벽(13)을 형성한다. 제 1 측면(35)은, 한 변(邊), 도 3에서는, 하방에 위치하는 변이, 제 1 측벽(13)의 상변과 동일 각도로 경사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며, 압흔(58, 59)을 통해 각각 제 1 전면(33)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측면(35)은, 압흔(58, 59)이 절곡됨으로써, 제 1 전면(33)(제 1 전벽(11))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측벽(13)을 구성한다.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35) forms a first side wall (13). 3,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ide surface 35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13. The indentations 58, The first front surface 33 and the second front surface 33 are integrally formed. The first side face 35 forms the first side wall 13 orthogonal to the first front face 33 (first front wall 11) by bending the indentations 58 and 59.

제 2 전면(36)은, 제 2 전벽(21)을 형성한다. 제 2 전면(36)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압흔(60, 61, 62, 63)을 통해 상면(34), 한 쌍의 제 2 측면(37) 및 제 1 접착면(38)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 2 전면(36)은, 압흔(60, 61, 62, 63)이 절곡됨으로써, 상면(34)(상벽(24))에 대해 직교하는 제 2 전벽(21)을 구성한다.
The second front surface (36) forms a second front wall (21). The second front surface 36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surface 34, the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37 and the first adhesive surface 38 through indentations 60, 61, 62, . The second front surface 36 constitutes a second front wall 21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34 (upper wall 24) by bending the indentations 60, 61, 62 and 63.

한 쌍의 제 2 측면(37)은, 제 2 측벽(23)을 형성한다. 제 2 측면(37)은, 한 변, 도 3에서는, 상방에 위치하는 변이, 제 2 측벽(23)의 하변과 동일 각도로 경사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며, 압흔(61, 62)을 통해 각각 제 2 전면(36)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37) forms a second side wall (23). 3, the upper side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2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37 is formed in a trapezoid shape through the indentations 61, 62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front surface 36.

제 2 측면(37)은, 그 경사지는 변이, 제 1 측면(35)의 경사지는 변과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 1 측면(35) 및 제 2 측면(37)은, 해당 경사지는 변끼리가 결합함으로써,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 2 측면(37)은, 압흔(61, 62)이 절곡됨으로써, 제 2 전면(36)(제 2 전벽(21))에 대해 직교하는 제 2 측벽(23)을 구성한다.
The second side surface 37 is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side surface 37 is mutually engageable with the inclined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surface 35. The first side surface 35 and the second side surface 37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y engaging the sides of the inclined sheet. The second side surface 37 forms the second side wall 23 orthogonal to the second front surface 36 (second front wall 21) by bending the indentations 61 and 62.

제 1 접착면(38)은, 한 쌍의 측면 접착면(44)과, 한 쌍의 저면 접착면(45)과, 한 쌍의 상면 접착면(46)과, 전면 접착면(47)을 구비하고 있다.
The first adhesive surface 38 has a pair of side adhesive surfaces 44, a pair of bottom adhesive surfaces 45, a pair of top surface adhesive surfaces 46, and a front adhesive surface 47 .

한 쌍의 측면 접착면(44)은, 제 1 측면(35)과 접착하는 제 1 측면 접착면(48) 및 제 2 측면(37)과 접착하는 제 2 측면 접착면(49)을 형성한다. 한 쌍의 측면 접착면(44)은, 제 1 측벽(13) 및 제 2 측벽(23)의 내면을 구성한다. 한 쌍의 측면 접착면(44)은, 제 1 측벽(13) 및 제 2 측벽(23)을 조합한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측면 접착면(44)은, 압흔(52, 53, 64, 65, 66, 67)을 통해 후면(31), 한 쌍의 저면 접착면(45) 및 한 쌍의 상면 접착면(46)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The pair of side adhesive surfaces 44 form a first side adhesive surface 48 that adheres to the first side 35 and a second side adhesive surface 49 that adheres to the second side 37. The pair of side adhesive surfaces 44 constitute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side wall 13 and the second side wall 23. The pair of side adhesive surfaces 44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first side wall 13 and the second side wall 23 are combined. A pair of side adhesive surfaces 44 are bonded to the back surface 31 through the indentations 52, 53, 64, 65, 66 and 67, a pair of bottom adhesive surfaces 45 and a pair of top adhesive surfaces 46 As shown in Fig.

또한, 한 쌍의 측면 접착면(44)은, 후면(31)의 절단부(56)와 연속하는 절단부(56a)를 갖고, 이 절단부(56a)에 대해 한쪽, 바꿔 말하면 하방이 제 1 측면 접착면(48)을, 다른쪽, 바꿔 말하면 상방이 제 2 측면 접착면(49)을 형성한다. 절단부(56a)는, 제 1, 제 2 측면(35, 37)의 경사 각도와 거의 동일 각도로 경사진다. 한 쌍의 측면 접착면(44)은, 압흔(52, 53)이 절곡됨으로써, 제 1 측면 접착면(48) 및 제 2 측면 접착면(49)이 후면(31)(제 1 후면(41) 및 제 2 후면(42))에 대해 직교하며, 제 1 측면(35) 및 제 2 측면(37)과 각각 대향한다.
The pair of side adhesive surfaces 44 has a cut portion 56a continuous with the cut portion 56 of the rear face 31.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ut portion 56a, in other words, (48), and the other side, in other words, the upper side forms the second side adhesive surface (49). The cut portion 56a is incli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angl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35, The pair of side adhesive surfaces 44 are formed so that the indentations 52 and 53 are bent so that the first side adhesive surface 48 and the second side adhesive surface 49 ar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31 And second front surface 42), and are opposed to the first side surface 35 and the second side surface 37, respectively.

한 쌍의 저면 접착면(45)은, 압흔(64, 65)을 통해, 한 쌍의 제 1 측면 접착면(48)에 일체로 성형된다. 한 쌍의 저면 접착면(45)은, 압흔(64, 65)이 절곡됨으로써, 측면 접착면(44)(제 1 측벽(13) 및 제 2 측벽(23))에 대해 직교하며, 저면(32)과 대향하여, 저면(32)에 접착된다.
A pair of bottom adhesion surfaces 45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pair of first side adhesion surfaces 48 via indentations 64 and 65. The pair of bottom adhesion surfaces 45 are formed by bending the indentations 64 and 65 so that they are orthogonal to the side adhesion surface 44 (the first side wall 13 and the second side wall 23) And is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32. As shown in Fig.

한 쌍의 상면 접착면(46)은, 압흔(66, 67)을 통해, 한 쌍의 측면 접착면(44)의 제 2 측면 접착면(49)에 일체로 성형된다. 한 쌍의 상면 접착면(46)은, 압흔(66, 67)이 절곡됨으로써, 측면 접착면(44)(제 1 측벽(13) 및 제 2 측벽(23))에 대해 직교하며, 상면(34)과 대향하여, 상면(34)에 접착된다.
A pair of upper surface adhering surfaces 46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side adhering surfaces 49 of the pair of side surface adhering surfaces 44 through the indentations 66 and 67. The pair of upper surface adhesion surfaces 46 are formed by bending the indentations 66 and 67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side surface adhesion surface 44 (the first side wall 13 and the second side wall 23) And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34.

제 2 전면 접착면(47)은, 압흔(63)을 통해 제 2 전면(36)과 일체로 성형되며, 압흔(63)을 통해 절곡됨으로써, 제 2 전면(36)과 대향하여, 제 2 전면(36)에 접착된다. 또, 제 2 전면 접착면(47)은, 제 2 전벽(21)의 내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The second front surface bonding surface 47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front surface 36 through the indentation 63 and bent by the indentation 63 to face the second front surface 36, (36). The second front adhesive surface 47 forms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wall 21.

제 2 블랭크(4)는, 내부 몸체(10)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이다. 제 2 블랭크(4)는, 전면부(74)와, 한 쌍의 측면부(75)와, 한 쌍의 후면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부(74), 한 쌍의 측면부(75) 및 한 쌍의 후면부(76)는, 한 쌍 압흔(71, 72)을 통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The second blank 4 is a material piece obtained by punching a paper material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body 10 is expanded. The second blank 4 has a front portion 74, a pair of side portions 75, and a pair of rear portions 76. The front surface portion 74, the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75, and the pair of rear surface portions 76 are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pair of indentations 71 and 72.

전면부(74)는, 전내벽(15)을 형성한다. 전면부(74)는, 제 1 전벽(11)과 거의 동일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압흔(71, 71)을 통해 한 쌍의 측면부(75)에 접속되어 있다. 전면부(74)는, 그 측방에서부터 압흔(71, 71) 위를 건너 측면부(75)의 일부까지 절단됨으로써 형성된, 뚜껑체(6)의 내면과 간섭하는 돌기부(74a)를 갖고 있다. 전면부(74)는, 그 상방의 일부가 잘라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부(74)는, 그 하방이 제 1 전벽(11)의 내면에 접착된다.
The front portion 74 forms the front inner wall 15. The front portion 74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first front wall 11 and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portions 75 through indentations 71 and 71. [ The front portion 74 has protrusions 74a which are formed by cutting the indentations 71 and 71 from the side thereof to a portion of the side portion 75 across the indentations 71 and 71 and interfer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6. The front portion 74 is formed by cutting off a part thereof above. Further, the front part 74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wall 11 below the front part 74.

측면부(75)는, 측내벽(16)을 형성한다. 측면부(75)는, 제 1 측벽(13)과 거의 동일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압흔(71, 72)을 통해, 전면부(74) 및 후면부(76)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측면부(75)는, 그 하방이 제 1 측벽(13)의 내면에 접착된다.
The side surface portion 75 forms the side surface inner wall 16. The side surface portion 75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first side wall 13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surface portion 74 and the rear surface portion 76 through indentations 71 and 72. The side surface portion 75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13 at a lower portion thereof.

후면부(76)는, 후내벽(17)을 형성한다. 후면부(76)는, 적어도 제 2 후벽(22)에 마련된 돌출부(26)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배치 가능한 폭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압흔(72)을 통해, 측면부(75)에 접속되어 있다. 후면부(76)는, 그 하방이 제 1 후벽(12)의 내면에 접착된다.
The rear portion (76) forms a rear inner wall (17). The rear face portion 76 is formed to have a width that can be arranged at a position facing at least the projection portion 26 provided at the second rear wall 22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face portion 75 through the indentation 72. The rear portion 76 i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ar wall 12 under its lower portion.

이렇게 구성된 제 1 블랭크(3) 및 제 2 블랭크(4)는, 각(各) 압흔이 같은 방향으로 접어짐과 아울러, 제 1 접착면(38)에 각각 접착제가 도포되어, 대응하는 면에 접착된다. 이에 의해, 제 1 블랭크(3)는 수납체(5) 및 뚜껑체(6)를 갖는 외부 몸체(9)를 형성하고, 제 2 블랭크(4)는 내부 몸체(10)를 각각 형성한다. 다음으로, 내부 몸체(10)를 외부 몸체(9)의 대응하는 위치에 접착함으로써, 포장 용기(1)가 조립된다. 또, 여기서는, 포장 용기(1)의 외부 몸체(9)와 내부 몸체(10)의 접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irst blank 3 and the second blank 4 thus configured, the indentations are fold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irst adhesive surface 38 is coated with an adhesive, do. Thereby, the first blank 3 forms the outer body 9 having the accommodating body 5 and the cover 6, and the second blank 4 forms the inner body 10, respectively. Next,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assembled by adhering the inner body 10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outer body 9. He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onding between the outer body 9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and the inner body 10 will be omitted.

이렇게 형성된 포장 용기(1)는, 블랭크(2)로부터 포장 용기(1)를 형성할 때에, 내포체로 포장된 담배 다발이 그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담배(T)를 포장한다. 담배 다발을 포장한 포장 용기(1)는, 포장 용기(1)의 바깥 둘레가 투명 필름 등의 외포(外包) 필름으로 외포된다. 이에 의해, 담배 상품이 된다.
The packaging container 1 thus formed packs the cigarette T when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formed from the blank 2 by providing a bundle of cigarettes packed with the encapsulant therein. In the packaging container 1 packed with a bundle of cigarett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enveloped by an envelope film such as a transparent film. As a result, it becomes a cigarette product.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포장 용기(1)의 개봉, 및, 뚜껑체(6)의 개폐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외포 필름으로 외포된 포장 용기(1)는, 외포 필름을 개봉하여 제거한다. 외포 필름 제거 후, 뚜껑체(6)를 수납체(5)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뚜껑체(6)의 이동에 의해, 힌지부(7)가 절곡되어, 뚜껑체(6)가 힌지부(7)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Next,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thus construct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body 6 will be described. First, in the packaging container 1 enveloped with the outer film, the outer film is opened and removed. After removing the foreign film, the lid body 6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ccommodating body 5. [ The hinge portion 7 is bent by the movement of the lid body 6 so that the lid body 6 can be rotated around the hinge portion 7. [

뚜껑체(6)가 힌지부(7)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뚜껑체(6)의 제 2 후벽(22)에 마련된 돌출부(26)도 힌지부(7)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 된다. 이때, 돌출부(26)는, 제 2 후벽(22)과, 힌지부(7)를 사이에 두고 상대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뚜껑체(6)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돌출부(26)는 수납체(5)의 내측으로도 이동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26)는 내부 몸체(10)의 후내벽(17)과 접촉하여, 서로 간섭한다. 이 간섭이 뚜껑체(6)의 회동 방향의 이동 저항이 되며, 회동시킨 뚜껑체(6)는, 힌지부(7)의 복원력에 의한 뚜껑체(6)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projecting portion 26 provided on the second rear wall 22 of the lid body 6 also rotates about the hinge portion 7 when the lid body 6 rotates about the hinge portion 7. [ At this time, since the projecting portion 26 protrudes in the direction opposed to the second rear wall 22 with the hinge portion 7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he lid body 6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2 , The protruding portion 26 also moves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body 5. As a result, the projecting portions 26 contact the rear inner wall 17 of the inner body 10 and interfere with each other. This interference becomes the movement resistance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lid body 6 and the rotated lid body 6 can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lid body 6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portion 7. [

이 때문에, 포장 용기(1)는, 뚜껑체(6)를 손으로 잡는 일없이, 돌출부(26) 및 내부 몸체(10)에 의해 수납체(5)의 개구를 해방시킨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납체(5)에 수납된 종이 담배(T)의 꺼내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Therefore,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opened state in which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body 5 is released by the protruding portion 26 and the inner body 10 without holding the lid body 6 by hand So that the paper cigarette T stored in the housing body 5 can be easily removed.

포장 용기(1)는, 수납체(5)의 개구가 뚜껑체(6)에 의해 폐색된 닫힘 상태로 하려면, 힌지부(7)를 중심으로 뚜껑체(6)를 수납체(5)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에 의해, 돌출부(26)는, 후내벽(17)과의 간섭이 해제된다. 회동을 계속함으로써, 뚜껑체(6)는, 그 내면에 내부 몸체(10)가 접촉하여, 내부 몸체(10)의 돌기부(74a)와 간섭함으로써, 뚜껑체(6)가 수납체(5)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포장 용기(1)는 닫힘 상태가 된다.
In order to make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body 5 closed by the lid body 6 in the closed state,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provided with the lid body 6 close to the accommodating body 5 around the hinge portion 7 . By this rotation, the protrusion 26 is released from interference with the rear inner wall 17. The lid body 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74a of the inner body 10 so that the lid body 6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body 5 . Thereby,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brought into the closed state.

이와 같이 구성된 포장 용기(1)에 의하면, 뚜껑체(6)가 수납체(5)로부터 이간하도록, 힌지부(7)를 중심으로 뚜껑체(6)를 회동시킴으로써, 힌지부(7)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6)는, 내부 몸체(10)를 향해 회동하고, 결과적으로 내부 몸체(10)와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돌출부(26)와 내부 몸체(10)가 간섭한다. 돌출부(26) 및 내부 몸체(10)의 간섭이, 힌지부(7)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 방향의 저항으로 되며, 수납체(5)의 열림 상태에서, 해당 저항에 의해 뚜껑체(6)가 고정된다. 이 때문에, 뚜껑체(6)는, 회동한 상태를 손으로 유지하지 않아도, 회동한 상태가 유지되고, 결과적으로, 수납체(5)의 열림 상태가 유지되어, 수납체(5)로부터 종이 담배(T)의 꺼내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packaging container 1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lid body 6 is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7 so that the lid body 6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body 5, The projection 26 is turned toward the inner body 10 and consequent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body 10. [ The protrusion 26 and the inner body 10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protrusions 26 and the internal body 10 become the resistance in the rotating direction about the hinge portion 7 and the cover 6 is held in the open state by the resistor . Therefore, the lid body 6 is maintained in a pivotal state even if the lid 6 is not held by hand, and as a result, the open state of the accommodating body 5 is maintained, (T) can be easily remov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에 의하면, 뚜껑체(6)에 마련된 돌출부(26)를 회동시켜 내부 몸체(10)와 간섭시킴으로써, 수납체(5)의 개구가 개방된 열림 상태의 유지가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ckaging container 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ng portion 26 provided on the lid 6 is rotated to interfere with the inner body 10, It is possible to easily maintain the open state in which the openings of the openings are opened.

(제 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A)의 수납체(5A) 및 뚜껑체(6A)의 구성을,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accommodating body 5A and the cover 6A of the packaging container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A)의 구성을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그 포장 용기(1A)의 구성을 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그 포장 용기(1A)에 이용되는 제 1 블랭크(3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그 포장 용기(1A)에 이용되는 제 2 블랭크(4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5 내지 도 8의 포장 용기(1A) 중,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와 마찬가지인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1A from the front,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lank 4A us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1A. FIG.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A shown in Figs. 5 to 8,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1 to 4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용기(1A)는, 수납체(5A)와, 뚜껑체(6A)와, 힌지부(7A)와, 간섭부(8A)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 용기(1)는, 이들 수납체(5A), 뚜껑체(6A), 힌지부(7A) 및 간섭부(8A)가 일체로 형성된다.
5 to 8, the packaging container 1A includes a housing 5A, a cover 6A, a hinge portion 7A, and an interference portion 8A.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accommodating body 5A, the lid body 6A, the hinge portion 7A, and the interfering portion 8A.

또한, 포장 용기(1A)는, 포장 용기(1A)의 닫힘 상태에서, 포장 용기(1A)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부 몸체(9A)와, 포장 용기(1A)의 닫힘 상태에서, 그 내부에 위치하며, 포장 용기(1A)의 내부 형상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부 몸체(10A)를 구비하고 있다.
In the closed stat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A, the packaging container 1A is provided with an outer body 9A that forms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A, And has an inner body 10A that forms a part of the inner shap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A.

외부 몸체(9A)는, 수납체(5A)의 일부, 뚜껑체(6A), 힌지부(7A) 및 간섭부(8A)의 일부를 구성한다. 내부 몸체(10A)는, 수납체(5A)의 다른 일부, 및, 간섭부(8A)의 다른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포장 용기(1A)는, 피 포장체의 포장시에 있어서는, 그 외형 모양이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된 담배 상자이다.
The outer body 9A constitutes a part of the accommodating body 5A, the lid body 6A, the hinge portion 7A and a part of the interfering portion 8A. The internal body 10A constitutes another part of the accommodating body 5A and another part of the interfering part 8A. The packaging container 1A is a cigarette box whose outer shape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hen the package to be packaged is packed.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체(5A)는, 외부 몸체(9A)의 일부와 내부 몸체(10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납체(5A)는, 외부 몸체(9A)의 일부 및 내부 몸체(10A)에 의해, 수납체(5A)의 내부를 개구하는 개구단을 갖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5 to 9, the housing body 5A is constituted by a part of the outer body 9A and the inner body 10A. The housing body 5A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n opening end opening inside the housing body 5A by a part of the external body 9A and the internal body 10A.

구체적으로는, 수납체(5A)는, 외부 몸체(9A)에 의해 상단부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서 개구한다. 수납체(5A)는, 외부 몸체(9A)의 경사지는 개구의 내주면에 내부 몸체(10A)가 마련된다. 수납체(5A)는, 내부 몸체(10A)에 의해, 외부 몸체(9A)의 개구의 상단으로부터 뻗어서 마련된 벽이 형성된다. 수납체(5A)는, 외부 몸체(9A)의 일부 및 내부 몸체(10A)에 의해, 대략 육면체 모양의 상부가 개구하는 상자 몸체로 형성된다. 수납체(5A)는, 외부 몸체(9A)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제 1 전벽(11), 제 1 후벽(12A), 한 쌍의 제 1 측벽(13) 및 저벽과, 내부 몸체(10A)를 구비하고 있다.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5A is opened by inclining downward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by the outer body 9A. In the housing 5A, the inner body 10A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outer body 9A. The housing body 5A is formed with a wall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of the outer body 9A by the inner body 10A. The housing body 5A is formed by a box body in which a substantially hexahedron-shaped upper portion is opened by a part of the outer body 9A and the inner body 10A. The housing body 5A has a first front wall 11 formed by a part of the outer body 9A, a first rear wall 12A, a pair of first side walls 13 and a bottom wall, and an inner body 10A Respectively.

제 1 후벽(12A)은, 높이 방향으로 제 1 전벽(11)보다 높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후벽(12A)은, 그 상단에 힌지부(7A)를 통해 뚜껑체(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후벽(12A)은, 상단연(힌지부(7A))의 중앙부가, 하방을 향해 원호 모양으로 잘라짐과 아울러, 해당 절결부(切缺部)의 양단에서 힌지부(7A)가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후벽(12A)은, 그 상단연에 제 1 측벽(13)까지 뻗어서 형성된 힌지부(7A)가 마련됨과 아울러, 그 힌지부(7A)의 중앙부가, 원호 모양으로 잘려서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rear wall 12A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is higher than the first front wall 11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irst rear wall 12A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over 6A through a hinge portion 7A at an upper end thereof. The first rear wall 12A is formed such th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opening (hinge portion 7A) is cut downward in an arc shape and a hinge portion 7A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utout portion . In other words, the first rear wall 12A has a hinge portion 7A formed so as to extend to the first side wall 13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7A is formed by being cut in an arc shape have.

제 1 측벽(13)은, 그 상단이 제 1 후벽(12A)으로부터 제 1 전벽(11)을 향해 동일한 경사 각도로 경사진다.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13 is inclined at the same inclination angle from the first rear wall 12A toward the first front wall 11.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몸체(10A)는, 제 1 전벽(11), 제 1 후벽(12A)의 일부, 및, 제 1 측벽(13)의 내면을 따라, 수납체(5A) 내주(內周)의 전주(全周)에 걸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몸체(10A)는, 전내벽(15)과, 측내벽(16)과, 후내벽(17A)을 구비하고 있다. 후내벽(17A)은, 제 1 후벽(12A)의 전부에 걸쳐, 제 1 후벽(12A)의 내면에 마련된다. 후내벽(17A)은, 힌지부(7A)와 대향하는 거의 중앙부에 수납체(5A)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압흔)(17a)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inner body 10A is provided with a first front wall 11, a part of the first rear wall 12A, and an inner periphery of the accommodating body 5A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13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ce). Specifically, the inner body 10A includes a front inner wall 15, a side inner wall 16, and a rear inner wall 17A. The rear inner wall 17A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ar wall 12A over the whole of the first rear wall 12A. The rear inner wall 17A has a concave portion 17a recess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accommodating body 5A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pposed to the hinge portion 7A.

또한, 내부 몸체(10A)는, 수납체(5A)의 내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내부 몸체(10A)는, 외부 몸체(9A)를 따른 벽을 형성하여, 뚜껑체(6A)의 안내 및 뚜껑체(6A)의 찌그러짐을 방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내부 몸체(10A)는, 그 제 1 후벽(12A)에 위치하는 부위, 더 말하면 오목부(17a)가, 간섭부(8A)의 일부를 구성한다. 내부 몸체(10A)는, 뚜껑체(6A)가 수납체(5A)의 개구단을 폐색 시에, 뚜껑체(6A)의 내면과 적어도 그 일부가 간섭한다.
The inner body 10A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5A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inner body 10A is formed to form a wall along the outer body 9A so as to prevent the guide of the lid 6A and the collapse of the lid 6A. The portion of the inner body 10A located at the first rear wall 12A, that is, the concave portion 17a, constitutes a part of the interference portion 8A. The inner body 10A interferes with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6A when the lid 6A closes the opening end of the accommodating body 5A.

뚜껑체(6A)는, 외부 몸체(9A)의 다른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뚜껑체(6A)는, 제 2 전벽(21)과, 제 2 후벽(22A)과, 한 쌍의 제 2 측벽(23)과, 상벽(24)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체(6A)는, 수납체(5A)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수납체(5A)의 개구단을 폐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lid 6A is constituted by another part of the outer body 9A. The lid 6A has a second front wall 21, a second rear wall 22A, a pair of second side walls 23, and a top wall 24. The lid 6A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body 5A so that the opening end of the accommodating body 5A can be closed.

제 2 후벽(22A)은, 높이 방향으로 제 1 전벽(21)보다 낮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후벽(22A)은, 그 하단에 힌지부(7A)를 통해 수납체(5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후벽(22A)은, 그 하단연(힌지부(7A))의 중심부가, 힌지부(7A)보다 하방을 향해 원호 모양으로 돌출한다. 바꿔 말하면, 제 2 후벽(22A)은, 힌지부(7A)의 중앙 측에 마련되며, 제 1 후벽(12A)을 향해 힌지부(7A)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호 모양의 돌출부(26A)를 갖는다.
The second rear wall 22A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lower than the first front wall 21 in the height direction. The second rear wall 22A has a housing 5A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with a hinge portion 7A.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end (hinge portion 7A) of the second rear wall 22A protrudes in an arc shape below the hinge portion 7A. In other words, the second rear wall 22A is provided on the center side of the hinge portion 7A and has an arcuate protrusion 26A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hinge portion 7A toward the first rear wall 12A .

제 2 측벽(23)은, 제 2 전벽(21) 및 제 2 후벽(22A)을 연결함과 아울러, 그 하단이 제 1 측벽(13)의 상단의 경사 각도와 거의 동일 각도로 경사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side wall 23 connects the second front wall 21 and the second rear wall 22A and has a trapezoidal shape whose lower end is inclined at an angle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13 Respectively.

힌지부(7A)는, 제 1 후벽(12A) 및 제 2 후벽(22A)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후벽(12A) 및 제 2 후벽(22A)을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그 중앙부가 돌출부(26A)에 의해 비연속으로 형성된다. 힌지부(7A)는, 제 1 후벽(12A)에 대해 제 2 후벽(22A)을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7A)는, 종이 소재 상에 압압에 의해 형성된 압흔 또는 비연속의 절단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The hinge portion 7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ear wall 12A and the second rear wall 22A and integrally connects the first rear wall 12A and the second rear wall 22A, (26A). The hinge portion 7A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rear wall 22A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rear wall 12A. The hinge portion 7A is formed by indentation formed by pressing on a paper material or a discontinuous cut portion or the like.

간섭부(8A)는, 제 2 후벽(22A)에 형성된 돌출부(26A)와, 수납체(5A)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뚜껑체(6A)의 회동시에 돌출부(26A)와 접촉하는, 내부 몸체(10A)의 제 2 후내벽(17A)에 의해 형성된 접촉부(27A)를 구비하고 있다. 더 말하면, 접촉부(27A)는, 제 2 후내벽(17A)의 압흔(17a)이다.
The interfering section 8A has a protruding section 26A formed on the second rear wall 22A and a protruding section 26A formed on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inner body 22A contacting the protruding section 26A of the lid 6A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accommodating body 5A, And a contact portion 27A formed by the second rear inner wall 17A of the first rear wall 10A. In other words, the contact portion 27A is the indentation 17a of the second rear inner wall 17A.

다음으로, 이러한 포장 용기(1)를 형성하는 블랭크(2A), 및, 블랭크(2A)에 의한 포장 용기(1A)의 형성 방법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7 및 도 8 중, 쇄선은, 블랭크(2A)의 접음선을 나타내며, 실선은 절단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Next, the blank 2A for forming the packaging container 1 and the packaging container 1A for forming the blank 2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7 and 8, the chain line represents the folding line of the blank 2A, and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cut portion.

블랭크(2A)는, 제 1 블랭크(3A) 및 제 2 블랭크(4A)를 구비하고 있다.The blank 2A is provided with a first blank 3A and a second blank 4A.

제 1 블랭크(3A)는, 수납체(5A) 및 뚜껑체(6A)를 갖는 외부 몸체(9A)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이다. 제 1 블랭크(3A)는, 후면(31A)과, 저면(32)과, 제 1 전면(33)과, 상면(34)과, 한 쌍의 제 1 측면(35)과, 제 2 전면(36)과, 한 쌍의 제 2 측면(37)과, 제 1 접착면(38)을 구비하고 있다.
The first blank 3A is a material piece obtained by punching a paper material in a shape obtained by expanding an outer body 9A having a housing body 5A and a lid body 6A. The first blank 3A includes a rear surface 31A, a bottom surface 32, a first front surface 33, an upper surface 34,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35, a second front surface 36 ,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37), and a first adhesive surface (38).

후면(31A)은, 제 1, 제 2 후벽(12A, 22A), 및, 힌지부(7A)를 형성한다. 후면(31A)은, 제 1, 제 2 후벽(12A, 22A)을 조합한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압흔(50, 51, 52, 53)을 개재하여 저면(32), 상면(34), 및, 제 1 접착면(38)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후면(31A)은, 압흔(54) 및 압흔(54)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호 모양의 절단부(55A)를 갖고, 이 압흔(54) 및 절단부(55A)가 힌지부(7A) 및 돌출부(26A)를 형성한다.
The rear surface 31A forms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A and 22A and the hinge portion 7A. The rear surface 31A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A and 22A are combined and has a bottom surface 32, an upper surface 34, , And the first adhesive surface (38). The rear face 31A has an arc cut portion 55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dentation 54 and the indentation 54. The indentation 54 and the cutout 55A are formed in the hinge portion 7A and the protrusion 26A.

후면(31A)은, 압흔(50, 51, 52, 53)이 절곡됨으로써, 제 1 후면(41A) 및 제 2 후면(42A)에 의해, 저면(32)(저벽) 및 상면(34)(상벽(24))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후벽(12A) 및 제 2 후벽(22A)을 구성한다.
The back surface 31A is formed by bending the indentations 50, 51, 52 and 53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32 (bottom wall) and the top surface 34 (The first rear wall 12A and the second rear wall 22A) orthogonal to the first rear wall 12A.

제 2 블랭크(4A)는, 내부 몸체(10A)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이다. 제 2 블랭크(4A)는, 압흔(71, 72)을 개재하여 일체로 성형된 전면부(74)와, 한 쌍의 측면부(75)와, 한 쌍의 후면부(76A)를 구비하고 있다.
The second blank 4A is a work piece in which a paper material is cut by punching in a shape in which the internal body 10A is expanded. The second blank 4A has a front surface portion 74 integrally formed with indentations 71 and 72, a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75 and a pair of rear surface portions 76A.

한 쌍의 후면부(76A)는, 후내벽(17A)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후면부(76)는, 한쪽이 후내벽(17A)의 일부를, 다른쪽이 후내벽(17A)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후면부(76A)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이 다른쪽보다 폭이 길게 형성되며, 한쪽에 압흔(17a)이 형성된다. 후면부(76A)는, 그 하방이 제 1 후벽(12)의 내면에 접착된다.
The pair of rear portions 76A form a rear inner wall 17A. Specifically, one of the pair of rear side portions 76 forms part of the rear inner wall 17A and the other of the rear side portions 76 forms another portion of the rear inner wall 17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one pair of rear face portions 76A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other, and an indentation 17a is formed on one side. The rear portion 76A is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ar wall 12 under its lower por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블랭크(3A) 및 제 2 블랭크(4A)는, 각(各) 압흔이 같은 방향으로 접어짐과 아울러, 제 1 접착면(38)에 각각 접착제가 도포되어, 대응하는 면에 접착된다. 이에 의해, 제 1 블랭크(3A)는, 수납체(5A) 및 뚜껑체(6A)를 갖는 외부 몸체(9A)를 형성하며, 제 2 블랭크(4A)는, 내부 몸체(10A)를 각각 형성한다. 다음으로, 내부 몸체(10A)를 외부 몸체(9A)의 내면 전주에 걸쳐 접착함으로써, 포장 용기(1A)가 조립된다.
The first blank 3A and the second blank 4A thus configured are formed such that the indentations of the respective bumps are fold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irst adhesive surface 38 is coated with an adhesive, . Thereby, the first blank 3A forms the outer body 9A having the accommodating body 5A and the cover 6A, and the second blank 4A forms the inner body 10A . Next, the packaging container 1A is assembled by bonding the inner body 10A 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ody 9A.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포장 용기(1A)의 뚜껑체(6A)의 유지에 대해 설명한다. 뚜껑체(6A)를, 힌지부(7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뚜껑체(6A)의 제 2 후벽(22A)에 형성된 돌출부(26A)도 힌지부(7A)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돌출부(26A)는, 힌지부(7A)로부터 제 2 후벽(22A)과 상대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뚜껑체(6A)를 열림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돌출부(26A)는 수납체(5A)의 내측으로도 이동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26A)는 내부 몸체(10A)의 후내벽(17A)의 압흔(17a)과 접촉하여, 서로 간섭한다. 이 간섭이 뚜껑체(6A)의 회동 방향의 이동 저항으로 되며, 회동시킨 뚜껑체(6A)는, 힌지부(7A)의 복원력이 발생해도, 복원력에 의한 뚜껑체(6A)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Next, the holding of the lid 6A of the packaging container 1A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hen the lid body 6A is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7A, the protruding portion 26A formed on the second rear wall 22A of the lid body 6A also rotates around the hinge portion 7A. The projecting portion 26A projects from the hinge portion 7A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rear wall 22A and therefore when the lid 6A is rotated in the open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projection 26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dentation 17a of the rear inner wall 17A of the inner body 10A and interferes with each other. This interference serves as a movement resistance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lid 6A and the rotated lid 6A regulates the rotation of the lid 6A due to the restoring force even when the restoring force of the hinge 7A is generated Lt; / RTI >

이 때문에, 포장 용기(1A)는, 뚜껑체(6A)를 손 등에 의해 잡는 일없이, 수납체(5A)의 개구를 해방시킨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납체(5A)에 수납된 종이 담배(T)의 꺼내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포장 용기(1A)는, 상술한 포장 용기(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refore, the packaging container 1A can maintain the opened state in which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dy 5A is released without holding the lid body 6A with a hand or the like, The paper cigarette T can be easily removed. As described above, the packaging container 1A can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packaging container 1 described abo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A)에 의하면, 뚜껑체(6A)에 형성된 돌출부(26A)를 회동시켜 내부 몸체(10A)와 간섭시킴으로써, 수납체(5A)의 열림 상태의 유지가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ckaging container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ng portion 26A formed on the cover 6A is rotated to interfere with the inner body 10A, It is possible to easily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battery.

또,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포장 용기(1) 및 포장 용기(1A)는, 그 외형 모양이,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능부가 경사지는 구성이나, 능부가 곡면 형상이어도 좋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For example, the outer shap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and the outer shap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A is not a hexahedron shape, but may be an inclined shape or an ability curved surface shape.

(제 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B)로서, 그 능부(陵部)가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외부 몸체(9) 및 내부 몸체(10)의 제 1 블랭크(3B) 및 제 2 블랭크(4B)를,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9 내지 도 10의 포장 용기(1)의 제 1 블랭크(3B) 및 제 2 블랭크(4B) 중,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와 마찬가지인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packaging container 1B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uter body 9 formed in an inclined shape and a first blank 3B and an inner body 10b of the inner body 10, 2 Blank 4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Among the first blank 3B and the second blank 4B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shown in Figs. 9 to 10,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packaging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포장 용기(1B)는, 그 제 1, 제 2 전벽(11, 21), 제 1, 제 2 후벽(12, 22), 및, 제 1, 제 2 측벽(13, 23)의 능부가 경사지는, 이른바 모따기가 이루어진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 용기(1B)의 외부 몸체(9) 및 내부 몸체(10)는, 제 1 블랭크(3B) 및 제 2 블랭크(4B)에 의해 형성된다.
The packaging container 1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clined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front walls 11 and 21,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 and 22,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13 and 23 A so-called chamfered box shape. The outer body 9 and the inner body 10 of the packaging container 1B are formed by the first blank 3B and the second blank 4B.

제 1 블랭크(3B)는, 수납체(5) 및 뚜껑체(6)를 갖는 외부 몸체(9)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이다. 제 1 블랭크(3B)는, 후면(31B)과, 저면(32B)과, 제 1 전면(33)과, 상면(34B)과, 한 쌍의 제 1 측면(35)과, 제 2 전면(36)과, 한 쌍의 제 2 측면(37)과, 제 1 접착면(38)을 구비하고 있다.
The first blank 3B is a material piece obtained by punching a paper material in a shape obtained by expanding an outer body 9 having a housing body 5 and a cover 6. [ The first blank 3B includes a rear surface 31B, a bottom surface 32B, a first front surface 33, an upper surface 34B,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35, a second front surface 36 ,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37), and a first adhesive surface (38).

후면(31B)은, 제 1, 제 2 후벽(12, 22), 및, 힌지부(7)를 형성한다. 후면(31B)은, 압흔(50, 51, 52B, 53B)을 개재하여 저면(32B), 상면(34B), 및, 제 1 접착면(38)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후면(31B)은, 힌지부(7)를 형성하는 압흔(54) 및 절단부(55)를 갖는다. 후면(31B)은, 해당 힌지부(7)에 대해 한쪽(하방)이 제 1 후면(41)을, 다른쪽(상방)에 제 2 후면(42)을 형성한다. 즉, 후면(31B)은, 제 1 실시 형태의 후면(31)과 거의 동일 형상이고, 또, 돌출부(26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며, 제 1 후면(41) 및 제 2 후면(42)의 폭이, 저면(32B)보다, 모따기 폭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The rear surface 31B forms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 and 22 and the hinge portion 7. The rear surface 31B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32B, the upper surface 34B and the first adhesive surface 38 via indentations 50, 51, 52B and 53B. The rear surface 31B also has an indentation 54 and a cutout portion 55 that form the hinge portion 7. The rear surface 31B forms a first rear surface 41 on one side (lower side) and a second rear surface 42 on the other sid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7. That is, the rear surface 31B ha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rear surface 31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rotrusion 26A is not formed. The first rear surface 41 and the second rear surface 42,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bottom surface 32B by a chamfer width.

후면(31B)은, 압흔(50, 51, 52B, 53B)이 절곡됨으로써, 제 1 후면(41) 및 제 2 후면(42)에 의해, 저면(32B)(저벽) 및 상면(34B)(상벽(24))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을 구성한다.
The back surface 31B is formed by bending the indentations 50, 51, 52B and 53B so that the bottom surface 32B (bottom wall) and the top surface 34B (12) and a second rear wall (22) orthogonal to the first rear wall (12).

압흔(52B, 53B)은, 각각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압흔(52B, 53B)은, 그 간격이, 포장 용기(1B)의 능부의 모따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흔(52B, 53B)은, 그 이중으로 형성된 사이에, 힌지부(7)보다 제 1 후면(41) 측으로 돌출하는 절단부(56)를 갖고 있다. 이 절단부(56)는, 뚜껑체(6)의 돌출부(26)를 구성한다.
The indentations 52B and 53B are each formed in a double shape. The intervals of the indentations 52B and 53B are formed by the chamfer width of the capac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B. The indentations 52B and 53B have cut portions 56 protruding from the hinge portion 7 toward the first rear surface 41 between the indentations 52B and 53B. The cut portion 56 constitutes a protruding portion 26 of the lid body 6.

압흔(54)은, 이중으로 된 압흔(52B, 53B)의 내측 압흔까지 뻗어서 형성된다. 절단부(56)는, 이중으로 된 압흔(52B, 53B) 내이며 압흔(54)의 양단부로부터, 제 1 측면 접착면(48) 측을 향해 경사져서 형성된다.
The indentation 54 is formed extending to the inner indentations of the double indentations 52B and 53B. The cut portion 56 is formed in the double indentations 52B and 53B and is inclined from both ends of the indentation 54 toward the first side adhesive surface 48 side.

저면(32B)은, 모서리부(隅部)가 모따기된 사각형 모양의 저벽을 형성하며, 압흔(50, 57)을 통해 후면(31B) 및 제 1 전면(33)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저면(32B)은, 후면(31B), 제 1, 제 2 전면(33, 36)보다 폭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저면(32B)은, 압흔(50, 57)이 절곡됨으로써, 후면(31B)(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에 대해 직교하는 저벽을 구성한다.
The bottom surface 32B forms a rectangular bottom wall having chamfered corners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urface 31B and the first front surface 33 through the indentations 50 and 57. [ The bottom surface 32B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rear surface 31B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surfaces 33 and 36. [ The bottom surface 32B is curved in the indentations 50 and 57 to constitute a bottom wall orthogonal to the rear surface 31B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second rear wall 22).

제 1 전면(33)은, 압흔(57, 58B, 59B)을 통해 저면(32B) 및 한 쌍의 제 1 측면(35, 35)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압흔(58B, 59B)은, 각각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압흔(58B, 59B)은, 그 간격이, 포장 용기(1B)의 능부의 모따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면(33)은, 압흔(58B, 59B)이 절곡됨으로써, 저면(32B)(저벽)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전벽(11)을 구성한다.
The first front surface 3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32B and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35, 35 through indentations 57, 58B, 59B. The indentations 58B and 59B are each formed in a double shape. The intervals of the indentations 58B and 59B are formed by the chamfer width of the capac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B. The first front surface 33 constitutes a first front wall 11 orthogonal to the bottom surface 32B (bottom wall) by bending indentations 58B and 59B.

상면(34B)은, 모서리부가 모따기된 사각형 모양의 상벽(24)을 형성하며, 압흔(51, 60)을 통해 후면(31B) 및 제 2 전면(36)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면(34B)은, 후면(31B), 제 1, 제 2 전면(33, 36)보다 그 폭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면(34B)은, 압흔(51, 60)이 절곡됨으로써, 후면(31B)(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에 대해 직교하는 상벽(24)을 구성한다.
The upper surface 34B forms a rectangular upper wall 24 having chamfered corners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urface 31B and the second front surface 36 through indentations 51 and 60. [ The upper surface 34B is formed to have a longer width than the rear surface 31B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surfaces 33 and 36. [ The upper surface 34B bends the indentations 51 and 60 to constitute the upper wall 24 orthogonal to the rear surface 31B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second rear wall 22).

제 2 전면(36)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압흔(60, 61B, 62B, 63)을 통해 상면(34B), 한 쌍의 제 2 측면(37) 및 제 2 전면 접착면(47)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압흔(61B, 62B)은, 각각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압흔(61B, 62B)은, 그 간격이, 포장 용기(1B)의 능부의 모따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front surface 36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n upper surface 34B,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37 and a second front surface bonding surface 47 via indentations 60, 61B, 62B, And is molded integrally. The indentations 61B and 62B are each formed in a double shape. The intervals of the indentations 61B and 62B are formed by the chamfer width of the capac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B.

제 1 접착면(38)은, 각각이 접착되는 저면(32B), 상면(34B), 제 1, 제 2 측면(35, 37) 및 제 2 전면(36)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adhesive surface 38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bottom surface 32B, the upper surface 34B,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35 and 37, and the second front surface 36 to which each is adhered.

제 2 블랭크(4B)는, 내부 몸체(10)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이다. 제 2 블랭크(4B)는, 압흔(71B, 72)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 전면부(74)와, 한 쌍의 측면부(75)와, 한 쌍의 후면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압흔(71B)은, 각각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압흔(71B)은, 그 간격이, 포장 용기(1B)의 능부의 모따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blank 4B is a work piece obtained by punching a paper material in a shape in which the internal body 10 is expanded. The second blank 4B has a front surface portion 74 integrally formed with indentations 71B and 72, a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75 and a pair of rear surface portions 76. [ The indentations 71B are each formed in a double shape. The interval of the indentation 71B is formed by the chamfer width of the capac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B.

이렇게 구성된 포장 용기(1B)는, 돌출부(26) 및 내부 몸체(10)에 의해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그 능부가 모따기된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packaging container 1B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same effect as the packaging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y the protruding portion 26 and the inner body 10 and has a hexahedron shape As shown in Fig.

(제 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C)로서, 그 능부가 만곡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외부 몸체(9) 및 내부 몸체(10)의 제 1 블랭크(3C) 및 제 2 블랭크(4C)를,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11 내지 도 12의 포장 용기(1)의 제 1 블랭크(3C) 및 제 2 블랭크(4C) 중, 도 1 내지 도 4, 도 9, 도 10에서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 및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와 마찬가지인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packaging container 1C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body 9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a first blank 3C and a second blank 4C of the inner body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Fig. Of the first blank 3C and the second blank 4C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shown in Figs. 11 to 12,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9, and 10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form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포장 용기(1C)는, 그 제 1, 제 2 전벽(11, 21), 제 1, 제 2 후벽(12, 22), 및, 제 1, 제 2 측벽(13, 23)의 능부가 만곡하는, 이른바 곡면으로 모따기가 이루어진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 용기(1)의 외부 몸체(9) 및 내부 몸체(10)는, 제 1 블랭크(3C) 및 제 2 블랭크(4C)에 의해 형성된다.
The packaging container 1C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front walls 11 and 21 and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 and 22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13 and 23 are curved Called box-shaped chamfered shape. The outer body 9 and the inner body 10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are formed by the first blank 3C and the second blank 4C.

제 1 블랭크(3C)는, 수납체(5) 및 뚜껑체(6)를 갖는 외부 몸체(9)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이다. 제 1 블랭크(3C)는, 후면(31C)과, 저면(32C)과, 제 1 전면(33)과, 상면(34C)과, 한 쌍의 제 1 측면(35)과, 제 2 전면(36)과, 한 쌍의 제 2 측면(37)과, 제 1 접착면(38)을 구비하고 있다.
The first blank 3C is a work piece obtained by punching a paper material in a shape in which an outer body 9 having a housing 5 and a lid 6 is expanded. The first blank 3C includes a rear face 31C, a bottom face 32C, a first front face 33, an upper face 34C, a pair of first side faces 35, a second front face 36 ,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37), and a first adhesive surface (38).

후면(31C)은, 제 1, 제 2 후벽(12, 22), 및, 힌지부(7)를 형성한다. 후면(31C)은, 압흔(50, 51, 52C, 53C)을 통해 저면(32C), 상면(34C), 및, 제 1 접착면(38)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후면(31C)은, 힌지부(7)를 형성하는 압흔(54)을 갖는다. 후면(31C)은, 해당 힌지부(7)에 대해 한쪽(하방)이 제 1 후면(41)을, 다른쪽(상방)에 제 2 후면(42)을 형성한다. 즉, 후면(31C)은, 제 3 실시 형태의 후면(31B)과 거의 동일 형상으로서, 제 1 후면(41) 및 제 2 후면(42)의 폭이, 저면(32C)보다, 곡면으로 모따기된 폭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The rear surface 31C forms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 and 22 and the hinge portion 7. The rear face 31C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face 32C, the upper face 34C and the first bonding face 38 via indentations 50, 51, 52C and 53C. Further, the rear surface 31C has an indentation 54 for forming the hinge portion 7. [ The rear surface 31C forms a first rear surface 41 on one side (lower side) and a second rear surface 42 on the other sid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7. That is, the rear surface 31C ha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rear surface 31B of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widths of the first rear surface 41 and the second rear surface 42 are chamfered with curved surfaces than the bottom surface 32C As shown in FIG.

후면(31C)은, 압흔(50, 51, 52C, 53C)이 절곡됨으로써, 제 1 후면(41) 및 제 2 후면(42)에 의해, 저면(32C)(저벽) 및 상면(34C)(상벽(24))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을 구성한다.
The rear face 31C is bent by the indentations 50, 51, 52C and 53C so that the bottom face 32C (bottom wall) and the top face 34C (12) and a second rear wall (22) orthogonal to the first rear wall (12).

압흔(52C, 53C)은, 각각, 복수의 압흔 군(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흔(52C, 53C)은, 복수의 압흔 군인 7개의 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압흔(52C, 53C)은, 그 간격이, 포장 용기(1C)의 능부의 모따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흔(52C, 53C)은, 그 복수의 압흔 군 사이에, 힌지부(7)보다 제 1 후면(41) 측으로 돌출하는 절단부(56)를 갖고 있다. 이 절단부(56)는, 뚜껑체(6)의 돌출부(26)를 구성한다.
The indentations 52C and 53C are each formed by a plurality of indentation groups. Specifically, the indentations 52C and 53C are formed by seven groups of indentation groups. The intervals of the indentations 52C and 53C are formed by the chamfer width of the capac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C. The indentations 52C and 53C have a cutout portion 56 protruding from the hinge portion 7 toward the first rear surface 41 between the plurality of indentation groups. The cut portion 56 constitutes a protruding portion 26 of the lid body 6.

압흔(54)은, 복수의 압흔 군으로 형성된 압흔(52C, 53C)의 내측의 압흔까지 연설(延設)된다. 절단부(56)는, 복수의 압흔 군으로 형성된 압흔(52C, 53C) 내이며 압흔(54)의 양단부로부터, 제 1 측면 접착면(48) 측을 향해 경사짐과 아울러, 대략 V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절단부(56)는, 뚜껑체(6)의 돌출부(26)를 구성한다. 해당 돌출부(26)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V자 모양으로 경사져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indentation marks 54 are extended to indentations on the inner side of indentations 52C and 53C formed of a plurality of indentation groups. The cut portions 56 are formed in indentations 52C and 53C formed of a plurality of indentation groups and are inclined from both ends of the indentation 54 toward the first side adhesive surface 48 side, do. The cut portion 56 constitutes a protruding portion 26 of the lid body 6. As shown in Fig. 11, the projecting portion 26 is formed into a shape that is inclined and protruding in a substantially V-shape.

저면(32C)은, 모서리부가 곡면으로 모따기된 사각형 모양의 저벽을 형성하며, 압흔(50, 57)을 통해 후면(31C) 및 제 1 전면(33)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저면(32C)은, 후면(31C), 제 1, 제 2 전면(33, 36)보다 그 폭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저면(32C)은, 압흔(50, 57)이 절곡됨으로써, 후면(31C)(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에 대해 직교하는 저벽을 구성한다.
The bottom surface 32C forms a rectangular bottom wall chamfered with a curved corner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surface 31C and the first front surface 33 through indentations 50 and 57. [ The bottom surface 32C is formed to have a longer width than the rear surface 31C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surfaces 33 and 36. [ The bottom surface 32C forms the bottom wall orthogonal to the rear surface 31C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second rear wall 22) by bending the indentations 50 and 57. [

제 1 전면(33)은, 압흔(58C, 59C)을 통해 저면(32C) 및 한 쌍의 제 1 측면(35, 35)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압흔(58C, 59C)은, 각각 복수의 압흔 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압흔(58C, 59C)은, 그 간격이, 포장 용기(1C)의 능부의 모따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면(33)은, 압흔(58C, 59C)이 절곡됨으로써, 저면(32C)(저벽)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전벽(11)을 구성한다.
The first front surface 3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32C and the pair of first side surfaces 35 and 35 through indentations 58C and 59C. The indentations 58C and 59C are each formed by a plurality of indentation groups. The intervals of the indentations 58C and 59C are formed by the chamfer width of the capac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C. The first front surface 33 constitutes a first front wall 11 orthogonal to the bottom surface 32C (bottom wall) by bending indentations 58C and 59C.

상면(34C)은, 모서리부가 곡면으로 모따기된 사각형 모양의 상벽(24)을 형성하며, 압흔(51, 60)을 통해 후면(31C) 및 제 2 전면(36)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면(34C)은, 후면(31C), 제 1, 제 2 전면(33, 36)보다 그 폭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면(34C)은, 압흔(51, 60)이 절곡됨으로써, 후면(31C)(제 1 후벽(12) 및 제 2 후벽(22))에 대해 직교하는 상벽(24)을 구성한다.
The upper surface 34C forms a rectangular upper wall 24 having chamfered corners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urface 31C and the second front surface 36 through indentations 51 and 60. [ The upper surface 34C is formed to have a longer width than the rear surface 31C and the first and second front surfaces 33 and 36. [ The upper surface 34C is bent by the indentations 51 and 60 to constitute the upper wall 24 orthogonal to the rear surface 31C (the first rear wall 12 and the second rear wall 22).

제 2 전면(36)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압흔(60, 61C, 62C, 63)을 통해 상면(34C), 한 쌍의 제 2 측면(37) 및 제 2 전면 접착면(47)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압흔(61C, 62C)은, 복수의 압흔 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흔(61C, 62C)은, 각각 복수의 압흔 군인 7개의 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압흔(61C, 62C)은, 그 간격이, 포장 용기(1C)의 능부의 모따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front surface 36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n upper surface 34C,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37 and a second front surface bonding surface 47 through the indentations 60, 61C, 62C, And is molded integrally. The indentations 61C and 62C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indentation groups. Concretely, the indentations 61C and 62C are formed by seven groups, which are a plurality of indentation groups. The intervals of the indentations 61C and 62C are formed by the chamfer width of the capac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C.

제 1 접착면(38)은, 각각 접착되는 저면(32C), 제 1, 제 2 측면(35, 37), 상면(34C) 및 제 2 전면(36)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adhesive surface 38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bottom surface 32C,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35 and 37, the upper surface 34C and the second front surface 36, respectively.

제 2 블랭크(4C)는, 내부 몸체(10)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이다. 제 2 블랭크(4C)는, 압흔(71C, 72C)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 전면부(74)와, 한 쌍의 측면부(75)와, 한 쌍의 후면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압흔(71C)은, 각각 복수의 압흔 군인 7개의 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압흔(71C, 72C)은, 그 간격이, 포장 용기(1C)의 능부의 모따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blank 4C is a work piece obtained by punching a paper material in a shape in which the internal body 10 is expanded. The second blank 4C has a front surface portion 74 integrally formed with indentations 71C and 72C, a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75 and a pair of rear surface portions 76. [ The indentation 71C is formed by seven groups each of which is a plurality of indentation groups. The intervals of the indentations 71C and 72C are formed by the chamfer width of the capac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C.

이렇게 구성된 포장 용기(1C)는, 돌출부(26) 및 내부 몸체(10)에 의해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그 능부가 곡면에 의해 모따기된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packaging container 1C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same effect as the packaging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y the projecting portion 26 and the inner body 10, It can be formed into a hexahedron shape.

또,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돌출부(26)(절단부(56))는, 대략 V자 모양으로 경사져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흔(54)(힌지부(7))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이면, 예를 들면, 하단부가 평탄 형상이어도 좋다.
The protruding portion 26 (cutout portion 56)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shape that is inclined and protruding in a substantially V-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lower end portion may be flat as long as i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indentation 54 (hinge portion 7).

(제 5 실시 형태)(Fif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D)로서, 그 능부가 만곡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외부 몸체(9A) 및 내부 몸체(10A)의 제 1 블랭크(3D) 및 제 2 블랭크(4D)를, 도 14 및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14 내지 도 15의 포장 용기(1)의 제 1 블랭크(3D) 및 제 2 블랭크(4D) 중,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A), 및,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C)와 마찬가지인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packaging container 1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body 9A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a first blank 3D and a second blank 4D of the inner body 10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Fig. Among the first blank 3D and the second blank 4D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shown in Figs. 14 to 15, the packaging container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5 to 8,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포장 용기(1D)는, 그 제 1, 제 2 전벽(11, 21), 제 1, 제 2 후벽(12A, 22A), 및, 제 1, 제 2 측벽(13, 23)의 능부가 만곡하는, 이른바 곡면으로 모따기가 이루어진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 용기(1)의 외부 몸체(9) 및 내부 몸체(10)는, 제 1 블랭크(3D) 및 제 2 블랭크(4D)에 의해 형성된다.
The packaging container 1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front walls 11 and 21,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A and 22A,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13 and 23, Called box-shaped chamfered shape. The outer body 9 and the inner body 10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are formed by the first blank 3D and the second blank 4D.

제 1 블랭크(3D)는, 수납체(5A) 및 뚜껑체(6A)를 갖는 외부 몸체(9A)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이다. 제 1 블랭크(3D)는, 후면(31D)과, 저면(32C)과, 제 1 전면(33)과, 상면(34C)과, 한 쌍의 제 1 측면(35)과, 제 2 전면(36)과, 한 쌍의 제 2 측면(37)과, 제 1 접착면(38)을 구비하고 있다.
The first blank 3D is a material piece obtained by punching a paper material in a shape obtained by expanding an outer body 9A having a housing 5A and a lid 6A. The first blank 3D includes a rear surface 31D, a bottom surface 32C, a first front surface 33, an upper surface 34C,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35, a second front surface 36 , A pair of second side surfaces (37), and a first adhesive surface (38).

후면(31D)은, 제 1, 제 2 후벽(12A, 22A) 및, 힌지부(7A) 및 돌출부(26A)를 형성한다. 후면(31D)은, 압흔(50, 51, 52C, 53C)을 통해 저면(32C), 상면(34C), 및, 제 1 접착면(38)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후면(31D)은, 힌지부(7A)를 형성하는 압흔(54)을 갖는다. 후면(31D)은, 해당 힌지부(7A)에 대해 한쪽(하방)이 제 1 후면(41A)을, 다른쪽(상방)이 제 2 후면(42A)을 형성한다.
The rear surface 31D forms the first and second rear walls 12A and 22A and the hinge portion 7A and the projection 26A. The rear face 31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face 32C, the upper face 34C and the first bonding face 38 via indentations 50, 51, 52C and 53C. Further, the rear surface 31D has an indentation 54 which forms the hinge portion 7A. The rear surface 31D forms a first rear surface 41A on one side (lower side) and a second rear surface 42A on the other sid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7A.

후면(31D)은, 압흔(50, 51, 52C, 53C)이 절곡됨으로써, 제 1 후면(41A) 및 제 2 후면(42A)에 의해, 저면(32C)(저벽) 및 상면(34C)(상벽(24))에 대해 직교하는 제 1 후벽(12A) 및 제 2 후벽(22A)을 구성한다.
The back surface 31D is formed by bending the indentations 50, 51, 52C and 53C so that the bottom surface 32C (bottom wall) and the top surface 34C (The first rear wall 12A and the second rear wall 22A) orthogonal to the first rear wall 12A.

제 2 블랭크(4D)는, 내부 몸체(10A)를 전개한 형상으로 종이 소재를 펀칭 가공에 의해 절단한 소재 편이다. 제 2 블랭크(4D)는, 압흔(71C, 72C)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 전면부(74)와, 한 쌍의 측면부(75)와, 한 쌍의 후면부(76A)를 구비하고 있다.
The second blank 4D is a work piece obtained by punching a paper material in a shape in which the internal body 10A is expanded. The second blank 4D has a front surface portion 74 integrally formed with indentations 71C and 72C, a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75 and a pair of rear surface portions 76A.

이렇게 구성된 제 1 블랭크(3D) 및 제 2 블랭크(4D)를 이용한 포장 용기(1A)는, 돌출부(26A) 및 내부 몸체(10A)에 의해 상술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A)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상술한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1C)와 마찬가지로, 그 능부가 곡면에 의해 모따기된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packaging container 1A using the first blank 3D and the second blank 4D configured in this manner is formed by the protruding portion 26A and the inner body 10A in the packaging container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orm a hexahedron shaped like a chamfered portion by the curved surface in the same manner as the packaging container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예에서는, 포장 용기(1, 1B, 1C)는, 돌출부(26)를 수납체(5)의 양단 측에 마련한 구성을 설명하고, 포장 용기(1A, 1D)는, 돌출부(26A)를 수납체(5A)의 중앙부에 마련한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장 용기는, 돌출부(26) 및 돌출부(26A)를 둘 다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뚜껑체(6)의 유지가 더 강고하게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포장 용기(1, 1A, 1B, 1C, 1D)는, 피 포장체로서 종이 담배(T)를 포장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피 포장체여도 좋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packaging containers 1, 1B, and 1C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s 26 ar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accommodating body 5. The packaging containers 1A and 1D, (26A) i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body (5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ackaging container may have both of the protruding portion 26 and the protruding portion 26A. With this configuration, the lid body 6 can be more firmly held. Although the packaging containers 1, 1A, 1B, 1C, and 1D have bee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e paper cigarettes T are packed as objects to be pack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포장 용기 3...제 1 블랭크
4...제 2 블랭크 5...수납체
6...뚜껑체 7...힌지부
8...간섭부 9...외부 몸체
10...내부 몸체 11...제 1 전벽
12...제 1 후벽 13...제 1 측벽
15...전내벽 16...측내벽
17...후내벽 21...제 2 전벽
22...제 2 후벽 23...제 2 측벽
24...상벽 26...돌출부
27...접촉부
1 ... Packing container 3 ... First blank
4 ... second blank 5 ... housing body
6 ... lid body 7 ... hinge portion
8 ... interference part 9 ... outer body
10 ... inner body 11 ... first front wall
12 ... first rear wall 13 ... first side wall
15 ... front wall 16 ... side wall
17 ... rear inner wall 21 ... second front wall
22 ... second rear wall 23 ... second side wall
24 ... upper wall 26 ... protrusion
27 ... contact

Claims (5)

피 포장체를 수납함과 아울러, 그 상부가 개구하는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의 개구를 폐색하는 뚜껑체와,
상기 수납체 및 상기 뚜껑체를 일체로, 또, 상기 뚜껑체를 상기 수납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체 및 상기 뚜껑체는, 서로 간섭함으로써,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수납체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동한 뚜껑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간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A housing for housing a body to be packaged,
A lid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body,
And a hinge portion that integrally connects the accommodating body and the lid body together and rotatably connects the lid body to the accommodating body,
Wherein the accommodating body and the lid body are provided with an interfering portion which interferes with each other to restrict movement of the lid pivo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ccommodating body with the hinge portion as a cen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뚜껑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보다 상기 수납체 측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그 회동에 추종하여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뚜껑체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수납체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수납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체의 내측을 향해 돌출한 상기 돌출부와 간섭하는 내부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erometer may further comprise:
The hinge un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inge unit. The hinge unit is protruded from the hinge unit toward the accommodating body. The hinge unit is pivotable about the hinge unit follow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unit.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sieve,
And an inner body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body and interfering with the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힌지부의 양단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end sides of the hinge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힌지부의 중앙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center side of the hinge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힌지부의 양단 측 및 중앙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end sides and the center side of the hinge portion.
KR1020147017815A 2011-12-07 2012-11-06 Packaging container KR1015916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68045 2011-12-07
JP2011268045 2011-12-07
PCT/JP2012/078718 WO2013084642A1 (en) 2011-12-07 2012-11-06 Packaging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300A true KR20140099300A (en) 2014-08-11
KR101591618B1 KR101591618B1 (en) 2016-02-03

Family

ID=4857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815A KR101591618B1 (en) 2011-12-07 2012-11-06 Packaging container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789547B1 (en)
JP (1) JP5768142B2 (en)
KR (1) KR101591618B1 (en)
CN (1) CN104114452B (en)
ES (1) ES2589644T3 (en)
RU (1) RU2580504C2 (en)
TW (1) TWI535638B (en)
WO (1) WO201308464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62U (en)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arton box for laundry detergent with improved closabi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11396A1 (en) * 2014-08-06 2016-02-11 Focke & Co. (Gmbh & Co. Kg) cigarette pack
PL3240736T3 (en) * 2014-12-31 2021-03-08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tainer having an edge fold portion and blank
EP3040292A1 (en) * 2014-12-31 2016-07-06 Philip Morris Products S.A. Hinge lid container with converging hinge lines
GB201517129D0 (en) 2015-09-28 2015-11-1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Pack for smoking articles
WO2017144597A1 (en) 2016-02-24 2017-08-31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tainer for consumer articles with easy-to-open hinge lid
EP3723522A1 (en) 2017-12-13 2020-10-21 Philip Morris Products S.a.s. Container with removable cleaning tool
JP6519692B1 (en) * 2018-05-28 2019-05-2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pack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823A (en) 2000-09-20 2002-04-02 Dainippon Printing Co Ltd Hinged-lid-type tapered carton
JP2005200037A (en) * 2004-01-14 2005-07-28 Rengo Co Ltd Hinged opening/closing box
JP2008087775A (en) 2006-09-29 2008-04-17 Ezaki Glico Co Ltd Smoothly-openable packing box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43755A (en) * 1945-03-08 1946-07-31 Waldenmaier & Co Package for bar products.
GB1570525A (en) * 1976-03-15 1980-07-02 Molins Ltd Packets
JPS53135222U (en) * 1977-03-29 1978-10-26
JPH04109022U (en) * 1991-03-08 1992-09-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aper container
JP3724042B2 (en) * 1996-03-15 2005-12-07 凸版印刷株式会社 Hinged paper box
JP4239262B2 (en) * 1998-11-27 2009-03-18 凸版印刷株式会社 Upper lid carton with opening maintaining structure
DE10106549A1 (en) * 2001-02-13 2002-08-22 Philip Morris Prod Hinged lid box
JP2006225007A (en) * 2005-02-18 2006-08-31 Ezaki Glico Co Ltd Packaging container
RU2384500C1 (en) * 2006-05-30 2010-03-2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Pack for rod-like tobacco goods and stock for this pack
JP5564203B2 (en) * 2009-06-01 2014-07-30 朝日印刷株式会社 Packaging box with opening maintenance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823A (en) 2000-09-20 2002-04-02 Dainippon Printing Co Ltd Hinged-lid-type tapered carton
JP2005200037A (en) * 2004-01-14 2005-07-28 Rengo Co Ltd Hinged opening/closing box
JP2008087775A (en) 2006-09-29 2008-04-17 Ezaki Glico Co Ltd Smoothly-openable packing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62U (en)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arton box for laundry detergent with improved clos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4642A1 (en) 2013-06-13
TWI535638B (en) 2016-06-01
CN104114452A (en) 2014-10-22
ES2589644T3 (en) 2016-11-15
CN104114452B (en) 2016-06-15
RU2580504C2 (en) 2016-04-10
JPWO2013084642A1 (en) 2015-04-27
EP2789547B1 (en) 2016-07-27
RU2014127510A (en) 2016-02-10
EP2789547A1 (en) 2014-10-15
TW201345798A (en) 2013-11-16
KR101591618B1 (en) 2016-02-03
EP2789547A4 (en) 2015-07-01
JP5768142B2 (en)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618B1 (en) Packaging container
JP5596279B2 (en) Packaging container for tobacco products including an inner packaging container with a cover lid
JP5323399B2 (en) Hinge lid type package with slide function
US8550241B2 (en) Package for smoking articles
JP4950076B2 (en) Cigarette package with composite hinged lid
RU2573963C1 (en) Box type package
RU2571659C2 (en) Cigarette pack
KR20110002477A (en) Package for smoking articles
US20040026272A1 (en) Pack of rigid hinge-lid type for tobacco products
JP2004534551A (en) Rigid parcel with laterally open hinge lid
JP6007001B2 (en) Packaging container
JP6078653B2 (en) Slide package
JP2009520646A (en) Cigarette pack
JP2012184009A (en) Packing vessel
JP6702934B2 (en)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with inner frame with depth
JP2009292513A (en) Packaging container
JP2022525834A (en) Packaging with top release button
JP5747088B2 (en) Packaging container
EA043713B1 (en) INNE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