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322A -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322A
KR20140098322A KR1020130010692A KR20130010692A KR20140098322A KR 20140098322 A KR20140098322 A KR 20140098322A KR 1020130010692 A KR1020130010692 A KR 1020130010692A KR 20130010692 A KR20130010692 A KR 20130010692A KR 20140098322 A KR20140098322 A KR 2014009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contents
termin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이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규 filed Critical 이성규
Priority to KR102013001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8322A/ko
Publication of KR2014009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은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일련의 컨텐츠들 중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시간을 일정 시간과 비교하여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식별하는 일 이상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소모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S}
본 발명은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 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통신망을 통해 교환되는 컨텐츠의 종류는 날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인터넷 등을 통해 접속 가능한 웹 공간에 대한 생활 의존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웹 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의 양 역시 비대해짐에 따라서, 컨텐츠의 홍수 속에서 효율적으로 필요한 컨텐츠만을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컨텐츠 중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내용을 담은 것들과 또 그렇지 않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컨텐츠의 주제 등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는 달라질 수 있고, 동일한 주제나 내용을 다루고 있음에도 컨텐츠를 생산하는 제공자의 관점이나 성향에 따라서 컨텐츠의 내용은 달리 표현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선호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중대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어 또는 사용자가 소비한 컨텐츠에 대한 이력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사용자가 진정으로 원하지 않는 컨텐츠를 소비한 경우에도, 그 이력을 기반으로 하여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질적인 선호도를 분석하는데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종래의 다른 방식에는, 일 사용자가 아닌 여러 사용자가 소비한 컨텐츠에 대한 이력을 기반으로 하여 추천하는 방법이 있다. 즉, 일 사용자가 소비한 컨텐츠에 대한 이력과 비슷한 이력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가 소비한 다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도 사용자들이 진정 원하지 않는 컨텐츠를 소비한 경우, 특히 컨텐츠의 제목만을 보고 컨텐츠를 소비한 경우에도, 이를 포함하여 선호도가 분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들은 사용자가 전자잡지와 같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를 소비할 때, 사용자의 선호도가 심하게 왜곡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소비하는 것이 아니고, 때로는 일정한 순서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동적으로 소비하는 것에 그치므로, 사용자가 소비한 컨텐츠에 대한 이력은 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실질적으로 소비하는 방식을 측정하여 진정한 의미의 개인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기초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패턴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선호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형의 컨텐츠에 대한 직접적인 입력 없이도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선호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은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일련의 컨텐츠들 중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시간을 일정 시간과 비교하여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식별하는 일 이상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기준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태정보는 점수화되고,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를 가산하고,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인 경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에서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시간을 제외하여 컨텐츠의 실질적인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시간을 제외하여 컨텐츠의 실질적인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단말에 연결된 마우스를 통해 인가된 입력 패턴 정보, 단말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가된 입력 패턴 정보,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시선 이동 정보, 단말에 연결된 모션센서를 통해 인식된 단말의 기울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상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집중도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시간 또는 상태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측정하기 위해 단말에 연결된 마우스를 통해 인가된 입력 패턴 정보, 단말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가된 입력 패턴 정보,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시선 이동 정보, 단말에 연결된 모션센서를 통해 인식된 단말의 기울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간은 컨텐츠의 분량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 이상의 항목은 컨텐츠의 키워드, 컨텐츠 프로바이더, 컨텐츠 저작자,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컨텐츠가 제공되는 방식, 컨텐츠의 분량, 컨텐츠의 최신성, 컨텐츠의 대중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범주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련의 컨텐츠들은 일련의 뉴스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고, 일련의 컨텐츠들 중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고, 디스플레이 시간을 일정 시간과 비교하여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조정하고,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식별하는 일 이상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태정보를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기준이상으로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태정보는 점수화되고, 상태정보를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를 가산하고,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인 경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에서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시간을 제외하여 컨텐츠의 실질적인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상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측정하고, 집중도를 반영하여 계산된 디스플레이 시간 또는 상태정보를 보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장치는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일련의 컨텐츠들 중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는 시간계산부, 디스플레이 시간을 일정 시간과 비교하여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식별하는 일 이상의 컨텐츠를 단말로 추천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소모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패턴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선호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욱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형의 컨텐츠에 대한 추가 입력 없이도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선호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에서 구동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컨텐츠란,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디지털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총칭하는 용어로서, 정보처리 시스템을 통하여 특정인 또는 특정 업체에 의해 전자적 형태로 생산되며,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영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특정인, 즉 개인 사용자에 의해 제작 또는 편집되는 컨텐츠 (UCC; User Created Contents) 또는 특정 업체에 의해 제작 또는 편집되는 컨텐츠 (CCC; Company Created Contents) 가 이러한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의 종류에는 뉴스 기사, 만화, 영화, 드라마, 각종 매체 (잡지, 언론사, 포탈, 블로그 플랫폼, SNS 플랫폼 등) 에 게재되는 아티클 (article) 등이 있을 수 있다. 각종 매체에 게재되는 아티클 (article) 은 텍스트, 이미지, 음성 또는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란 전술한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순서를 가지고 형성된 컨텐츠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잡지나 전자책의 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들의 집합이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순서란 페이지 순서 또는 한 페이지 안에서 배치되는 순서를 의미한다. 한편, 순서는 기설정된 방식에 의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란, 사용자가 어떤 컨텐츠를 선호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선호도 정보는 후술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에 의하여 산정되거나,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 횟수를 기준으로 산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개인화된 컨텐츠란,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에 있어서, 그 디스플레이 순서가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기반하여, 조정되어 제공되는 일련의 컨텐츠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이란, 컨텐츠를 식별하는 일종의 메타 데이터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컨텐츠 그 자체에 대한 정보로서, 키워드, 프로바이더, 저작자, 카테고리, 제공 방식, 분량, 최신성, 대중성 등과 같은 식별범주별로 분류되는 정보가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식별범주에 있어 키워드란, 컨텐츠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핵심적인 단어나 문구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키워드를 갖는 컨텐츠를 선호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식별범주에 있어 프로바이더란, 컨텐츠를 공급, 배포 또는 제공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프로바이더로서, 언론사, 잡지사, 출판사, 배급사, TV 방송 채널, 인터넷 포털, 인터넷 서점, 블로그 플랫폼, SNS (Social Network Service) 플랫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식별범주에 있어 저작자란, 컨텐츠를 저작한 사람을 의미한다. 저작자에는 기자, 감독, PD, 작가, 만화가 등과 같이 컨텐츠 저작을 업으로 하는 사람을 비롯하여, 블로그나 SNS에 컨텐츠를 게재한 사람까지 포함될 수 있다.
식별범주에 있어 카테고리란.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의미한다. 컨텐츠가 뉴스 컨텐츠인 경우, 카테고리의 예로 정치, 사회, 연예 또는 스포츠 등을 들 수 있고, 컨텐츠가 교육용 컨텐츠인 경우, 카테고리의 예로 국어, 영어, 수학, 과학 등을 들 수 있다. 컨텐츠가 영화, 드라마인 경우 컨텐츠의 장르가 카테고리가 될 수도 있다. 즉, 카테고리는 컨텐츠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식별범주에 있어 제공 방식이란, 컨텐츠가 제공되는 방식을 의미하며, 텍스트, 이미지, 음성 또는 동영상 등의 제공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식별범주에 있어 분량이란, 컨텐츠의 길이, 크기 또는 소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분량은 컨텐츠의 제공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컨텐츠가 텍스트로 제공되는 경우, 분량은 글자수로 산정될 수 있고, 컨텐츠가 이미지로 제공되는 경우, 분량은 이미지의 크기 또는 이미지가 텍스트를 담고 있는 경우 그 텍스트의 분량으로 산정될 수 있다. 컨텐츠가 음성이나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분량은 컨텐츠를 소비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산정될 수 있다.
식별범주에 있어 최신성이란, 일정 시각을 기준으로 컨텐츠가 얼마나 최신의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한다. 이때, 일정 시각은 해당 컨텐츠가 저작된 때나 프로바이더가 해당 컨텐츠를 배포한 때일 수 있다.
식별범주에 있어 대중성이란, 해당 컨텐츠에 대해 다른 사용자의 선호도를 의미한다. 이때, 다른 사용자의 선호도는 선호도 정보에 의해 산정되며, 선호도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이 개시하는 컨텐츠 디스플레이 시간을 기준으로 산정되거나,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 횟수를 기준으로 산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사용자의 단말 (20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 (300) 를 포함한다.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는 컨텐츠들을 컨텐츠 프로바이더 (300) 로부터 제공 받아,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로 가공하여 사용자의 단말 (200) 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단말 (200) 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는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 (200) 은 컨텐츠를 읽어들이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단말을 가리키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201a), 태블릿 PC (201b), 노트패드 (201c), 컴퓨터 (201d) 등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읽어들이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면 어떠한 장치도 포함될 수 있으며, 어느 특정한 단말로 국한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단말 (200) 은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에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요청하거나 수신한다. 이때,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는 물론 이동통신망 및 무선 인터넷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프로바이더 (300) 는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 프로바이더 (301a, 301b) 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의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는 통신부 (110), 시간계산부 (120), 조정부 (130), 컨텐츠 처리부 (140) 를 포함하고, DB 또는 집중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는 사용자의 단말에 컨텐츠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소비하는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이용한다.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란, 컨텐츠가 사용자의 단말상에 디스플레이 되기 시작한 때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때까지 걸린 시간을 의미한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뉴스 기사를 읽는 경우를 예로 들면, 해당 뉴스 기사에 대한 링크를 클릭한 때로부터, 다른 뉴스 기사나 다른 웹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클릭하거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닫아 해당 뉴스 기사가 있던 웹 페이지를 이탈한 때까지 걸린 시간 등을 의미한다.
DB는 로그정보, 이벤트 정보, 사용자의 입력 패턴 정보,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와 같은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DB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에 포함되거나,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통신부 (110) 를 통해, 컨텐츠 프로바이더 및 사용자의 단말과 정보가 교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 (110) 를 통해 컨텐츠 프로바이더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고, 사용자의 단말로 컨텐츠가 전송된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되는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 모두 함께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되거나, 디스플레이 순서 정보만이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이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 (110) 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이벤트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정보란,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해당 이벤트가 무엇인지 여부, 해당 이벤트의 발생 시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을 소비할 때, 다음 순서의 컨텐츠를 불러오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 해당 이벤트는 다음 컨텐츠 불러오기이고, 해당 이벤트가 다음 컨텐츠 불러오기이고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등에 대한 정보가 통신부 (110) 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 (110) 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입력 패턴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 패턴 정보란,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동안 단말이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텍스트 컨텐츠를 소비할 때, 텍스트를 드래그 하면서 소비하는 경우, 단말은 사용자가 드래그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드래그에 대한 정보는 드래그가 시작된 시각, 드래그가 멈춘 시각, 드래그가 시작된 좌표, 드래그가 이동한 방향, 드래그의 속도, 드래그가 멈춘 좌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 (140) 를 통해, 컨텐츠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가 가공된다. 이때, 가공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즉, 컨텐츠 프로바이더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는 컨텐츠 처리부 (140) 를 통해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로 가공되고, 이때 순서는 기설정된 방식에 의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처리부 (140) 를 통해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이 컨텐츠에 부여될 수 있다.
시간계산부 (120) 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된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 중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된다.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로 이루어진 컨텐츠에 접근 요청에 대한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계산될 수 있다. 즉,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은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던 때로부터 다음 또는 이전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던 때까지로 계산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즉,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은 해당 컨텐츠 불러오기 이벤트가 발생한 때로부터 다음 또는 이전 컨텐츠 불러오기 이벤트가 발생한 때까지로 계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로 이루어진 요청이나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는 통신부 (110) 를 통해 수신된다. 한편, 컨텐츠가 사용자의 단말에 다운로드 되는 시간은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에서 제외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 중에서 사용자가 반응하지 않는 시간은 제외함으로써 컨텐츠의 실질적인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반응하지 않는 시간이란, 사용자가 컨텐츠 소비를 중단한 것으로 판단된 때로부터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이 인가된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컨텐츠 소비를 중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소비할 때, 컨텐츠가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어 스크롤이 필요함에도 스크롤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가 사용자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사용자의 시선이 단말을 향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에 탑재된 모션 센서를 통해 단말이 일정한 경사를 두고 컨텐츠가 소비되다가, 사용자에게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될 수 있는 경사로 기울어진 것을 인식한 경우 (예를 들어 단말이 갑자기 천장을 향하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에서 사용자가 반응하지 않는 시간이 제외됨으로써 컨텐츠의 실질적인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플 등의 피드백을 남기는 경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더라도,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에서 피드백을 남기는 시간은 제외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반응하지 않는 시간은 전술한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계산될 수 있다.
조정부 (130) 를 통해, 계산된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과 일정 시간이 비교되어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된다.
일정 시간이란,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과 비교되기 위한 기준값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정 시간은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와 무관하게 고정된 시간일 수 있고,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에 따라 또는 컨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은 컨텐츠의 분량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컨텐츠의 분량이 많을수록, 일반적으로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가 소비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은 길어지므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과 비교되기 위한 기준값인 일정 시간은 분량이 적은 컨텐츠에 비해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은 컨텐츠의 난이 (難易) 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전문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가 소비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과 비교되기 위한 기준값인 일정 시간은 비전문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에 비해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시간은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평균 소비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시간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균 소비시간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마다 컨텐츠에 대한 평균 소비시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컨텐츠 소비시간이 상대적으로 빠른 사용자에 있어서의 일정 시간은 컨텐츠 소비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린 사용자에 비해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일정 시간은 달라질 수 있다.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란,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에 대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즉, 측정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보다 큰 경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선호한다고 볼 수 있고,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으로 식별되는 다른 컨텐츠도 사용자가 선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이 복수인 경우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왜곡되어 선호도 정보에 반영될 수도 있다. “과학” 컨텐츠만을 선호하는 사용자가, “A사”가 제공한 “과학” 컨텐츠, 즉, “A사”와 “과학”으로 식별되는 컨텐츠를 일정 시간 이상 소비한 경우를 예로 들면, 이때, “A사” 또는 “과학” 각각으로 식별되는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가 선호한 것으로 판단하면, “A사”를 선호하는 것은 아닌 사용자의 선호도가 왜곡되어 선호도 정보에 반영될 수 있다. 하지만 “A사”와 “과학” 모두로 식별되는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가 선호한 것으로 판단하면, 비록 “과학”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선호도는 선호도 정보에 반영되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개인화된 컨텐츠의 양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은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수가 늘어날수록 더 악화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과 일정 시간이 비교되어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되면,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사용자의 선호도가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부 (130) 를 통해 상태정보가 조정될 때,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부 (130) 를 통해 상태정보가 조정될 때, 상태정보가 점수화되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가 가산되고,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가 차감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컨텐츠 처리부 (140) 를 통해,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컨텐츠가 추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가 선호한다고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A사”가 제공한 “과학” 컨텐츠, “B사”가 제공한 “과학” 컨텐츠, “C사”가 제공한 “과학”컨텐츠를 일정 시간 이상 소비한 경우를 예로 들면, 이때, 사용자는 “과학” 컨텐츠만을 선호한다고 봄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점수화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일정 시간 이상 소비하면,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1씩 누적되도록 구현된 경우, “A사”, “B사” 및 “C사”의 상태정보는 각각 1, “과학”의 상태정보는 3에 해당된다. 컨텐츠 처리부 (140) 가, 상태정보가 3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가 선호한다고 판단하도록 구현된 경우, 컨텐츠 처리부 (140) 는 해당 사용자가 “과학” 컨텐츠를 선호한다고 판단하여, “과학”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또는, 높은 상태정보를 가지는 항목으로 식별되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더 추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처리부 (140) 가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추천하면, 이후에 해당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을 송신할 때, 해당 컨텐츠의 순서가 다른 컨텐츠의 순서보다 앞서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집중도 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상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측정된다
집중도는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소비하는 동안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입력 패턴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측정될 수 있다. 집중도가 높게 측정되는 예로서,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소비할 때, 사용자가 천천히 드래그를 하면서 소비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이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내용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포착된 경우, 사용자의 단말에 탑재된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을 일정한 경사를 두고 컨텐츠를 소비하는 것이 계속해서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해 리플 등의 피드백을 남기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반대로 집중도가 낮게 측정되는 예로서, 스크롤 속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빠른 경우, 마우스 커서 등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창 밖으로 이탈된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내용을 따라 이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의 경사가 계속해서 변한다면 집중도는 낮은 것으로 측정될 수 있다.
측정된 집중도에 의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시간계산부 (120) 를 통해 보정되거나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부 (130) 를 통해 보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의 통신부 (110) 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된다 (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 모두 함께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되거나, 디스플레이 순서 정보만이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이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은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된다. 이때, 항목은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으로서, 컨텐츠를 식별하는 일종의 메타 데이터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컨텐츠 그 자체에 대한 정보로서, 키워드, 프로바이더, 저작자, 카테고리, 제공 방식, 분량, 최신성, 대중성 등과 같은 식별범주별로 분류되는 정보가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은 컨텐츠 처리부 (140) 를 통해서 컨텐츠마다 부여되거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에서 부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된 일련의 컨텐츠들 중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시간계산부 (120) 를 통해 계산된다 (S110).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로 이루어진 컨텐츠에 접근 요청에 대한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계산될 수 있다. 즉,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은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던 때로부터 다음 (또는 이전)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던 때까지로 계산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즉,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은 컨텐츠 불러오기 이벤트가 발생한 때로부터 다음 (또는 이전) 다음 컨텐츠 불러오기 이벤트가 발생한 때까지로 계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00) 로 이루어진 요청이나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는 통신부 (110) 를 통해 수신된다. 한편, 컨텐츠가 사용자의 단말에 다운로드 되는 시간은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에서 제외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되면, 계산된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과 비교되어,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부 (130) 를 통해 조정된다 (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부 (130) 를 통해 상태정보가 조정될 때,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절차와 관련하여서는,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부 (130) 를 통해 상태정보가 조정될 때, 상태정보가 점수화되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가 가산되고,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가 차감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절차와 관련하여서는,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부 (130) 를 통해 조정되면,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이 식별하는 컨텐츠가 컨텐츠 처리부 (140) 를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된다 (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특정 컨텐츠가 추천되면, 이후에 해당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송신될 때, 해당 컨텐츠의 순서가 다른 컨텐츠의 순서보다 앞서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 (200) 은 통신부 (210), 처리부 (220), 표시부 (230), 입력부 (240) 를 포함한다.
통신부 (210) 를 통해,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와 정보가 교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 (210) 를 통해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에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거나 이벤트 정보, 입력 패턴 정보가 전송되고,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수신된다.
처리부 (220) 를 통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컨텐츠가 로드 된다. 또한 처리부 (220) 를 통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프로그램 상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명령들이 수행될 수 있다.
표시부 (230) 를 통해,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 (200) 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경우에는 표시부 (230) 가 입력부 (240) 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 (240) 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 (200) 을 조작하기 위해 인가하는 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입력부 (240) 는 키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단말 (200) 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경우에는 입력부 (240) 가 표시부 (230) 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사용자가 반응하지 않는 시간을 제외하거나, 집중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는 입력부 (240) 를 통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입력부 (240) 는 마우스, 카메라, 모션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패턴 정보의 분석은 도 8 및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에서 구동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모습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 (200) 에 활성화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 (232) 상에서, 일 컨텐츠 (234) 가 표시부 (230) 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해당 컨텐츠 (234) 의 디스플레이 시간은 컨텐츠 (234) 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던 때로부터 다음 또는 이전 컨텐츠에 대한 접근 요청이 있던 때까지로 계산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단말 (200) 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즉, 컨텐츠 (234) 의 디스플레이 시간은 해당 컨텐츠 불러오기 이벤트가 발생한 때로부터 다음 또는 이전 컨텐츠 불러오기 이벤트가 발생한 때까지로 계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에 따르면, 다음 또는 이전 컨텐츠 불러오기 이벤트는 다음 컨텐츠 불러오기 메뉴 (238) 또는 이전 컨텐츠 불러오기 메뉴 (236) 가 선택될 때 발생한다.
사용자의 단말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다음 또는 이전 컨텐츠 불러오기 이벤트는 스와이프 (swipe) 제스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는 단계 (S200),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된 일련의 컨텐츠들 중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되는 단계 (S210) 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단계 S100 및 S110 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되면, 측정된 디스플레이 시간과 일정 시간이 비교된다 (S220). 이때, 측정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선호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기준 이상으로 조정한다 (S230a). 한편, 측정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는 그대로 유지한다 (S230b).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되면,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이 식별하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추천된다 (S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식별하는 특정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인 컨텐츠의 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이때,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에 대해 특정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일정 비중 이상인 경우, 해당 특정 항목으로 식별되는 컨텐츠가 추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간 동안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만이 고려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60개의 컨텐츠를 소비하였고, 그 중 30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30개의 컨텐츠를 각각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는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의 수는 30개이다. 이때, 30개의 컨텐츠 중 “A사”가 제공한 컨텐츠의 수가 10개라고 가정할 때, “A사” 라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의 수는 10개이다. 따라서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 (30개) 에 대해 “A사” 라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 (10개) 가 차지하는 비중은 1/3 이다. 만약, 일정 비중이 30%로 설정된 경우라면, “A사”로 식별되는 컨텐츠가 추천된다. 이때, 해당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송신될 때, “A사”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순서가 다른 컨텐츠의 순서보다 앞서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일정 비중이 고정된 값이 아닌,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에 대해 특정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가 차지하는 비중 순위에 따라 컨텐츠가 추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60개의 컨텐츠를 소비하였고, 그 중 30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30개의 컨텐츠를 각각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는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의 수는 30개이다. 이때, 30개의 컨텐츠 중 “A사”가 제공한 컨텐츠의 수가 10개이고, “B사”가 제공한 컨텐츠의 수가 15개라고 가정할 때, “A사” 라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의 수는 10개이고, “B사” 라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의 수는 15개이다. 따라서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 (30개) 에 대해 “A사” 라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 (10개) 가 차지하는 비중은 1/3 이고,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 (30개) 에 대해 “B사” 라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 (15개) 가 차지하는 비중은 1/2 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B사”를 “A사”보다 더 선호한다고 보아, 해당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송신될 때, “B사”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순서가 “A사”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순서보다 앞서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식별하는 특정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인 컨텐츠의 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으나, 이때,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에 대해 특정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일정 비중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특정 항목으로 식별되는 컨텐츠가 추천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기간 동안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만이 고려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60개의 컨텐츠를 소비하였고, 그 중 30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30개의 컨텐츠를 각각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는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의 수는 30개이다. 이때, 30개의 컨텐츠 중 “A사”가 제공한 컨텐츠의 수가 2개라고 가정할 때, “A사” 라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의 수는 2개이다. 따라서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모든 컨텐츠 (30개) 에 대해 “A사” 라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으로 조정된 컨텐츠 (2개) 가 차지하는 비중은 1/15 이다. 만약, 일정 비중이 10%로 설정된 경우라면, “A사”로 식별되는 컨텐츠는 추천되지 않는다. 이때, 해당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송신될 때, 다른 컨텐츠의 순서가 “A사”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순서보다 앞서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둘 이상의 특정 항목들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보아, 둘 이상의 특정 항목들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인 컨텐츠의 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추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경제 신문사”에서 제공한 “경제 뉴스”를 선호하는 경우, 타사에서 제공하는 “경제 뉴스” 또는 “A 경제 신문사”에서 제공하는 “정치 뉴스”를 선호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경제 신문사”와 “경제 뉴스” 항목을 하나의 항목으로 보아, “A 경제 신문사” 와 “경제 뉴스” 항목의 상태정보가 기준 이상인 컨텐츠의 수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컨텐츠가 추천된다. 또한 사용자가 둘 이상의 특정 항목들로 식별되는 컨텐츠를 일정 수 이상 소비한 경우에만 둘 이상의 특정 항목들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보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의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는 단계 (S300),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된 일련의 컨텐츠들 중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되는 단계 (S310) 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단계 S100 및 S110 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되면, 측정된 디스플레이 시간과 제1 일정 시간이 비교된다 (S320). 이때,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 점수가 점수화되고, 측정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제1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선호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가산한다 (S330a). 한편, 측정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제1 일정 시간 미만이고 제2 일정 시간 (제1 일정시간>제2 일정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오히려 해당 컨텐츠를 비선호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차감한다 (S330b). 그러나 측정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제1 일정 시간 미만이고 제2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유지한다 (S330c).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되면,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이 식별하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추천된다 (S3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 값이 일정값보다 큰 경우 해당 항목으로 식별되는 컨텐츠가 추천되고, 해당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송신될 때, 해당 항목으로 식별되는 컨텐츠의 순서가 다른 컨텐츠의 순서보다 앞서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 값이 높을수록 해당 항목으로 식별되는 컨텐츠가 추천되고, 해당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송신될 때, 해당 항목으로 식별되는 컨텐츠의 순서가 상태정보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항목으로 식별되는 다른 컨텐츠의 순서보다 앞서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 값이 높을수록 해당 항목으로 식별되는 컨텐츠가 추천되도록 구현한 경우, 상태정보 값의 비교는 동일한 식별범주에 속하는 항목끼리만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둘 이상의 특정 항목들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보아 상태정보가 비교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경제 신문사”에서 제공한 “경제 뉴스”를 선호하는 경우, 타사에서 제공하는 “경제 뉴스” 또는 “A 경제 신문사”에서 제공하는 “정치 뉴스”를 선호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경제 신문사”와 “경제 뉴스” 항목을 하나의 항목으로 보아 다른 항목의 상태정보와 비교하여 컨텐츠가 추천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의 특정 항목들이 조합된 경우의 상태정보는 각 항목의 상태정보의 총합 또는 각 항목의 상태정보의 평균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둘 이상의 특정 항목들로 식별되는 컨텐츠를 일정 수 이상 소비한 경우에만 둘 이상의 특정 항목들의 조합을 하나의 항목으로 보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의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는 단계 (S400),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된 일련의 컨텐츠들 중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되는 단계 (S410) 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단계 S100 및 S110 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상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해당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가 측정된다 (S420). 이때, 집중도는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소비하는 동안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발생한 사용자의 입력 패턴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측정될 수 있다. 집중도가 높게 측정되는 예로서,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소비할 때, 사용자가 천천히 드래그를 하면서 소비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이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내용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포착된 경우, 사용자의 단말에 탑재된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을 일정한 경사를 두고 컨텐츠를 소비하는 것이 계속해서 인식된 경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해 리플 등의 피드백을 남기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반대로 집중도가 낮게 측정되는 예로서, 스크롤 속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빠른 경우, 마우스 커서 등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창 밖으로 이탈된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컨텐츠 또는 컨텐츠의 내용을 따라 이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의 경사가 계속해서 변한다면 집중도는 낮은 것으로 측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되고,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측정되면, 측정된 집중도가 최초에 계산된 디스플레이 시간에 반영되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보정된다 (S4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된 집중도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간의 보정은 측정된 집중도가 높을수록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최초에 계산된 디스플레이 시간보다 더 긴 시간으로 보정되고, 측정된 집중도가 낮을수록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최초에 계산된 디스플레이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으로 보정된다.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보정되면, 보정된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과 비교되어,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된다 (S440).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되면, 조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이 식별하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추천된다 (S450). S440 및 S450은 도 3의 S120 및 S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의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는 단계 (S500),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되면,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된 일련의 컨텐츠들 중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되는 단계 (S510), 사용자의 단말상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해당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가 측정되는 단계 (S520) 은 각각 도 8에 도시된 단계 S400, S410 및 S420 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사용자의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계산되고,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측정되면, 계산된 디스플레이 시간이 일정 시간과 비교되어,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된다 (S530). 본 절차는 도 3에 도시된 단계 S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조정되면, 측정된 집중도가 조정된 상태정보에 반영되어 상태정보가 보정된다 (S5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된 집중도에 따른 상태정보의 보정은 측정된 집중도가 높을수록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더 높은 값 또는 기준이상으로 보정되고, 측정된 집중도가 낮을수록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더 낮은 값으로 보정된다.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가 보정되면, 보정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이 식별하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추천된다 (S550). 본 절차는 도 3에 도시된 단계 S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 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
11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에서의 통신부
12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에서의 시간계산부
13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에서의 조정부
14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장치에서의 컨텐츠 처리부
200, 201a, 201b, 201c, 201d: 사용자의 단말
210: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통신부
220: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처리부
230: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표시부
23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
234: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
236: 이전 컨텐츠 불러오기 메뉴
238: 다음 컨텐츠 불러오기 메뉴
240: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입력부
300, 301a, 301b: 컨텐츠 프로바이더

Claims (16)

  1.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일련의 컨텐츠들 중 상
    기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을 일정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식별하는 일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항목의 상태정보를 기준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점수화되고,
    상기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를 가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시간을 제외하여 상기 컨텐츠의 실질적인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시간을 제외하여 상기 컨텐츠의 실질적인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단말에 연결된 마우스를 통해 인가된 입력 패턴 정보, 상기 단말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가된 입력 패턴 정보, 상기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 이동 정보, 상기 단말에 연결된 모션센서를 통해 인식된 상기 단말의 기울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상에서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집중도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 또는 상기 상태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단말에 연결된 마우스를 통해 인가된 입력 패턴 정보, 상기 단말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가된 입력 패턴 정보, 상기 단말에 연결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시선 이동 정보, 상기 단말에 연결된 모션센서를 통해 인식된 상기 단말의 기울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은 상기 컨텐츠의 분량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이상의 항목은 컨텐츠의 키워드, 컨텐츠 프로바이더, 컨텐츠 저작자,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컨텐츠가 제공되는 방식, 컨텐츠의 분량, 컨텐츠의 최신성, 컨텐츠의 대중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별범주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컨텐츠들은 일련의 뉴스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방법.
  11.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일련의 컨텐츠들 중 상기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을 일정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식별하는 일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를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항목의 상태정보를 기준이상으로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점수화되고,
    상기 상태정보를 조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를 가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상기 항목의 점수화된 상태정보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시간을 제외하여 상기 컨텐츠의 실질적인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상에서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를 측정하고,
    상기 집중도를 반영하여 계산된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 또는 상기 상태정보를 보정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6. 각각 일 이상의 항목으로 식별되고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지는 일련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일련의 컨텐츠들 중 상기 단말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계산하는 시간계산부;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을 일정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의 상태정보를 조정하는 조정부; 및
    조정된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를 식별하는 항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식별하는 일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단말로 추천하는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130010692A 2013-01-30 2013-01-3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40098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92A KR20140098322A (ko) 2013-01-30 2013-01-3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92A KR20140098322A (ko) 2013-01-30 2013-01-3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322A true KR20140098322A (ko) 2014-08-08

Family

ID=5174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692A KR20140098322A (ko) 2013-01-30 2013-01-30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83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239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영상 표시 방법
KR20220057333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키리콘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239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영상 표시 방법
KR20220057333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키리콘 컨텐츠 추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494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text using RSVP
US20240086413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search results
US10282386B1 (en) Sampling a part of a content item
US8769434B2 (en) Intelligent display of information in a user interface
US106712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 of content items relating to a topic
US107128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contents displayed on screen
US9268858B1 (en) Previewing content based on detected customer activities
US107759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visual content items
US112884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information for display based on past user interactions
US10162864B2 (en) Reader application system utilizing article scoring and clustering
EP2635037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video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11079016A (zh) 一种短视频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269917A (zh) 一种媒体资源展示方法及装置、设备、系统、存储介质
Lukoff et al. SwitchTube: A proof-of-concept system introducing “adaptable commitment interfaces” as a tool for digital wellbeing
US20110161838A1 (en) Virtual spa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JP5813052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98322A (ko)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CN110555135B (zh) 内容推荐方法、内容推荐装置和电子设备
CN112533032A (zh) 一种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4305826A1 (en) Computing device interaction tracking and assessment
CN116756370A (zh) 用于搜索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80137461A (ko) 스트리밍 컨텐츠의 히트 예측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63142A (ko) 번역문 에디터 제공 장치 및 번역문 에디터 제공 방법
CN11340704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介质
KR20160063205A (ko) 번역문 에디터 제공 장치 및 번역문 에디터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