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321A -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321A
KR20140098321A KR1020130010687A KR20130010687A KR20140098321A KR 20140098321 A KR20140098321 A KR 20140098321A KR 1020130010687 A KR1020130010687 A KR 1020130010687A KR 20130010687 A KR20130010687 A KR 20130010687A KR 20140098321 A KR20140098321 A KR 20140098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ntent
image
information
acqu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류성원
김항기
양웅연
김기홍
이길행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8321A/ko
Publication of KR2014009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장치,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구동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은 자신에게 설정된 제어영역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SYSTEM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개인화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방향성으로 사용자들에게 정해진 콘텐츠만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형태가 대부분이고, VOD(Video On Demand)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에서는 콘텐츠를 사용자에 맞추어 제공하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으나 극히 제한적인 형태이다.
요사이 휴대용 단말들이 개인용 컴퓨터급의 성능을 가짐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에서만 가능하던 작업이 휴대용 단말에서도 가능하게 되었지만 화면이 작고 인터페이스가 불편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가벼운 형태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확산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교환하면서 공동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외부에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정보를 외부로 손쉽게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매개체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공간 내에 다수의 인원이 존재하는 경우, 공간 내의 각 장치를 구분하기가 어렵고, 공간 정보와 연계한 콘텐츠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페이스가 편리하고 공간정보와 연계한 콘텐츠 제공이 용이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페이스가 편리하고 공간정보와 연계한 콘텐츠 제공이 용이한 콘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장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제어 영역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환경의 영상을 취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자신에게 설정된 제어영역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처리부,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위치획득부,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영역 상호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위치 획득부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는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 및 상기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호작용하는 상호작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변화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위치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상호작용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제어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각자 설정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반영하는 콘텐츠 공유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공유방법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처리단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획득 단계, 상기 위치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 전달하는 제어영역 상호작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획득단계에서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에서는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 단계, 상기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호작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획득단계 및 상기 위치 파악단계 사이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변화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위치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넓은 공간 내에서 디스플레이를 공유하고 다양한 센서를 하이브리드하게 활용하고 양방향성을 가진 탐색 기법을 활용하여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도 각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혹은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개인화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양방향성 기반의 위치 탐색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증강현실 마커의 위치값을 찾는 방식인 영상을 통한 위치 획득방법의 단점인 넓은 공간에서는 처리할 정보가 많아지고, 특징점이 적은 환경에서는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인원이 관찰 용이한 디스플레이에서 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를 이용하면서, 착용하거나 휴대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콘텐츠의 흐름을 변경하거나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며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폭넓은 상호 작용 방법을 제시하여 작게는 가정의 거실에서 많게는 전시장이나 회의실, 공연장 등에서 다수가 함께 디스플레이 영역과 콘텐츠를 공유하고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에 상호작용 효과를 불어넣어 보다 효과적인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나 즉각적인 공동 작업이 가능한 회의 시스템, 전시장의 설계, 복수 참여형 공간 기반 게임, 인터렉티브 테마파크,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콘텐츠들을 만들어가는 형태의 기획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활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콘텐츠 제공장치의 세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의 세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 및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의 동작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콘텐츠를 구동하고, 콘텐츠 구동 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제공하게 되고,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면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콘텐츠를 공유하게 된다. .
이때,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포착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고, 콘텐츠 구동 영상, 즉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서 가시화되도록 내보낸 영상 및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게 되고,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단말(200)에게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즉 제어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또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대하여 장치간, 영역간 제어영역을 설정하여 각 사용자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변경한 영역의 정보를 다른 영역들의 정보에 오버랩하여 표현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각각의 제어영역을 혼합하거나 분리하고 콘텐츠 제공장치(100)와 연계하여 제어권 유무에 따른 작동 방식의 지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부를 개인화하여 원격에서 이를 편집 함으로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용하여 공동 작업이 가능한 캔버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사용자들을 관찰하기 용이한 곳에 영상 획득 장치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처리 함으로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중인 휴대 또는 착용형 장치의 위치를 획득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즉, 카메라와 같은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되,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를 획득하는 방식은 영상의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증강현실 마커의 위치값을 찾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을 영상에서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장치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과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영상 정보 변경을 통한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취득하여, 이와 같이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자신에게 설정된 제어영역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는 다시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전송되어 콘텐츠에 반영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주변환경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콘텐츠 제공장치(20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콘텐츠 제공장치의 세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는 콘텐츠 처리부(110), 위치획득부(120),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 제어영역 상호작용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이 콘텐츠를 공유하며 상호작용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콘텐츠를 구동하고, 콘텐츠 구동 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제공하게 되고,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면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콘텐츠를 공유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각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의 동작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콘텐츠를 구동하고, 콘텐츠 구동 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제공하게 되고,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면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콘텐츠를 공유하게 되는데, 그 세부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110)는 콘텐츠를 구동한 콘텐츠 구동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획득부(120)는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위치획득부(120)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사용자들을 관찰하기 용이한 곳에 영상 획득 장치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처리 함으로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중인 휴대 또는 착용형 장치의 위치를 획득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즉, 카메라와 같은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되,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를 획득하는 방식은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에서 생성한 공유 영상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증강현실 마커의 위치값을 찾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을 영상에서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장치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과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영상 정보 변경을 통한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는 위치획득부(120)에서 획득한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각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는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하여 가시화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공유되는 영상 및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환경의 컬러 정보 및 특징점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보낼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제어영역 상호작용부(14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각 사용자 단말(200)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콘텐츠 처리부(110)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또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대하여 장치간, 영역간 제어영역을 설정하여 각 사용자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변경한 영역의 정보를 다른 영역들의 정보에 오버랩하여 표현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각각의 제어영역을 혼합하거나 분리하고 콘텐츠 처리부와 연계하여 제어권 유무에 따른 작동 방식의 지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부를 개인화하여 원격에서 이를 편집 함으로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용하여 공동 작업이 가능한 캔버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하, 사용자 단말(30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의 세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100)와 상호 작용하며, 영상획득부(210), 위치제공부(220), 위치파악부(230), 상호작용부(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각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영상획득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의 변화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각 사용자 단말(200)을 영상에서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장치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과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영상 정보 변경을 통한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치파악부(230)는 영상획득부(210)에서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 즉 사용자 단말(200)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호작용부(230)는 영상 내의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자신에게 설정된 제어영역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는 다시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전송되어 콘텐츠에 반영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주변환경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시스템에서 각 장치별로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은 콘텐츠 처리단계(S110), 사용자 단말의 위치획득 단계(S120), 공유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S130), 제어영역 상호작용 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콘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단계(S110)에서는 콘텐츠 제공장치(100)에서 콘텐츠를 구동하여 콘텐츠 구동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의 위치획득단계(S120)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사용자들을 관찰하기 용이한 곳에 영상 획득 장치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처리 함으로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중인 휴대 또는 착용형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와 같은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되,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를 획득하는 방식은 영상의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증강현실 마커의 위치값을 찾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을 영상에서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장치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과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영상 정보 변경을 통한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단계(S130)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획득단계(S120)에서 획득한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각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영역 상호작용 단계(S140)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른 제어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각 사용자 단말(200)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획득하여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콘텐츠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 단말(200) 또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 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대하여 장치간, 영역간 제어영역을 설정하여 각 사용자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변경한 영역의 정보를 다른 영역들의 정보에 오버랩하여 표현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각각의 제어영역을 혼합하거나 분리하고 콘텐츠 처리부와 연계하여 제어권 유무에 따른 작동 방식의 지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부를 개인화하여 원격에서 이를 편집 함으로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용하여 공동 작업이 가능한 캔버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영상획득 단계(S210), 위치제공단계(S220), 위치파악단계(S230), 상호작용단계(S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영상획득 단계(S21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위치제공 단계(S22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변화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가 추적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 등의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치파악 단계(S2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영상획득 단계(S210)에서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상호작용하는 단계(S240)에서는 영상 내의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공유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어떤 공간에서, 예를 들면, TV가 있는 거실 또는 곳곳에 프로젝터 스크린과 TV가 있는 전시장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들이 각각 스마트 폰이나 착용형 HMD로 TV 나 스크린을 관찰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갖고 콘텐츠를 공유하며 상호작용 한다고 할 때,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설명된,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영상 센서 내에 들어오게 되면(S121), 각 사용자 단말(200)과 사전에 정해진 통신 규약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의 인식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연결이 확정되면 사용자 단말로 자신들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도록 발광을 짧게 부호화하여 실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S122).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점멸이 일어나면 이를 영상 센서에서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을 공간 위치와 연계하여 콘텐츠에 반영하게 된다.
또한, 공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중인 영상 및 주변 환경에 대해 컬러 정보 및 특징점 획득이 유리하게 처리된 영상 특징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들의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S123). 이때, 탐색 부하를 줄이기 위해 획득된 사용자 위치정보와 연계한 지점의 정보만을 전송한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자신이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서 전송한 영상 및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파악(S124)하게 되어 적절한 위치와 시점의 콘텐츠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해당 영역에 대한 제어권을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부여(S125)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200)은 상호 작용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여 콘텐츠를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공간 내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여 운용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를 이용하면서, 착용하거나 휴대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과 양방향성 탐색을 통해 위치를 획득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이 현재 진행중인 콘텐츠의 흐름을 변경하거나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계하여 단말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상호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작게는 가정의 거실에서 많게는 전시장이나 회의실, 공연장 등에서 다수가 함께 디스플레이 영역과 콘텐츠를 공유하고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증강현실 서비스와 비교하면, 기존에는 연계된 정보를 표현하는데 있어 고정된 이미지나 영상을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 디스플레이에 제시되는 영상의 변화하는 정보를 상호작용에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개인화 시켜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이 가능하다.
각 사용자 디스플레이는 근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를 편리하게 상호 교환하여 콘텐츠 연동이 가능하도록 지원 함으로서 디스플레이 연계를 통한 시각적으로 직관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기반으로 하여 효과적인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나 즉시적인 공동 작업이 가능한 회의 시스템, 전시장의 설계, 복수 참여형 공간 기반 게임, 인터렉티브 테마파크,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콘텐츠들을 만들어가는 형태의 기획이 가능하도록 하며 공간과 콘텐츠를 적절히 연동하여 다양한 활용 분야에서 체험형 콘텐츠 환경으로 변모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를 공유하며,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콘텐츠 구동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제어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각자 설정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처리부;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위치획득부;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영역 상호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획득부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는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6. 콘텐츠를 구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 및
    상기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호작용하는 상호작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변화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위치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8. 청구항 6에 있어서,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제어영역을 설정함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각자 설정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공유방법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처리단계;
    영상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획득 단계;
    상기 위치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 전달하는 제어영역 상호작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위치 획득단계에서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에서는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KR1020130010687A 2013-01-30 2013-01-30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 KR20140098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87A KR20140098321A (ko) 2013-01-30 2013-01-30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87A KR20140098321A (ko) 2013-01-30 2013-01-30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321A true KR20140098321A (ko) 2014-08-08

Family

ID=5174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687A KR20140098321A (ko) 2013-01-30 2013-01-30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83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31A1 (ko) * 2014-12-30 2016-07-07 하영식 화면 공유 시스템 및 화면 공유 방법과 관리서버 및 관리서버의 운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31A1 (ko) * 2014-12-30 2016-07-07 하영식 화면 공유 시스템 및 화면 공유 방법과 관리서버 및 관리서버의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579B1 (ko) 증강 현실 시스템들에서 실세계 표면들에의 가상 이미지들의 앵커링
US201201920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mapping in a virtual world
US201401528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cial Overlay Visualization
CN105210394A (zh) 用于共享显示器的多用户控制和流媒体传输的系统和方法
JP5799018B2 (ja) 拡張物体との対話用デバイス
WO2021218547A1 (zh) 用于在现实场景中叠加直播人物影像的方法和电子设备
CN107452119A (zh) 虚拟现实实时导览方法及系统
US201802789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203012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mersive and collaborative video surveillance
CN108028906A (zh) 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WO2017068925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55701B2 (ja) 情報処理方法、インタフェース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8141565A (zh) 信息处理设备及信息处理方法
TWI433568B (zh) 人境互動系統與應用其之可攜式裝置
CN112269553B (zh) 显示系统、显示方法及计算设备
KR20110006976A (ko) 전시관용 인터렉티브제어시스템
KR101672268B1 (ko)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KR20140098321A (ko)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
KR20210025769A (ko) 증강현실 기반 관람 가이드 서비스 방법
JP202312163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画像共有方法、プログラム
US9762859B2 (en) Shared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7010965A (zh) 基于信息流广告的互动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7210884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259135A (ja) ネットワーク型リアルタイ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EP4250744A1 (en) Display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displaying,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carrier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