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321A - System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321A
KR20140098321A KR1020130010687A KR20130010687A KR20140098321A KR 20140098321 A KR20140098321 A KR 20140098321A KR 1020130010687 A KR1020130010687 A KR 1020130010687A KR 20130010687 A KR20130010687 A KR 20130010687A KR 20140098321 A KR20140098321 A KR 20140098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ntent
image
information
acqu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석
류성원
김항기
양웅연
김기홍
이길행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8321A/en
Publication of KR2014009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3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The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ent providing device; a shar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driven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cquires positions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and transmits content driven images, and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a peripheral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s to the user terminals. Each of the user terminals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interact with the content on a control area, which is set to each of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SYSTEM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haring system,

본 발명은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개인화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sha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sharing system that enables a plurality of users to personalize and use content while sharing the same.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방향성으로 사용자들에게 정해진 콘텐츠만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형태가 대부분이고, VOD(Video On Demand)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에서는 콘텐츠를 사용자에 맞추어 제공하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으나 극히 제한적인 형태이다.In the conventional display-bas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ost of the contents are provided only to users in a unidirectional manner, and in the case of VOD (Video On Demand) or digital signage, But it is a very limited form.

요사이 휴대용 단말들이 개인용 컴퓨터급의 성능을 가짐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에서만 가능하던 작업이 휴대용 단말에서도 가능하게 되었지만 화면이 작고 인터페이스가 불편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the portable terminals have personal computer class performance, work that was possible only in a personal computer has become possible in a portable termina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tilize because the screen is small and the interface is inconvenient.

또한, 최근에 가벼운 형태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확산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교환하면서 공동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외부에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정보를 외부로 손쉽게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매개체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공간 내에 다수의 인원이 존재하는 경우, 공간 내의 각 장치를 구분하기가 어렵고, 공간 정보와 연계한 콘텐츠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development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of a lightweight type has been recently developed, it is being transformed into a ubiquitous environment that enables collaboration work while exchanging information with other people anytime and anywhe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n interface medium that allows Sudan and its own information to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outside. However,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ersonnel in the spac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each device in the space, There is a difficulty in providing contents linked with the content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페이스가 편리하고 공간정보와 연계한 콘텐츠 제공이 용이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content sharing system which has a convenient interface and is easy to provide contents linked with spatial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페이스가 편리하고 공간정보와 연계한 콘텐츠 제공이 용이한 콘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sharing method that facilitates an interface and facilitates providing content linked with spatial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장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제어 영역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환경의 영상을 취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자신에게 설정된 제어영역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 shared display apparatus,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quires the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s and to set a control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compares the acquired image with the content driving image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the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image, Lt; RTI ID = 0.0 > cone < / RTI > Provide a share Wrights system.

여기서,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처리부,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위치획득부,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영역 상호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may include a content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content to output the content moving image to the shared display device, a location acquiring unit configured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A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s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and image feature information on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each user terminal and transmit the generated image feature information to each of the user terminal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 control area configured to set a control area divided according to a locatio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and to acquire a result of each user terminal interacting with the content on its control area and deliver the result to the content processing part; Comprising an interacting portion The features.

또한 여기서, 상기 위치 획득부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position acquiring unit acquires an image including a user terminal through an image acquiring unit,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acquired image, and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 sensor or GPS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And acquiring the information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또한 여기서,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는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the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unit extracts only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user terminals,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pective user terminals, and transmits the extracted images to the user terminals.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 및 상기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호작용하는 상호작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acquiring unit that acquires an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and an image of a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the attached image acquiring devic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control area set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image, And an interaction unit for interacting with each other.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변화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위치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providing unit for continuously providing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using a sensor or GP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user terminal may be a smart phone or a wearable HMD.

또한 여기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hared display device may be a projector or a mutually connected multiple display device.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상호작용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제어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각자 설정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반영하는 콘텐츠 공유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sharing method executed in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that interacts with at least one shared display apparatus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o the shared display device, acquires the positio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transmits image feature information on the content-driven imag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each user terminal to each of the user terminals, And a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the respective user terminals with the contents on the respective control regions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콘텐츠 공유방법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처리단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획득 단계, 상기 위치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 전달하는 제어영역 상호작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ontent sharing method may include: a content processing step configured to drive a content and output the content moving image to a shared display device; a location acquiring step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A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generat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and image feature information on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each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mage feature information to each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area which acquires a result obtained by interacting with the content on the control area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and transmits the control area to the content processing part, Comprising an action step And a gong.

여기서, 상기 위치 획득단계에서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in the location acquiring step, an image including a user terminal is acquired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a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acquired using the acquired image. And acquiring the information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또한 여기서,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에서는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Here, in the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step,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only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each user terminal.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user terminal may be a smart phone or a wearable HMD.

또한 여기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Here, the shared display device may be a projector or a multi-display devic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 단계, 상기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호작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sharing method executed in a user terminal interacting with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nfigured to display content through at least one shared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n image acquiring step of acquiring an imag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and an image of a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the acquiring device, an image acquiring step of acquiring an image of the acquired image, a content driving image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control area set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interacting with the content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of the image in the image .

여기서, 상기 영상 획득단계 및 상기 위치 파악단계 사이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변화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위치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providing step of continuously provid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by using a sensor or GP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between the image obtaining step and the positioning step .

또한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user terminal may be a smart phone or a wearable HM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콘텐츠 공유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넓은 공간 내에서 디스플레이를 공유하고 다양한 센서를 하이브리드하게 활용하고 양방향성을 가진 탐색 기법을 활용하여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도 각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혹은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개인화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When a content sharing system and a content sha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a display is shared in a wide space, various sensors are hybridized, and a bi-directional search technique is utilized. A personalized image can be provided while sharing contents.

또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양방향성 기반의 위치 탐색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증강현실 마커의 위치값을 찾는 방식인 영상을 통한 위치 획득방법의 단점인 넓은 공간에서는 처리할 정보가 많아지고, 특징점이 적은 환경에서는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Further, by using the bidirectional-based location search technique to acquir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creases in a wide space,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location acquisition method using an image, which is a method of finding a location value of an augmented reality marker,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problem that is not recognized in a small environment.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인원이 관찰 용이한 디스플레이에서 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를 이용하면서, 착용하거나 휴대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콘텐츠의 흐름을 변경하거나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며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폭넓은 상호 작용 방법을 제시하여 작게는 가정의 거실에서 많게는 전시장이나 회의실, 공연장 등에서 다수가 함께 디스플레이 영역과 콘텐츠를 공유하고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change or participate in the current flow of contents through a worn or portable display using an application and contents operated by a plurality of persons in an easy-to-view display, It is effective to present a wide interactive method and to allow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living room of a home to share a display area and contents together in an exhibition hall, a conference room,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에 상호작용 효과를 불어넣어 보다 효과적인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나 즉각적인 공동 작업이 가능한 회의 시스템, 전시장의 설계, 복수 참여형 공간 기반 게임, 인터렉티브 테마파크,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콘텐츠들을 만들어가는 형태의 기획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활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nference system, a showroom design, a multi-participant space-based game, an interactive theme park, and a form in which users participate in creating contents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 fiel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콘텐츠 제공장치의 세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의 세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that is a component of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which is a component of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process performed in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process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in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 및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1,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 and a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의 동작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nd a component of the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콘텐츠를 구동하고, 콘텐츠 구동 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제공하게 되고,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면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콘텐츠를 공유하게 된다.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drives the content and provides the content-driven image to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d each user terminal 200 us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d shares the contents with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in operation. .

이때,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포착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고, 콘텐츠 구동 영상, 즉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서 가시화되도록 내보낸 영상 및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게 되고,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단말(200)에게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즉 제어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captured in the display area, and displays the content-driven image, i.e., the image that is exported to be visible through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d transmits the image featur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has a display area for controlling contents to each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hat is, the control area can be allocated.

즉 각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또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대하여 장치간, 영역간 제어영역을 설정하여 각 사용자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변경한 영역의 정보를 다른 영역들의 정보에 오버랩하여 표현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각각의 제어영역을 혼합하거나 분리하고 콘텐츠 제공장치(100)와 연계하여 제어권 유무에 따른 작동 방식의 지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부를 개인화하여 원격에서 이를 편집 함으로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용하여 공동 작업이 가능한 캔버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at is, by setting the inter-device and inter-domain control areas for the display areas so that each user terminal 200 can interface wit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display of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performs an image processing opera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changed area overlapp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areas to mix or separate the respective control areas and to link the control areas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mode Designation can be made possible. In addition, a part of the user-designated shared display device 300 can be personalized and edited remotely, so that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can be utilized as a collaborative canvas.

한편,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사용자들을 관찰하기 용이한 곳에 영상 획득 장치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처리 함으로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중인 휴대 또는 착용형 장치의 위치를 획득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즉, 카메라와 같은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되,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rranges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in an area where users can easily observe in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d processe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use the portable or wearable apparatus Can be used to acquire the position. That is, an image including the user terminal 200 is acquired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device such as a camera,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acquired using the acquired image, And may be configured to additionally use information collected via GPS.

이때, 위치를 획득하는 방식은 영상의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증강현실 마커의 위치값을 찾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을 영상에서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장치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과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영상 정보 변경을 통한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method of acquiring the position may be a method of find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image.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ituation in which content visualization is impossible due to tracking failure due to rapid movement of a user, information collected using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PS, or a wireless sensor network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To track user locations. In order to distinguish each user terminal 200 from an image, a method of blinking a light emission LED attached to the apparatus in synchronization with a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 aggressive bi-directional search method can be provid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and location acquisition between devices.

한편,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취득하여, 이와 같이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자신에게 설정된 제어영역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는 다시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전송되어 콘텐츠에 반영될 수 있다. Each of the user terminals 200 acquires an imag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an i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and the content-driven image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By comparing the image featur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to interact with the content on the control area set for itself, and the resul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nd reflected on the content have.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주변환경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smart phone or a wearable HMD, and may be provided with a camera for acquiring images output from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imag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may be provided as a projector or an interconnected multiple display device.

이하, 콘텐츠 제공장치(20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콘텐츠 제공장치의 세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that is a component of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는 콘텐츠 처리부(110), 위치획득부(120),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 제어영역 상호작용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이 콘텐츠를 공유하며 상호작용 할 수 있게 한다. 2, th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contents processing unit 110, a location obtaining unit 120, a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and a control area interaction unit 140 And displays the content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thereby allow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to share and interact with the content.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콘텐츠를 구동하고, 콘텐츠 구동 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제공하게 되고,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면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콘텐츠를 공유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각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의 동작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2,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drives the content and provides a content-driven image to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d each user terminal 200 is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d the content is shared with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while interacting with the content using the image.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 component can be described as follows.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콘텐츠를 구동하고, 콘텐츠 구동 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제공하게 되고,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면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콘텐츠를 공유하게 되는데, 그 세부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drives the content and provides the content-driven image to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d each user terminal 200 us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d shares the content with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being described as follows.

콘텐츠 처리부(110)는 콘텐츠를 구동한 콘텐츠 구동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cess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the content-based moving image that has driven the content to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

위치획득부(120)는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위치획득부(120)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사용자들을 관찰하기 용이한 곳에 영상 획득 장치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처리 함으로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중인 휴대 또는 착용형 장치의 위치를 획득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즉, 카메라와 같은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되,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ocation acquir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location acquiring unit 120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200, By arranging the acquiring device and processing the acquired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to acquir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or wearable device in use by a plurality of users. That is, an image including the user terminal 200 is acquired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device such as a camera,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acquired using the acquired image, And may be configured to additionally use information collected via GPS.

위치를 획득하는 방식은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에서 생성한 공유 영상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증강현실 마커의 위치값을 찾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The method of acquiring the position may be a method of find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based on the shared image featur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ituation in which content visualization is impossible due to tracking failure due to rapid movement of a user, information collected using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PS, or a wireless sensor network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To track user locations.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을 영상에서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장치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과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영상 정보 변경을 통한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order to distinguish each user terminal 200 from an image, a method of blinking a light emission LED attached to the apparatus in synchronization with a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 aggressive bi-directional search method can be provid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and location acquisition between devices.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는 위치획득부(120)에서 획득한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각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displays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the surroundings of each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s 200 acquired by the location acquiring unit 120. [ And generate image feature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and transmit the image feature information to each user terminal 200.

이때,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는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extracts only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user terminals 200 and transmits them to the user terminals 200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s 200 .

즉,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130)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하여 가시화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공유되는 영상 및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환경의 컬러 정보 및 특징점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보낼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That is, the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utilizes color information and minutia information of an environment in which images and displays are shared through a display that is visible through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transmits it.

제어영역 상호작용부(14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각 사용자 단말(200)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콘텐츠 처리부(110)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area interaction unit 140 sets a control area divided according to the display area in each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200 and controls each user terminal 200 to interact with the content on its control area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content processing unit 110. [

즉 각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또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대하여 장치간, 영역간 제어영역을 설정하여 각 사용자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변경한 영역의 정보를 다른 영역들의 정보에 오버랩하여 표현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각각의 제어영역을 혼합하거나 분리하고 콘텐츠 처리부와 연계하여 제어권 유무에 따른 작동 방식의 지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부를 개인화하여 원격에서 이를 편집 함으로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용하여 공동 작업이 가능한 캔버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at is, by setting the inter-device and inter-domain control areas for the display areas so that each user terminal 200 can interface wit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display of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performs an image processing operation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changed area overlapping with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areas to mix or separate the respective control areas and to associate with the content processing part so that the operation mode can be specified according to the control right can do. In addition, a part of the user-designated shared display device 300 can be personalized and edited remotely, so that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can be utilized as a collaborative canvas.

이하, 사용자 단말(30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의 세부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which is a component of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100)와 상호 작용하며, 영상획득부(210), 위치제공부(220), 위치파악부(230), 상호작용부(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a user terminal 2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acts with a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configured to drive content and display it via at least on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 image acquiring unit 210, a position providing unit 220, a position determining unit 230, and an interaction unit 240.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각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nd a component of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영상획득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may be configured to acquire an image of a displayed image and a surrounding environment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using an image acquisition device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200.

위치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의 변화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he position providing unit 220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provide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using a sensor or GP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

예를 들면,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각 사용자 단말(200)을 영상에서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장치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과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영상 정보 변경을 통한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compensate for a situation in which content visualization becomes impossible due to a tracking failure due to fast movement of a user,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PS or a wireless sensor network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Information can be used to track user loc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distinguish each user terminal 200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method of blinking a light emitting LED attached to the apparatus in synchronization with a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300 to provide an active bi-directional search method by changing the video information, thereby facilitating identification and position acquisition between devices.

위치파악부(230)는 영상획득부(210)에서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 즉 사용자 단말(200)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30 compares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with the content-driven image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image featur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200, That is,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상호작용부(230)는 영상 내의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action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content on the control area set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o interact with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image.

이와 같은 구성에서, 각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자신에게 설정된 제어영역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게 되고, 그 결과는 다시 콘텐츠 제공장치(100)에 전송되어 콘텐츠에 반영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each of the user terminals 200 acquires an imag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an i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to the content driving image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The positional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image featur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user interacts with the content on the control area set for the user,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gain, .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주변환경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equipped with a smart phone or a wearable HMD, and a camera for acquiring images output from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imag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may be provided as a projector or an interconnected multiple display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시스템에서 각 장치별로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sharing content for each device in a content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process performed in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은 콘텐츠 처리단계(S110), 사용자 단말의 위치획득 단계(S120), 공유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S130), 제어영역 상호작용 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content sharing process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cessing step S110, a location obtaining step S120, a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step S130, And a region interaction step (S140).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콘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4, each step of the process of sharing content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콘텐츠 처리단계(S110)에서는 콘텐츠 제공장치(100)에서 콘텐츠를 구동하여 콘텐츠 구동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출력하게 된다. In the content processing step (S110),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drives the content to output the content moving image to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사용자 단말의 위치획득단계(S120)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사용자들을 관찰하기 용이한 곳에 영상 획득 장치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처리 함으로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중인 휴대 또는 착용형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와 같은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200)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되,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image acquiring device may be arranged in a place where users can easily observe in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acquiring device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or wearable device being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can be obtained. That is, an image including the user terminal 200 is acquired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device such as a camera,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acquired using the acquired image, And may be configured to additionally use information collected via GPS.

이때, 위치를 획득하는 방식은 영상의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증강현실 마커의 위치값을 찾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acquiring the position may be a method of find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augmented reality marker based on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image.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ituation in which content visualization is impossible due to tracking failure due to rapid movement of a user, information collected using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PS, or a wireless sensor network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To track user locations.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을 영상에서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장치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과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영상 정보 변경을 통한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order to distinguish each user terminal 200 from an image, a method of blinking a light emission LED attached to the apparatus in synchronization with a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hared display apparatus 300 An aggressive bi-directional search method can be provid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and location acquisition between devices.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단계(S130)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획득단계(S120)에서 획득한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각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게 된다. In the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step S 13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200 acquired in the step S 120 of acqui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each user terminal 200. [0050]

이때,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extract only a corresponding image and transmit it to each user terminal 200.

제어영역 상호작용 단계(S140)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른 제어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각 사용자 단말(200)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획득하여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콘텐츠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area interaction step S140, the display area is divided to set a control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200, thereby allowing each user terminal 200 to interact with the content on its control area, And allow th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100 to reflect the contents.

즉 각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 단말(200) 또는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 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영역들에 대하여 장치간, 영역간 제어영역을 설정하여 각 사용자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고 변경한 영역의 정보를 다른 영역들의 정보에 오버랩하여 표현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각각의 제어영역을 혼합하거나 분리하고 콘텐츠 처리부와 연계하여 제어권 유무에 따른 작동 방식의 지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the inter-device and inter-domain control areas for the display areas so that each user terminal 200 can perform an interface with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image processing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region overlapping with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regions to mix or separate the respective control regions and to associate with the contents processing section so that the operation mode can be spec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control right.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일부를 개인화하여 원격에서 이를 편집 함으로서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용하여 공동 작업이 가능한 캔버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user-designated shared display device 300 can be personalized and edited remotely, so that the shared display device 300 can be utilized as a collaborative canva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process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며, 영상획득 단계(S210), 위치제공단계(S220), 위치파악단계(S230), 상호작용단계(S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sharing process performed in a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nd may include an image acquiring step S210, a position providing step S220, a positioning step S230, and an interaction step S240.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공유과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each step of the content sharing proces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영상획득 단계(S21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In the image acquiring step S210, the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re acquired using the image acquiring device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200. [

위치제공 단계(S22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변화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In the location providing step S220,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using a sensor or GP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

예를 들면, 사용자의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추적 실패로 콘텐츠 시각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가 추적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0)에 부착된 발광 LED를 점멸시키는 방법 등의 적극적인 양방향성 탐색 방법을 제공하여 장치 간의 식별 및 위치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compensate for a situation in which content visualization becomes impossible due to a tracking failure due to fast movement of a user,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PS or a wireless sensor network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and position acquisition between devices by providing an aggressive bi-directional search method such as a method of blinking a light emitting LED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200 so that the user position can be tracked using the information.

위치파악 단계(S2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영상획득 단계(S210)에서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image obtained in the image acquiring step S210, the content driving image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image characteristic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compares the information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image.

상호작용하는 단계(S240)에서는 영상 내의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콘텐츠와 상호작용하게 된다.
In the interacting step S240, the contents on the control area set by the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100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image, and they interact with the content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in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공유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어떤 공간에서, 예를 들면, TV가 있는 거실 또는 곳곳에 프로젝터 스크린과 TV가 있는 전시장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들이 각각 스마트 폰이나 착용형 HMD로 TV 나 스크린을 관찰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갖고 콘텐츠를 공유하며 상호작용 한다고 할 때,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a space with a shared display device, for example, in a living room with a TV or in an exhibition area with a projector screen and a TV in various places, a plurality of users may use a smart phone or a wearable HMD to monitor a TV or a screen 200,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도 2를 통해 설명된,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영상 센서 내에 들어오게 되면(S121), 각 사용자 단말(200)과 사전에 정해진 통신 규약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의 인식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연결이 확정되면 사용자 단말로 자신들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도록 발광을 짧게 부호화하여 실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S122).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점멸이 일어나면 이를 영상 센서에서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을 공간 위치와 연계하여 콘텐츠에 반영하게 된다.2, when the user terminal 200 enters the image sensor (S121),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performs a recognition process of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with each user terminal 200 . When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a signal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so as to shorten the light emission so as to confirm their position (S122). Accordingly, when the blinking occurs in the user terminal 200, the blinking of the user terminal 200 is confirmed by the image sensor, and the user's terminal is reflected in the content in connection with the spatial position.

또한, 공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중인 영상 및 주변 환경에 대해 컬러 정보 및 특징점 획득이 유리하게 처리된 영상 특징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들의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S123). 이때, 탐색 부하를 줄이기 위해 획득된 사용자 위치정보와 연계한 지점의 정보만을 전송한다.In step S123, the shared display device generates image feature information on which color information and minutiae point acquisition are advantageously processed for the image being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ransmits the image featur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s. At this time, only the information of the point associated with the acquired user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reduce the search load.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자신이 획득한 영상과 콘텐츠 제공장치(100)에서 전송한 영상 및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파악(S124)하게 되어 적절한 위치와 시점의 콘텐츠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콘텐츠 제공장치(100)는 해당 영역에 대한 제어권을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부여(S125)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200)은 상호 작용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여 콘텐츠를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Based on this, the user terminal 200 compares the image acquired by the user terminal 200 with the image and fea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image (S 124)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gives the control right for the corresponding region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in operation S125 and the user terminal 200 controls the interaction with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200 So that the contents can be used together.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공간 내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여 운용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를 이용하면서, 착용하거나 휴대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과 양방향성 탐색을 통해 위치를 획득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이 현재 진행중인 콘텐츠의 흐름을 변경하거나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isplay devices that are variously present in a space are shared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easily observe the user terminal 200 to retrieve the location through bi-directional search and allow each user terminal 200 to change or participate in the flow of current content.

이와 같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계하여 단말과 콘텐츠 제공장치(100)가 상호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작게는 가정의 거실에서 많게는 전시장이나 회의실, 공연장 등에서 다수가 함께 디스플레이 영역과 콘텐츠를 공유하고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By allowing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such a manner as to link various display apparatuses, it is possible to share a content with a display area in a large number of exhibition rooms, conference rooms, Effect can be obtained.

이는, 기존의 증강현실 서비스와 비교하면, 기존에는 연계된 정보를 표현하는데 있어 고정된 이미지나 영상을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 디스플레이에 제시되는 영상의 변화하는 정보를 상호작용에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개인화 시켜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이 가능하다.In contrast to the exist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in contrast to the exist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information is provided on the basis of a fixed image or an image for re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ontrar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lay a role of helping the user acquire personalized information by using it.

각 사용자 디스플레이는 근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자신이 현재 표시하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를 편리하게 상호 교환하여 콘텐츠 연동이 가능하도록 지원 함으로서 디스플레이 연계를 통한 시각적으로 직관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기반으로 하여 효과적인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나 즉시적인 공동 작업이 가능한 회의 시스템, 전시장의 설계, 복수 참여형 공간 기반 게임, 인터렉티브 테마파크,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콘텐츠들을 만들어가는 형태의 기획이 가능하도록 하며 공간과 콘텐츠를 적절히 연동하여 다양한 활용 분야에서 체험형 콘텐츠 환경으로 변모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Each user display facilitates interlinking of contents by conveniently exchang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s currently displayed by the adjacent display device, so that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visually intuitive interaction effect through display linkage It is possible to design a meeting system that enables immediate collaborative work, design of exhibition space, multi - participant space - based game, interactive theme park, planning of making contents by participating users, Type content environmen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Claims (14)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단말에서 콘텐츠를 공유하며,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콘텐츠 구동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제어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각자 설정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d interact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shares the content with at least one of the shared display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acquires the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based on the generated content-driven video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section is configured to set a control region according to a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to reflect a result of interaction of each user terminal with contents on a respective control reg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는,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을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처리부;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위치획득부;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영역 상호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content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content and output the content video to the shared display device;
A location acquiring unit configured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A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and image feature information on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each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 And
A control area divided according to the display area is set in each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each user terminal acquires a result of interacting with the content on its control area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ontent processing part And a control area interaction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ent are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획득부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osition obtaining unit
Acquiring an image including a user terminal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device, acquiring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acquired image, acquiring information using a sensor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or information collected via GPS The content sharing apparatus compri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부는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ared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extracts only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user terminals and transmits the extracted images to the user terminals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red display device comprises a projector or a mutually connected multiple display device.
콘텐츠를 구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콘텐츠 제공장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부착된 영상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및 주변 환경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획득한 영상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가 전송한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 및
상기 영상 내의 자신의 위치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설정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호작용하는 상호작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interact with a content providing device that drives content to display via at least one shared display device,
An image acquiring unit that acquires an imag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and an image of a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the attached image acquiring device;
A positioning unit for comparing the acquired image with the content driving image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the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image; And
And an interactive unit for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the content on the control area set by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its position in the imag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변화를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에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위치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providing unit for continuously providing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using a sensor or GP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청구항 6에 있어서,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6,
A smart phone or a wearable HMD.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제어영역을 설정함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각자 설정된 제어영역 상의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A content sharing method executed in a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and interacting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content-driven video and the image featur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each user terminal on the at least one shared display device by acquiring the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setting a control area according to a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by dividing a display area of the moving image of the content, The content sharing method comprisin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공유방법은
콘텐츠를 구동하여 상기 콘텐츠 구동영상을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처리단계;
영상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획득 단계;
상기 위치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및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주변환경에 대한 영상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구분된 제어영역을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에 설정하고,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이 자신의 제어영역 상에서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결과를 획득하여 상기 콘텐츠 처리부에 전달하는 제어영역 상호작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The content sha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9,
A content processing step of driving the content and outputting the video content to the shared display device;
A position acquiring step of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using an image acquiring device;
Generating a video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hared display device and image feature information on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each user terminal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acquired in the position acquiring step, A 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step; And
A control area divided according to the display area is set in each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each user terminal acquires a result of interacting with the content on its control area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ontent processing part And a control area interaction step.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위치 획득단계에서는
영상획득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착된 센서 또는 GPS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Acquiring an image including a user terminal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device, acquiring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the acquired image, acquiring information using a sensor attached to the user terminal or information collected via GPS The content sharing metho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단계에서는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Claim 11] The method of claim 10,
Extracting only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user terminals,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mages to the user terminals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착용형 HM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a smart phone or a wearable HM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젝터 또는 상호 연결된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hared display device comprises a projector or a mutually connected multiple display device.
KR1020130010687A 2013-01-30 2013-01-30 System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400983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87A KR20140098321A (en) 2013-01-30 2013-01-30 System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87A KR20140098321A (en) 2013-01-30 2013-01-30 System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321A true KR20140098321A (en) 2014-08-08

Family

ID=5174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687A KR20140098321A (en) 2013-01-30 2013-01-30 System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83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31A1 (en) * 2014-12-30 2016-07-07 하영식 Screen sharing system, screen sharing method and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server oper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31A1 (en) * 2014-12-30 2016-07-07 하영식 Screen sharing system, screen sharing method and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server oper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579B1 (en) Anchoring virtual images to real world surfaces in augmented reality systems
US201201920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mapping in a virtual world
US201401528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cial Overlay Visualization
CN105210394A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control and media streaming to a shared display
JP5799018B2 (en) Device for interaction with extended objects
WO2021218547A1 (en) Method for superimposing live image of person onto real scene, and electronic device
CN107452119A (en) virtual reality real-time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US201802789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8028906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70689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45557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terface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8141565A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I433568B (en) Human-environment interactive system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US113548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mersive and collaborative video surveillance
CN112269553B (en)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computing device
KR20110006976A (en) Mutimedia syncronization control system for display space from experience space
KR101672268B1 (en) Exhibition area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98321A (en) System for sharing contents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10025769A (en) AR based guide service for exhibition
US9762859B2 (en) Shared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20035958A1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7010965A (en) Inte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information stream advertisement
JP72108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program
JP2009259135A (en) Network type real-time communication system
EP4250744A1 (en) Display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displaying,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carrier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