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810A -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810A
KR20140097810A KR1020130010356A KR20130010356A KR20140097810A KR 20140097810 A KR20140097810 A KR 20140097810A KR 1020130010356 A KR1020130010356 A KR 1020130010356A KR 20130010356 A KR20130010356 A KR 20130010356A KR 20140097810 A KR20140097810 A KR 20140097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lectronic device
region
displaying
hom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753B1 (ko
Inventor
강두석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753B1/ko
Priority to US14/090,358 priority patent/US20140215364A1/en
Priority to AU2013270538A priority patent/AU2013270538A1/en
Priority to CN201410042198.XA priority patent/CN103970411B/zh
Priority to EP14153101.2A priority patent/EP2763131A1/en
Publication of KR2014009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810A/ko
Priority to AU2015249047A priority patent/AU20152490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LAYOU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전자장치는 음성 및 영상 통화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저장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자 장치에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다양한 응용프로그램들 중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쉽게 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홈 스크린에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바로가기를 추가한다.
전자 장치의 홈 스크린에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를 추가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는 영역 부족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를 표시하고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를 추가하기 위한 동작을 종료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홈 스크린을 편집하여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를 추가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고,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를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전자 장치의 홈 스크린에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를 추가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는 다수 번의 조작을 통해 전자 장치의 홈 스크린에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를 추가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 사용자는 홈 스크린을 손쉽게 편집하기 위한 개선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홈 스크린에 객체 추가를 위한 영역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홈 스크린에 객체 추가를 위한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홈 스크린에 객체 추가를 위해 기 설정된 객체를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홈 스크린에 객체 추가 시, 객체 추가를 위한 영역을 확인하고, 객체를 추가하기 위한 영역을 표시함으로써, 전자 장치 사용자는 객체 추가를 위한 영역을 쉽게 인지하여 객체 추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홈 스크린을 편집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내비게이션 및 MP3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오디오 처리부(130), 입출력 제어부(140), 터치스크린(150) 및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110)는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프로그램(114)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15)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112)는 전자 장치의 홈 스크린을 구성하는 객체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은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객체를 홈 스크린에 추가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을 통해 홈 스크린에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1영역을 표시한 후,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은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은 제1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제1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이동시켜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한다.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한 후,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을 통해 홈 스크린에 제1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홈 스크린의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은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에 대한 이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홈 스크린의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표시부(152) 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에 의해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부(15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은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에 의해 제1객체를 표시부(15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115)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인터페이스(123)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화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131) 및 마이크로폰(1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출력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50) 및 입력부(16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스크린(150)은 정보의 출력 및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장치로, 터치 입력부(151)와 표시부(152)를 포함한다.
터치 입력부(151)는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14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이때, 터치 입력부(151)는 전자 펜 또는 손가락에 의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14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2)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2)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으로부터 제공받은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2)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에 의해 제1객체를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152)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에 의해 제1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14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60)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는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2)는 연결 제어 프로세서(210),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객체를 홈 스크린에 추가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를 통해 홈 스크린에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1영역을 표시한 후,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는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는 제1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제1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이동시켜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한다.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한 후,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를 통해 홈 스크린에 제1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홈 스크린의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에 대한 이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홈 스크린의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4)을 실행하여 표시부(152) 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는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에 의해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부(15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는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에 의해 제1객체를 표시부(15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객체 제어 프로세서(210)는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객체 제어 프로그램(113)을 포함하는 별도의 객체 구성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301단계에서 홈 스크린에 제1객체 추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601)에서 기준 시간 이상 터치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601)에 "객체 추가 메뉴"(615)를 표시한다. "객체 추가 메뉴"(615)에서 "위젯"(611)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을 표시한다.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에 "뮤직"(621) 위젯을 추가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한다.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 위젯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601)에 "뮤직"(621)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631)을 표시한다. 이때,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1영역(631)과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겹쳐지게 표시할 수도 있다.
제1영역을 표시한 후, 전자 장치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홈 스크린의 제1페이지(605)의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이때, 홈 스크린의 제1페이지(605)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홈 스크린의 제1페이지(605)에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포함하는 폴더(661)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포함하는 폴더(661)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폴더(66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 이동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제2객체를 이동시킨 경우, 전자 장치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에 뮤직 위젯(65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에 대한 편집 모드를 자동으로 중지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삭제하여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하여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화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절차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화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means)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하는 제1수단(311),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하는 제2수단(313), 제2객체를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3수단(315) 및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하는 제4수단(317)을 포함한다.
제1수단(311)은, 홈 스크린에 제1객체 추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601)에서 기준 시간 이상 터치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601)에 "객체 추가 메뉴"(615)를 표시한다. "객체 추가 메뉴"(615)에서 "위젯"(611)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을 표시한다.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에 "뮤직"(621) 위젯을 추가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한다.
제2수단(313)은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 위젯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601)에 "뮤직"(621)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631)을 표시한다. 이때,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1영역(631)과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겹쳐지게 표시할 수도 있다.
제3수단(315)은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홈 스크린의 제1페이지(605)의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이때, 홈 스크린의 제1페이지(605)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홈 스크린의 제1페이지(605)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포함하는 폴더(661)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포함하는 폴더(661)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폴더(66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 이동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제4수단(317)은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에 뮤직 위젯(65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에 대한 편집 모드를 자동으로 중지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삭제하여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하여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화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들을 포함한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화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을 하나의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401단계에서 홈 스크린에 제1객체를 추가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601)에서 기준 시간 이상 터치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601)에 "객체 추가 메뉴"(615)를 표시한다. "객체 추가 메뉴"(615)에서 "위젯"(611)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을 표시한다.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에 "뮤직"(621) 위젯을 추가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뉴"(603) 버튼(touch 버튼 및 물리 버튼)에 대한 적어도 한번의 조작을 통해 홈 스크린(601)에 "객체 추가 메뉴"(615)를 표시할 수도 있다. "객체 추가 메뉴"(615)에서 "위젯"(611)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을 표시한다.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에 "뮤직"(621) 위젯을 추가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613), 적어도 하나의 위젯(611) 및 홈 스크린에 추가할 수 있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만일, 홈 스크린에 객체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홈 스크린에 객체를 추가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 위젯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601)에 "뮤직"(621)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631)을 표시한다. 이때,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1영역(631)과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겹쳐지게 표시할 수도 있다.
제1영역을 표시한 후, 전자 장치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충분한 경우, 전자 장치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제1객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631)에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뮤직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충분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에 뮤직 위젯(65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에 대한 편집 모드를 자동으로 중지할 수도 있다.
한편,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뮤직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의 제1페이지(605)에서 제1영역(631)을 제외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지 확인한다.
만일,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충분한 경우, 전자 장치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홈 스크린의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홈 스크린의 제1페이지(605)의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홈 스크린의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이동하여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제1객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에 뮤직 위젯(65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에 대한 편집 모드를 자동으로 중지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삭제하여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하여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홈 스크린의 제1페이지(605)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포함하는 폴더(661)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포함하는 폴더(661)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폴더(66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 이동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501단계에서 홈 스크린에 제1객체를 추가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601)에서 기준 시간 이상 터치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601)에 "객체 추가 메뉴"(615)를 표시한다. "객체 추가 메뉴"(615)에서 "위젯"(611)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을 표시한다.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에 "뮤직"(621) 위젯을 추가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뉴"(603) 버튼(touch 버튼 및 물리 버튼)에 대한 적어도 한번의 조작을 통해 홈 스크린(601)에 "객체 추가 메뉴"(615)를 표시할 수도 있다. "객체 추가 메뉴"(615)에서 "위젯"(611)이 선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을 표시한다.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에 "뮤직"(621) 위젯을 추가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613), 적어도 하나의 위젯(611) 및 홈 스크린에 추가할 수 있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만일, 홈 스크린에 객체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홈 스크린에 객체를 추가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목록(623)에서 "뮤직"(621) 위젯이 선택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스크린(601)에 "뮤직"(621)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631)을 표시한다. 이때,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1영역(631)과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겹쳐지게 표시할 수도 있다.
제1영역을 표시한 후, 전자 장치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충분한 경우, 전자 장치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제1객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631)에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뮤직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충분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에 뮤직 위젯(65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에 대한 편집 모드를 자동으로 중지할 수도 있다.
한편,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전자 장치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6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뮤직 위젯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포함하는 폴더(661)를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한 후, 전자 장치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에 대한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포함하는 폴더(661)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에 대한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의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에 대한 이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홈 스크린의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서 폴더(661)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폴더(66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633)를 홈 스크린의 제2페이지(607)에 이동하여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제1객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에 뮤직 위젯(65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스크린에 대한 편집 모드를 자동으로 중지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507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가 생성됨과 동시에 제1영역에 제1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및 전자 장치의 홈 스크린에 추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겹쳐지게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제1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 외에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새로운 페이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1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 외에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폴더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이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제1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의 바로가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 및 전자 장치의 홈 스크린에 추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어는,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삭제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어는,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겹쳐지게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제1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 외에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페이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이동시키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영역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제1영역을 포함하는 페이지 외에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폴더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상기 새로운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폴더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0항이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2객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객체를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10356A 2013-01-30 2013-01-30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7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356A KR102078753B1 (ko) 2013-01-30 2013-01-30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090,358 US20140215364A1 (en) 2013-01-30 2013-11-26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AU2013270538A AU2013270538A1 (en) 2013-01-30 2013-12-12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CN201410042198.XA CN103970411B (zh) 2013-01-30 2014-01-28 用于配制屏幕的方法和电子装置
EP14153101.2A EP2763131A1 (en) 2013-01-30 2014-01-29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AU2015249047A AU2015249047B2 (en) 2013-01-30 2015-10-27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356A KR102078753B1 (ko) 2013-01-30 2013-01-30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810A true KR20140097810A (ko) 2014-08-07
KR102078753B1 KR102078753B1 (ko) 2020-02-19

Family

ID=5007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356A KR102078753B1 (ko) 2013-01-30 2013-01-30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15364A1 (ko)
EP (1) EP2763131A1 (ko)
KR (1) KR102078753B1 (ko)
CN (1) CN103970411B (ko)
AU (2) AU2013270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4211B (zh) * 2014-04-04 2017-08-25 华为终端有限公司 界面元素的自动调整方法和装置
KR20150134949A (ko) * 2014-05-23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319286B1 (ko) * 2014-08-13 2021-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래그 앤 드롭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338765B2 (en) 2014-09-05 2019-07-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bined switching and window placement
US20160147381A1 (en) * 2014-11-26 2016-05-2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US10466889B2 (en) 2017-05-16 2019-1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CN109917976B (zh) * 2017-12-25 2023-06-20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终端的微件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WO2019126952A1 (zh) * 2017-12-25 2019-07-04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终端的微件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968364B (zh) * 2019-11-28 2023-11-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添加快捷插件的方法、装置及智能设备
US11416127B2 (en) 2020-03-10 2022-08-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ES2938810A1 (es) * 2021-10-11 2023-04-14 Seat Sa Metodo implementado por ordenador de configuracion de un monitor tactil, programa de ordenador y sistema
US11842028B2 (en) 2022-05-06 2023-1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EP4273677A1 (en) 2022-05-06 2023-11-0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501A1 (en) * 2010-04-07 2011-10-1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KR20110137443A (ko) * 2010-06-17 201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0786A (ko) * 2010-09-20 201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말장치 및 그 방법
WO2012078079A2 (en) * 2010-12-10 2012-06-14 Yota Devices Ipr Ltd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8584B2 (ja) * 2006-07-31 2009-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966375B2 (en) * 2009-09-07 2015-02-24 Apple Inc. Management of application programs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033710B (zh) * 2010-04-07 2015-03-11 苹果公司 用于管理文件夹的方法和相关设备
CN101833418B (zh) * 2010-04-28 2014-12-3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在界面中添加图标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H703723A1 (de) * 2010-09-15 2012-03-15 Ferag Ag Verfahren zur konfiguration einer grafischen benutzerschnittstelle.
EP2431870B1 (en) * 2010-09-17 2019-1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62297A (ko) * 2010-12-06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CN102081502A (zh) * 2011-01-24 2011-06-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移动终端待机界面上管理图标的方法及移动终端
KR101830777B1 (ko) * 2011-05-11 2018-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80968B1 (ko) * 2011-06-02 2014-04-04 주식회사 팬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2306080A (zh) * 2011-08-25 2012-01-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型电子装置及其图标移动的方法
KR101873744B1 (ko) * 2011-11-29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19513B1 (ko) * 2012-01-20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501A1 (en) * 2010-04-07 2011-10-1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KR20110137443A (ko) * 2010-06-17 201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0786A (ko) * 2010-09-20 201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단말장치 및 그 방법
WO2012078079A2 (en) * 2010-12-10 2012-06-14 Yota Devices Ipr Ltd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70411A (zh) 2014-08-06
KR102078753B1 (ko) 2020-02-19
AU2015249047A1 (en) 2015-11-12
US20140215364A1 (en) 2014-07-31
CN103970411B (zh) 2018-02-02
AU2015249047B2 (en) 2016-10-20
EP2763131A1 (en) 2014-08-06
AU2013270538A1 (en)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753B1 (ko)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44414B1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6990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essage function
KR102207861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069862B1 (ko) 가상 키패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51834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EP3030960B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70185290A1 (en) Method for changing display ran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94013B1 (ko) 전자 장치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61776B1 (ko) 객체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23084A (ko)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20140040401A (ko) 한 손 제어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20130131106A (ko)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44056A (ko) 객체 편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07909A (ko) 가상 키패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416070A1 (en) P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096581B1 (ko) 표시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61798B1 (ko) 수식 연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948425A (zh) 角标展示方法及装置
KR102081389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21370A (ko) 터치 반응성 개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045895B (zh) 信息处理方法、系统、介质和计算设备
KR102111147B1 (ko) 메모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42815B1 (ko) 전자 장치에서 시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91300A (ko) 특수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