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698A - 무선 통신이 가능한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이 가능한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698A
KR20140097698A KR1020130009746A KR20130009746A KR20140097698A KR 20140097698 A KR20140097698 A KR 20140097698A KR 1020130009746 A KR1020130009746 A KR 1020130009746A KR 20130009746 A KR20130009746 A KR 20130009746A KR 20140097698 A KR20140097698 A KR 20140097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voice
signal
call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준일
김종진
구윤서
김동욱
엄준훤
최종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7698A/ko
Publication of KR2014009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1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 G10L21/0364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for improving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타겟 단말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난청 보상 장치는 발신 단말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착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는 음성 보상부; 및 보상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이 가능한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COMPENSATING A HEARING IMPAIRMENT APPARATUS AND METHO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이하의 일실시예들은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난청 보상 장치로 타겟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함으로써, 난청자가 전화 통화할 경우, 용이하게 상대방의 음성을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청 보상 장치는 난청자가 들을 수 있는 주변 소리를 보상하여 난청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난청자가 정상적으로 소리를 인식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난청 보상 장치는 난청자의 귀에 장착하게 되므로 난청자가 전화 통화를 할 경우, 전화기의 스피커 부분이 난청 보상 장치에 접촉하여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아날로그 통신을 이용하여 전화기에서 난청 보상 장치로 음성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통신 채널이 단 방향이므로 난청자의 음성을 전화기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손을 사용하여 휴대 전화기를 얼굴 근처에 위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난청자가 주변 소리를 보상 받으면서도 용이하게 전화를 할 수 있는 난청 보상 방법이 요구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는 발신 단말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착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는 음성 보상부; 및 보상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음성 보상부는 상기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착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별로 증폭하여 보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음성 신호 출력부는 발신 단말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호 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는 호 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발신자를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음성 신호 출력부는 발신자를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오디오 신호 생성부는 착신자의 주소록 정보에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고, 발신자 정보가 검색된 경우,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오디오 신호 생성부는 착신자의 주소록 정보에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고, 발신자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수신부는 보상한 음성 신호를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는 발신자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수집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발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는 음성 보상부; 및 착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음성 보상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발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별로 증폭하여 보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송신부는 상기 보상한 오디오 신호를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는 발신자의 음성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서 발신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송신부는 상기 발신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착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발신자의 음성이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발신자의 음성이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은 발신 단말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착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 및 보상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발신 방법은 발신자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수집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발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일례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발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100)는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여 사용자 주변 소리를 보상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무선 통신으로 타겟 단말(101)과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난청자일 수 있다. 또한, 타겟 단말(101)는 난청 보상 장치(100)와 무선 통신으로 전화 통화를 하는 단말이거나, 난청 보상 장치(100)에 무선 통신으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난청 보상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 음성 보상부(120), 제어 명령 입력부(130), 송수신부(140),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 및 신호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수집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는 마이크일 수 있다.
음성 보상부(120)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가 변환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보상부(120)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하여 보상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식별하고, 식별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버튼이나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사용자의 음성에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 신호는 음성 보상부(120), 송수신부(140) 및 신호 출력부(160)를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 음성 보상부(120)에 포함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설정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송수신부(140)가 타겟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신호는 신호 출력부(160)가 출력하는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가 변환한 오디오 신호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음성이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이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에게 전화 통화"라고 말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 (130)는 오디오 신호에서 " A에게 전화 통화"라는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A에게 전화 통화를 시도"라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40)는 주소록에서 A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하며, 해당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A의 단말에 호 신호를 전송하여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송수신부(140)는 제어 신호 생성부(130)가 생성한 제어 신호에 따라 타겟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40)는 사용자가 발신하는 경우,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사용자가 착신하는 경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신부는 타겟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가 변환한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부는 타겟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140)는 음성 보상부(120)가 보상한 오디오 신호를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타겟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40)는 44.1KHz 를 초과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타겟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신호 생성부(130)가 오디오 신호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경우, 송수신부(14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타겟 단말(10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40)는 타겟 단말(101)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타겟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대방은 타겟 단말(101)을 이용하는 이용자거나, 타겟 단말(101)의 소유자일 수 있다. 또한, 호 신호는 호 신호를 전송한 타겟 단말(101)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보상부(120)는 수신한 음성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4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타겟 단말(101)에 접속하고, 타겟 단말(101)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음성 보상부(120)는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40)가 타겟 단말(101)로부터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는 타겟 단말(101)이 재생하는 음악 파일, 동영상 또는 오디오 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호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대방을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정보는 타겟 단말(101)의 전화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가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된 오디오 신호일 수도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가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가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된 오디오 신호가 아닌 경우, 음성 보상부(120)가 오디오 신호를 보상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에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대방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대방 정보가 검색된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상대방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소록에 타겟 단말(101)의 전화 번호가 A로 등록된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A로부터 전화 왔습니다"라는 내용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대방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타겟 단말(101)의 전화 번호로부터 전화 왔습니다"라는 내용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출력부(160)는 음성 보상부(120)가 보상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출력부(160)는 타겟 단말(101)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호 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신호 출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가 생성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사용자 주변 소리를 보상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 단말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난청 보상 장치(100)는 타겟 단말기(101)로부터 수신한 호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호 신호를 승낙하여 통화가 연결되는 경우, 타겟 단말(101)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난청 보상 장치(100)가 발신 단말로 동작하는 경우, 송수신부(14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타겟 단말(101)에 호 신호를 전송하고, 타겟 단말(101)이 호 신호를 승낙하는 경우, 타겟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수신부(140)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가 변환한 오디오 신호를 타겟 단말(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는 사용자의 귀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므로, 사용자의 음성이 다른 소리에 묻혀서 식별이 어려운 오디오 신호로 변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가 변환한 오디오 신호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송수신부(140)는 제어 신호 생성부(130)가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타겟 단말(101)에 전송함으로써, 타겟 단말(101)을 소지한 상대방이 사용자의 음성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난청 보상 장치(100)가 착신 단말로 동작하는 경우, 송수신부(140)는 타겟 단말(101)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전화가 왔다는 내용의 오디오 신호, 상대방에게 전화가 왔다는 내용의 오디오 신호, 및 타겟 단말의 전화 번호로부터 전화가 왔다는 내용의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출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가 생성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의 내용을 청취하고, 통화를 원하는 경우, 음성이나 버튼을 이용하여 통화를 승낙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호 신호의 승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를 승낙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호 신호를 승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통화를 거절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호 신호를 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를 승낙한 경우, 송수신부(140)는 타겟 단말(101)로부터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보상부(120)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고, 신호 출력부(160)는 음성 보상부(120)가 보상한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의 음성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일례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례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난청 보상 장치(100)는 마이크(210), ADC(220), 컨트롤러(230), DAC(240), 스피커(250), 트랜시버(260), 메모리(270) 및 입력 인식기(28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10)는 사용자의 말소리나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주변 소리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210)는 도 1의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에 대응할 수 있다.
 ADC(Analog-to-digital converter)(220)는 마이크(210)가 변환한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디지털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컨트롤러(Controller)(230)는 ADC(22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전기 신호를 메모리(270)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된 소리로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타겟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전화 통화하는 경우, 컨트롤러(230)는 트랜시버(260)가 입력 받은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메모리(270)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된 소리로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30)는 ADC(23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트랜시버(26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230)는 도 2의 음성 보상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30)는 전화 통화에 필요한 콜(call) 발생 및 콜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때, 콜 발생에 대한 처리는 도 2의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가 호 신호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30)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DAC(2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난청 보상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display screen)을 대신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콜 요청에 대한 처리는 제어 신호 생성부(130)가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DAC(240)는 컨트롤러(230)가 보상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스피커(250)는 DAC(240)가 변환한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즉, 스피커(250)는 도 1의 신호 출력부(160)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트랜시버(Transceiver)(260)는 전화 통화 시 컨트롤러(23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타겟 단말(200)의 무선 통신 신호를 상대방의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트랜시버(260)는 컨트롤러(230)에서 보상하는 음성 신호와의 간섭을 막기 위해 무선 통신에 44.1K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트랜시버(260)는 도 1의 송수신부(140)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안테나는 트랜시버(260)가 출력하는 신호를 타겟 단말(200)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타겟 단말(200)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비롯해 난청 보상과 관련된 파라미터와 휴대 전화 기능을 조절하는 파라미터, 전화 번호, 통화 내역, 및 사용자에게 제공할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인식기(Input recognizer)(280)는 ADC(23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의 디지털 음성 신호나 난청 보상 장치(100)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받은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식별하고, 식별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2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 또는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310)에서 송수신부(140)는 호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송수신부(140)는 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호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단계(310)에서 수신한 호 신호와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 출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가 생성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단계(310)에서 수신한 호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호 신호를 전송한 상대방을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에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대방 정보를 검색하고, 상대방 정보가 검색된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상대방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소록에 타겟 단말(101)의 전화 번호가 A로 등록된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A로부터 전화 왔습니다"라는 내용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생성부(150)는 "타겟 단말(101)의 전화 번호로부터 전화 왔습니다"라는 내용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제어 신호 생성부(130)은 단계(320)에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청취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호 신호의 승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를 승낙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호 신호를 승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통화를 거절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호 신호를 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승낙한 경우, 송수신부(140)는 단계(34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송수신부(140)는 타겟 단말(101)로부터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음성 보상부(120)는 단계(340)에서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보상부(120)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하여 보상할 수 있다.
단계(360)에서 신호 출력부(160)는 단계(350)에서 보상한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의 음성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난청 보상 장치의 발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난청 보상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 소리를 보상받고 있던 사용자가 타겟 단말에 통화를 요청할 경우, 난청 보상 장치(100)의 발신 방법일 수 있다.
단계(410)에서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수집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는 마이크일 수 있다.
단계(420)에서 음성 보상부(120)는 단계(410)에서 변환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보상부(120)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하여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출력부(160)는 음성 보상부(120)가 보상한 오디오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이 통화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버튼이나 터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고, 단계(410)에서 변환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의 음성에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가 변환한 오디오 신호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음성이 통화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이 통화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이 아닌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해당 제어 명령을 수행하며,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는 단계(410)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 명령이 입력하지 않은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통화를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통화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송수신부(140)는 단계(430)에서 생성한 제어 신호에 따라 타겟 단말(101)과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단계(450)에서 송수신부(140)는 단계(440)에서 연결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단계(410)에서 변환한 오디오 신호를 타겟 단말(10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변환부(110)는 사용자의 귀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므로, 사용자의 음성이 다른 소리에 묻혀서 식별이 어려운 오디오 신호로 변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 신호 생성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이용하여 단계(410)에서 변환한 오디오 신호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송수신부(140)는 제어 신호 생성부(130)가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타겟 단말(101)에 전송함으로써, 타겟 단말(101)을 소지한 상대방이 사용자의 음성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40)는 단계(440)에서 연결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타겟 단말(101)로부터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송수신부(140), 음성 보상부(120), 및 신호 출력부(160)의 동작은 도 3의 단계(340), 단계(350) 및 단계(360)과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난청 보상 장치
120: 음성 보상부
130: 제어 신호 생성부
140: 송수신부
160: 신호 출력부

Claims (25)

  1. 발신 단말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착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는 음성 보상부; 및
    보상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난청 보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보상부는,
    상기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착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하여 보상하는 난청 보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는,
    발신 단말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호 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난청 보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발신자를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는,
    발신자를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난청 보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생성부는,
    착신자의 주소록 정보에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고, 발신자 정보가 검색된 경우,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난청 보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생성부는,
    착신자의 주소록 정보에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고, 발신자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난청 보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보상한 음성 신호를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난청 보상 장치.
  8. 발신자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수집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신호 변환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발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는 음성 보상부; 및
    착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난청 보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보상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발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하여 보상하는 난청 보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보상한 오디오 신호를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난청 보상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발신자의 음성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서 발신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발신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난청 보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상기 발신자의 음성이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발신자의 음성이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난청 보상 장치.
  13. 발신 단말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착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 및
    보상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착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하여 보상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발신 단말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호 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호 신호에 포함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발신자를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발신자를 알리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착신자의 주소록 정보에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고, 발신자 정보가 검색된 경우,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착신자의 주소록 정보에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검색하고, 발신자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한 음성 신호를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착신 방법.
  20. 발신자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서 발생하는 소리들을 수집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발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발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발신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하여 보상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발신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보상한 오디오 신호를 간섭하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발신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하는 단계는,
    발신자의 음성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에서 발신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발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의 음성이 제어 명령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발신자의 음성이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난청 보상 장치의 발신 방법.
  25. 제1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할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009746A 2013-01-29 2013-01-29 무선 통신이 가능한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 KR20140097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46A KR20140097698A (ko) 2013-01-29 2013-01-29 무선 통신이 가능한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46A KR20140097698A (ko) 2013-01-29 2013-01-29 무선 통신이 가능한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698A true KR20140097698A (ko) 2014-08-07

Family

ID=5174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746A KR20140097698A (ko) 2013-01-29 2013-01-29 무선 통신이 가능한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76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079A (ko) 2018-08-17 2021-04-14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육불화텅스텐의 제조 방법
CN112954563A (zh) * 2019-11-26 2021-06-11 音科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电子设备、装置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079A (ko) 2018-08-17 2021-04-14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육불화텅스텐의 제조 방법
CN112954563A (zh) * 2019-11-26 2021-06-11 音科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电子设备、装置及存储介质
CN112954563B (zh) * 2019-11-26 2022-10-25 音科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电子设备、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2125B2 (en) Voice activated dialing for wireless headsets
US7650168B2 (en) Voice activated dialing for wireless headsets
US7689248B2 (en) Listening assistance function in phone terminals
EP3361712A1 (en) Voice assistant extension device and working method therefor
US8103315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0900234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phone call audio through handset or headset
JP2002101156A (ja) 携帯電話機及び音声処理方法
CN105282646A (zh) 用以增强移动装置上的多媒体播放的系统及相关设备
US11516599B2 (en) Personal hearing device, external acoustic processing device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03101077A1 (fr) Telephone portable
EP4096202A1 (en) Wireless sound amplification system and terminal
KR101316373B1 (ko)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및 통화 음질 개선 방법
EP1670283A1 (en) Bluetooth headset
CN110996308B (zh) 声音播放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JP7004727B2 (ja) 音声連携システム
KR20140097698A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난청 보상 장치 및 방법
CN101510904A (zh) 一种手机扩音器及其实现方法
US11056106B2 (en) Voice interac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442027B1 (ko) 음향패턴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용 이어폰 인식하는 음향처리 시스템, 음향패턴을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용 이어폰 인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음향 처리 방법.
CN210986386U (zh) 一种tws蓝牙耳机
TWI233741B (en) Mobile communication earphone accommodating hearing aid with volume adjus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6319722B2 (ja) ハンズフリー機器
CN109618062B (zh) 语音交互方法、装置、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100431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50201057A1 (en) Method of processing telephone voice output and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