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565A - 사용자 디바이스 휴면 - Google Patents

사용자 디바이스 휴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565A
KR20140097565A KR1020147018649A KR20147018649A KR20140097565A KR 20140097565 A KR20140097565 A KR 20140097565A KR 1020147018649 A KR1020147018649 A KR 1020147018649A KR 20147018649 A KR20147018649 A KR 20147018649A KR 20140097565 A KR20140097565 A KR 20140097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
modem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란 키쉬안라오 파틸
수레쉬 산카
사티쉬 크리쉬나무르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9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데이터 세션은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사이의 무선 채널에 의해 지원된다. 메시지의 전송 다음에 시간 간격 후에, 제 2 메시지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선택적으로 전송된다. 제 2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메시지는, 데이터가 시간 간격 동안에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되었다는 것을 측정이 나타내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전송된다.

Description

사용자 디바이스 휴면{USER DEVICE DORMANCY}
본 출원은 2010년 7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1/367,160 호로부터 우선권을 청구하며, 상기 가특허 출원의 내용들은 전체적으로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백하게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기술에서의 진보들은 더 작고 더 강력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발생시켜왔다. 예를 들어, 작고, 경량이며, 사용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운반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들(PDA들), 및 페이징 디바이스들과 같은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용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현재 존재한다. 더욱 상세하게, 셀룰러 전화기들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전화기들과 같은 휴대용 무선 전화기들은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패킷들을 통신할 수 있다. 많은 그러한 무선 전화기들은 엔드(end) 사용자들에 대해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부가적인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전화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레코더, 및 오디오 파일 플레이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무선 전화기들은, 인터넷을 액세스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이로써, 이들 무선 전화기들은 상당한 컴퓨팅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따라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러한 디바이스들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고 (100)으로 지정된다. 시스템(100)은 UTRAN(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104)와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102)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04)는 코어 네트워크(106)에 연결된다. 코어 네트워크(106)는 인터넷(108)과 같은 패킷-교환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또는 ISND(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110)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들에 연결된다.
사용자 장비(102)는, 통신 디바이스(114)에 연결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같은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듈(112)을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114)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폰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 디바이스(114)는 고정국, 데이터 단말기 또는 다른 형태의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14)는 데이터 세션 종료 논리(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102)는, 통신 디바이스(114)의 휴면 상태를 요청하는 제 1 요청을 전송하고, 제 1 요청이 액세스 네트워크(104)로 전송된 후에 휴면 상태를 재요청할지를 결정함으로써 감소된 전력 소모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세션 종료 논리(140)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세션 종료 논리(140)는 제 1 요청을 전송한 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에 채널 활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거나, 통신 디바이스(114)가 저전력 상태 또는 활성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메시지들을 통신 디바이스(114)에서 생성하기 위해 전력 상태 논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114)의 전력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휴면 상태에 대한 요청을 재전송함으로써, 통신 디바이스(114)는 에러가 제 1 요청의 전송 동안에 발생될지라도 저전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을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04)는 통신 디바이스(114)가 코어 네트워크(106)를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무선 장비와 같은 무선 통신 장비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04)는 대표적인 등록 영역(120)을 포함하는, 등록 영역들과 같은 다수의 구역들을 포함한다. 구역들 각각은 대표적인 노드 B(122)와 같은 다수의 노드들을 포함한다. 노드들 각각은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전송기 장비를 포함할 수 있고, 대표적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124)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연결된다.
코어 네트워크(106)는 SGSN(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support node)(130) 및 MSC(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134)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106)의 다양한 컴포넌트들과 RNC들 사이의 통신 경로들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104)에 연결된다. SGSN(130)은 HLR(home location register)/AuC(authentication center)(138)에 연결된다. HLR/AuC(138)는 또한 MSC/VLR(134),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132) 및 GMSC(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136)에 연결된다. GGSN(132)은 인터넷(108)에 연결되고, GMSC(136)는 PSTN/ISDN(110)에 연결된다. 코어 네트워크(106)는, 이동성 및 가입자 위치 관리, 및 인증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장비(102)를 (회선-교환 호들에 대해) PSTN(110) 또는 (패킷-교환 호들에 대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 및 라우팅 능력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UMTS 시스템이고, 시그널링은 AS(access stratum) 및 NAS(non-access stratum)로 분할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수행된다.
NAS(non-access stratum) 아키텍처는, 회선-교환 호들을 처리하고 서브계층들을 포함하는 접속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NAS는 호 제어(예를 들면, 설정, 해제), 보충 서비스들(예를 들면, 호 포워딩, 3-방향 호출)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담당할 수 있다. NAS는 패킷-교환 호들을 처리하는 세션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NAS는 회선 교환(CS) 호들에 대한 위치 업데이팅 및 인증을 처리하는 이동성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NAS는 패킷 교환(PS) 호들에 대한 위치 업데이팅 및 인증을 처리하는 GPRS 이동성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AS(access stratum) 아키텍처는, 무선 자원들의 설정, 해제 및 구성을 처리하기 위해 UE(102)와 RNC(124) 사이에 정의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AS는, 분할(segmentation), 재조립, 중복 검출 및 다른 전통적인 계층-2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UE(102)와 RNC(124) 사이에 정의된 RLC(radio link control)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AS는 사용자 플레인 및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해 UE(102)와 RNC(124) 사이에 정의된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AS는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UE(102)와 노드 B 사이에 정의된 물리 계층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 계층에서 UE(102)와 RNC(124)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매크로다이버시티(macrodiversity) 결합 및 분할 기능들을 처리할 수 있다.
NAS는 RRC(AS의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초기 직접 전송 절차는 시그널링 접속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초기 직접 전송 절차는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초기 더 높은 계층(NAS) 메시지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운링크 직접 전송 절차는 다운링크 방향으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NAS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 직접 전송 절차는 업링크 방향으로 시그널링 접속에 속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NAS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사용자들에 대한 고속 휴면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 릴리즈 8에 소개된 특징이다. 고속 휴면의 특징은 다수의 이점들을 제안한다. 예를 들면, 고속 휴면은,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된 상태에 머물도록 요구되는 시간의 양의 상당한 감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접속된 상태의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은 배터리 수명에 대한 상당한 개선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네트워크들에서 UE(102)를 유휴로 전환하기 위해 고속 휴면을 사용하는 UMTS 디바이스 상에서, 네트워크의 구성에 의존하여 100 % 이상의 대기 시간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예로서, 사용되지 않는 무선 자원들을 해제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유휴 상태, URA_PCH(UTRAN registration area paging channel) 상태, 또는 CELL_PCH(cell paging channel)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네트워크는 또한 다른 사용자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여분의 용량을 해방시킬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에, 비록 디바이스가 그의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고 추가적인 데이터 교환을 예상하지 않더라도, 디바이스는 네트워크가 전용 데이터 채널(CELL_DCH) 상태 또는 고속 액세스 채널(CELL_FACH) 상태로부터 유휴 또는 CELL_PCH 또는 URA_PCH 상태들로 디바이스를 전환하기를 기다려야 한다. 이러한 지연은 고속 휴면이 없는 시스템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네트워크가 모바일 단말기가 전송할 더 많은 데이터를 갖는지 결정하는 어떠한 방법도 갖지 않으므로, 따라서 필요한 시간보다 훨씬 더 긴 시간 기간 동안에 모바일을 데이터 전송 상태들(예를 들면, CELL_DCH 또는 CELL_FACH)로 유지하기 때문이다. 네트워크는, 전송할 더 많은 데이터 패킷들이 존재하는 경우의, 후속 패킷 데이터 전송들을 위한 부가적인 설정 지연을 회피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긴 시간 동안에 모바일을 데이터 전송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UMTS 네트워크들이 특정 애플리케이션들의 데이터 전송 특징들을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필요한 것보다 더 긴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 상태들로 유지될 수 있고, 잠재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과도한 배터리 고갈을 유발할 수 있다.
UE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이 교환할 어떠한 더 많은 데이터를 갖는지를 자발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확인 응답 및 애플리케이션 특정 비활성 타이머들의 사용에 의해, UE(102)는 애플리케이션이 교환할 어떠한 더 많은 데이터도 갖지 않는다는 표시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기에 적절한 시기를 신뢰할 수 있게 결정할 수 있을 수 있다.
고속 휴면은, UTRAN(104)로의 데이터 전송 세션의 종료를 나타내는 원인 값(cause value)을 포함함으로써 UE(102)가 RRC SCRI(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 메시지로 이러한 표시를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 세션의 종료 원인 값을 포함하는 SCRI 메시지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UE(102)가 더 이상의 표시된 시그널링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네트워크는 UE(102)를 처리할 방법에 대해 알려진 결정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시그널링 접속을 해제하기로 결정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 이어서 네트워크는 RRC 접속을 해제하기로 결정하고, UE(102)를 유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미래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더 빠른 재구성을 제공하는 동안에 유사한 배터리 절약들을 획득하기 위해 UE(102)를 CELL_PCH 또는 URA_PCH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속 휴면은, 네트워크가 결국은 저전력 상태 커맨드를 전송하기를 기다리는 종래의 프로세서보다 UE(102)가 활성 데이터 전송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훨씬 더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UE(102)가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고속 휴면은 UE(102)의 데이터 세션 종료 논리(140)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SCRI 메시지는 비-확인 응답 모드에서 전송될 수 있고, 특정 상황들 하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수 있거나, 네트워크에 의한 응답이 UE(102)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속 휴면을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미국특허공개공보 US2010/0062781, 국제공개공보 WO2010/054391, 및 미국특허공개공보 US2003/0039225에 개시되어 있다.
모바일 폰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에 시간 기간이 지난 후에,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재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의 모뎀은 데이터가 데이터 세션을 지원한 무선 채널을 통해 시간 기간 동안에 전송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시간 기간 동안에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되지 않았다면, 메시지가 재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활성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에 있는지의 표시는 데이터 세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은 메시지를 재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데이터 세션은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사이의 무선 채널에 의해 지원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메시지의 전송 다음에 시간 기간 후에, 제 2 메시지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메시지는, 데이터가 시간 기간 동안에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되었다는 것을 측정이 나타내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전송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데이터 세션은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사이의 무선 채널에 의해 지원된다. 모뎀은,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에 시간 기간 후에,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제 2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2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메시지는, 데이터가 시간 기간 동안에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되었다는 것을 측정이 나타내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휴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휴면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또한, 메시지의 전송 다음에 시간 기간의 만료 후에, 상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휴면 요청을 수신하고, 휴면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한다.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모뎀은 메시지의 전송 다음에 시간 기간의 만료 후에 상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태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휴면 요청을 통신 디바이스의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가 활성 상태 또는 저전력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모뎀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가 활성 상태에 있다는 것을 상태 정보가 나타내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휴면 요청을 모뎀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휴면 요청을 통신 디바이스의 모뎀으로 전송하고,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모뎀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휴면 요청을 상기 모뎀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된 하나의 특정 이점은, 데이터 세션이 종료된 후에 네트워크로 하여금 통신 디바이스를 저전력 상태로 전환하게 하기 위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재전송함으로써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감소된 전력 소모이다. 예를 들면,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제 1 메시지는 네트워크에 의해 분실될 수 있다. 메시지를 재전송함으로써, 통신 디바이스는, 저전력 상태로의 전환 전에 네트워크 사용 타이머가 만료되기를 기다리는 종래의 디바이스보다 더 빠르게 저전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 이점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섹션들: 도면들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청구항들을 포함하는 전체 출원을 검토한 후에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데이터 세션 종료 논리를 갖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
도 2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재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다리도.
도 3은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재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
도 4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재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다리도.
도 5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재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
도 6은 데이터 세션 종료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재전송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
도 7은 데이터 세션 종료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재전송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
상술한 바와 같이, UE(102)가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고속 휴면은 UE(102)의 데이터 세션 종료 논리(140)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CRI 메시지는 비-확인 응답 모드에서 전송될 수 있고, 특정 상황들 하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수 있거나, 네트워크에 의한 응답이 UE(102)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UE(102)는, 도 2 내지 도 7에 관련하여 추가로 기재된 바와 같이, 시그널링 접속의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SCRI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저전력 상태로 전환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로 재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제 1 특정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2의 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SCRI에 응답하지 않는 UMTS 네트워크의 고속 휴면을 사용하는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예시한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202) 및 사용자 장비(UE)의 무선 자원 제어(RRC)(UE-RRC)(204) 사이의 시그널링이 예시된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202) 및 UE-RRC(204)는 도 1의 UE(102)에서 구현될 수 있다. UE-RRC(204)는, 각각 도 1의 RNC(124) 및 인터넷(108)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206) 및 패킷 교환 도메인(PS CN)(208)과 통신한다.
1. 사용자 애플리케이션(202)(예를 들면, 10분마다 한번 도 1의 인터넷(108)에서 서버와 동기화(210)하는 도 1의 UE(102)의 이메일 클라이언트)은, RRC 접속(214)을 설정할 RRC 접속 요청 메시지(212)를 UE-RRC(204)로 하여금 전송하게 할 패킷 교환(PS) 데이터 호를 수행한다.
2. PS 도메인은 UE가 IDT(initial direct transfer) 메시지(216)를 전송함으로써 개방된다.
3. 네트워크는 RB 설정 메시지(218)의 부분으로서 PS 무선 베어러들(RB들)을 설정하고, UE는 RB 설정 완료 메시지(220)를 전송할 수 있다.
4. 사용자 애플리케이션(202)은 데이터 세션을 종료하고(예를 들면,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완료함), 애플리케이션(202)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완료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예를 들면, UMTS 프로토콜에 따라) 휴면 요청(222)을 모뎀으로 트리거링한다.
5. 휴면 요청(222)에 응답하여, UE-RRC 계층(204)은 네트워크(예를 들면, UTRAN)로의 데이터 전송 세션의 종료를 나타내는 원인 값을 포함하는 RRC SCRI(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 메시지(224)를 전송한다. 원인 값은,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UE가 더 이상 시그널링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타이머(T323)가 시작된다. UE는, 타이머(T323)가 실행되는 동안에 "UE가 PS 데이터 세션 종료를 요청함"으로 설정된 "시그널링 접속 해제 표시 원인" 정보 엘리먼트(IE)를 사용하여 SCRI 메시지(224)를 전송(또는 재전송)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시그널링 접속을 해제하도록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네트워크는 RRC 접속을 해제하고, UE가 유휴 상태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미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더 빠른 재구성을 또한 가능하게 하면서 배터리 절약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UE를 CELL_PCH 또는 URA_PCH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배터리 절약 상태(즉, RRC 상태 IDLE, CELL_PCH 또는 URA_PCH)에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시그널링 접속을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불량한 무선 조건들로 인해 RRC SCRI(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 메시지(224)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3GPP 규격에 따라, SCRI 메시지(224)의 전달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 SCRI 메시지(224)가 수신될 수 있지만, 네트워크는 RRC SCRI(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 메시지(224)를 수신한 후에 UE를 배터리 절약 상태로 두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는 UE를 배터리 절약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지만, 메시지가 분실될 수 있다(예를 들면, 비확인 응답 모드를 사용하여 전송된 RRC 접속 해제).
이러한 경우들에서, UE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UE의 전력 절약 상태들에 대한 네트워크 동작들을 인지할 수 없다. 종래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초기에 휴면 요청(222)을 트리거링할 수 있지만, 데이터 세션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휴면 요청을 재전송할 수 없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1) 임의의 이메일이 다운로딩되는지, 및 (2) 이메일이 다운로딩되고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이메일들을 다운로딩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와의 주기적인 동기화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3) 연장된 기간 동안에 어떠한 데이터도 검출되지 않은 후에,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SCRI(224)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휴면 요청(222)을 프로토콜 계층(4)으로 트리거링할 수 있다. (5) 애플리케이션 절차는 그의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고, "연장된 기간 동안에 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검출하지 못할 수 있어서, 애플리케이션(202)이 추가적인 휴면 요청들을 프로토콜 계층들로 트리거링하지 않을 수 있다.
6. UE-RRC(204)는 임의의 데이터 거래들에 대한 무선 베어러 파이프(즉, 데이터를 사용자 애플리케이션(202)으로 전달하는 논리 파이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202)이 휴면 요청(222)을 UE 프로토콜로 트리거링할 때, UE-RRC(204)는 IE "시그널링 접속 해제 표시 원인"을 "UE가 PS 데이터 세션 종료를 요청함"으로 설정함으로써 SCRI 메시지(224)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것이다. UE는, 애플리케이션(202)이 휴면을 요청하고 애플리케이션(202)이 전송할 어떠한 데이터도 갖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카운터 "Count_C"를 폴링(polling)함으로써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또는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달하는 무선 베어러 파이프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 카운터는 임의의 데이터가 전송 또는 수신되는 경우에 증분되는 넘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임의의 데이터가 전송 또는 수신되는 경우에 증분되는 RLC 시퀀스 넘버를 폴링함으로써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임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달하는 무선 베어러 파이프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
타이머(T323)의 만료(226) 시에, 네트워크가 UE를 배터리 절약 상태로 전화하지 않는다면(즉, UE가 저전력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부터 배터리 절약들을 갖지 않음), UE는 사용자 무선 링크 제어(RLC) 파이프 상에서 임의의 활동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T323 타이머가 시작될 때 및 T323 시간의 만료(226) 사이의 시간 기간 동안에 UE에서 RLC 파이프 상에 어떠한 활동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 UE는 SCRI 메시지(230)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사용자 RLC 파이프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 UE는 N 개까지의 사이클들 동안에(N은 양의 정수임) SCRI 전송/T323 실행/비활동 프로세스에 대한 체크를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가 UE를 배터리 절약 상태로 전환하면 무선 베어러 파이프를 폴링하는 프로세스를 중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UE-RRC(204)가 (예를 들면, Count-C 또는 RLC 시퀀스 넘버에 기초하여) 무선 베어러를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SCRI 메시지(224)를 전송한 후에 데이터 전송이 중지되는지를 결정하고, SCRI(230)를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202)과 독립적으로 UE-RRC(204)에서 발생할 수 있다. UE는, 애플리케이션(202)이 휴면 요청(222)을 전송한 후에 정지할지라도 SCRI(230)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중앙 집중된 폴링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UE 프로토콜은 또한 UE가 배터리 절약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RRC 상태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휴면 요청을 선택적으로 재전송하는 방법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방법(300)은, (302)에서,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는, 도 1의 통신 디바이스(114)로부터 도 1의 UTRAN(104)의 대표적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24)로 전송되는 SCRI 메시지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세션은, 도 2의 메시지들(218-220)을 통해 UE-RRC(204)와 RNC(206) 사이에 설정된 무선 베어러(RB)와 같은, 제어기와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채널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304)에서 시간 기간이 만료되었는지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시간 기간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일 수 있다. 예시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UMTS 시스템의 T323 타이머 시작 내지 T323 타이머의 만료의 시간 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시간 기간이 종료되지 않을 때(예를 들면,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음), 프로세싱은 (304)로 복귀한다.
시간 기간이 종료될 때(예를 들면, 타이머가 만료됨), 프로세싱은 (306)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진행된다. (306)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방법이 (308)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306)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에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싱은 데이터가 시간 기간 동안에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된다는 것을 측정이 나타내는지의 결정이 이루어지는 (310)으로 진행된다.
데이터가 시간 기간 동안에 통신된다는 것을 측정이 나타낼 때, 상기 방법은 (308)에서 종료된다. 데이터가 시간 기간 동안에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측정이 나타낼 때, (312)에서 전송된 메시지들의 수의 카운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312)에서 전송된 메시지들의 수의 카운트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때, 프로세싱은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다음 메시지가 전송되는 (302)로 복귀한다. 예를 들면, 다음 메시지는 SCRI 메시지의 재전송일 수 있다. 그러나, (312)에서 전송된 메시지들의 카운트가 임계치를 초과할 때, 상기 방법은 (308)에서 종료된다.
방법(300)은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활성 상태 및 저전력 상태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가 전송될 때 활성 상태에 있는다. 저전력 상태는 유휴 상태, 셀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 상태(CELL_PCH), 등록 영역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 상태(URA_PCH)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는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사이의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사용자 장비(UE)가 패킷 교환(PS) 데이터 세션 종료를 요청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접속 해제 표시 원인 정보 엘리먼트(IE)를 포함하는 SCRI(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세션은 통신 디바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사이의 무선 채널에 의해 지원된다.
무선 채널은 메시지를 전송할 때 시작되는 시간 기간 동안에 모니터링될 수 있다. 시간 기간의 종료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메시지 금지 타이머(예를 들면, T323)의 만료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파라미터의 값은 데이터가 시간 기간 동안에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는 무선 채널을 통해 PDU(protocol data unit) 데이터 통신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규격에 따라 증분되는 카운트(Count-C)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파라미터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규격에 따라 증분되고 PDU 헤더에 시퀀스 넘버로서 제공될 수 있는 RLC(radio link control) 시퀀스 넘버일 수 있다. 데이터가 시간 기간 동안에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시간 기간의 시작에서 파라미터의 제 1 값이 시간 기간의 종료에서 파라미터의 제 2 값과 비교될 수 있다.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시간 기간의 만료 후에, 상기 방법은 제 2 메시지(예를 들면, 제 2 SCRI, 또는 제 1 메시지와 동일한 메시지 재전송)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메시지는, 데이터가 시간 기간 동안에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되었다는 것을 측정이 나타내는지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전송된다.
상기 방법은, 메시지들의 카운트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때, 데이터 세션이 종료된 후에 전송되는 메시지들의 카운트에 기초하여 제 3 또는 후속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하였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312)에서 메시지들의 카운트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때, (302)에서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또 다른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메시지가 분실되는 경우 또는 제 1 메시지에 대한 네트워크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재전송할 수 있다. 제 2 또는 후속 메시지가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 및 반응되면, 통신 디바이스는, 저전력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비활성의 종래의 시간 기간을 기다릴 필요없이 저전력 상태로 전환할 수 있을 수 있다.
도 4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재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4의 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SCRI에 응답하지 않는 UMTS 네트워크의 고속 휴면을 사용하는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한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402) 및 사용자 장비(UE)의 무선 자원 제어(RRC)(UE-RRC)(404)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406) 및 패킷 교환 도메인(PS CN)(408) 사이의 시그널링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도 4는 도 1의 액세스 네트워크(104)를 통한 인터넷(108)에 대한 UE(102)의 통신에 대응할 수 있다.
1. 사용자 애플리케이션(402)(예를 들면, 10분마다 한 번 서버와 동기화(410)하는 이메일 클라이언트)은 RRC 접속(414)을 설정하기 위한 RRC 접속 요청 메시지(412)를 UE-RRC(404)로 하여금 전송하게 하는 패킷 교환(PS) 데이터 호를 수행한다.
2. PS 도메인은 UE가 IDT(initial direct transfer) 메시지(416)를 전송함으로써 개방된다.
3. 네트워크는 RB 설정 메시지(418)의 부분으로서 PS 무선 베어러들(RB들)을 설정하고, UE는 RB 설정 완료 메시지(420)를 전송할 수 있다.
4. 사용자 애플리케이션(402)은 데이터 세션을 종료하고(예를 들면,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완료함), 애플리케이션(402)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완료하였다는 것을 표시하는 (예를 들면, UMTS 프로토콜에 따라) 휴면 요청(422)을 모뎀으로 트리거링한다.
5. 휴면 요청(422)에 응답하여, UE-RRC 계층(404)은,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UE가 더 이상 시그널링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네트워크(예를 들면, UTRAN)로의 데이터 전송 세션의 종료를 나타내는 원인 값을 포함하는 RRC SCRI(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 메시지(424)를 전송한다. UE는 타이머(T323) 시작(426)을 개시한다. UE는, 타이머(T323)가 실행되는 동안에 "UE가 PS 데이터 세션 종료를 요청함"으로 설정된 "시그널링 접속 해제 표시 원인" 정보 엘리먼트(IE)를 사용하여 SCRI 메시지(424)를 전송(또는 재전송)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6. 네트워크는 시그널링 접속을 해제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네트워크는 RRC 접속을 해제하거나 UE를 배터리 절약 상태(428)로 재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RRC 접속 해제 명령 또는 PS RB들에 대한 RB 재구성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430)를 전송할 수 있다. UE는 RRC 접속 해제 및/또는 RB 재구성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432)를 전송할 수 있다. UE는 배터리 절약 상태(434)로 진입할 수 있다.
7. 타이머(T323)의 만료 시에(즉, SCRI(424)가 전송될 때 시작하고 타이머(T323)가 만료될 때 종료되는 시간 기간의 종료에서), UE 프로토콜은 현재 RRC 상태(436)를 사용자 애플리케이션(402)에 표시할 것이다. 예를 들면, RRC 상태(436)는 활성 상태(예를 들면, CELL_DCH 또는 CELL_FACH) 또는 저전력 상태(예를 들면, 유휴, CELL_PCH 또는 URA_PCH)일 수 있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402)은 RRC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또 다른 휴면 요청을 UE 프로토콜로 전송할지를(예를 들면, 휴면 요청(422)을 재전송)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무선 베어러를 모니터링하는 UE-RRC(404)에 의해서보다는 휴면 요청을 트리거링하는 애플리케이션(402)에 의해, SCRI 메시지(424)를 재전송할지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실시예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402)이 휴면 요청(422)을 전송한 후에 UE를 저전력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실패에 응답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맞춤화된 논리를 각각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402)이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휴면 요청을 선택적으로 재전송하는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예시한다. 방법(500)은 (502)에서 휴면 요청이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도 4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402)일 수 있다. 휴면 요청이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다는 것이 결정될 때, (504)에서,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전송된다. 메시지는, 도 4의 RNC(406)로 전송되는 SCRI 메시지(424)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활성 상태 및 저전력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는 메시지가 전송될 때 활성 상태에 있을 수 있다.
(506)에서, 메시지의 전송 후에 시간 기간이 만료되는지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시간 기간은 도 4에 관련하여 기재된 시간 기간일 수 있다. 시간 기간이 종료된 후에, (508)에서 상태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된다. 상태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하기 위해, 상태 정보는, 활성 상태(예를 들면, CELL_DCH 또는 CELL_FACH) 또는 저전력 상태(예를 들면, 유휴, CELL_PCH 또는 URA_PCH)와 같은 현재 무선 자원 제어(RRC) 상태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 후에, 프로세싱은 제 2 휴면 요청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지가 결정되는 (502)로 복귀한다.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2 휴면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메시지는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메시지가 분실되는 경우 또는 제 1 메시지에 대한 네트워크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재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 2 또는 후속 메시지가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 및 반응되면, 통신 디바이스는 저전력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비활성의 종래의 시간 기간들을 기다릴 필요없이 저전력 상태로 전환할 수 있을 수 있다.
도 6은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602)를 포함하는 시스템(600)의 특정 실시예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60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08)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606)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4)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08)는 메모리(610) 및 모뎀(616)에 연결된다. 모뎀(616)은 안테나(620)에 연결된 트랜시버(618)에 연결된다. 통신 디바이스(602)는 무선 채널(660)을 통해 데이터(662)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무선 채널(660)은 UMTS 규격에 따른 무선 베어러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602)는 도 1의 UE(102)에 대응할 수 있고, 도 2 또는 도 3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재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뎀(616)은 무선 채널(660)을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 스택(632)을 실행하는 프로세서(622)를 포함한다. 모뎀(616)은 도 1의 데이터 세션 종료 논리(140)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뎀(616)은 도 2의 UE-RRC(204)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모뎀(616)은 도 3의 방법(300)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632)은 메시지 생성기 모듈(634) 및 채널 활성 검출기(63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616)은 또한 모뎀 코드(638)를 저장하는 메모리(62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모뎀 코드(638)는 프로토콜 스택(632)의 부분 또는 전부를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622)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뎀 코드(638)는 메시지 생성기(634)에 의해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프로세서(62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모뎀 코드(638)는, 채널 활성 검출기(636)를 통해 데이터가 채널(660)을 경유하여 전송 또는 수신되는지를 결정하도록 프로세서(622)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 있다. 채널 활성 검출기(636)는,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에 시간 기간 동안에 데이터 전송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뎀(616)은 카운트 레지스터(626)와 같은 하나 이상의 레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카운트 레지스터(626)는 제 1 값(Count-C)(640), 시퀀스 넘버(642)를 나타내는 제 2 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ount-C 값(640), 시퀀스 넘버(642) 또는 이들 양자는, 무선 채널(660)을 통해 전송되거나 통신 채널(66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전송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증분될 수 있다. Count-C 값(640) 및 시퀀스 넘버(642)는 UMTS 프로토콜에 따라 유지 및 증분될 수 있고,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의 시간 기간 동안에 데이터가 전송되는지를 결정하도록 폴링될 수 있다.
모뎀(616)은 하나 이상의 호 타이머들(628)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모뎀(616)은 T323 타이머(644)를 포함한다. 모뎀(616)은 또한 하나 이상의 상태 레지스터들(630)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태 레지스터(630)는, 모뎀이 저전력 상태(646) 또는 활성 상태(648)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시하기 위해, 저전력 상태는 유휴 상태, 셀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 상태(CELL_PCH), 등록 영역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 상태(URA_PCH)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08)는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614)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614)은 웹 브라우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재생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08)는 메모리(610)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 코드(612)의 실행에 의해 애플리케이션(614)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코드(612)는, 애플리케이션(614)을 구현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608)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동안에, 애플리케이션(614)은 원격 서버와 같은 원격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세션 동안에 데이터(650)를 모뎀(616)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모뎀(616)은 무선 채널(660)을 통해 데이터(662)의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시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614)은 데이터 채널(660)을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하나 이상의 버스트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원격 데이터 서버와의 데이터 세션을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애플리케이션(614)이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614)은 모뎀(616)으로 전송되는 휴면 요청(652)을 생성할 수 있다. 모뎀(616)은 휴면 요청(652)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메시지 생성기(634)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및/또는 모뎀에게 저전력 상태(646)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도 1의 RNC(124)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송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 생성기(634)는 SCRI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채널 활성 검출기(636)는 Count-C(640)의 값, 시퀀스 넘버(642)의 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결정하기 위해 카운트 레지스터(626)를 폴링할 수 있다. 또한, T323 타이머(644)는 메시지가 전송될 때 시작될 수 있다. T323 타이머(644)의 만료 시에, 채널 활성 검출기(636)는 상태 레지스터(630)를 액세스함으로써 통신 디바이스(602)가 저전력 상태(646)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채널 활성 검출기(636)는 Count-C(640) 또는 시퀀스 넘버(642)의 또 다른 값을 결정하기 위해 카운트 레지스터(626)를 폴링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602)가 저전력 상태(646)에 있다고 결정할 때, 프로토콜 스택(632)은 무선 채널(660)이 폐쇄되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디바이스(602)가 저전력 상태(646)에 있지 않고 대신에 활성 상태(648)에 있다고 결정할 때, 메시지 생성기(634)는 메시지(예를 들면, SCRI 메시지)를 재전송하거나,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메시지(예를 들면, 제 2 SCRI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하기 위해, 채널 활성 검출기(636)는 T323 타이머(644)의 완료 시에 카운트 레지스터(626)를 폴링할 수 있다. T323 타이머(644)의 만료 시에 Count-C 파라미터(640)의 값이 (메시지가 전송될 때의) Count-C 파라미터(640)의 초기 값과 상이하다는 것을 검출할 때, 채널 활성 검출기(636)는 무선 채널(660)이 여전히 사용중이라고 결정할 수 있고, 프로토콜 스택(632)과 연관된 규칙들 또는 논리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채널 활성 검출기(636)는, T323 타이머(644)의 시간 기간 동안에 데이터가 무선 채널(660)을 통해 통신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시퀀스 넘버(642)의 값들의 유사한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T323 타이머(644)와 연관된 시간 기간 동안에, 어떠한 데이터도 무선 채널(660)을 통해 통신되지 않는다고 채널 활성 검출기(636)가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메시지 생성기(634)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로 재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가 네트워크로 전달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 1 메시지에 대한 네트워크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통신 디바이스(602)는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재전송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602)는, 저전력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비활성의 종래의 시간 기간들을 대기할 필요없이 저전력 상태로 전환할 수 있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채널(760)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통신 디바이스(702)를 포함하는 시스템(700)이 도시된다. 통신 디바이스(70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8)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706)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4)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8)는 메모리(710)에서 애플리케이션 코드(712)를 실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714)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메모리(710)는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유형의(tangible)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8)는 모뎀(716)에 연결된다. 모뎀(716)은 트랜시버(718) 및 안테나(720)를 사용하여 무선 채널(760)을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모뎀(716)은 프로세서(722), 메모리(724), 하나 이상의 호 타이머들(728) 및 상태 레지스터(730)를 포함한다. 모뎀(716)은 도 1의 데이터 세션 종료 논리(140)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뎀(716)은 도 4의 UE-RRC(404)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모뎀(716)은 도 5의 방법(500)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722)는 프로토콜 스택(732)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722)는 메모리(724)에 저장된 모뎀 코드(738)와 같은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뎀 코드(738)는 프로토콜 스택(732)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722)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732)은 메시지 생성기(7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기(734)는, 도 1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24)로 전송되는 SCRI 메시지와 같이, 무선 채널(760)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액세스 네트워크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호 타이머들(728)은, 제 1 SCRI 메시지(768) 또는 제 2 SCRI 메시지(770)와 같은 SCRI 메시지의 전송 다음에 오는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의 만료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T323 타이머(7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레지스터(730)는, 통신 디바이스(702)가 저전력 상태(746) 또는 활성 상태(748)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8)는 휴면 요청 모듈(764)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714)을 구현할 수 있다. 휴면 요청 모듈(764)은,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제 1 휴면 요청(774)을 모뎀(716)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세션은 무선 채널(760)을 통해 데이터(772)를 원격 소스로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71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고 결정할 때, 애플리케이션(714)은 제 1 휴면 요청(774)을 프로토콜 스택(732)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732)은 메시지 생성기(734)를 사용하여 제 1 SCRI 메시지(768)를 생성하고, 무선 채널(760)을 통해 제 1 SCRI 메시지(768)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SCRI(768)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1 SCRI(768)를 전송할 때, T323 타이머(744)가 개시될 수 있다. T323 타이머(744)의 만료 시에, 프로토콜 스택(732)은 통신 디바이스(702)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776)를 애플리케이션(714)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뎀(716)은 상태 레지스터(730)의 콘텐츠를 판독하고 현재 무선 자원 제어(RRC) 상태의 표시를 애플리케이션(714)에 제공함으로써 상태 정보(776)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714)은, 통신 디바이스(702)가 활성 상태(748) 또는 저전력 상태(746)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776)를 모뎀(716)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702)가 저전력 상태(746)에 있다는 것을 상태 정보(776)가 나타낼 때, 네트워크는 제 1 SCRI(768)에 응답하고, 제 1 휴면 요청(774)에 의해 트리거링됨에 따라 무선 채널(760)이 해제된다. 통신 디바이스(702)가 활성 상태(748)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776)에 응답하여, 휴면 요청 모듈(764)은 제 2 휴면 요청(778)을 모뎀(716)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휴면 요청(778)은, 어떠한 데이터도 모뎀(716)을 통해 전송되도록 계류중이지 않다는 애플리케이션(714)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모뎀(716)에서 제 2 휴면 요청(778)을 수신할 때, 메시지 생성기(734)는 통신 채널(760)을 폐쇄하거나 및/또는 저전력 상태(746)로 전환되도록 다시 요청하는 제 2 SCRI 메시지(770)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SCRI(768)가 분실되는 경우 또는 제 1 SCRI(768)에 대한 네트워크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714)은 제 2 SCRI(770)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 2 또는 후속 SCRI가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 및 동작되면, 통신 디바이스(702)는 저전력 상태(746)로 전환하기 전에 비활성의 종래의 시간 기간들을 기다릴 필요없이 저전력 상태(746)로 전환할 수 있을 수 있다.
당업자들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추가적으로 인식할 것이다.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의 관점들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프로세서 실행 가능 명령들로서 구현되는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제거 가능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면, 모바일 폰)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기 내의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개시된 실시예들을 제조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원리들 및 신규한 특성들에 부합하는 가능한 최광의 범위를 허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24)

  1.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휴면 요청(dormancy request)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냄 ― ; 및
    상기 메시지의 전송에 후속하는 시간 간격(time period)의 만료 후에, 상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냄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2 휴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휴면 요청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모뎀을 통해 전송되기 위해 계류된 데이터가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 2 휴면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상태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활성 상태 및 상기 저전력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 가능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때 상기 활성 상태에 있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요청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모뎀에서 수신되고, 상기 모뎀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고, 상기 휴면 요청은 고속 휴면 요청에 대응하는,
    방법.
  7. 프로세서-실행 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세서-실행 가능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휴면 요청(dormancy request)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휴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생성하게 하고 ―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냄 ― ; 그리고
    상기 메시지의 전송에 후속하는 시간 간격의 만료 후에, 상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게 하도록 실행 가능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실행 가능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모뎀을 통해 전송되기 위해 계류된 데이터가 없을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2 휴면 요청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실행 가능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 2 휴면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제 2 메시지를 제공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상태의 표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활성 상태 및 상기 저전력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 가능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가 전송될 때 상기 활성 상태에 있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요청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모뎀에서 수신되고, 상기 모뎀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고, 상기 휴면 요청은 고속 휴면 요청에 대응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13.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휴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휴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뎀 ―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냄 ― 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모뎀은 상기 메시지의 전송에 후속하는 시간 간격의 만료 후에 상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시간 간격의 만료 후에, 데이터가 상기 모뎀을 통해 전송되기 위해 계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전송될 데이터가 계류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2 휴면 요청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2 휴면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제 2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현재 RRC(radio resource control) 상태의 표시를 포함하는,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으로 상기 휴면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모뎀으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저전력 상태로 전환되지 않았다고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모뎀으로 제 2 휴면 요청을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고, 상기 휴면 요청은 고속 휴면 요청에 대응하는,
    장치.
  19.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실행하기 위한 수단은 휴면 요청을 생성하도록 구성됨 ― ; 및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휴면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냄 ― 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메시지의 전송에 후속하는 시간 간격 후에, 상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뎀을 통해 전송되기 위해 계류된 데이터가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시간 간격 이후에 제 2 휴면 요청을 전송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 2 휴면 요청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로 전송될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상태로 전환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제 2 휴면 요청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현재 RRC(radio resource control) 상태의 표시를 포함하는,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휴면 요청은 고속 휴면 요청에 대응하는,
    장치.
KR1020147018649A 2010-07-23 2011-07-22 사용자 디바이스 휴면 KR20140097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716010P 2010-07-23 2010-07-23
US61/367,160 2010-07-23
US13/019,798 US8743763B2 (en) 2010-07-23 2011-02-02 User device dormancy
US13/019,798 2011-02-02
PCT/US2011/045108 WO2012012780A2 (en) 2010-07-23 2011-07-22 User device dormanc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416A Division KR101472938B1 (ko) 2010-07-23 2011-07-22 사용자 디바이스 휴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565A true KR20140097565A (ko) 2014-08-06

Family

ID=445096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416A KR101472938B1 (ko) 2010-07-23 2011-07-22 사용자 디바이스 휴면
KR1020147018649A KR20140097565A (ko) 2010-07-23 2011-07-22 사용자 디바이스 휴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416A KR101472938B1 (ko) 2010-07-23 2011-07-22 사용자 디바이스 휴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43763B2 (ko)
EP (1) EP2596673B1 (ko)
JP (2) JP5629827B2 (ko)
KR (2) KR101472938B1 (ko)
CN (2) CN104955138B (ko)
WO (1) WO20120127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0285B2 (en) 2010-07-23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User device dormancy
KR101225195B1 (ko) * 2011-02-11 2013-01-22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방법 및 장치
AU2012221790A1 (en) * 2011-02-21 2013-09-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for user equipment entering a low traffic state
KR101948348B1 (ko) 2011-04-01 2019-02-1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5857550B2 (ja) * 2011-09-05 2016-02-1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30065193A (ko) * 2011-12-09 201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JP6008523B2 (ja) * 2012-03-14 2016-10-19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TWI584664B (zh) * 2012-03-30 2017-05-2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快速休眠機制觸發方法及系統
US9526069B2 (en) * 2012-04-20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Early initiation of dormancy of a radio connection
JP6000685B2 (ja) * 2012-06-25 2016-10-05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2030516B1 (ko) * 2012-08-10 2019-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티드 모드에서 etws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후 보조 통지의 수신 방법
US9781767B2 (en) * 2012-08-24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chieving fast dormancy of user equipment (UE) in Cell—PCH or URA—PCH state in UMTS
US9198219B2 (en) 2012-09-06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fast dormancy controller
US20140098727A1 (en) * 2012-10-04 2014-04-1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signaling during low-power operation
CN103716912B (zh) * 2012-10-09 2017-10-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释放无线资源控制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US9292077B2 (en) * 2013-01-04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ervice layer assistance for modem sleep operations
US9838964B2 (en) * 2013-01-11 2017-12-05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driven fast dormancy
US9241314B2 (en) * 2013-01-23 2016-01-19 Seven Networks, Llc Mobile device with application or context aware fast dormancy
EP2974426A2 (en) * 2013-03-15 2016-01-20 Intel Corporation Downlink power management
JP6020272B2 (ja) * 2013-03-18 2016-11-0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4177184A1 (en) * 2013-04-30 2014-11-06 Sony Corporation Terminal-initiated power mode switching
CN104427594A (zh) * 2013-08-30 2015-03-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控制快速休眠机制的方法及系统
US9832729B2 (en) * 2014-01-14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Fast dormancy system and process
CN105309038B (zh) * 2014-03-19 2019-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半静态调度sps的方法和装置
DE202015102180U1 (de) * 2014-06-16 2015-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dgerät und Basisstation zur Steuerung eines Verbindungszustandes
KR102303500B1 (ko) * 2014-06-16 2021-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연결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039141B2 (en) 2015-03-18 2018-07-31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Event-triggered mode switching for a mobile terminal
WO2017026188A1 (ja) * 2015-08-11 2017-02-16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モビリティ管理装置、無線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2017208805A (ja) * 2016-05-17 2017-11-24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法
US20170366423A1 (en) * 2016-06-15 2017-12-21 Qualcomm Incorporated Data packet store, forward, and monitoring functionality for network node or modem
JP6699800B2 (ja) * 2016-10-11 2020-05-27 日本電気株式会社 方法、セッション管理機能ノード、ユーザプレーン機能ノード、ならびにセッション管理パラメータメンテナンス用ユーザ機器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CN106572522B (zh) * 2016-10-31 2020-11-24 泾县谷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11722571B1 (en) 2016-12-20 2023-08-08 Amazon Technologies, Inc. Recipient device presence activity monitoring for a communications session
US10192553B1 (en) * 2016-12-20 2019-01-29 Amazon Technologes, Inc. Initiating device speech activity monitoring for communication sessions
US10339957B1 (en) * 2016-12-20 2019-07-02 Amazon Technologies, Inc. Ending communications session based on presence data
US11119962B2 (en) * 2017-04-25 2021-09-14 Realtek Semiconductor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xing data transport by switching different data protocols through a common bond pad
CN109548151B (zh) * 2017-09-22 2022-09-27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装置、接入点设备和站点设备
JP6816043B2 (ja) * 2018-01-24 2021-01-20 ソニー株式会社 端末開始型の電力モード切り替え
CN109059219B (zh) * 2018-06-15 2021-07-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wifi模块的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US20210337481A1 (en) * 2020-04-23 2021-10-28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information aided fast dormancy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9681B1 (en) * 1997-04-01 2001-06-19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data call re-establishment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H11313370A (ja) 1998-04-28 1999-11-09 Toshiba Corp 移動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とそのデータ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US6507582B1 (en) * 1999-05-27 2003-01-14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protocol enhancements for dynamic capacity wireless data channels
KR100717394B1 (ko) * 1999-11-23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부가채널 해제 방법
FI112753B (fi) * 2000-04-10 2003-12-31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synkronoinnin säilyttämiseksi tiedonsiirtoyhteyden resetoinnin yhteydessä
US20030039225A1 (en) 2001-08-22 2003-02-27 Alessio Casati Method of sending a multicast message to mobile stations, and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606016B1 (ko) * 2002-09-1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SE0300047D0 (sv) * 2003-01-08 2003-01-08 Ericsson Telefon Ab L M MBMS in UTRAN
US7423993B2 (en) * 2003-02-10 2008-09-09 Nokia Corporation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network
KR100665457B1 (ko) 2003-04-3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에서의 상태 천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7283818B2 (en) * 2004-01-23 2007-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using page response messages to change the slot cycle index of a selected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network
EP1798998B1 (en) * 2005-12-14 2011-06-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directed radio resource control in a UMTS network
KR100895180B1 (ko) * 2006-04-14 2009-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Rrc 연결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E602006017517D1 (de) * 2006-05-17 2010-11-25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und System zur Anzeige einer Ursache für einen Abbau einer Signalisierungsverbindung in einem UMTS Netz
CN101094458B (zh) * 2006-06-21 201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用户进行移动性管理的数字集群系统及方法
KR101381475B1 (ko) * 2007-04-13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단말기의 무선 자원 제어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천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단말기
TWI405481B (zh) * 2007-05-18 2013-08-11 Innovative Sonic Ltd 無線通訊系統比較狀態變數或封包序號的方法及其相關裝置
US8015313B2 (en) * 2008-03-04 2011-09-0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nsmission of TCP data segments
US8179846B2 (en) 2008-09-08 2012-05-15 Alcatel Lucent DPI-driven bearer termination for short-lived applications
EP3934336B1 (en) 2008-11-10 2024-01-03 Malikie Innovations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transition to a battery efficient state
CN101742618B (zh) * 2008-11-14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非连续发射模式的方法、基站
KR101612557B1 (ko) * 2009-03-13 2016-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bms 수신방법
US8965372B2 (en) * 2009-08-26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to handle a signaling connection release pro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30192A1 (en) * 2010-03-18 2011-09-22 Kundan Tiwari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quenced message transfer during sign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US8744534B2 (en) * 2010-04-30 2014-06-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battery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504002B2 (en) * 2010-06-23 2013-08-0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device with dynamic dormancy
US8594747B2 (en) * 2011-05-06 2013-11-26 Apple Inc. Adaptive fast dormancy in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2780A2 (en) 2012-01-26
CN103026779A (zh) 2013-04-03
CN103026779B (zh) 2016-05-04
JP5703410B2 (ja) 2015-04-22
US8743763B2 (en) 2014-06-03
CN104955138B (zh) 2018-08-28
US20120020393A1 (en) 2012-01-26
KR101472938B1 (ko) 2014-12-24
EP2596673A2 (en) 2013-05-29
JP2013535902A (ja) 2013-09-12
CN104955138A (zh) 2015-09-30
KR20130041247A (ko) 2013-04-24
JP2014200100A (ja) 2014-10-23
WO2012012780A3 (en) 2012-03-15
JP5629827B2 (ja) 2014-11-26
EP2596673B1 (en)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938B1 (ko) 사용자 디바이스 휴면
US11611949B2 (en) Keeping the UE awake
US9510285B2 (en) User device dormancy
TWI718517B (zh) 用於無線通訊中的會話釋放的方法、電子裝置及存儲器
KR101468855B1 (ko) 상태/모드 전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17550B1 (ko) Sri 메시지 송신에 의거한 상태 또는 모드 전이 트리거링
KR101468854B1 (ko) 상태/모드 전이 방법 및 장치
TWI479848B (zh) 通用行動電信系統網路中用於使用者設備導向無線電資源控制之方法及裝置
CN112514528B (zh) 用于5g蜂窝物联网的用户平面优化
CN109314984B (zh) 用于网络节点的无线通信的方法
EP3550865A1 (en) High latency communication via scef
KR20120096546A (ko) 상태/모드 전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1520341A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不連続受信の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6271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ayed release of temporary block flow
KR102114954B1 (ko) 단말 연결 해제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기지국
CN111526602B (zh) 无线通信中在拥塞控制下发送用户数据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