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541A - Lumbar support structure - Google Patents

Lumbar suppor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541A
KR20140096541A KR1020130009201A KR20130009201A KR20140096541A KR 20140096541 A KR20140096541 A KR 20140096541A KR 1020130009201 A KR1020130009201 A KR 1020130009201A KR 20130009201 A KR20130009201 A KR 20130009201A KR 20140096541 A KR20140096541 A KR 2014009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ib
center
wais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8669B1 (en
Inventor
권영길
박명전
Original Assignee
(주)롱앤헬씨
권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롱앤헬씨, 권영길 filed Critical (주)롱앤헬씨
Priority to KR2013000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669B1/en
Publication of KR2014009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5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6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a backbone and waist supporting structure has the effects of preventing backbone and waist diseases via position correction, and correcting a pelvis twist by normalizing the displaced pelvis from pelvic deformity in people; easing pain of the waist and strengthening the waist in patients with back pain or waist pain by supporting the backbone and waist, and comprises a waist supporting structure installed inside the center part surrounding some lumbar part and thoracic part or the entire lumbar part and thoracic part; and a fixing part belt extended and formed on the two ends of the center part having either a female Velcro or a male Velcro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and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Description

허리지지대 구조{Lumbar support structure}[0001] Lumbar support structure [

본 발명은 인체의 중심인 척추 및 허리를 지지함으로서 일반인의 경우는 자세의 교정을 통해 척추 및 허리 질환을 예방과 더불어 척추의 변형으로 인하여 변위된 골격을 정상화시켜 골반의 비틀림들을 교정할 수 있고 척추나 허리 환자의 경우 척추 및 허리의 지지로 인해 척추 및 허리 더 나아가서 요통을 완화하고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허리지지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By supporting the spine and the waist which are the center of the human bod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ct the posture of the pelvis by normalizing the displaced skeleton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spine, And to a waist support structure that allows the spine and waist to be further relaxed and strengthened in the back and spine due to the support of the back and waist.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대인은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 한편으로 운동량이 크게 저하되어 허리부위가 매우 약한 문제와 여성의 경우 산후조리의 잘못으로 허리부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대단히 많이 발생되고 있다. As we all know, modern people have a lot of time sitting on their chairs, and the amount of exercise is greatly decreased, so that the waist area is very weak, and women are suffering from back pain due to wrong postpartum cooking.

척추는 바른 자세에 있어서 완곡한 S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중추신경계통에 자리하고 있다. 척추가 완곡한 S자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체의 하중을 마치 판 스프링과 같이 탄력적으로 지탱해 줄 수 있고 척추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시켜 줄 수 있다.The vertebrae are in the correct posture and form a sagittal S-shape and are located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Because the vertebrae have a sagittal S shape, the load of the upper body can be resiliently supported like a leaf spring, and the load applied to the spine can be buffered.

즉, 척추는 척추동물의 척추를 형성하는 뼈로 이루어지는 척수신경근을 압박하여 신경통을 일으켜 요통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요통은 허리가 아픈증세로서 기립.보행을 어렵게 하고 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사회생활이 불가능하게 되는 한편 여러 합병증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원인이 분명하지 않으나 다양한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그 치료법은 크게 보존적인 요법과 수술적인 요법이 있고, 이중 보존적인 요법으로 안정, 찜질, 주사 및 약물요법등과 함께 골반견인, 온열요법, 코르셋, 운동요법등이 있다.In other words, the vertebrae of the vertebrae of the vertebrae that make up the spinal nerve ropes that make up the spinal cord to cause neuralgia to cause back pain. These back pain is a symptom of back pain that makes it harder to walk and walk, causing severe pain, which makes social life impossible and causes various complications. The cause of this is unknown, but it is known for various reasons. The treatment is largely conservative and operative. There are two conservative therapies that include stabilization, firming, injection and medication, pelvic traction, hyperthermia, corset, Exercise therapy.

상기와 같은 구체적이고 치료적인 측면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가정집 등에서 사용되는 방법 및 기구로는 인체 허리의 교정과 치료 또는 약화된 허리를 안정감있게 받쳐주어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허리 지지대 또는 허리 보호대는 합성섬유직물을 주재료로 사용한 일정폭의 밴드형으로서 인체 허리의 배면과 측면에는 평평한 모양의 빳빳한 플라스틱 판을 내장하거나 섬유직물을 여러겹 덧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단부에 버클이나 매듭 등으로 체결하게 되어 있다.As a method and an apparatus generally used in a hospital or a home, rather than the specific and therapeutic aspec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waist support or waist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and protecting the back of the human body, The protector is a band of a certain width using synthetic fiber fabric as the main material. It has a flat plastic plate on the back and sides of the waist of the human body or it has a structure of several layers of textile fabric. It is fastened with buckles or knots on both ends .

상기와 같은 척추의 통증을 완화하거나 편안하게 할 목적으로 안출된 허리 지지대 또는 허리 보호대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신축성 밴드가 직조되거나 쿠션층이 구비된 압박부와, 이 압박부의 좌우측단의 고정벨트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요추부에 보조기가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암수 구조의 벨크로로 구성된다.The waist support or waist protector designed to alleviate or ease the pain of the vertebrae as described above has a pressing portion having a certain length and having a stretchable band woven or a cushion layer and a fixing belt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pressing portion And a velcro of a male and female structure that allows the ankle to be fixed to the lumbar part of the user.

상기한 압박부는 탄성사로 직조될 수도 있으며, 고무재 등과 같은 쿠션층이 형성되어 환부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주거나 환부를 직접적으로 압박하여 피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압박력을 상승시켜 요추부가 상하 신장됨과 동시에 허리를 압박하여 사용자의 상체가 견일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pressing portion may be made of elastic yarn, and a cushion layer such as a rubber material may be formed to directly impinge on the affected portion or to directly press the affected por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skin, an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upper body of the user can be restrained by pressing the waist at the same time.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조기를 이용하여 척추 환자들의 요추부를 교정하거나 치료하는 보조기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착용자 또는 보조착용자에 의하여 보조기를 허리(요추부)에 압박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그 힘에 한계가 있으므로, 착용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보조기가 헐거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desired object can be achieved by using a conventional orthosi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using an orthosis for calibrating or treating the lumbar vertebrae. However, since there is a limit to the force for pressing and fixing the orthosis on the waist (lumbar vertebrae) by the wearer or the auxiliary wear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rthosis is loosened when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wearing.

아울러, 탄력적으로 요추부를 압박하기 위해서 보조기를 부드럽게 제조할 경우에는 허리를 받쳐주는 기능이 없으므로, 보조기 착용자가 허리를 무리하게 움직이더라도 이를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무리를 따르게 한다. 반면, 요추부를 압박하면서 허리를 받쳐주게 하도록 경질성 보조기를 제조할 경우 보조기 착용 후 보조기가 착용부위의 피부를 손상시켜 착용자로 하여금 고통을 호소하게 하여 장시간의 사용을 자제케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flexibly flexes the lumbar region, the user does not have a function to support the waist. Therefore, even if the wearer moves his or her waist excessively, the user can not perform the function of compensating the wais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rigid orthosis to support the back while pressing the lumbar spine, the orthosis after the orthosis wears the skin of the wear area, causing the wearer to suffer pain,

또 다른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요통완화 및 예방용 벨트가 제안되고 있다. 이중 종래의 특허공개 특2000-66548호에 제시된 요부 압박복대는 벨트의 내측에 공기팽창관관과 봉을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착용시 벨트에 포함된 공기 팽창관과 봉에 의하여 요부를 압박하여 요통의 치료와 예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봉을 형성함에 따라 착용시 사용자가 봉의 무게에 의해 장기간 착용시에 체력소모가 많게 되고, 아울러 사용중 공기 팽창관이 소손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팽창관이 벨트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벨트전체를 교환해야 되므로 사용자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A belt for relieving and preventing back pain capable of pressing another waist has been proposed. In the conventional lumbar compression belt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66548, an air expansion tube and a rod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elt. When the user wears the belt, the belt is pressed by the air expansion tube and the rod included in the belt, It has been proposed that when a user wearing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worn fo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the weight of the rod, wear of the user is increased, and when the air expansion tube is burned during use, Since the air expansion pip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lt, the entire belt needs to be replaced, so that the user is not easily managed and the cost is increased.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4242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42427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6635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66353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4220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422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벨트를 당김으로서 지지부가 사용자의 인체에 밀착되면서 지지함으로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허리나 척추의 지탱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허리 및 척추교정이 용이하고 자세 교정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허리 및 척추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하여 별도의 체결 및 해지 방식을 인지하지 아니하더라도 편리하게 체결과 해지가 용이하면서도 간편한 허리지지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upporting a waist and a vertebrae of a user, It is not only helpful for correction but also can prevent back and spine diseases and it is convenient and convenient to use for anyone who is young and old. It is easy to fasten and disassemb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인체의 요추부와 흉추부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중심부 내부에 허리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부의 양단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단의 외측면과 타측단의 내측면에 각각 암, 수 밸크로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고정벨트가 구비된 통상의 허리지지대에 있어서,"A waist support is provided inside a central portion surrounding a part or all of a lumbar part and a thoracic part of a human body, and one of an arm and a ball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one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In a conventional waist support having a fixing belt,

상기 허리지지대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로서, 상기 각각의 허리지지대에는 상하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인체에 밀착되어 압압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부를 각각 상하로 쉬프트하는 쉬프트 수단부와, 상기 쉬프트 수단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쉬프트 수단부가 지지부를 쉬프트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함에 있어 쉬프트 수단부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것과,A pair of support member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pair of support members are vertically shifted from each other; And a fixing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hifting unit for shifting the supporting unit so that the shifting unit can be fixed in supporting the waist of the user,

상기 지지부는,The support portion

인체의 굴곡에 적합토록 전면 중앙부가 오목하게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 중앙에 세로로 길게 제1 센터리브와 양측에 제1 세로리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센터리브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센터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세로리브까지 제1 가로리브가 길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로리브 양단에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공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제1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센터리브 및 제1 세로리브의 하단에는 가로로 길게 구비된 것으로 양끝단 즉, 상기 제1 세로리브의 하단에는 제1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삽입홈에는 제1 회동공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홈 사이에는 제1 삽입절개편이 구비되어 있는 제1 지지부와, 인체의 굴곡에 적합토록 전면 중앙부가 오목하게 제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 중앙에 세로로 길게 제2 센터리브과 양측에 제2 세로리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센터리브 및 제2 세로리브의 상단에는 가로로 길게 구비된 것으로 양끝단 즉, 상기 제2 세로리브의 상단에는 제2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삽입홈에는 제2 회동공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삽입홈 사이에는 제2 삽입절개편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센터리브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센터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세로리브까지 제2 가로리브과 보강리브가 길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로리브 양단에는 제3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결합공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4 결합공이 형성된 제2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과,A first concave portion is concavely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so as to be suitable for bending of a human body, a first center rib and a first longitudinal rib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A first transverse rib extending from the first transverse rib to the first transverse rib through the rib and having a first transverse rib and a first transverse rib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rst transverse rib, The first center rib and the first longitudinal rib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enter rib and the first longitudinal rib, respectively. The first center rib and the first longitudinal rib are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with first insertion grooves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longitudinal ribs.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pivot hole dri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incision between the first insertion holes, A second center rib and a second longitudinal rib at both sides of the second center rib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ib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ongitudinal rib, a second rotation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second insertion incision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transverse rib and a reinforcing rib are extended from the second center rib through the second center rib to the second longitudinal rib and a third joint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transverse rib,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second fixing bracket formed with a fourth coupling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gap is maintained between the third coupling hole,

상기 쉬프트 수단부는,Wherein the shifting means comprises: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양끝단부에 제1 관통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관통공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제1 링크봉이 결합되어 있는 제1 링크바와,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양끝단부에 제2 관통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관통공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제2 링크봉이 결합되어 있는 제2 링크바와, 일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1 축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축공의 전방에는 제1 회동방지 절개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1 회전공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에는 제1 회동방지 걸림편이 구비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와, 일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2 축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공의 전방에는 제2 회동방지 절개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2 회전공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에는 제2 회동방지 걸림편이 구비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 1축공에 관통 결합되는 제1 고정축봉과, 상기 제2 축공에 관통 결합되는 제2 고정축봉과, 상기 제1 축공의 양단에 상기 제1 고정축봉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축공의 양단에 상기 제2 고정축봉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2 스프링과, 상기 제1 회전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제1 회전봉과, 상기 제2 회전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제2 회전봉과, 상기 제1 회전공의 양단에 상기 제1 회전봉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3 스프링과, 상기 제2 회전공의 양단에 상기 제2 회전봉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4 스프링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과,A first link bar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an end of both ends thereof in a state of being formed of a pair and having a first link bar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ho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first link hole is drill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enter cut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shaft hole is formed at a front side of the first shaft hole, A first fixing member having a first anti-rotation incision part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rotation hole penetrating the other side thereof in a cylindrical shape cut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 first anti-rotation prevention member at its rear side, A second shaft hol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anti-rotation incision part is integrally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shaft hole, A second fixing member having a second rotation hol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provided with a second rotation preventing latch member at the rear thereof, a first fixed shaft rod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hole, and a second fixed shaft rod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hole A pair of first springs that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hole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fixed shaft rod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fixed springs that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hole through the second fixed shaft rod, A second rotation bar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hole, and a second rotation bar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hole, And a pair of fourth spring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through the second rotating shaft,

한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는,The pair of the fixed portions,

중앙에는 상하로 수납공간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납공간부의 양측에는 제1 체결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부의 상하로는 각각 제2 체결공이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부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다수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부 내측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Wherein a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part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orage spac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rtition wall is formed and an engaging member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space,

상기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은 양단이 인출되고 인출된 끝단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것과,Wherein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have both ends drawn out and drawn end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3 스프링 및 제4 스프링은 양단이 인출되되 인출된 부위의 각도가 예각을 이루면서 끝단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것과,Wherein the third spring and the fourth spring have both ends drawn out, the angles of the drawn portions being sharp at an angle and the end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1 스프링, 제2 스프링, 제3 스프링, 제4 스프링은 모두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And the first spring, the second spring, the third spring, and the fourth spring are all coil springs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는 고정벨트를 당김으로서 지지부가 사용자의 인체에 밀착되면서 지지함으로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허리나 척추의 지탱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허리 및 척추교정이 용이하고 자세 교정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허리 및 척추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하여 별도의 체결 및 해지 방식을 인지하지 아니하더라도 편리하게 체결과 해지가 용이하면서도 간편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The waist support struct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waist or spine of the user conveniently and easily by supporting the supporting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by pulling the fastening belt, so that the waist and spine can be easily corr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eases of the back and spine,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venient and convenient to use for anyone of all ages, so that it is easy to fasten and disassemble, and can easily exhibit a simple effect even if it does not recognize the separate fastening and releasing method.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와 고정부의 분리된 상태에서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고정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를 쉬프트하는 쉬프트 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제1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제2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의 결합된 상태에서 쉬프트 전의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의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를 쉬프트한 상태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를 일반적인 허리 벨트 등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를 일반적인 의자 등받이 등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is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in a separated stat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art of the waist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ifting means for shifting a supporting portion in the waist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portion in a wais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xing member in the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fixing member in the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tate before shifting in the coupled state of the waist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of the wais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coupled stat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ais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eneral waist belt or the lik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eneral chair back.

이하,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wais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와 고정부의 분리된 상태에서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를 쉬프트하는 쉬프트 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제1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있어서 제2 고정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의 결합된 상태에서 쉬프트 전의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의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를 쉬프트한 상태의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를 일반적인 허리 벨트 등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를 일반적인 의자 등받이 등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art of a waist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ifting means for shifting a supporting part in the waist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fixing member in the waist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waist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xing member, Fig. 10 is a state view before shifting in a state where the waist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engaged state.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eneral waist belt or the like,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eneral chair back.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고정벨트(B)는 인체의 요추부와 흉추부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중심부 내부에 허리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부의 양단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단의 외측면과 타측단의 내측면에 각각 암, 수 밸크로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고정벨트(B)가 구비된 구조이다.
In general, the fastening belt B is provided with a waist support within a central portion surrounding a part or all of a lumbar part and a thoracic part of a human body, and extends at both ends of the center part, and has an outer side surface at one end and an inner surface at the other end, And a fixing belt (B) in which any one of a belt and a belt is forme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외부에 표출되는 고정벨트(B)의 구조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인체 즉, 허리나 척추에 밀착되어 지탱하고 지지함으로서 자세의 교정은 물론이고 현재 디스크나 기타 척추질환이 있는 사용자의 자세 교정 및 치료 및 물리치료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허리지지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fixed belt B which is generally exposed to the outside but is supported substantially by the human body such as the waist or the vertebrae to support the posture, And a waist support structure that can exert its effect as a treatment and a physical therapy

본 발명의 허리지지대(10)은 3 분류의 구성요소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지지부(20), 쉬프트 수단부(30), 고정부(4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The waist suppo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components. First, the support 20, the shifting means 30 and the fixing portion 40 are provided. To illustrate,

본 발명의 허리지지대(1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로서,
The waist suppo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waist supports 10,

상기 지지부(20)은 상하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인체에 밀착되어 압압하는 기능으로 한쌍이 좌우 총 4개로 이루어져 있다.The support part 20 is independently provided up and down, and has a function of pressing and pressing on the human body.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To be more specific,

상기 지지부(20)은 크게 제1 지지부(210)과 제2 지지부(240)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 지지부(210)은,The support portion 20 is roughly divided into a first support portion 210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240,

인체의 굴곡에 적합토록 전면 중앙부가 오목하게 제1 오목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 중앙에 세로로 길게 제1 센터리브(211)와 양측에 제1 세로리브(2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센터리브(211)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센터리브(211)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세로리브(212)까지 제1 가로리브(213)가 길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로리브(213) 양단에는 제1 결합공(2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공(214)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결합공(215)이 형성된 제1 고정브라켓(2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센터리브(211) 및 제1 세로리브(212)의 하단에는 가로로 길게 구비된 것으로 양끝단 즉, 상기 제1 세로리브(212)의 하단에는 제1 삽입홈(217)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삽입홈(217)에는 제1 회동공(218)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홈(217) 사이에는 제1 삽입절개편(219)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가장 상세히 도시화된 도면은 도 6이다.
A first concave portion 200 is formed concavely at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so as to be suitable for bending of the human body and a first center rib 211 is longitudin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face and a first longitudinal rib 212 is provided at both sides, A first lateral rib 213 is extended from the first center rib 211 to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through the first center rib 211. The first lateral rib 213 is extended from the first center rib 211 to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And a first fixing bracket 216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hole 215 in a state of being spaced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214 is formed at both ends, The first center rib 211 and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are horizontally elongat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enter rib 211 and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has first insertion grooves 217 at both ends thereof, The first pivot hole 218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slot 217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slots 217 The insert 1 is shown in section reorganization 219. Figures 5 and 6 as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with the most detail, and the urbanization diagram is Fig.

한편, 제2 지지부(240)은,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0,

인체의 굴곡에 적합토록 전면 중앙부가 오목하게 제2 오목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 중앙에 세로로 길게 제2 센터리브(222)과 양측에 제2 세로리브(2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센터리브(222) 및 제2 세로리브(223)의 상단에는 가로로 길게 구비된 것으로 양끝단 즉, 상기 제2 세로리브(223)의 상단에는 제2 삽입홈(224)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삽입홈(224)에는 제2 회동공(225)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삽입홈(224) 사이에는 제2 삽입절개편(22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센터리브(222)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센터리브(222)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세로리브(223)까지 제2 가로리브(227)과 보강리브(228)가 길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로리브(227) 양단에는 제3 결합공(22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결합공(229)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4 결합공(230)이 형성된 제2 고정브라켓(231)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가장 상세히 도시화된 도면은 도 6이다.A second concave portion 221 is formed concavely at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so as to be suitable for bending of the human body and a second center rib 22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face and a second longitudinal rib 223 is provided at both sides, The second center rib 222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ib 223 are horizontally elongated at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center rib 222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ib 223 and have second insertion grooves 224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enter rib 222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ib 223, And a second insertion hole 226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4 and a second insertion hole 226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4, A second lateral rib 227 and a reinforcing rib 228 are extended from the second center rib 222 to the second longitudinal rib 223 on the lower side of the rib 222, A third coupling hole 229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coupling hole 227, 230 is shown in Figs. 5 and 6 as the second fixing bracket 231 is formed with a structure that is formed, and is the most detail urbanization drawings Fig.

상기와 같은 지지부(20)가 하기에서 설명하는 쉬프트 수단부(30)에 의해 고정부(40)가 지탱하는 상태에서 고정벨트(B)를 체결하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인체부위를 압압하여 자세의 교정등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fixing belt B is tigh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portion 20 is supported by the fixing portion 40 by the shifting means 30 described below, the user naturally presses the body portion of the user, .

다음, 상기 쉬프트 수단부(30)은 상기 지지부(2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부(20)를 각각 상하로 쉬프트하는 기능으로서 구체적으로는,Next, the shifting means 3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0 to shift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20 up and down. Specifically,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양끝단부에 제1 관통공(3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관통공(301)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제1 링크봉(302)이 결합되어 있는 제1 링크바(300)와,A first link bar 300 having a first through hole 301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irst link bar 302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30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ow,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양끝단부에 제2 관통공(31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관통공(311)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제2 링크봉(312)이 결합되어 있는 제2 링크바(310)와,A second link bar 310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311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link bar 312 coupl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3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ow,

일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1 축공(321)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축공(321)의 전방에는 제1 회동방지 절개부(32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1 회전공(323)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에는 제1 회동방지 걸림편(324)이 구비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320)와,A first shaft hole 3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entral incision at one side thereof, a first anti-rotation cut-out portion 322 is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shaft hole 321, and a center is cut at the other side A first fixing member 320 having a first hole 323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provided with a first rotation preventing hook 324 at the rear thereof,

일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2 축공(331)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공(331)의 전방에는 제2 회동방지 절개부(33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2 회전공(333)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에는 제2 회동방지 걸림편(334)이 구비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330)와,A second shaft hole 3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enter cut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anti-rotation preventing cutout 332 is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shaft hole 331, and a center is cut at the other side A second fixing member 330 having a second hole 333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provided with a second anti-rotation latching member 334 at the rear side thereof,

상기 제 1축공(321)에 관통 결합되는 제1 고정축봉(340)과,A first fixed shaft rod 340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hole 321,

상기 제2 축공(331)에 관통 결합되는 제2 고정축봉(350)과,A second fixed shaft rod 350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hole 331,

상기 제1 축공(321)의 양단에 상기 제1 고정축봉(34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1 스프링(360)과,A pair of first springs 36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hole 321 through the first fixed shaft rod 340,

상기 제2 축공(331)의 양단에 상기 제2 고정축봉(35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2 스프링(370)과,A pair of second springs 370 through which the second fixed shaft rod 350 penetrates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hole 331,

상기 제1 회전공(323)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제1 회전봉(380)과,A first rotation bar 38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323,

상기 제2 회전공(333)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제2 회전봉(390)과A second rotation shaft 39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333,

상기 제1 회전공(323)의 양단에 상기 제1 회전봉(38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3 스프링(391)과,A pair of third springs 391 through which the first rotation bar 38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on hole 323,

상기 제2 회전공(333)의 양단에 상기 제2 회전봉(39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4 스프링(392)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And a pair of fourth springs 392 coupl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second rotary shaft 333 through the second rotary shaft 39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프링(360) 및 제2 스프링(370)은 양단이 인출되고 인출된 끝단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구조이며,Preferably, the first spring 360 and the second spring 370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drawn out and the drawn ends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3 스프링(391) 및 제4 스프링(392)은 양단이 인출되되 인출된 부위의 각도가 예각을 이루면서 끝단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서,The third spring 391 and the fourth spring 392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drawn out but the bent ends are bent in an opposite direction with an acute angle of the drawn portion,

상기 제1 스프링(360), 제2 스프링(370), 제3 스프링(391), 제4 스프링(392)은 모두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The first spring 360, the second spring 370, the third spring 391, and the fourth spring 392 are all coil springs.

이에 대한 도면은 도 2, 도 5, 도 7, 도 8에 상세히 도시화 되어 있고 특히 제1 고정부재(320)은 도 7에 제2 고정부재(330)은 도 8에 상세히 도시화 되어 있다.
2, FIG. 5, FIG. 7 and FIG. 8, in particular, the first fixing member 320 is shown in FIG. 7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30 is shown in detail in FIG.

다음, 마지막으로 고정부(40)은 상기 쉬프트 수단부(3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쉬프트 수단부(30)가 지지부(20)를 쉬프트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함에 있어 쉬프트 수단부(30)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Finally, the fixing part 4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ifting part 30 so that the shifting part 30 shifts the supporting part 20 to support the user's waist, Which can be fixed,

상기 고정부(40)은 한쌍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중앙에는 상하로 수납공간부(4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납공간부(400)의 양측에는 제1 체결공(401)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부(400)의 상하로는 각각 제2 체결공(402)이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부(400)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다수개의 격벽(4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부(400) 내측에는 걸림부재(404)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The fixing part 40 is formed as a pair and has a storage space part 400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at the center and a first fastening hole 401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part 400,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403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orage space part 400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fastening holes 402 are perfor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orage space part 400, 400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member 404 on the inside thereof.

구체적인 도면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A specific drawing i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C)의 등받이 즉, 사용자의 허리 위치에 적합한부위에 본 발명을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한 후 사용자가 의자의 등부위를 압압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 12, after the user is fixedly or removably installed on a backrest of the chair C, that is, a position suitable for the waist position of the user, the user may press the back of the chair to use the chair It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허리지지대 구조에 대한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결론적으로 말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고정벨트(B)내에 삽입 결합하여 상기 공지된 고정벨트(B)의 양단에 구비된 암, 수벨크로 또는 기타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해 당겨서 사용자의 허리 등에 착용하여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허리 등에 착용하기 위해 당기는 힘에 의해 고정부(40)가 제1 링크바(300) 및 제2 링크바(31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1 링크바(300) 및 제2 링크바(3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확개되면서 이로 인해 제1 지지부(210)과 제2 지지부(240)이 사용자의 허리등에 밀착 쉬프트되어 사용자의 허리 등을 압압하여 자세를 곧게 세우고 이로 인해 자세의 교정이나 디스크 등 허리 질환이나 척추의 비틀림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end, as shown in Fig. 11, an arm, a male velcro or other fastening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known fastening belt B is inserted into a generally known fastening belt B and pulled When the fixing part 40 applies pressure to the first link bar 300 and the second link bar 310 by the pulling force for wearing on the user's waist in wearing the user's waist or the like, The first support part 300 and the second link bar 310 are expand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10 so that the first support part 2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40 are tightly shifted to the user's waist or the like, So that the posture can be corrected so as to solve problems such as correction of the posture and the back disease such as the disk and the distortion of the spine.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To be more specific,

먼저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의 체결에 대하여 설명하면, First, the fastening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바(300)로 부터 제1 링크봉(302)을 해지한 후 상기 제1 링크바(300)을 제1 고정브라켓(216)과 제1 결합공(214)간에 유지된 간격에 삽입하고 상기 제1 링크봉(302)을 상기 제1 지지부(210)의 제2 결합공(215) 및 제1 결합공(214)에 관통 결합하여 체결한 후 상기 제1 고정부재(320)의 제1 회전봉(380)을 제1 회전공(323)으로 부터 해지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32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210)의 제1 삽입절개편(219)에 삽입 후 상기 제1 회전봉(380)을 제1 회동공(218)을 통해 관통 결합하여 체결한다.
3 and 5, after the first link bar 302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link bar 300, the first link bar 300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216 and the first link bar 300, And the first link rod 302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hole 215 and the first coupling hole 214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 The first rotation member 380 of the first fixing member 320 is released from the first rotation hole 323 and the first fixing member 320 is rotated by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10 as shown in FIG. The first rotation bar 38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revolving hole 218 and then fastened.

반면에 제2 링크바(310)로 부터 제2 링크봉(312)를 해지한 후 상기 제2 링크바(310)을 제2 고정브라켓(231)과 제3 결합공(229)간에 유지된 간격에 삽입하고 상기 제2 링크봉(312)을 상기 제2 지지부(240)의 제4 결합공(230) 및 제3 결합공(229)에 관통 결합하여 체결한 후 상기 제2 고정부재(330)을 상기 제2 지지부(240)의 제2 삽입절개편(226)에 삽입 후 상기 제2 회전봉(390)을 제2 회전공(333)을 통해 관통 결합하여 체결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econd link bar 312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link bar 310, the second link bar 31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lding bracket 231 and the third engaging hole 229 And the second link rod 312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fourth and second coupling holes 230 and 229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ng piece (226)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240),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390) is inserted and fastened through the second rotating hole (333).

상기와 같이 체결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The state of engagement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편인 고정부(40)에 상기 쉬프트 수단부(30)를 체결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ocess of fastening the shifting means 30 to the fixing portion 40,

일단, 상기 제1 링크바(300)은 고정부(40)의 제2 체결공(402)에 체결되며 이때 도 4에 도시된 제2 체결공(402)중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체결공(402)에 체결되며 그 과정이나 해지 분해 등은 상기와 같으므로 생략하며 아무튼 상기와 같이 체결되며 제2 링크바(310)은 고정부(40)의 하부에 있는 제2 체결공(402)에 체결되는 RJTD이다.The first link bar 300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402 of the fixing part 40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02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402 The second link bar 310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402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40. The second fastening hole 402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402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40, Is the RJTD.

다음, 상기 쉬프트 수단부(30)는 우선 제1 고정축봉(340)이 고정부(40)의 상부에 있는 제1 체결공(401)에 체결되며 제2 고정축봉(350)은 고정부(40)의 하부에 있는 제1 체결공(401)에 체결되는 것이다.The first fixing rod 340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401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40 and the second fixing rod 350 is fastened to the fixing portion 40 The first fastening hole 40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01, respectively.

이와 같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9인 것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t is fastened in this manner.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의 수납공간부(400)에 제1 고정부재(320)과 제2 고정부재(330)이 체결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first fixing member 32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30 are fastened to the storage space part 400 of the fixing part 4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고정벨트(B)내에 본 발명의 허리지지대(10)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공지된 고정벨트(B)의 양단에 구비된 암, 수벨크로 또는 기타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해 당겨서 사용자의 허리 등에 착용하여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허리 등에 착용하기 위해 당기는 힘에 의해 고정부(40)가 제1 링크바(300) 및 제2 링크바(31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1 링크바(300) 및 제2 링크바(3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확개되면서 이로 인해 제1 지지부(210)과 제2 지지부(240)이 사용자의 허리등에 밀착 쉬프트되어 사용자의 허리 등을 압압하여 자세를 곧게 세우고 이로 인해 자세의 교정이나 디스크 등 허리 질환이나 척추의 비틀림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교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이유는 제1 스프링(360), 제2 스프링(370)의 일측 끝단에 절곡된 부위가 각각 제1 회동방지 절개부(322) 및 제2 회동방지 절개부(332)에 고정 회동방지토록 됨으로서 일측이 회동되지 아니하고 코일링되도록 되어 있고 반면에 타측의 절곡된 끝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404)에 걸려서 더 이상 회동치 못함으로서 결국 제1 스프링(360)과 제2 스프링(370)은 코일링 된 상태이고,11, the waist suppo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generally known fastening belt B so that the arm, The fastening portion 40 may be fixed to the first link bar 300 and the second link bar 310 by being pulled by a pulling force to be worn on the waist of the user when the fastener 40 is pulled to fasten the fasteners, The first link bar 300 and the second link bar 310 are extended upward and downward as shown in FIG. 1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0 and 240 are moved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So that the user can press his / her waist or the like to straighten his or her posture so as to correct problems such as correction of the posture or the back disease such as the disk or twisting of the spine. The reason why the first spring 360 and the second spring 370 are bent is that the portions bent at one end of the first spring 360 and the second spring 370 are prevented from rotating on the first anti-rotation cutout portion 322 and the second anti-rotation cutout portion 332, respectively 10, the bent end of the other end is caught by the retaining member 404 and can not be pivoted any more. As a result, the first spring 360 and the second spring (not shown) 370 are coiled,

한편, 제3 스프링(391)과 제4 스프링(392)는 각각 제1 회동방지 걸림편(324)과 제2 회동방지 걸림편(334)에 걸려서 이 또한 회동치 못하고 코일링됨에 따라 결국 제1 회전봉(380)과 제2 회전봉(390)이 제1 고정축봉(340) 및 제2 고정축봉(350)을 축으로 확개되고 따라서 제1 링크바(300)와 제2 링크바(310)이 도 10과 같이 확개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허리를 지탱하고 결국 쉬프팅되도록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spring 391 and the fourth spring 392 are caught by the first anti-rotation engaging piece 324 and the second anti-rotation locking piece 334, respectively, The rotation bar 380 and the second rotation bar 390 are extended around the first fixed shaft rod 340 and the second fixed shaft rod 350 so that the first link bar 300 and the second link bar 310 10, while at the same time supporting the user's waist and eventually shifting.

상기와 같이 작동함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벨트(B)를 당김으로서 지지부가 사용자의 인체에 밀착되면서 지지함으로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허리나 척추의 지탱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허리 및 척추교정이 용이하고 자세 교정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허리 및 척추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하여 별도의 체결 및 해지 방식을 인지하지 아니하더라도 편리하게 체결과 해지가 용이하면서도 간편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며,As shown in FIG. 11, by pulling the fixing belt B as shown in FIG. 11, the supporting portion is supported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user's body, thereby enabling convenient and simple support of the user's waist or spine. It is not only helpful for posture correction but also can prevent back and spine diseases and it is convenient and convenient to use for anyone who is young and old. It can be exercised,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C) 등받이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자가 압압시 지지부가 확개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고 압압을 해지시 지지부가 원상복귀토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2, the seat C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rest portion of the chair C so that when the user pushes the suppor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is expanded to close the user's waist. When the user depresses the push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make it possible.

10 : 허리지지대 20 : 지지부
30 : 쉬프트 수단부 40 : 고정부
200 : 제1 오목부 210 : 제1 지지부
211 : 제1 센터리브 212 : 제1 세로리브
213 : 제1 가로리브 214 : 제1 결합공
215 : 제2 결합공 216 : 제1 고정브라켓
217 : 제1 삽입홈 218 : 제1 회동공
219 : 제1 삽입절개편 221 : 제2 오목부
222 : 제2 센터리브 223 : 제2 세로리브
224 : 제2 삽입홈 225 : 제2 회동공
226 : 제2 삽입절개편 227 : 제2 가로리브
228 : 보강리브 229 : 제3 결합공
230 : 제4 결합공 231 : 제2 고정브라켓
240 : 제2 지지부 300 : 제1 링크바
301 : 제1 관통공 302 : 제1 링크봉
310 : 제2 링크바 311 : 제2 관통공
312 : 제2 링크봉 320 : 제1 고정부재
321 : 제1 축공 322 : 제1 회동방지 절개부
323 : 제1 회전공 324 : 제1 회동방지 걸림편
330 : 제2 고정부재 331 : 제2 축공
332 : 제2 회동방지 절개부 333 : 제2 회전공
334 : 제2 회동방지 걸림편 340 : 제1 고정축봉
350 : 제2 고정축봉 360 : 제1 스프링
370 : 제2 스프링 380 : 제1 회전봉
390 : 제2 회전봉 391 : 제3 스프링
392 : 제4 스프링 400 : 수납공간부
401 : 제1 체결공 402 : 제2 체결공
403 : 격벽 404 : 걸림부재
B : 고정벨트 C : 의자
10: waist support 20: support
30: shift means section 40:
200: first concave portion 210: first support portion
211: first center rib 212: first vertical rib
213: first lateral rib 214: first engaging hole
215: second coupling hole 216: first fixing bracket
217: first insertion groove 218: first pivot hole
219: First Insertion Revision 221: Second Concave
222: second center rib 223: second vertical rib
224: second insertion groove 225: second pivot hole
226: second insertion section reorganization 227: second lateral rib
228: reinforcing rib 229: third engaging hole
230: Fourth coupling hole 231: Second fixing bracket
240: second support portion 300: first link bar
301: first through hole 302: first link rod
310: second link bar 311: second through hole
312: second link rod 320: first fixing member
321: first shaft hole 322: first rotation preventing incision part
323: the first majors 324: the first rotation prevention catching pieces
330: second fixing member 331: second shaft hole
332: second anti-rotation cutting section 333: second major
334: second rotation preventing hook 340: first fixing shaft
350: second fixed shaft rod 360: first spring
370: second spring 380: first rotating bar
390: second rotating shaft 391: third spring
392: fourth spring 400: storage space part
401: first fastening hole 402: second fastening hole
403: partition wall 404:
B: Fixed belt C: Chair

Claims (7)

인체의 요추부와 흉추부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중심부 내부에 허리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부의 양단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단의 외측면과 타측단의 내측면에 각각 암, 수 밸크로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고정벨트(B)가 구비된 통상의 허리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허리지지대(1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로서,
상기 각각의 허리지지대(10)에는 상하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인체에 밀착되어 압압하는 한쌍의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부(20)를 각각 상하로 쉬프트하는 쉬프트 수단부(30)와,
상기 쉬프트 수단부(3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쉬프트 수단부(30)가 지지부(20)를 쉬프트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함에 있어 쉬프트 수단부(30)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대 구조.
A waist support is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surrounding a part or the whole of the lumbar part and the thoracic part of the human body and is formed to extend at both ends of the center part and has one of an arm and a male part formed on an inner side of one side and an inner side of the other side, In a conventional waist support having a belt B,
The waist support (10) is in the form of a pair,
Each of the waist supports 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20 which are independently provided up and down,
A shifting means 30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20 for shifting the pair of supporting portions 20 up and down,
And a fixing unit 4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hifting unit 30 to allow the shifting unit 30 to fix the shifting unit 30 in supporting the waist of the user by shifting the supporting unit 20. [ ).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인체의 굴곡에 적합토록 전면 중앙부가 오목하게 제1 오목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 중앙에 세로로 길게 제1 센터리브(211)와 양측에 제1 세로리브(2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센터리브(211)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센터리브(211)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세로리브(212)까지 제1 가로리브(213)가 길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로리브(213) 양단에는 제1 결합공(2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공(214)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결합공(215)이 형성된 제1 고정브라켓(2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센터리브(211) 및 제1 세로리브(212)의 하단에는 가로로 길게 구비된 것으로 양끝단 즉, 상기 제1 세로리브(212)의 하단에는 제1 삽입홈(217)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삽입홈(217)에는 제1 회동공(218)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삽입홈(217) 사이에는 제1 삽입절개편(219)이 구비되어 있는 제1 지지부(210)와,
인체의 굴곡에 적합토록 전면 중앙부가 오목하게 제2 오목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 중앙에 세로로 길게 제2 센터리브(222)과 양측에 제2 세로리브(2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센터리브(222) 및 제2 세로리브(223)의 상단에는 가로로 길게 구비된 것으로 양끝단 즉, 상기 제2 세로리브(223)의 상단에는 제2 삽입홈(224)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삽입홈(224)에는 제2 회동공(225)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삽입홈(224) 사이에는 제2 삽입절개편(22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센터리브(222)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센터리브(222)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세로리브(223)까지 제2 가로리브(227)과 보강리브(228)가 길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로리브(227) 양단에는 제3 결합공(22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결합공(229)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4 결합공(230)이 형성된 제2 고정브라켓(231)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부(2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대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20)
A first concave portion 200 is formed concavely at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so as to be suitable for bending of the human body and a first center rib 211 is longitudin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face and a first longitudinal rib 212 is provided at both sides, A first lateral rib 213 is extended from the first center rib 211 to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through the first center rib 211. The first lateral rib 213 is extended from the first center rib 211 to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And a first fixing bracket 216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hole 215 in a state of being spaced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214 is formed at both ends, The first center rib 211 and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are horizontally elongat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enter rib 211 and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The first longitudinal rib 212 has first insertion grooves 217 at both ends thereof, The first pivot hole 218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slot 217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slots 217 A first support portion 210, which first insertion section reorganization unit 219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cave portion 221 is formed concavely at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so as to be suitable for bending of the human body and a second center rib 22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ar face and a second longitudinal rib 223 is provided at both sides, The second center rib 222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ib 223 are horizontally elongated at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center rib 222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ib 223 and have second insertion grooves 224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enter rib 222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ib 223, And a second insertion hole 226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4 and a second insertion hole 226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4, A second lateral rib 227 and a reinforcing rib 228 are extended from the second center rib 222 to the second longitudinal rib 223 on the lower side of the rib 222, A third coupling hole 229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coupling hole 227, 230 lumbar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consisting of the second support 240 is in the second mounting bracket 231 are formed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수단부(3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양끝단부에 제1 관통공(30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관통공(301)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제1 링크봉(302)이 결합되어 있는 제1 링크바(300)와,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양끝단부에 제2 관통공(31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관통공(311)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제2 링크봉(312)이 결합되어 있는 제2 링크바(310)와,
일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1 축공(321)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축공(321)의 전방에는 제1 회동방지 절개부(32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1 회전공(323)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에는 제1 회동방지 걸림편(324)이 구비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320)와,
일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2 축공(331)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공(331)의 전방에는 제2 회동방지 절개부(33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중앙이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제2 회전공(333)이 천공되어 있고 후방에는 제2 회동방지 걸림편(334)이 구비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330)와,
상기 제 1축공(321)에 관통 결합되는 제1 고정축봉(340)과,
상기 제2 축공(331)에 관통 결합되는 제2 고정축봉(350)과,
상기 제1 축공(321)의 양단에 상기 제1 고정축봉(34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1 스프링(360)과,
상기 제2 축공(331)의 양단에 상기 제2 고정축봉(35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2 스프링(370)과,
상기 제1 회전공(323)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제1 회전봉(380)과,
상기 제2 회전공(333)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제2 회전봉(390)과
상기 제1 회전공(323)의 양단에 상기 제1 회전봉(38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3 스프링(391)과,
상기 제2 회전공(333)의 양단에 상기 제2 회전봉(39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한쌍의 제4 스프링(392)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대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ifting means (30)
A first link bar 300 having a first through hole 301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a first link bar 302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30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ow,
A second link bar 310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311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link bar 312 coupl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3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ow,
A first shaft hole 3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entral incision at one side thereof, a first anti-rotation cut-out portion 322 is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shaft hole 321, and a center is cut at the other side A first fixing member 320 having a first hole 323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provided with a first rotation preventing hook 324 at the rear thereof,
A second shaft hole 3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enter cut at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anti-rotation preventing cutout 332 is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shaft hole 331, and a center is cut at the other side A second fixing member 330 having a second hole 333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provided with a second anti-rotation latching member 334 at the rear side thereof,
A first fixed shaft rod 340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hole 321,
A second fixed shaft rod 350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hole 331,
A pair of first springs 36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haft hole 321 through the first fixed shaft rod 340,
A pair of second springs 370 through which the second fixed shaft rod 350 penetrates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hole 331,
A first rotation bar 38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323,
A second rotation shaft 39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333,
A pair of third springs 391 through which the first rotation bar 38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on hole 323,
And a pair of fourth springs (392) coupl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333) through the second rotation shaft (390).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부(40)는,
중앙에는 상하로 수납공간부(4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납공간부(400)의 양측에는 제1 체결공(401)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부(400)의 상하로는 각각 제2 체결공(402)이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부(400)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다수개의 격벽(4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부(400) 내측에는 걸림부재(40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대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fixed portions (40)
A first fastening hole 401 is formed in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part 400 and a second fastening hole 401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torage space part 400,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40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orage space part 400 in a state where the holes 402 are perforated and an engaging member 404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space part 400 Wherein the back support structure compris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360) 및 제2 스프링(370)은 양단이 인출되고 인출된 끝단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대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oth ends of the first spring (360) and the second spring (370) are drawn out, and the drawn ends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프링(391) 및 제4 스프링(392)은 양단이 인출되되 인출된 부위의 각도가 예각을 이루면서 끝단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대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hird spring (391) and the fourth spring (392) have both ends drawn out, and the ends of the third spring (391) and the fourth spring (392)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with an acute ang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360), 제2 스프링(370), 제3 스프링(391), 제4 스프링(392)은 모두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대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pring (360), the second spring (370), the third spring (391), and the fourth spring (392) are all coil springs.








KR20130009201A 2013-01-28 2013-01-28 Lumbar support structure KR1014886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9201A KR101488669B1 (en) 2013-01-28 2013-01-28 Lumbar suppor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9201A KR101488669B1 (en) 2013-01-28 2013-01-28 Lumbar suppor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541A true KR20140096541A (en) 2014-08-06
KR101488669B1 KR101488669B1 (en) 2015-02-04

Family

ID=5174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9201A KR101488669B1 (en) 2013-01-28 2013-01-28 Lumbar suppor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66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880A (en) 2018-04-05 2019-10-15 송귀철 Spinal Correcting Supporter for Posture correction
KR20210118560A (en) 2020-03-23 2021-10-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lumbar posture correction device
KR20220116617A (en) * 2021-02-15 2022-08-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Bio-Inspired Assistive Mechanism for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and Operation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227B1 (en) 2015-04-22 2017-04-11 김응주 Apparatus for spine traction and support
CN105919708B (en) * 2016-05-24 2018-08-24 温州市大道医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ulti-functional fixed equipment for protrusion of lumber intervertebral disc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98Y1 (en) 2002-09-06 2002-12-16 서인교 chair having waist support
KR20110111678A (en) * 2010-04-05 2011-10-12 박종근 Back of a chair
KR101134683B1 (en) 2010-07-22 2012-04-09 이욱진 Chair with the Function of Posture Correction
KR101056986B1 (en) 2010-09-30 2011-08-16 (주)태양메디텍 Waist protecting ban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880A (en) 2018-04-05 2019-10-15 송귀철 Spinal Correcting Supporter for Posture correction
KR20210118560A (en) 2020-03-23 2021-10-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lumbar posture correction device
KR20220116617A (en) * 2021-02-15 2022-08-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Bio-Inspired Assistive Mechanism for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and Ope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669B1 (en)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669B1 (en) Lumbar support structure
KR100711104B1 (en) Exercising apparatus for reforming the spinal column
KR100912142B1 (en) A correction apparatus for penis
US20050209067A1 (en) Non-weight bearing foot and leg exercising apparatus
US8469914B2 (en) Compression device
US20080255490A1 (en) Therapeutic foot appliance and method of use
JP6357631B2 (en) Vertebral disease orthosis
US20220001178A1 (en) Body joint support device with inflatable airbag, electrode or both
KR102183964B1 (en) Belt for Protecting Spine
KR101420061B1 (en) Underwear for chiropractic
KR200466476Y1 (en) Band for protection of waist of chiropractic type
CN102871786B (en) Integrated waistband for waist and hip
KR101097106B1 (en)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KR101530484B1 (en) Correction belt for backbone
KR101297399B1 (en) Traction apparatus for lumbar using elastic recovery
KR102238157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backbone
KR20150025851A (en) hanging apparatus for lumbar traction apparatus on seat
KR101106021B1 (en) Support apparatus for helping growth of height
JP2013094336A (en) Supporter
KR102458543B1 (en) Traction treatment device with adjustable neck angle
KR200249325Y1 (en) A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pine
KR101244838B1 (en) Exercise Apparatus of Waist-disc
RU114847U1 (en) Anatomical corset for back support when sitting
KR20100051006A (en) A correction apparatus for penis
KR102182422B1 (en) Posture correction belt using righting refle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