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809A - 다목적 침낭 - Google Patents

다목적 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809A
KR20140095809A KR1020130008660A KR20130008660A KR20140095809A KR 20140095809 A KR20140095809 A KR 20140095809A KR 1020130008660 A KR1020130008660 A KR 1020130008660A KR 20130008660 A KR20130008660 A KR 20130008660A KR 20140095809 A KR20140095809 A KR 2014009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ing bag
cover
multipurpose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우
문제광
Original Assignee
(주)에코씨엔티
문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씨엔티, 문제광 filed Critical (주)에코씨엔티
Priority to KR102013000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809A/ko
Publication of KR2014009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침낭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침낭은, 외피, 보온재 및 내피의 적층구조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침낭 하부재와; 상기 침낭 하부재와 동일재질로, 상기 침낭 하부재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침낭 하부재와 중첩되며, 중앙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침낭 상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 및 외피가 결합된 구조로 별도의 결합이 필요 없으며, 합성고밀도 폴리에틸렌 섬유 재질의 외피와 음박처리된 내피를 사용하므로, 가볍고 불에 잘 타지 않으며, 화학물질의 내성에 강한 효과가 있으며, 외피에 다양한 색상의 그림이나 국방색 등의 색상을 가미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침낭{sleeping bag}
본 발명은 다목적 침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내 외면의 재질과 색상을 조절하여 일반 용도는 물론 군사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침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낭이라고 함은 몸의 보온을 위한 오리털 등의 내부 보온재를 외피 내에 삽입하여 구성하며, 사용을 종료한 후 휴대 또는 보관시에는 통상 말아서 묶어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침낭을 변형시켜 이불이나 요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침낭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침낭도 나오고 있으며, 이는 침낭을 제조할 때 이불이나 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한 뒤, 상단부분을 제외한 좌우측부와 하단부에 지퍼 레일을 봉제고정하고, 이를 슬라이드 파스너로 열고 닫게끔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요나 이불 또는 침낭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침낭도 단순히 요나 이불, 그리고 침낭으로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있음은 물론 재질의 한계에 의해 야외에서 사용시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침낭은 침낭에 내피나 외피를 별도로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어, 침낭에 별도의 내피와 외피를 부착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법이 번거롭고, 야전에서의 기동력을 요하는 군인들에게는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다목적 침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피 및 외피가 결합된 구조의 다목적 침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고밀도 폴리에틸렌 섬유 재질의 외피와 음박처리된 내피를 사용하므로, 가볍고 불에 잘 타지 않으며, 화학물질의 내성에 강한 다목적 침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군사용 등 다목적으로 사용가능한 다목적 침낭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침낭은, 외피, 보온재 및 내피의 적층구조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침낭 하부재와; 상기 침낭 하부재와 동일재질로, 상기 침낭 하부재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침낭 하부재와 중첩되며, 중앙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침낭 상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외피는 합성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피는 음박처리될 수 있다.
상기 다목적 침낭은, 상기 침낭하부재와 동일재질로 상기 침낭하부재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머리보호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머리보호부재의 가장자리 부분 및 상기 침낭상부재의 상단가장자리부분은 조절줄이 내장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 일 수 있다.
상기 다목적 침낭은 상기 침낭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침낭커버는 내피 및 외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침낭커버는 사각형상의 커버재의 반을 접어 서로 중첩되도록 하여 커버상부재 및 커버하부재를 형성하고, 가장자리부분에는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침낭상부재와 상기 침낭하부재의 하단부는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피는 국방색상이나 복수의 색상을 이용한 그림이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 및 외피가 결합된 구조로 별도의 결합이 필요 없으며, 합성고밀도 폴리에틸렌 섬유 재질의 외피와 음박처리된 내피를 사용하므로, 가볍고 불에 잘 타지 않으며, 화학물질의 내성에 강한 효과가 있으며, 외피에 다양한 색상의 그림이나 국방색 등의 색상을 가미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침낭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 및 도 4는 침낭커버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침낭이 도 4의 침낭커버에 삽입되어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침낭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침낭(100)은 침낭 하부재(110), 침낭 상부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침낭 하부재(110)는 외피, 보온재 및 내피의 적층구조를 가지는 사각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침낭 상부재(120)는 상기 침낭 하부재(110)와 동일재질로, 상기 침낭 하부재(110)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침낭(110)하부재와 중첩되며, 중앙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폐수단(140)이 구비된다.
상기 침낭 상부재(120)와 상기 침낭 하부재(110)의 하단부는 박음질 등의 재봉작업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져, 상기 침낭(100)이 주머지 모양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침낭 상부재(120) 및 상기 침낭 하부재(110)을 구성하는 외피는 합성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듀퐁사의 타이백(Tyvek)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타이백 등의 합성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은 방습기능외에 가볍고 불에 잘 타지 않으며, 화학물질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외피는 국방색상이나 복수의 색상을 이용한 그림이 인쇄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 또는 취양에 따라 다양한 그림이나 색상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내피는 은막처리된 재질을 가져 보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보온재는 상기 외피와 내피사이에 충진되며, 솜이나 오리털 등의 보온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목적 침낭(100)은, 상기 침낭 하부재(110)와 동일재질로 상기 침낭 하부재(110)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머리보호부재(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머리보호부재(130)는 상기 침낭 하부재(110)의 상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반원형으로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보호부재(130)의 가장자리 부분 및 상기 침낭 상부재(120)의 상단가장자리부분은 조절줄(150)이 내장되기 위한 통로(13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부분이 외기에 노출되지 않고, 얼굴부분만 노출되도록 상기 조절줄(150)을 이용하여 조이거나 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140)은 지퍼가 사용되거나, 벨크로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개폐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다목적 침낭(10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침낭커버(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침낭커버(200)를 펼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낭 커버(200)는 상기 다목적 침낭(100)과는 달리, 보온재가 구비되지 않으며, 내피 및 외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침낭커버(200)는 사각형상의 커버재의 반을 접어 서로 중첩되도록 하여 커버 상부재(220) 및 커버하부재(210)를 형성하고, 가장자리부분에는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225)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침낭커버(200)를 구성하는 외피는 상기 침낭(100)을 구성하는 외피와 동일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내피 또한 침낭(100)을 구성하는 내피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낭커버(200)는 상기 침낭(100)과 동일구조로 머리보호부재(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머리보호부재(230)는 상기 커버 하부재(210)의 상단에서 상부방향으로 반원형으로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보호부재(230)의 가장자리 부분 및 상기 커버상부재(220)의 상단가장자리부분은 조절줄(250)이 내장되기 위한 통로(23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침낭커버(200)는 침낭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225)를 체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다목적 침낭(100)을 보관하고, 조절줄(250)을 이용하여 폐쇄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도 3과 같이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225)가 분리되도록 하여, 침낭커버(200)를 펼쳐지도록 하여 돗자리나 바닥의 방습을 위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 및 외피가 결합된 구조로 별도의 결합이 필요 없으며, 합성고밀도 폴리에틸렌 섬유 재질의 외피와 음박처리된 내피를 사용하므로, 가볍고 불에 잘 타지 않으며, 화학물질의 내성에 강한 효과가 있으며, 외피에 다양한 색상의 그림이나 국방색 등의 색상을 가미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다목적 침낭 200 ; 침낭 커버
110 : 침낭 하부재 120 : 침낭 상부재

Claims (11)

  1. 다목적 침낭에 있어서:
    외피, 보온재 및 내피의 적층구조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침낭 하부재와;
    상기 침낭 하부재와 동일재질로, 상기 침낭 하부재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침낭 하부재와 중첩되며, 중앙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침낭 상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합성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음박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침낭은, 상기 침낭하부재와 동일재질로 상기 침낭하부재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머리보호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머리보호부재의 가장자리 부분 및 상기 침낭상부재의 상단가장자리부분은 조절줄이 내장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지퍼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침낭은 상기 침낭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침낭커버는 내피 및 외피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침낭커버는 사각형상의 커버재의 반을 접어 서로 중첩되도록 하여 커버상부재 및 커버하부재를 형성하고, 가장자리부분에는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낭상부재와 상기 침낭하부재의 하단부는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국방색상이나 복수의 색상을 이용한 그림이 인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낭.
KR1020130008660A 2013-01-25 2013-01-25 다목적 침낭 KR20140095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60A KR20140095809A (ko) 2013-01-25 2013-01-25 다목적 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660A KR20140095809A (ko) 2013-01-25 2013-01-25 다목적 침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09A true KR20140095809A (ko) 2014-08-04

Family

ID=5174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660A KR20140095809A (ko) 2013-01-25 2013-01-25 다목적 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8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702A (ko) 2014-10-21 2016-04-29 손대업 다용도 라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702A (ko) 2014-10-21 2016-04-29 손대업 다용도 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5299A1 (en) Convertible multi-use garment and cushion with stowable storage pouch
US20100122395A1 (en) Convertible multifunction covering
US6910237B2 (en) Pillow cover with closure and pouch member therefor
US20090151072A1 (en) Interconnected Double Comforter Dual Sleeping System
US6363554B1 (en) Head hugging pillow case
US8424113B2 (en) Convertible sleep shell
US8245334B2 (en) Duvet cover
US20070061966A1 (en) Multiple-Entry/Egress Sleeping Bag For Adjustable Body Coverage
US20150196147A1 (en) Mattress cover assembly and method
US7376990B2 (en) Sham for a travel pillow
US20120005830A1 (en) Two-ply convertible pillow blanket
US20090255059A1 (en) Sleeping bag attachment system
KR20140095809A (ko) 다목적 침낭
KR200481766Y1 (ko)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침낭
KR100860691B1 (ko) 침낭 겸용 개인텐트
KR100983790B1 (ko) 개량형 다목적 침낭
KR102238246B1 (ko) 침낭
KR101351940B1 (ko) 침낭
KR20160046702A (ko) 다용도 라이너
US20140326188A1 (en) Pocketed Pillow Case and Pocketed Pet Bed Cover
KR200446523Y1 (ko) 유아용 침낭
JP3205072U (ja) ブランケット収納付き座布団
US20120242125A1 (en) Securable Towels
CN204861728U (zh) 野营垫
KR102606492B1 (ko)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