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448A - A Cinerary - Google Patents

A Cinera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448A
KR20140095448A KR1020140059587A KR20140059587A KR20140095448A KR 20140095448 A KR20140095448 A KR 20140095448A KR 1020140059587 A KR1020140059587 A KR 1020140059587A KR 20140059587 A KR20140059587 A KR 20140059587A KR 20140095448 A KR20140095448 A KR 2014009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engaging
urn
engaging portion
botto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아
장윤진
장광현
Original Assignee
이승아
장광현
장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아, 장광현, 장윤진 filed Critical 이승아
Priority to KR102014005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448A/en
Publication of KR2014009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4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61G17/0106W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nerary urn including an inner urn (10) in which pulverized ashes are stored; an outer urn (20) which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urn (10); and a moisture absorbing member (30)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urn (10) and the outer urn (20) to be capable of performing moisture absorption and smell absorption and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inner urn (10) from being shak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nerary urn is formed of wood and is formed so that the inner urn and the outer ur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main body portion and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ver portion are formed at an angle and are coupled through insertion by force, and thus sealability is enhanced between the inner urn and an outside urn for excellent waterproof and moisture-proof effects. Also, an inner urn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a floor member of the inner urn and a floor member of the outer urn at a predetermined gap for smooth ventilation. In addition, activated charcoal that is obtained through a chemical treatment of charcoal or brown coal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urn and the outer urn to enhance the moisture absorption and smell absorption effects.

Description

유골함{A Cinerary} Ascending {A Cinerary}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나무판재를 이용하여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유골함의 외측에 한지층와 옻층을 형성함으로써 살균효과 등의 보존성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내함과 외함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함과 외함의 사이에 숯이나 활성탄을 이용한 흡습부재를 구비하여 흡습, 흡취 및 통기의 효과를 도모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h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ximizing preservation such as sterilization effect by forming a Hanzi layer and an Lacquer layer on the outer side of a polygonal columnar osier using a plurality of wooden boards, And a moisture absorbing member using charcoal or activated carbon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enclosures to provide an effect of hygroscopicity, absorption and ventilation, and thus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일반적으로 유골함은 유해를 화장하여 유골을 담아 납골당에 모시기 위한 용기로서, 이는 통상적으로 도자기 또는 금속 등의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함 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 되어 유골에 습기가 함습됨으로써 유골에 곰팡이나 세균번식 및 벌레의 발생으로 유골이 손상됨에 따라 악취가 발생되어 유족들에게 불 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살충제나 방부제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Generally, the ashes are made of materials such as ceramics or metal, so that the ashes are cremated, and the ashes are taken into the crypts. This is becaus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As a result of the smuggling, the ashes are damaged by the occurrence of fungi, germs and insects in the ashes, and odors are generated,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the bereaved family members and inconveniences such as insecticide or preservative to remove them.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골함을 목재로 제작한 다음, 이에 천연 옻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천연 옻은 오래전부터 생활용품, 각종 예술품 및 금속 등에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한방에서는 건칠(乾漆)이 어혈(瘀血)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구충이나 위산 과다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urn is made of wood and natural lacquer is made. Such natural lacquer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daily necessities, various arts and metals, and it has been known that dry lacquer is effective in eliminating umbilical cord blood,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effecting insomnia and gastric hyperplasia.

이와 같은 천연 옻이 오래전부터 천연도료로 사용되어 온 것은 매우 높은 내구성, 방수성 등의 기능성과 이외에도 아름다운 광택과 탁월한 촉감을 가지기 때문이다.Such natural lacquer has been used for natural paints for a long time because it has very high durability, waterproof property and other beautiful luster and excellent touch.

그러나, 이와 같은 옻칠은 열에 의한 변색이나 자외선에 의한 광분해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또한 옻 도막의 투명도가 현저히 낮아질 뿐만 아니라 완전하게 방습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유골이 부패하거나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lacquer exhibits a phenomenon of discoloration due to heat and ultraviolet rays, and also the transparency of the lacquer coating is remarkably lowered, and the moisture is not completely damped.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o be done.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대한민국특허청에 특허등록출원을 하여 등록된 제10-0639940호에 '도료층이 형성된 유골함 및 그에 따른 도포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meet such a demand, a patent application for a patent has been fil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No. 10-0639940.

상기 종래의 '도료층이 형성된 유골함 및 그에 따른 도포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이 보관되는 하부몸체(1)와; 하부몸체(1)에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뚜껑(3)과, 상기 유골보관홈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단에 결합되는 내부뚜껑(4)으로 이루어지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와 상기 상부뚜껑(3) 및 상기 내부뚜껑(4)의 외주면에는 적정 두께로 1차적으로 옻을 도포하여 형성된 제1옻도포층과; 상기 제1옻도포층이 경화되기 전에 적정 매쉬로 이루어진 숯 분말을 뿌려 형성된 숯 분말층과; 상기 숯 분말층 상부에 적정 두께로 2차적으로 옻을 도포하여 형성된 제2옻도포층으로 이루어진 도료층(5)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osseoid with a coating layer formed thereon and a coating method therefor' comprises a lower body 1 for storing ashes; An upper lid 3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 and an inner lid 4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sh storage groove, A first lacquer coating laye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lid 3 and the inner lid 4 by applying lacquer to an appropriate thickness first; A charcoal powder layer formed by spraying a charcoal powder made of an appropriate mesh before the first varnish coating layer is cured; A coating layer 5 composed of a second varnish coating layer formed by applying varnish secondarily to an appropriate thickness on the top of the charcoal powder layer is formed.

그러나 종래의 '도료층이 형성된 유골함 및 그에 따른 도포방법'은 제1옻도포층과 숯 분말층 및 제2옻도포층을 차례로 도포하여 도료층을 형성함으로서 살균, 탈취효과 및 자외선 전자파 및 수맥파 등을 차단하여 유골의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하고 유골의 보전상태를 양호하게 보존할 수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목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축되어 나뭇결이 갈라지거나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장기간 보관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prior art 'osseoid with a coating layer formed thereon and a coating method therefor', a coating layer is formed by successively coating the first lacquer coating layer, the charcoal powder layer and the second lacquer coating layer to form a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cay and alteration of the ashes and to preserve the preservation state of the ashes in good condition. However, in general, the wood shrinks with time and cracks or twists the grain, Respectively.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639940호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063994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목재로 유골함을 형성하되 내함과 외함으로 분리되어 형성하며, 상기 내함과 외함 사이에는 숯이나 갈탄 등을 약품 처리한 활성탄을 삽입하여 흡습 및 흡취의 효과를 증대하였으며, 다수개의 나무판재의 테두리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다각기둥 형상의 유골함이 장기간 보관시 갈라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 및 외측에 한지를 복수회 부착한 뒤 옷칠을 함으로써 견고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유골함을 제공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shtray, In order to prevent cracking or twisting of the polygonal column shaped ashtray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agent to the edge of a plurality of wooden boards, it is necessary to attach Korean paper to the inner and outer sides a plurality of times, And to provide an ashtray capable of increasing robustnes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쇄된 유골을 보관하는 내함와, 상기 내함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함과, 상기 내함과 외함의 사이에 위치하여 흡습 및 흡취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내함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흡습부재를 포함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내함과 외함은 팔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하며, 내함 및 외함은 본체부와 덮개부로 나뉘어 형성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함으로서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n inner case for storing crushed ashes; an outer case located outside the inner case; and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for absorbing and absorbing moisture and preventing the inner case from being shaken The inner and outer enclosure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n octagonal column, and the inner and outer enclosures are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a main body portion and a lid portion so as to b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To provide the ashes.

상기에서 내함의 제1본체부는 8개의 제1측면부재와, 상기 8개의 제1측면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1측면부재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서 내측에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바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부재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좌측면과 우측면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와 다른 제1측면부재의 내각이 135°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first main body portion includes eight first side surface members and an octagonal shape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ight first side surface members so that the rim surfaces are fixedly attached to the respective first side surface members, Wherein the first side member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the left side surface and the right side surface are inclined outwardly so that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other side member, Is 135 [deg.].

상기에서 제1측면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덮개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부와,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1바닥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재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first side member may include a cov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to engage with the first cover member and a bottom memb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bottom member. Provide ashes.

상기에서 덮개결합부는 상기 제1측면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측면부재와 덮개결합부의 사이에는 제1덮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결합부와 덮개안착단턱의 사이에는 상향으로 갈수록 제1측면부재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덮개부와의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lid-engaging portion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ide member. A lid-mounting ste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lid-engag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lid can be seated.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lid-engaging portion and the lid-seating step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back side of the first side member and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with the first lid portion.

상기에서 덮개결합부의 경사면의 상측 끝단은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id-engaging portion is curved in a rounded shape.

상기에서 바닥부재결합부는 제1측면부재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부재와 바닥부재결합부의 사이에는 바닥부재결합단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bottom member coupling part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bottom member coupling step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bottom member coupling part. .

상기에서 내함의 제1덮개부는 제1본체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1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first lid part includes a first lid member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ain body part and is divided into eight parts, and a first lid member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and is formed of an octagonal plate member. And an ashtray box.

상기에서 제1결합부재의 내측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부를 기점으로 상측에는 제1덮개부재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제1본체부의 제1측면부재가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first coupling member has a protruding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cover member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and the first side member of the first body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Provides an ashes to the feature.

상기에서 제1결합부재는 제1덮개부재와 결합하는 제1결합면과, 제1본체부의 제1측면부재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면은 하향으로 갈수록 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 끝단을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Wherein the first engagement member includes a first engagement surface that engages the first lid member and a second engagement surface that engages the first side member of the first body member in a forced fit manner, And the lower end is formed to be curved in a rounded shape.

상기에서 외함은 내함이 보관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본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enclosure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a second cover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configured to seal the second body portion, To provide the ashes.

상기에서 제2본체부는 8개의 제2측면부재와, 상기 8개의 제2측면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2측면부재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서 내측에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바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부재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측면부재와 다른 제2측면부재의 내각이 135°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second body portion has eight second side members and an octagonal shape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ight second side members. The frame body is fixedly attached to each second side member, And the second side member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member. The left side surface and the right side surface are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second side member and the second side member,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Is 135 [deg.].

상기에서 제2측면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2덮개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부와, 하측에는 제1바닥부재를 위치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는 바닥부재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second side member may include a cov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to engage with the second cover portion and a bottom member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first bottom member, And a groove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ashes.

상기에서 덮개결합부는 상기 제2측면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측면부재와 덮개결합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덮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결합부와 덮개안착단턱의 사이에는 상향으로 갈수록 제2측면부재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덮개부와의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lid-engaging portion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ide member, and a lid-fitting step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ide member and the lid-engag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lid portion can be seated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lid-engaging portion and the lid-seating step so as to be inclin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member upward and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with the second lid portion. do.

상기에서 덮개결합부의 경사면의 상측 끝단은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id-engaging portion is curved in a rounded shape.

상기에서 제2바닥부재의 내측에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내함안착부가 다수개 원형배열되어 8각형상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inner bottom of the second bottom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ner bottom seating portions formed in an isosceles trapezoid shape and circularly arranged to have an octagonal shape.

상기에서 제2덮개부는 제2본체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2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The second lid part includes a second lid member which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ain body part and which is divided into eight parts and a second lid member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ngaging part and is formed of an octagonal plate material And the like.

상기에서 흡습부재는 내함의 외주면과 외함의 내주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숯이나 활성탄 등을 한지로 감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The moisture absorb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closure, and is formed by wrapping charcoal, activated carbon or the like with a pap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골함에 따르면, 목재로 유골함을 형성하되 내함과 외함으로 분리되어 형성하며, 본체부의 상단 외주면과 덮개부의 하단 내주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함으로서 내함과 외부함의 밀폐력을 증대함으로서 방수 및 방습효과를 우수하게 하는 효과를 지니며, 상기 내함의 바닥부재와 외함의 바닥부재 사이에 내함안착부가 형성함으로서 일정간격 이격되므로 통기가 원활하게 되며 상기 내함과 외함 사이에는 숯이나 갈탄 등을 약품 처리한 활성탄을 삽입하여 흡습 및 흡취의 효과를 증대하는 효과를 지닌다. According to the ashtray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shtray box is formed of wood, separated from the inner box and the outer box,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part are inclined, The inner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enclosure are provided with an inner seating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ventilation is smooth and charcoal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enclosures,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ect of hygroscopic absorption and absorption by inserting activated carbon treated with chemical such as lignite.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나무판재의 테두리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다각기둥형상의 유골함이 장기간 보관시 갈라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 및 외측에 한지를 여러번 부착하여 견고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외층에 옻칠을 함으로서 강력한 살균 및 살충, 항균, 악취, 유해물질 제거, 방수, 방습, 대전방지, 소취, 탈취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내염기성, 내화학성, 내후성, 내생 분해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대한 안전성이 뛰어나게 되어 유골의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하고, 유골의 보존상태가 양호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creasing the firmness of a polygonal columnar osseoid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agent to the edges of a plurality of wooden sheets, It has strong sterilization and insecticide, antibacterial, odor, harmful substance removal, waterproof, dampproof, antistatic, deodorant and deodorizing effect by lacquering on the outer layer. Degradability and the like as well as being excellent in safety against ultraviolet rays, thereby preventing decay and alteration of the ashes, and achieving a favorable effect of preserving the remains.

도 1은 종래의 유골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의 제1측면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와 제1덮개부의 결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흡습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sseous vessel,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htray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ior of the os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main body included in the oss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side member of a first main body included in an oss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lid unit included in the os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joining a first body part and a first lid part of the oss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closure of an os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body portion provided in an enclosure of an os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lid part provided in an enclosure of an os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closure of an os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oisture absorbing member of an ash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13 is a perspective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interior of an ossein is combined with an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S. 14 to 15 are 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terior of an owl casing and an enclosure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htray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의 제1측면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에 구비된 제1본체부와 제1덮개부의 결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에 구비된 제2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외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흡습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내함과 외함을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gl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gle of an ogl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main body provided in the oss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oss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lid part of the oss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irst lid part. 7 is an engaging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oining method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first lid part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os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body portion provided in an enclosure of an ow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ond body por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lid provided in an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utline of an osseous ca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moisture absorb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ner surface of an oven box and an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h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a sectional view to explain the state schematically.

이하의 설명에서 도 5를 기준으로 측면부재의 좌우 방향을 '좌측면, 우측면'으로 하고, 세로 방향으로 '상면 및 하면'으로 하며, 내측 공간부를 향한 면을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되는 방향을 '배면'이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 member are referred to as 'left side and right side',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facing the inner side space is referred to as 'front side' Is called the 'bac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골함(100)은 도 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된 유골을 보관하는 내함(10)와, 상기 내함(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함(20)과, 상기 내함(10)과 외함(20)의 사이에 위치하여 흡습 및 흡취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내함(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흡습부재(30)를 포함한다. 2 to 15, the ashtr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asing 10 for storing crushed ashes, an outer casing 20 located outside the inner casing 10, And a hygroscopic member 30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ase 10 and the outer case 20 for absorbing moisture and preventing the inner case 10 from being shaken.

상기 유골함(100)은 8개의 나무판재의 테두리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접착하여 8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목재로 가공하여 만들어 접촉될 시 표면이 매끄러워 안전하며 녹이 슬지 않고 외관이 수려하며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다만, 다수개의 나무판재를 접착하여 외관을 형성하므로 장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접착력이 떨어져 접착된 나무판재와 다른 나무판재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하거나 쪼개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에 한지를 부착하여 소박함과 자연스러움 및 동양의 정서를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공된 유골함의 견고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한지의 외측에 옷칠을 더 함으로서 방수성, 방습성 및 살균효과 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은 추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ash tray 100 is formed by forming an octagonal columnar shape by applying an adhesive agent to the edges of eight wooden sheets, and when processed by wood, the surface is smooth and safe, It gives psychological stability. However, since the appearance is formed by bonding a plurality of wooden boards, there is a problem that after the elapse of a long time, the adhesive force deteriorates and a gap is formed or split between the bonded wood board and the other wooden boards. Therefore, By attaching Korean paper to the outer surface, it is possible to feel simpleness, naturalness and eastern feeling while enhancing the rigidity of the processed ashtray. By adding cloth to the outside of Korean paper, waterproof, moisture-proof and sterilizing effect . The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내함(1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이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1본체부(11)와, 상기 제1본체부(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본체부(11)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덮개부(1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o FIG. 7, the inner casing 10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11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so that an ashtube can be inserted and stored, and a second body portion 1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 And a first lid part (13) positioned to seal the first main body part (11).

상기 제1본체부(11)는 8개의 제1측면부재(111)와, 상기 8개의 제1측면부재(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1측면부재(111)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서 내측에 수납부(1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바닥부재(115)를 포함한다. The first main body 11 is formed of eight first side members 111 and eight first side members 111 and is formed in an octagonal shape so that the rim faces of the first side members 111 111, and the first bottom member 115 can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ttom member 115.

상기 제1측면부재(111)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면(1111)과 우측면(1112)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111)의 좌우측면(1111, 1112)과 서로 맞닿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111)와 다른 제1측면부재(111)의 내각은 135°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8개의 제1측면부재(111)를 모두 조립하였을 때 팔각기둥의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상측에는 후술되는 제1덮개부(13)를 위치시켜 결합하고 하측에는 제1바닥부재(115)를 위치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제1측면부재(1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덮개결합부(1113)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바닥부재결합부(1116)가 구비된다. The first side member 111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the left side 1111 and the right side 1112 are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1111 and 1112 of the adjacent first side member 111 So that the inner angle of the first side member 111 adjacent to the first side member 111 and the inner angle of the other first side member 111 can be 135 degrees, So that the shape of the octagonal column can be achieved. The first side member 111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member 115 and the first side member 115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member 111, A cover engaging portion 1113 protruding upward and a bottom engaging portion 1116 protruding downward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1.

상기 덮개결합부(1113)는 도4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덮개결합부(1113)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1덮개부(1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1115)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결합부(1113)의 외측은 상향으로 갈수록 제1측면부재(111)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덮개부(13)와의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경사면(11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결합부(1113)의 상측 끝단 외측 모서리는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1덮개부(13)와 억지끼움으로 결합시 상호 충돌되어 덮개결합부(1113)의 끝단이 파손되지 않고 부드럽게 상하로 결합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S. 4 to 5, the lid-engaging portion 1113 protrudes up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ide member 111, so that the lid- A lid mounting step 1115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lid part 1113 so that the first lid part 13 can be seated and the outer side of the lid engaging part 1113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member 111 The inclined surface 1114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first cover portion 13 and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with the first cover portion 13. [ On the other hand, the outer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cover engaging portion 1113 is formed to be curved in a round shape, and when the first cover portion 13 is engaged with the first cover portion 13 by interference, the end of the cover engaging portion 1113 is smooth Up and down.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는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제1측면부재(111)의 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도록 돌출되므로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의 내측으로는 바닥부재결합단턱(1117)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의 내측으로 바닥부재결합면(111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바닥부재결합면(1118)은 제1바닥부재(115)의 테두리면과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재결합면(1118)의 높이는 제1바닥부재(115)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제1바닥부재(115)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member engaging portion 1116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ide member 111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ide member 111, A bottom member engaging step 1117 is provided inside the part 1116 and a bottom member engaging surface 1118 is formed inside the bottom part engaging part 1116. The bottom member engaging surface 1118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bottom member 115 so that the height of the bottom member engaging surface 1118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bottom member 115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bottom member 115. [

상기 제1바닥부재(115)는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저면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에 결합된 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8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상면은 상기 바닥부재결합단턱(1117)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테두리면은 바닥부재결합면(1118)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bottom member 115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ide member 111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engaging portion 1116 and can be fixed by an adhesive. The first bottom member 115 is formed of an octagonal plate material And an upper surface to engage with the bottom member engaging step 1117 and a rim surface to engage with the bottom member engaging surface 1118.

상기 제1덮개부(13)는 제1본체부(11)의 상부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의 제1결합부재(131)와,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1덮개부재(133)를 포함한다.The first lid portion 13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main body portion 11 and includes eight first engagement members 131 and an octagonal plate member 13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ngagement member 131. [ As shown in FIG.

상기 제1결합부재(13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311)은 후술되는 제1덮개부재(133)의 결합단턱(1333)와 맞닿으며, 저면(1312)은 상기 제1본체부(11)의 덮개안착단턱(1115)과 맞닿아 결합되며, 좌우측면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른 제1결합부재(131)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시킨 뒤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내측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돌부(1313)가 형성되어 상기 돌부(1313)를 기점으로 상측에는 제1덮개부재(133)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제1본체부(11)의 제1측면부재(111)가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돌부(1313)의 상부로 내향하는 제1결합면(1314)이 구비되고 상기 돌부(1313)의 하부로 내향하는 제2결합면(1315)이 구비된다.6 and 7, the upper surface 1311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abuts the engaging step 1333 of the first lid member 1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re inclined outward so as to be positioned next to each other with the other first engaging member 131 so as to be fixed by an adhesive agent . A first lid member 13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1313 and a first lid member 133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id member 13, A first engagement surface 1314 fa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jection 1313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side member 111 of the projection 1313 can be positioned and engaged, (1315).

상기 제1결합면(1314)은 후술되는 제1덮개부재(133)의 덮개부재결합면(1335)과 맞닿아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결합면(1314)과 덮개부재결합면(1335)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된 제1결합부재(131)와 제1덮개부재(133)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ngagement surface 1314 is fixed to abut the lid member engagement surface 1335 of the first lid member 133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ixed to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1314 and the lid member engagement surface 1335 To prevent a gap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and the first lid member 133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2결합면(1315)은 상기 본체부(11)의 제1측면부재(111)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향으로 갈수록 전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 끝단을 내측 모서리는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131)를 제1측면부재(111)와 결합할 경우 상기 제2결합면(1315)과 제1측면부재(111)의 경사면(1114)이 서로 맞닿아 미끄러지면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면(1315)의 하측 끝단 모서리와 경사면(1114)의 상측 끝단 모서리가 서로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므로 제1덮개부(13)를 가압할 경우 압력에 의해 상기 제2결합면(1315)의 하단과 경사면(1114)의 상단이 서로 외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engaging surface 1315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member 111 of the main body 11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so that the second engaging surface 1315 is inclined in the front direction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inner edge is curved in a round shape . Therefore, when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is engaged with the first side member 111, the second engaging surface 1315 and the inclined surface 1114 of the first side member 111 abut against each other to slip and engage do. At this time, since the lower end edge of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1315 and the upper end edge of the slope surface 1114 are formed to be round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lid portion 13 is pressed, 1315 and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1114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outward direction.

상기 제1덮개부재(133)는 8개의 제1결합부재(131)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8각의 판재형상으로 형성하되 저면은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합턱부(1331)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131)와 상측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턱부(1331)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면(1311)과 맞닿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향향하는 결합단턱(1333)과, 상기 결합단턱(1333)의 내측으로 외향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1결합부재(131)의 제1결합면(1314)와 맞닿아 결합되는 덮개부재결합면(13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단턱(1133)은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면(1311)와 맞닿아 결합되므로 결합단턱(1133)의 길이는 제1결합부재(131)의 상면(1311)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덮개부재결합면(1335)은 제1결합면(1314)과 맞닿아 결합되므로 덮개부재결합면(1335)의 높이와 제1결합면(1314)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에 의해 결합시 정확하게 맞춤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lid member 133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eight first engaging members 131 and is formed into an octagonal plate shap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lid member 133 is spaced inward to be protruded downward, (1331) is formed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first engagement member (131) and the upper side. The coupling jaw 1331 includes an incoherent coupling step 1333 that allows the coupling jaw 1331 to abut the upper surface 1311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a cover member engaging surface 1335 formed to abut against and engage with the first engaging surface 1314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The coupling step 1133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1311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since the coupling step 113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311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the lid member engaging surface 1335 is abutted against the first engaging surface 1314 so that the height of the lid member engaging surface 1335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engaging surface 1314, So that it can be firmly coupled.

상기 외함(20)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함(1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2본체부(21)와, 상기 제2본체부(21)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본체부(21)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덮개부(2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8 to 11, the enclosure 20 includes a second body portion 21 having an open upper shape so that the inner box 10 can be received therein, And a second lid part (23) located on the second body part (21) to seal the second body part (21).

상기 제2본체부(21)는 8개의 제2측면부재(211)와, 상기 8개의 제2측면부재(211)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2측면부재(211)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에 수납부(2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바닥부재(215)를 포함한다. The second main body 21 has eight second side members 211 and an octagonal shape located below the eight second side members 211 so that the rim faces of the second side members 211 And a second bottom member 215 which is fixedly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211 and 211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13 can be formed inside.

상기 제2측면부재(211)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면(2111)과 우측면(2112)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측면부재(211)의 좌우측면(2111, 2112)과 서로 맞닿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이웃하는 제2측면부재(211)와 다른 제2측면부재(211)의 내각은 135°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8개의 제2측면부재(211)를 모두 조립하였을 때 팔각기둥의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측면부재(211)는 상측에 후술되는 제2덮개부(23)를 위치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상향되어 돌출된 덮개결합부(2113)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제1바닥부재(115)를 위치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곳에 가로 방향으로 오목하게 바닥부재결합홈(2119)이 형성된다. The second side member 211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member and has a left side surface 2111 and a right side surface 2112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2111 and 2112 of the adjacent second side surface member 211 The second side member 211 and the second side member 211 can be set at 135 ° so that the second side member 211 and the second side member 211 can be fixed by the adhesive, So that the shape of the octagonal column can be achieved. The second side member 211 is provided with a lid engaging portion 2113 protruded upward so that a second lid portion 23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a first bottom member 115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19 so as to be coupled with each other.

상기 덮개결합부(2113)는 상기 제2측면부재(2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덮개결합부(2113)의 외측으로 상기 제2덮개부(2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2115)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결합부(2113)의 외면은 상향으로 갈수록 제2측면부재(211)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덮개부(23)와의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경사면(21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경사면(2114)의 상측 끝단을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2덮개부(23)와 억지끼움으로 결합시 상호 접촉되어 덮개결합부(2113)의 끝단이 파손되지 않고 부드럽게 상하로 전진 및 후퇴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Since the lid engaging portion 2113 protrudes upwar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side member 211, the second lid portion 23 is seated on the outside of the lid engaging portion 211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engaging portion 2113 is inclin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side member 211 so that the seal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d portion 23 is increased The inclined surface 2114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2114 is formed to be round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2114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id portion 23 when the second lid portion 23 is engaged with the second lid 23, Make it possible to retreat.

상기 바닥부재결합홈(2119)은 제2측면부재(211)의 저면에서부터 상향 이격된 곳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형태의 홈으로서 제2바닥부재(215)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적정 높이를 유지하여 유골함(100)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bottom member engaging groove 2119 is a concave groov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ide member 211 so as to maintain the proper height so that the second bottom member 215 is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ashtray 100 can be smoothly vented.

상기 제2바닥부재(215)는 상기 제2측면부재(211)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바닥부재결합홈(2119)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바닥부재(215)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내함안착부(2151)가 구비된다. The second bottom member 215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side member 211 and inserted into the bottom member coupling groove 2119 to be fixed by an adhesive.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ner receiving portions 2151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ttom member 215.

상기 내함안착부(2151)는 사다리꼴 형성으로 형성된 판재로서, 다수개의 내함안착부(2151)가 배열되어 8각형상을 이루며, 상측에 내함(10)을 안착시켜 외함(20)의 제2바닥부재(215)와 내함(10)의 제1바닥부재(115)가 서로 이격되므로 통기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8개의 내함안착부(2151)가 원형 배열되되 이웃하는 내함안착부(2151)와 다른 내함안착부(2151)의 사이에 간격를 형성하여 통기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웃하는 내함안착부(2151)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8개의 내함안착부(2151) 중에서 마주보는 어느 하나의 내함안착부(2151)를 제거하여 통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inner bottom seating portion 2151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inner bottom seating portions 2151 arranged to form an octagonal shape and the inner bottom wall 10 is se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irst bottom member 115 of the inner casing 10 are spac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according to FIG. 9, the eight inner receiving portions 2151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receiving portion 2151 and the inner receiving portion 2151 so as to increase the air permeability , And if there is no gap between neighboring inner wall seating portions 2151, any one inner wall seating portion 2151 facing the inner wall seating portions 2151 of the eight inner wall seating portions 2151 may be removed to increase air permeability.

상기 제2덮개부(23)는 제2본체부(21)의 상부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2결합부재(231)와,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2덮개부재(233)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lid part 23 is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second main body part 21 and includes a second engaging part 231 divided into eight parts and a second engaging part 231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ngaging part 231, And a second lid member 233 formed of a plate material.

상기 제2결합부재(231)는 상면(2311)은 후술되는 제2덮개부재(233)의 결합단턱(2333)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고, 저면(2312)은 상기 제2본체부(21)의 덮개안착단턱(2115)와 맞닿아 결합되며, 좌우측면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른 제2결합부재(231)와 서로 이웃하게 위치시킨 뒤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내측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돌부(2313)가 형성되어 상기 돌부(2313)를 기점으로 상측에는 제2덮개부재(233)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제2본체부(21)의 제2측면부재(211)가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돌부(2313)의 상부로 내향하는 제1결합면(2314)이 구비되고 상기 돌부(2313)의 하부로 내향하는 제2결합면(2315)이 구비된다. The upper surface 2311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231 can abut the engaging step 2333 of the second lid member 23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ower surface 2312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231 can abut the engaging step 2333 of the second main body 21 And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re inclined outward so as to be positioned next to each other with the other second joining member 231 so that they can be fixed by the adhesive. A protrusion 2313 protruding from the front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231 so that the second lid member 23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from the protrusion 2313 and the second lid member 233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first coupling surface 2314 fa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rojection 2313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side member 211 of the coupling portion 2313 can be positioned and engaged, (2315).

상기 제1결합면(2314)은 후술되는 제2덮개부재(233)의 덮개부재결합면(2335)과 맞닿게 되며, 제1결합면(2314)과 덮개부재결합면(2335)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결합된 제2결합부재(231)와 제2덮개부재(233)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engaging surface 2314 abuts the lid member engaging surface 2335 of the second lid member 23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height of the first engaging surface 2314 and the lid member engaging surface 2335 are the same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1 and the second lid member 233 from being formed.

상기 제2결합면(2315)은 상기 제2본체부(21)의 제2측면부재(211)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향으로 갈수록 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 끝단을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제2결합부재(231)를 제2측면부재(211)와 결합할 경우 상기 제2결합면(2315)과 제2측면부재(211)의 경사면(2114)이 서로 맞닿아 미끄러지면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면(2315)의 하측 끝단과 경사면(2114)의 상측 끝단이 서로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므로 제2덮개부(23)를 가압할 경우 압력에 의해 상기 제2결합면(2315)의 하단과 경사면(2114)의 상단이 서로 외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슬라이딩되어 정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315 is coupled to the second side member 211 of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21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nd is inclined in the front direction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and curved at the lower end in a rounded shape do. Therefore, when the second engaging member 231 is engaged with the second side member 211,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315 and the inclined surface 2114 of the second side member 211 abut against each other to slide and engage with each other do.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2315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2114 and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2114 are formed to be curved in a rounded shape. Therefore, when the second lid portion 23 is presse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2315, So that the upper ends thereof can be slid and matched while being pushed outwardly from each other.

상기 제2덮개부재(233)는 8개의 제2결합부재(231)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8각형상으로 판재형상으로 형성하되 저면은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합턱부(2331)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231)와 상측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턱부(2331)는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상면(2311)과 맞닿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하향하는 결합단턱(2333)과, 상기 결합단턱(2333)과 직교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2결합부재(231)의 제1결합면(2314)와 맞닿아 결합되는 외향하는 덮개부재결합면(2335)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단턱(2133)은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상면(2311)와 맞닿아 결합되므로 결합단턱(2133)의 길이는 제2결합부재(231)의 상면(2311)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덮개부재결합면(2335)은 제1결합면(2314)과 맞닿아 결합되므로 덮개부재결합면(2335)의 높이와 제2결합면(2314)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서 접착제에 의해 결합시 정확하게 맞춤됨으로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cover member 233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ight second coupling members 231 and is formed into a plate shape having an octagonal shape and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inward and protruded downward, And a jaw 2331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231 and the upper side. The coupling jaw 2331 is formed to have a downward coupling edge 2333 and a coupling edge 2333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edge 2333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2311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1, And an outwardly facing lid member engaging surface 2335 that abuts and engages the first engaging surface 2314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231. The coupling step 2133 is formed so as to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2311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1 since the coupling step 213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2311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231, And the lid member engaging surface 2335 is abutted against the first engaging surface 2314 so that the height of the lid member engaging surface 2335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314, So that they can be firmly coupled.

상기 흡습부재(30)는 내함(10)의 외면과 외함(20)의 내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흡습부재(30)를 다수개 형성한 뒤 내삽된다. 상기 흡습부재(30)는 숯이나 목재나 갈탄 등을 염화아연 등의 약품으로 처리, 건조시켜 제조한 활성탄 등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서 흡습 및 흡취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숯이나 활성탄 등은 가루나 입자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고체로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지에 숯이나 활성탄 등의 입자를 놓고 표면을 쌈으로서 내함(10)와 외함(20)의 사이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oisture absorbing member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ing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20 and is inserted after a plurality of moisture absorbing members 30 are formed. The moisture absorbing member 30 is formed by using charcoal, wood, lignite, etc. treated with chemicals such as zinc chloride or the like, and dried using activated carbon or the like, so that the moisture absorbing and absorbing effect can be achieved. Since charcoal or activated carbon is formed in the form of powder or particles and is not fixed to one solid but flows, particles such as charcoal or activated carbon are placed on the paper in order to prevent it, and the surface of the charcoal or activated carbon is wrapped between the inner shell 10 and the outer shell 20 So that it can be inserted easil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골함(100)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오동나무 및 은행나무의 원목을 선택하여 내, 외함(10, 20)을 각각 제작하게 된다. 즉, 내,외함(10, 20)을 구성하고 있는 제1본체부(11)와 제1덮개부(13) 및 제2본체부(21)와 제2덮개부(23)를 팔각기둥 형상을 유지하여 각각 제작하게 된다.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shtic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the inner and outer enclosures 10 and 20 are manufactured by selecting logs of paulownia trees and ginkgo trees. That is, the first main body portion 11 and the first lid portion 13,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21, and the second lid portion 23 constituting the inner and outer enclosures 10, Respectively.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htray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골함(1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함(10) 및 외함(20)을 형성하고자 하는 목재를 판재형태로 가공하는 목재 가공단계(S10)와, 가공된 목재를 접착제에 의해 조립하여 팔각기둥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내함 및 외함 조립단계(S20)와, 조립된 내함(10) 및 외함(20)의 내면 및 외면에 한지를 1회 이상 부착하여 견고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초벌 한지 부착단계(S30)와, 상기 초벌한지의 외측에 색상 한지를 부착하는 제2차 한지 부착단계(S40)와, 제2차 한지층에 옻칠을 하는 옻 도포단계(S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6, the ashtice box 100 includes a wood processing step S10 for processing the wood for forming the inner box 10 and the enclosure 20 into a plate shape, a step for assembling the processed wood by an adhesive A step of assembling an inner box and an outer case to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n octagonal column and a step of attaching the paper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S40) for attaching colored paper to the outside of the original paper, and a lacquer applying step (S50) for lacquering the second paper layer.

상기 목재 가공단계(S10)는 내함(10)과 외함(20)에 사용하고자 하는 원목의 목재를 각각의 형태에 맞게 재단하여 가공하는 단계로서, 내함(10)은 유충이나 곰팡이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살균 및 살충 작용이 뛰어난 은행나무나 편백나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함(20)은 항균, 항취작용, 습기흡수 억제 기능이 유지되며 화재에도 견딜 수 있는 오동나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ood processing step S10 is a step of cutting and processing the wood of the log which is to be used for the inner box 10 and the outer box 20 so that the inner box 10 does not generate larvae or fungi It is preferable to use a ginkgo tree or an unglazed tree excellent in sterilization and insecticidal action, and the enclosure 20 is preferably made of a paulownia tree which is resistant to antibacterial, anti-seizing, .

상기 내함 및 외함 조립단계(S20)는 상기 목재 가공단계(S10)에서 가공된 각 부재를 이용하여 내함(10)과 외함(20)을 각각 팔각기둥의 형태로 조립하는 단계로서, 내함(10)은 제1본체부(11)의 조립과정과 제1덮개부(13)의 조립과정으로 나뉘어 형성하며, 외함(20) 또한 제2본체부(21)와 제2덮개부(23)의 조립과정으로 나뉜다. The inner and outer enclosure assembling step S20 is a step of assembling the inner box 10 and the outer box 20 in the form of octagonal columns using the respective members processed in the wood processing step S10, The assembly of the first main body 11 and the assembly of the first lid 13 are performed separately and the assembly of the second main body 21 and the second lid 23 .

먼저 내함(10)의 제1본체부(11)의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8개의 제1측면부재(111)의 좌우측면(1111, 1112)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111)와 상호 결합하여 중공의 8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조립된 8개의 제1측면부재(111)를 상기 제1바닥부재(115)의 상측에 위치시킨 뒤 하향하여 상기 제1바닥부재(115)를 바닥부재결합부(1116)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먼저 접착제를 바닥부재결합단턱(1117)과 바닥부재결합면(1118)의 전체에 걸쳐 도포한 다음 상기 제1바닥부재(115)와 결합한다. 앞서 설명한 방법은 먼저 8개의 제1측면부재(111)를 조립한 다음 제1바닥부재(115)을 조립하였으나, 먼저 제1바닥부재(115)를 준비시킨 다음 제1측면부재(111)를 하나씩 순착적으로 상기 제1바닥부재(115)에 조립할 수도 있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제1측면부재(111)의 바닥부재결합부(1116)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1바닥부재(115)의 8각면 중 어느 한 측면과 바닥부재결합면(1118)이 서로 맞닿도록 위치시켜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8번 반복하여 제1바닥부재(115)에 제1측면부재(111)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좌우측면(1111,1112)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웃하고자 하는 다른 제1측면부재(111)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Firs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rst main body 11 of the inner box 10 will be described. First,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1111 and 1112 of the eight first side members 111, The first side members 111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ttom member 115 and the first side members 111 are assembled with the first side members 111, So that the bottom member 115 can be inserted into the bottom member engaging portion 1116. At this time, the adhesive is first applied over the bottom member engaging step 1117 and the bottom member engaging surface 1118, and is then engaged with the first bottom member 115.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irst the eight first side members 111 are assembled and then the first bottom member 115 is assembled. However, the first bottom member 115 is prepared first, and then the first side member 111 is assembled Or may be assembled to the first bottom member 115 sequentially.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bottom member engaging portion 1116 of one first side member 111 and then the adhesiv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octagonal side of the first bottom member 115 and the bottom member engaging surface 1118, As shown in FIG. This method is repeated eight times to join the first side member 111 to the first bottom member 115. At this time,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1111 and 1112 of the first side member 111 so that the first side member 111 can be coupled to another neighboring first side member 111.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1본체부(11)의 상측에 위치하여 개방된 상면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덮개부(13)는 먼저 8개의 제1결합부재(131)의 좌우측면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이웃하는 제1결합부재(131)와 상호 결합하여 8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제1덮개부재(133)의 결합턱부(1331)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후 조립된 8개의 제1결합부재(131)의 상측에 제1덮개부재(133)를 위치시켜 8개의 제1결합부재(131)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내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덮개부재(133)의 결합단턱(1333)에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면(1311)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방법은 먼저 8개의 제1결합부재(131)를 조립한 다음 제1덮개부재(133)을 조립하였으나, 먼저 제1덮개부재(133)를 준비시킨 다음 제1결합부재(131)를 하나씩 순착적으로 상기 제1덮개부재(133)에 조립할 수도 있다. The first lid portion 13,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ed first main body portion 11 and allows the opened top surface to be sealed, is firstly provided with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eight first engagement members 131, The first lid member 133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octagonal prism and is then bonded to the joining jaw portion 1331 of the first lid member 133. Then, The first lid member 133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ight first engaging members 131.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1311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step 1333 of the first lid member 133.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first lid member 133 is first assembled after assembling the eight first engaging members 131, and then the first lid member 133 is assembled. It may be assembled to the first cover member 133 sequentially.

외함(2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내함(10)의 조립과정과 비슷하나, 외함(20)의 제2본체부(11)에 구비된 제2측면부재(111)는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곳에 바닥부재결합홈(2119)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먼저 바닥부재결합홈(2119)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제2바닥부재(215)를 내삽한다. 상기와 같이 바닥부재결합홈(2119)에 제2바닥부재(215)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8개의 제2측면부재(111)를 순차적으로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외함(20)의 제2본체부(21)를 조립한 다음에는 제2덮개부(23)를 조립하는데, 상기 제2덮개부(23)의 조립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1덮개부(13)의 조립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한다. The assembly process of the enclosure 20 is similar to the assembly process of the inner casing 10 except that the second side member 111 provided on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11 of the enclosure 20 has a floor Since the member joining groove 2119 is provided, the adhesive is first applied to the bottom member engaging groove 2119, and then the second bottom member 215 is inserted. The eight second side members 111 are sequentially assembled by sandwiching the second bottom member 215 in the bottom member engaging groove 2119 as described above. After assembling the second main body 21 of the enclosure 2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lid 23 is assembled.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second lid 23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lid 13).

상기 내함(10) 및 외함(20)을 조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제는 폴리비닐 아세트산 42중량%와 물 58중량%로 혼합하여 형성된 목공용접착제로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접착제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는 공지된 기술이며 본원 발명의 핵심기술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An adhesive used for assembling the inner case 10 and the enclosure 20 is a commercially available adhesive which is formed by mixing 42 wt% of polyvinyl acetic acid and 58 wt% of water. Therefore, the adhesive is a known technology and is not a cor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초벌 한지 부착단계(S30)는 상기 내함 및 외함 조립단계(S20)에서 각각 조립된 내함(10)과 외함(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한지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일반 목공용접착제에 의해 조립된 내함(10) 및 외함(20)의 견고성을 더하기 위하여 2회에 걸쳐 한지를 접착한다. 일반적으로 한지는 밀가루로 쑨 밀풀이나 찹쌀풀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데, 목재로 형성된 유골함(100)에 초벌 한지를 접착할 경우에 밀풀로만 접착을 하거나, 주식회사 오공의 수성접착제(#205)와 같은 목재용 접착제만을 사용하는 경우 한지와 목재 사이가 들뜨거나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목재와 한지와의 접착성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내함(10) 및 외함(20)을 접착할 때 사용된 목공용접착제(예; 오공본드 #205) 밀풀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공용접착제와 밀풀은 목공용접착제 20∼30중량%에 밀풀 70∼8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풀을 80중량%보다 많게 하는 경우 건조 후 한지가 터서 갈라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밀풀을 70중량%보다 적게 하는 경우 건조 후 한지 고유의 색상이 변색되며 표면에서 광택이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에서 밀풀은 밀가루와 물을 부피비 2:8로 혼합하고, 가열 교반하면서 제조된다. 목공용접착제는 환경 오염에 영향이 없거나 작은 친환경 수성 접착제를 채택할 수 있다. The step of attaching the superposed paper (S30) is a step of attaching the paper to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inner case 10 and the outer case 20 assembled in the inner and outer case assembling step S20, respectively. In order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the inner case 10 and the enclosure 20, the paper is stuck twice. Generally, Korean traditional rice flour is glued with flour or glutinous rice paste or the like. In the case of bonding old paper to oven box 100 formed of wood, the flour may be bonded only with a sponge, or a wood such as waterborne adhesive (# 205) The use of the adhesive for woodworking is used to adhere the inner case 10 and the outer case 20 to each other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adhesion between the wood and the paper, (Eg, Pure Bond # 205) are preferably used in combin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oodworking adhesive and the millet are mixed in an amount of 20 to 30% by weight of wood-binding adhesive and 70 to 80% by weight of millet. When the content of clay is more than 80%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ay is cracked after drying. When the content of clay is less than 70% by weight, the inherent color of the clay is discolored after drying. In the above, dolomoe is prepared by mixing wheat flour and water at a volume ratio of 2: 8 and heating with stirring. Adhesive for woodworking can adopt eco-friendly water-based adhesives with little or no environmental pollution.

상기 제2차 한지 부착단계(S40)는 상기 초벌 한지 부착단계(S30)의 상면에 색상 한지를 2∼6회 반복하여 한지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내함(10) 및 외함(20)의 외주면에만 부착함으로서 내함(10) 및 외함(20)의 외관을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여 표현함으로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제2차 한지는 밀풀을 이용하여 접착하여도 무방하며, 제2차 한지의 외층에는 무늬 한지를 추가로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paper (S40) is a step of attaching the paper by repeating the coloring pap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osite paper attaching step (S30) two to six times, and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and the outer case The appearance of the inner box 10 and the outer box 20 can be expressed by using various colors, so that the effect of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adhere using the second-stage cold painted spill, and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second-stage cold painted paper to the outer layer of the second cold rolled paper.

상기 옻 도포단계(S50)는 상기 제2 한지의 외측에 옻을 도포하는 단계로서, 옻은 옻나무의 껍질에서 분비되는 액체로서 우루시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살균효과를 지니며, 옻이 목재 안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팅효과가 형성되므로 방습 및 방수의 효과를 지니며, 옻칠은 산이나 알칼리에 쉬 녹지 않으며 내열성, 내염성, 절연성이 띄어나므로 유골함(1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옻은 스프레이나 붓을 이용하여 도포하며, 한번 이상 덫칠되도록 도포한다.  The lacquer application step (S50) is a step of applying lacquer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paper sheet. The lacquer is a liquid secreted from the shell of a lacquer tree, having uriciol as a main component. The lacquer has a germicidal effect. The lacquer does not easily dissolve in acids or alkalis and has high heat resistance, salt resistance, and insulation,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oyster shell 100 can be increased. Therefore, apply lacquer using a spray or brush, and apply it for more than one time.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in.

10 : 내함 11 : 제1본체부
13 : 제1덮개부 20 : 외함
21 : 제2본체부 23 : 제2덮개부
30 : 흡습부재
S10 : 목재 가공단계 S20 : 내함 및 외함 조립단계
S30 : 초벌 한지 부착단계 S40 : 제2차 한지 부착단계
S50 : 옻 도포단계
10: Inner box 11: First main body part
13: first lid 20: enclosure
21: second main body part 23: second cover part
30:
S10: Wood processing step S20: In-car and enclosure assembly step
S30: Step of attaching the rough paper S40: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paper
S50: lacquer application step

Claims (14)

분쇄된 유골을 보관하는 내함(10)와, 상기 내함(10)이 수용되는 외함(20)과, 상기 내함(10)과 외함(2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위치하는 흡습부재(30)를 포함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내함(10)과 외함(20)은 팔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하며, 내함(10)은 제1본체부(11)와 제1본체부(11)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1덮개부(13)로 이루어지고, 외함(20)은 제2본체부(21)와 제2본체부(21)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2덮개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함(10)의 하단은 외함(20)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며, 내함(10)의 외측과 외함(20)의 내측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An inner casing 10 for storing the crushed ashes and an outer casing 20 for accommodating the inner casing 10 and a moisture absorbing member 30 locat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casing 10 and the outer casing 20, For the ashes containing;
The inner case 10 and the outer case 2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n octagonal column and the inner case 10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11 and a first body portion 11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casing 10 is formed of a second body portion 21 and a second body portion 21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21, (20),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inner casing (10) and the inside of the enclosure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10)의 제1본체부(11)는 8개의 제1측면부재(111)와, 상기 8개의 제1측면부재(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1측면부재(111)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에 수납부(1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바닥부재(1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부재(111)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좌측면(1111)과 우측면(1112)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측면부재(111)와 다른 제1측면부재(111)의 내각이 135°가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측면부재(111)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덮개부재(13)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부(1113)와,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1바닥부재(113)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부재결합부(1116)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결합부(1113)는 상기 제1측면부재(1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덮개결합부(1113)의 외측으로 제1덮개부(1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11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ody part (11) of the inner box (10) comprises eight first side members (111) and an eight- And a first bottom member (115) for allow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13) to be formed inside by being adhered and fixed to each of the first side members (111); The first side member 111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and the left side surface 1111 and the right side surface 1112 are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first side member 111 and the first side member 111, Allowing the cabinet to be 135 °; The first side member 111 includes a lid engaging portion 1113 protruded upward to engage with the first lid member 13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1113 protruded downwar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bottom member 113 A bottom member engaging portion 1116 is provided; The lid engaging portion 1113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ide member 111 and the first lid portion 13 is seated on the outside of the lid engaging portion 1113 And a lid-seat step (1115) is formed on the li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10)의 제1덮개부(13)는 제1본체부(11)의 상측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1결합부재(131)와,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1덮개부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lid part (13) of the inner case (10) comprises a first engaging member (131) which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ain body part (11) And a first lid member (133)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and formed of an octagonal plate memb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결합부(1116)는 제1측면부재(111)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닥부재결합부(1116)의 외측으로 바닥부재결합단턱(1117)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바닥부재(115)는 8각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면은 상기 바닥부재결합단턱(1117)과 결합되고 테두리면은 바닥부재결합면(1118)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ottom member engaging portion (1116)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ide member (111)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member engaging portion (1116) 1117); Wherein the first bottom member 115 is formed of an octagonal plate material and has an upper surface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coupling step 1117 and a rim surface coupled to the bottom member coupling surface 111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결합부(1113)의 외면은 상향으로 갈수록 제1측면부재(111)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1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The ashtub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engaging portion (1113)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1114) inclin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ide surface member (1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결합부(1113)의 경사면(1114)의 상측 끝단은 둥글게 커브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4. The ashtub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n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1114) of the lid-engaging portion (1113) is curved in a round shap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내측에는 전면으로 돌출된 돌부(1313)가 형성되며, 상기 돌부(1313)를 기점으로 상측에는 제1덮개부재(133)가 위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rotrusion (1313) protruding from the front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a first lid member (133)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from the protrusion (1313) The urn is characterized b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131)는 제1덮개부재(133)와 결합하는 제1결합면(1314)과, 제1본체부(11)의 제1측면부재(111)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면(1315)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면(1315)은 하향으로 갈수록 전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engaging member (131) includes a first engaging surface (1314) engaging with the first lid member (133) And a second engagement surface (1315) coupled in a forced fit manner,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1315)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front direction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부(21)는 8개의 제2측면부재(211)와, 상기 8개의 제2측면부재(211)의 하부에 위치하며 8각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면이 각각의 제2측면부재(211)에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서 내측에 수납부(2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제2바닥부재(215)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부재(211)는 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면(2111)과 우측면(2112)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측면부재(211)와 다른 제2측면부재(211)의 내각이 135°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ody part (21) comprises eight second side members (211) and an octagonal lower part of the eight second side members (211) And a second bottom member 215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side member 211 of the first side member 211 so that the storage unit 213 can be formed inside the second side member 211. The second side member 211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material The left side surface 2111 and the right side surface 2112 are inclined outward so that the internal angle of the second side surface member 211 other than the neighboring second side surface member 211 can be 135 ° Ashe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재(211)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2덮개부(23)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결합부(2113)와, 하측에는 제1바닥부재(115)를 위치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는 바닥부재결합홈(211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econd side member (211) includes a cover engaging portion (2113) protruded upward to engage with the second lid portion (23), and a first bottom member And a bottom member coupling groove (2119)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positione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결합부(2113)는 상기 제2측면부재(211)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측면부재(211)와 덮개결합부(2113)의 사이에는 상기 제2덮개부(23)가 안착될 수 있도록 덮개안착단턱(2115)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결합부(2113)와 덮개안착단턱(2115)의 사이에는 상향으로 갈수록 제2측면부재(211)의 배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1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The cover unit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id-fitting part (2113) protrudes up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ide member (211) A lid mounting step 2115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lid part 23 can be seated between the lid mounting part 2113 and the lid mounting step 2115, And an inclined surface (2114) formed to be inclined in a backward direction of the member (211) is formed.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닥부재(215)의 상면에는 내함안착부(2151)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내함(10)은 내함안착부(2151)의 상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plurality of inner seating portions (2151)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loor member (215); Wherein the inner wall (10)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wall receiving portion (215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덮개부(23)는 제2본체부(21)의 상측에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서 8개로 나뉘어진 제2결합부재(231)와, 상기 제2결합부재(231)의 상측에 위치하며 8각형의 판재로 형성하는 제2덮개부재(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econd lid part (23) comprises a second engaging member (231) which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main body part (21) and divided into eight parts, And a second lid member 233 formed of an octagonal plate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부재(30)는 내함(10)과 외함(20)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숯이나 활성탄 등을 한지로 감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The ashtub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isture absorption member (30) is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casing (10) and the outer casing (20) and is formed by wrapping charcoal or activated carbon.
KR1020140059587A 2014-05-19 2014-05-19 A Cinerary KR201400954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587A KR20140095448A (en) 2014-05-19 2014-05-19 A Cinera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587A KR20140095448A (en) 2014-05-19 2014-05-19 A Cinerar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8011A Division KR101479574B1 (en) 2013-01-24 2013-01-24 A Cinerary Ur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448A true KR20140095448A (en) 2014-08-01

Family

ID=5174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587A KR20140095448A (en) 2014-05-19 2014-05-19 A Cinera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44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663B1 (en) * 2016-01-04 2016-11-01 김용애 A nature-friendly cinerary urn
KR20230075937A (en) * 2021-11-23 2023-05-31 이성주 A cinerary urn s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663B1 (en) * 2016-01-04 2016-11-01 김용애 A nature-friendly cinerary urn
KR20230075937A (en) * 2021-11-23 2023-05-31 이성주 A cinerary urn 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5448A (en) A Cinerary
KR101479574B1 (en) A Cinerary Ur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77863B1 (en) Adsorptive composition having antimicrobial and deodorant function
KR100940348B1 (en) A paper charnel pot which is coated with the loess and hempcloth layer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KR20140036587A (en) A cinerary urn
KR100639940B1 (en) Coating sheet cinerary urn and coating moth
KR101600145B1 (en) Polygonal packaging box
KR200453415Y1 (en) The japanned wooden box to keep powder of bones
KR20100006916U (en) Board and bedframe having the same
KR200429466Y1 (en) Cinerary urn
KR200399690Y1 (en) the jade funeral urn with holes for ventilation
KR100765132B1 (en) A charnel urn formed of charco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222612U (en) Decorative paulownia furniture with Yakiiri and Kumiko
KR200257660Y1 (en) Plate with charcoal for Furniture
KR20150004503U (en) Food Container
KR200281069Y1 (en) The remains of the dead box with double well contain anti-dew drops
KR100600858B1 (en) wrappimg p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wrappimg paper
CN202514465U (en) Termite trapping-killing box
KR101420316B1 (en) Urns and manufacturing method
DE29921202U1 (en) Coffin for burials in burial chambers or earth tombs
KR200332737Y1 (en) Ashes containing charcoal and salt
KR200383226Y1 (en) a ceramics funeral urn improving ventilation
KR20010035079A (en) Bio-board and box using the bio-board
KR960009493B1 (en) Preserving agent for rice
KR200323358Y1 (en) Double structuerd case for laying ashes to 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