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316B1 - Urns and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Urns and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316B1
KR101420316B1 KR1020120093783A KR20120093783A KR101420316B1 KR 101420316 B1 KR101420316 B1 KR 101420316B1 KR 1020120093783 A KR1020120093783 A KR 1020120093783A KR 20120093783 A KR20120093783 A KR 20120093783A KR 101420316 B1 KR101420316 B1 KR 10142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harcoal powder
lid
powder
o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0376A (en
Inventor
박소창
Original Assignee
박소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소창 filed Critical 박소창
Priority to KR102012009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316B1/en
Publication of KR2014003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3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61G17/0106W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나무를 이용하여 성형한 본체와 뚜껑의 내부에 삼베천에 송진을 이용하여 숫가루를 접착하고 마분지를 여러 층으로 형성한 벽체를 만들고, 상기 벽체의 외측으로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으로 감싸서 내벽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벽체와 내벽의 상측으로 내부 덮개를 형성하여 유골 보관 환경을 크게 개선하는 납골함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향나무를 3년간 음지에서 건조한 후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판재를 켜서 곱게 다듬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사면에서 고정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본체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고정홈을 형성하는 뚜껑을 가공하는 향나무 가공단계;
참나무를 준비하여 숯 가마에서 숯으로 성형하고, 분말이 되도록 가공하여 1∼2mm의 구멍을 갖는 메쉬를 통과시켜 0.5∼2mm 크기의 숯가루를 선별하는 숯가루 성형단계;
삼베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고 상기 숯 가루 성형단계에서 얻어진 참나무 숯가루를 삼베에 점착하며, 상기 참나무 숯가루의 표면에 마분지를 세워 두께를 유지하고 상기 마분지의 외벽으로 삼베에 송진을 점점이 칠한 후 참나무 숯가루를 점착하여 상기 마분지의 양쪽에 삼베와 참나무 숯가루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 벽체를 성형하는 내 벽체 성형단계;
상기 마분지의 상측과 하측의 양쪽 표면에서 삼베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고 0.5∼2mm의 크기를 갖는 참나무 숯가루를 점착하여 내부 덮개를 성형하는 내부덮개 성형단계;
명주천에 치자를 이용하여 치자물을 들이는 명주천을 성형하는 명주천 성형단계; 및
상기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으로 내 벽체를 내부 공간의 바닥과 사면의 벽에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표면을 감싸도록 고정시켜 명주천이 내 벽체를 감싸도록 하며, 내부 공간의 상측에 해당하는 크기로 내부덮개를 절단하여 내부 덮개의 전체면을 명주천이 감싸도록 한 후 상측에서 열십자 형태로 연결대를 형성하여 중앙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명주천 마감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body comprising a main body formed by using a jeweler and a lid and a plurality of layers of cardboard being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y using a padding, And an inner cover is formed above the wall and the inner wall to greatly improve the storage environment of the ash,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formed so as to form an inner space by fixing the jewelery tree on a slope so as to form a fixed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by turning the plate material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fter drying the jewelery tree for three years, Processing the lid to form a jam tree;
Preparing an oak, shaping it into a charcoal from a charcoal kiln, processing the powder into a powder, passing through a mesh having a hole of 1 to 2 mm, and selecting a charcoal powder having a size of 0.5 to 2 mm;
The oven charcoal powder obtained in the above step of forming the charcoal powder is adhered to the burlap, and the cardboard is put on the surface of the oak charcoal powder to maintain the thickness, A step of forming an inner wall by adhering the oak charcoal powder to the inner wall of the corrugated cardboard so that the corrugated cardboard and the oak charcoal powder are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rrugated cardboard;
An inner lid forming step of forming an inner lid by adhering oak char powder having a size of 0.5 to 2 mm to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ardboard,
Formation step of molding the gimjucheon which uses the gardenia in the gimjucheon and watering the gimjeju; And
The inner wall is cut in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and the wall of the slope with the main thread of the garden water so as to enclose the surface so that the inner wall surrounds the inner wall, The inner lid is cut with the inner lid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lid is wrapped around the main lid, and then a connecting rod is formed in a cross shape from above to fix the handle in the center.

Description

납골함과 그 제조방법{Urns and manufacturing method}[0002] Urn and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납골함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향나무를 이용하여 성형한 본체와 뚜껑의 내부에 삼베천에 송진을 이용하여 숫가루를 접착하고 마분지와 삼베천을 여러 층으로 형성한 벽체를 만들며, 상기 벽체의 외측으로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으로 감싸서 내벽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벽체와 내벽의 상측으로 내부 덮개를 형성하여 유골 보관 환경을 크게 개선하는 납골함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k bod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sk bod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k bod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sk body, And an inner li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and the inner wall so as to improve the storage environment of the ash,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예로부터 널리 행해지고 있는 장례문화는 전통적인 유교사상에 따라 명당자리에 매장하는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이미 우리 국토의 상당 부분이 분묘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분묘 자체가 혐오시설로 인식되면서 점차 화장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Funeral culture, which has been widely practiced since ancient times, has been developed in the form of a burial in the plac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according to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Since a large part of our country is already being used as a grave, there is a need for management in national level. Is recognized as an abominable facility and gradually changing into cosmetic form.

이에 최근에는 시신을 화장하여 분말형태로 처리된 유골을 납골함에 넣어 도시 근교의 공원화 된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는 행태의 장례문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culture of funerals in which the ashes that have been treated in the form of powders by cremation are stored in a certain place in the suburbs of the city.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분말 상태의 유골을 보관하는 납골함의 경우, 통상 그 내부가 항습, 항균 및 살균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로 오랜 기간동안 보관되고 있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와 낮과 밤의 기온차에 의하여 납골함 내부 벽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면서 납골함에 수용되어 있는 유골이 부패하거나 엉기게 되고, 이로 인한 악취가 유발됨은 물론 벌레가 번식하게 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urn housing the ash in the form of powder, since the inside thereof is usually stored for a long time without securing moisture, antibacterial and sterilization, the seasonal chang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As a result of condensa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cryptosporidium, the ashes contained in the cryptospores decay or become entangled,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bad odors, as well as various problems such as propagation of insects.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납골함을 실리콘이나 촛농으로 밀봉 처리하거나 혹은 납골함의 덮개에 밀봉재를 개재하여 강하게 체결하는 경우도 있으나 장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다시 틈새가 벌어지게 되고, 미세 균열로 인한 부패 재발과 파손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에 대한 개선책으로써 납골함 내에 항균과 항습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숯을 수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Considering these problems, there are cases where the subcylinders are sealed with silicone or wafers, or they are tightly fastened to the cover of the subcylinder with a sealing material. However, aft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gap again, In recent years, as a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re has been used a method of storing charcoal which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on antibacterial and moisture resistance in a cobweb.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60067호는, 함체의 바닥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항습과 항균을 위한 숯이 수납되는 숯 수납실을 형성하며, 그 상측에는 유골과 숯 수납실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고 공기 유입 가능한 환기공을 형성하여 결속되는 유골판체로 구성한 납골함이 개시되어 있다.Regarding this technology,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60067 has formed a plurality of air holes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nclosure, and at the same time, charcoal for moisture and anti- And a charcoal compartment containing the charcoal compartment is formed between the ash and the char compartment, and an ash plate is formed by forming a ventilating hole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그러나 이러한 납골함의 경우에는 함체 자체가 이중벽 구조로 제작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는 유골과의 접촉면적을 고려하여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이에 따른 생산 단가가 높아지게 되며 납골함의 바닥면 일부에만 소량의 숯을 수납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추구하는 숯의 항균 및 항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urn, the enclosure itself is made of a double wall structure, and the inside thereof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consider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ash,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 small amount of char can be stored only in a part of the surface,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antibacterial and moisture-proof effect of the charcoal to be sought.

숯은 음이온을 증가시켜 기분을 안정시키고 몸의 긴장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혈액순환 촉진, 신진대사 촉진, 세포기능 활성화, 생육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Charcoal has the effect of stabilizing the mood by relaxing the anion and relaxing the tension of the body. I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blood circulation, promoting metabolism, activating cell function, and promoting growth by emitting far infrared rays.

그리고 우수한 흡성성과 도전성, 축전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자파를 차단하고 다공질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공기중의 오염성분을 분해하여 공기를 정화시키고, 냄새를 제거해 주는 효과가 있다.Also, it has excellent adsorption property, conductivity, and storage property, so that microorganisms that block electromagnetic waves and live in the porous body decompose pollutants in the air to purify the air and remove the smell.

이외에도 숯에는 정수, 정화 탈취 작용이 있으며, 조습 효과가 있어서 습기가 많을 때는 흡수하고 건조할 때는 수분을 방출해서 습도를 자연적으로 조절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세포의 활성화 작용을 하여 피부병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charcoal has a water purification and deodorizing action, and it has a moisturizing effect, absorbing moisture when it is high, and releasing moisture when it is dry, thereby controlling the humidity naturally. .

치자는 치자나무(Gardenia jamoides Ellis) 또는 그 밖의 동속 식물(꼭두서니과 Rubiaceae)의 열매로서 긴 난형의 형태를 갖으며, 길이는 1∼5cm, 너비 10∼15cm이고 흔히 6개 내외의 뚜렷한 능선이 세로로 뻗는다. 위 끝에는 꽃받침 또는 그 자국이 있고 아래 끝에는 과병이 붙어 있는 것도 있다. 바깥면은 적살색, 황갈색 또는 흑갈색을 띠며 과피는 얇고 부스러지기 쉽다. 안쪽면은 편평하고 황갈색을 띠며 광택이 있다. 열매의 내부는 2실로 나누어져 있고, 황갈색∼암갈색의 과육 속에 흑갈색 또는 황적색의 긴 지름 5mm의 편평한 씨덩어리를 가지며 질은 가볍고 특히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다.Gardenia is a fruit of Gardenia jamoides Ellis or other species (lynx and Rubiaceae) and has long ovate shape. It is 1 ~ 5cm in length, 10 ~ 15cm in width and often has 6 distinct vertical ridges It stretches. There are calyxes or marks on the upper end, and some are attached to the lower end. The outer surface is reddish-brown, yellowish brown or dark brown, and the skin is thin and prone to crumbling. The inside surface is flat, yellowish brown and glossy. The inside of the fruit is divided into 2 chambers. In the flesh of yellowish brown to dark brown color, it has flat black seeds of 5mm in diameter, dark brown or yellowish red. The vagina is light, especially the odor and the taste is bitter.

예부터 가정에서 식품의 착색료로 사용되어 왔다. 치자에 함유되어 있는 황색색소는 색깔이 아름답고, 비교적 오랫동안 보존되므로 천연색소로 이용되어 왔으며 고려사에 염료로서의 치자가 보이므로 고려시대 혹은 그 이전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생각되고 최근까지도 단무지를 노랗게 착색하거나 전을 부칠 때 사용되었으며 가구의 염색에도 쓴다. 한방에서는 소염, 이뇨, 지혈약으로 황달, 토혈 등에 이용되고 있다.
Has been used as a food coloring agent at home for some time. The yellow pigment contained in the gardenia has been used as a natural pigment since it has a beautiful color and is preserved for a comparatively long time. Since the gardenia as a dye can be seen in Goryeo, it is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in the Goryeo period or earlier. It is also used for dyeing furniture. In one room, anti-inflammatory, diuretic, hemostatic medicine, jaundice, and blood are used.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60067호(2004. 08. 16. 등록)Document 1.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60067 (registered on Aug. 16, 2004)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98465호(2002. 12. 04. 등록)Document 2.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98465 (Registered on December 04, 2002)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614699호(2006. 08. 14. 등록)Literature 3. Patent Registration No. 0614699 (registered on Aug. 14, 2006)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18291(2006. 06. 01. 등록)Document 4.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18291 (Registered on June 06, 2006)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향나무로 이루어진 본체와 뚜껑의 내부에서 삼베천에 송진을 이용하여 숯가루를 점착하고 마분지와 여러겹의 삼베천으로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의 외부에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으로 감싸서 내 벽체와 내부 덮개를 형성하여 통풍과 벌레의 침투를 방지하며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at a charcoal powder is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ade of jelly- And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lid are formed by wrapping the outer side of the wall with the spruce water that has been sprayed with the garden water so as to prevent the ventilation and the penetration of the worm and to preven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향나무를 3년간 음지에서 건조한 후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판재를 켜서 곱게 다듬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사면에서 고정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본체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고정홈을 형성하는 뚜껑을 가공하는 향나무 가공단계;
참나무를 준비하여 숯 가마에서 숯으로 성형하고, 분말이 되도록 가공하여 1∼2mm의 구멍을 갖는 메쉬를 통과시켜 0.5∼2mm 크기의 숯가루를 선별하는 숯가루 성형단계;
삼베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고 상기 숯 가루 성형단계에서 얻어진 참나무 숯가루를 삼베에 점착하며, 상기 참나무 숯가루의 표면에 마분지를 세워 두께를 유지하고 상기 마분지의 외벽으로 삼베에 송진을 점점이 칠한 후 참나무 숯가루를 점착하여 상기 마분지의 양쪽에 삼베와 참나무 숯가루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 벽체를 성형하는 내 벽체 성형단계;
상기 마분지의 상측과 하측의 양쪽 표면에서 삼베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고 0.5∼2mm의 크기를 갖는 참나무 숯가루를 점착하여 내부 덮개를 성형하는 내부덮개 성형단계;
명주천에 치자를 이용하여 치자물을 들이는 명주천을 성형하는 명주천 성형단계; 및
상기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으로 내 벽체를 내부 공간의 바닥과 사면의 벽에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표면을 감싸도록 고정시켜 명주천이 내 벽체를 감싸도록 하며, 내부 공간의 상측에 해당하는 크기로 내부덮개를 절단하여 내부 덮개의 전체면을 명주천이 감싸도록 한 후 상측에서 열십자 형태로 연결대를 형성하여 중앙에 손잡이를 고정하는 명주천 마감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ain body is formed so that an inner space is formed by drying a jewelery tree on a shade for three years and then fixing it on a slope so as to form a fixed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by turning on a plate material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 step of processing the lumber for processing the lid;
Preparing an oak, shaping it into a charcoal from a charcoal kiln, processing the powder into a powder, passing through a mesh having a hole of 1 to 2 mm, and selecting a charcoal powder having a size of 0.5 to 2 mm;
The oven charcoal powder obtained in the above step of forming the charcoal powder is adhered to the burlap, and the cardboard is put on the surface of the oak charcoal powder to maintain the thickness, A step of forming an inner wall by adhering the oak charcoal powder to the inner wall of the corrugated cardboard so that the corrugated cardboard and the oak charcoal powder are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rrugated cardboard;
An inner lid forming step of forming an inner lid by adhering oak char powder having a size of 0.5 to 2 mm to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ardboard,
Formation step of molding the gimjucheon which uses the gardenia in the gimjucheon and watering the gimjeju; And
The inner wall is cut in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and the wall of the slope with the main thread of the garden water so as to enclose the surface so that the inner wall surrounds the inner wall, The inner lid is cut with the inner lid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lid is wrapped around the main lid, and then a connecting rod is formed in a cross shape from above to fix the handle in the cen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향나무로 이루어진 본체와 뚜껑의 내부에서 삼베천에 송진을 이용하여 숯가루를 점착하여 숯의 통기성과 항습, 항균 효능을 제공하고 마분지를 부착한 벽체를 여러 겹으로 형성하여 통풍과 숯의 효능이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벽체의 외부에 치자의 효과를 제공하는 물을 들인 명주천으로 감싸서 내 벽체와 내부 덮개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통풍과 벌레의 침투를 방지하며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납골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coal powder is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body made of jelly and the inside of the lid using the rosin, and the charcoal powder is permeable to the air, moisture, and antibacterial effect, and the wall with cardboard is formed in multiple layers, And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lid are integrally formed by wrapping the inner wall and the inner lid in an enclosed space containing water to provide the effect of the gardenia on the outside of the wall to prevent penetration of ventilation and insects and to prevent the condensation phenomenon To be used as an urn.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내 벽체에 대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내 벽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내부덮개에 대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목질이 우수하고 향이 진하며 향기가 오래가는 장점이 있는 북미산 향나무를 이용 하여 본체(11)와 뚜껑(20)을 성형한다.The main body 11 and the lid 20 are formed by using the North American mountain wood, which is excellent in wood quality, has a strong fragrance, and has a long-lasting fragrance.

상기 본체(11)는 내부에 내부공간(12)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고정 돌출부(13)가 돌출되도록 일정한 두께의 판을 사각형이 되도록 코너 부분에서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조립식으로 성형하는 것이다.The main body 11 has an inner space 12 formed therein and an adhesive is used at a corner portion or a preformed shape so that the plat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is rectangular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13 protrudes upward.

상기 뚜껑(20)은 내부에 고정홈(21)을 형성하여 고정 돌출부(13)와 결합되도록 하며, 본체(11)의 상측에서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것이다.The lid 20 has a fixing groove 21 formed therein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13 and integrally coupl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

상기 본체(11)와 뚜껑(20)은 필요한 경우 외부에 니스 또는 다양한 색채를 나타내는 칠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전면과 상면에 봉황도 그림을 새겨 넣는 것이 가능하다.The main body 11 and the lid 20 can be painted with varnish or various colors on the outside if necessary, and it is possible to inscribe a phoenix picture on the front and top surfaces, if necessary.

사이 본체(11)의 내부공간(12)에는 내 벽체(40)를 소정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내 벽체(40)의 외부를 치자 물을 들인 명주천(45)으로 감싸 형성하며, 내부공간(12)의 상측에는 내 벽체(40)의 상측에 결합하며 연결대(31)가 열십자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대(31)가 교차되는 부분의 중앙에 손잡이(32)가 단추 형태로 결합된 내부 덮개(30)를 형성하는 것이다.
The inner wall 4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inner space 12 of the intervening body 11 and the outer wall of the inner wall 40 is formed by wrapping the outer wall of the inner wall 40 with a water- And a knob 32 is coupled in the form of a button to the center of a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rod 31 is cross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wall body 40, The cover 30 is 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내 벽체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내 벽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4 shows a sectional view of the inn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내 벽체(40)는 본체(11)의 내부에 형성하는 것이며, 삼베(41)에 송진을 점점(일정한 간격에서 군데군데)이 발라 접착성을 부여하고, 상기 송진이 발라진 삼베(41)에 참나무 숯 가루(42)를 공급하여 부착되도록 한다.The inner wall 40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tubing 41 gradually loses the tubing 4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charcoal powder 42 is supplied and attached.

상기 삼베(41)에 부착된 참나무 숯 가루(42)의 외부에는 통상적인 황갈색의 두꺼운 종이인 마분지馬糞紙(43)를 세워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면서 쉽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힘을 부여하고, 상기 마분지(43)의 외벽으로 삼베(41a)에 송진을 점점이 발라 참나무 숯 가루(42a)를 공급하여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내 벽체(40)를 형성하는 것이다.A cardboard horseshoe paper 43 as a thick yellowish brown thick paper is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oak charcoal powder 42 attached to the burls 41 to give a force so as not to bend easily while maintaining a certain thickness, And the oak wood charcoal powder 42a is supplied and adhered to the inner wall 40 to form the inner wall body 40. [

상기 내 벽체(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겹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2겹의 내 벽체(40)를 기준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나무 숯가루(42a)의 외측으로 마분지(43a)를 부착한 후 삼베(41b)에 송진을 점점이 발라 참나무 숯가루(42b)를 부착하여 3겹으로 형성하거나, 4∼6겹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ner wall 40 can be formed in two layers as shown in Fig. 4, and the oak charcoal powder 42a, as shown in Fig. 5,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two-ply inner wall 40, The cardboard 43a is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corrugated cardboard 41a, and the oven charcoal powder 42b is attached to the corrugated cardboard 41b by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corrugated cardboard 41b.

상기 내 벽체(4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45)으로 감싸 마감하는 것이다.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wall body 40 is wrapped around the main spiral 45 which is filled with the garden water.

상기 참나무 숯 가루 1∼2mm의 크기를 갖는 메쉬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성형함으로써 알갱이가 0.5∼2mm가 되어 공기의 통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oak charcoal powder is shaped so as to pass through the holes of the mesh having a size of 1 to 2 mm so that the granules are 0.5 to 2 mm so that air can be easily ventilated.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덮개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내부덮개(30)는 중앙에 마분지(33)를 형성하고, 상기 마분지(33)의 상측과 하측의 양쪽으로 삼베(34)에 송진을 점점이 발라 0.5∼2mm의 크기로 이루어진 참나무 숯가루(35)를 부착하여 형성한 후 전체면을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36)으로 감싸 내부 덮개(30)를 형성하는 것이다.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lid 30 is provided with a cardboard 33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provided with ribs 34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rdboard 33 The oak charcoal powder 35 having a size of 0.5 to 2 mm is adhered thereto and then the entire surface of the oak wood charcoal powder 35 is wrapped with a water-impervious sponge 36 to form the inner lid 3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에 대한 것으로, 목질이 우수하고 향이 진하며 향기가 오래가는 장점이 있는 북미산 향나무를 3년간 음지에서 건조한 후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판재를 켜서 곱게 다듬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13)를 형성하도록 사면에서 고정하여 내부 공간(12)이 형성되도록 본체(11)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고정홈(21)을 형성하는 뚜껑(20)을 가공하는 향나무 가공단계(S1);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ypic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North American juniper which is excellent in wood quality, has a fragrance and a long fragrance is dried in a shade for 3 years, A main body 11 is formed so as to be fixed at a slope so as to form a fixing protrusion 13 projecting upward and an inner space 12 is formed and a lid 20 for forming a fixing groove 21 on the upper side is formed, Processing step S1;

참나무를 준비하여 숯 가마에서 숯으로 성형하고, 분말이 되도록 가공하여 1∼2mm의 구멍을 갖는 메쉬를 통과시켜 0.5∼2mm 크기의 숯가루를 선별하는 숯가루 성형단계(S2);A step S2 of forming a charcoal powder by preparing an oak, forming it into a charcoal in a charcoal kiln, processing the powder into a powder, passing through a mesh having a hole of 1 to 2 mm to select a charcoal powder having a size of 0.5 to 2 mm;

삼베(41)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고 상기 숯 가루 성형단계에서 얻어진 참나무 숯가루(42)를 삼베(41)에 점착하며, 상기 참나무 숯가루(42)의 표면에 마분지(43)를 세워 두께를 유지하고 상기 마분지(43)의 외벽으로 삼베(41a)에 송진을 점점이 칠한 후 참나무 숯가루(42a)를 점착하여 상기 마분지(43)의 양쪽에 삼베(41, 41a)와 참나무 숯가루(42, 42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 벽체(40)를 성형하는 내 벽체 성형단계(S3);The oak charcoal powder 42 obtain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charcoal powder is adhered to the rim 41 and the cardboard 43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oak charcoal powder 42, The oak charcoal powder 42a is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board 43 and the oak wood charcoal powder 42a is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board 43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oven charcoal powder 42a on both sides of the cardboard 43, 42 and 42a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the inner wall 40;

상기 내 벽체 성형단계(S3)는 삼베(41a)의 표면에 마분지(43)를 대고 삼베(41b)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며 참나무 숯가루(42b)를 삼베(42b)에 점착하는 방식으로 3∼6겹의 범위에서 내 벽체(40)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The inner wall forming step S3 is a step of forming a corrugated board 43 on the surface of the burls 41a and gradually pressing the oven charcoal powder 42b onto the burls 42b in such a manner that the burrs are gradually applied to the burls 41b, The inner wall 40 can be formed within a range of six to six layers.

마분지(33)의 상측과 하측의 양쪽 표면에서 삼베(34)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고 0.5∼2mm의 크기를 갖는 참나무 숯가루(42a)를 점착하여 내부 덮개(30)를 성형하는 내부덮개 성형단계(S4);The inside lid 30 is formed by pressing the oak charcoal powder 42a having a size of 0.5 to 2 mm by gradually applying the lint to the burls 34 on bot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ardboard 33, Step S4;

명주천에 통상의 치자를 이용하여 치자물을 들이는 명주천(45, 36)을 성형하는 명주천 성형단계(S5);(S5) for molding the main spoons (45, 36) for sprinkling the garden sprinkler with a regular sprocket in the sprocket;

상기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45, 36)으로 내 벽체(40)를 내부 공간(12)의 바닥과 사면의 벽에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표면을 감싸도록 고정시켜 명주천(45)이 내 벽체(40)를 감싸도록 하며, 내부 공간(12)의 상측에 해당하는 크기로 내부덮개(30)를 절단하여 내부 덮개(30)의 전체면을 명주천(36)이 감싸도록 한 후 상측에서 열십자 형태로 연결대(31)를 형성하여 중앙에 손잡이(32)를 고정하는 명주천 마감단계(S6);The inner wall 40 is cut in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12 and the wall of the slope with the main springs 45 and 36 having the gentle squeeze water so as to surround the surface thereof, The inner lid 30 is cut in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12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lid 30 is wrapped around the wall 40, (S6) of forming a connecting rod (31) in a cross shape and fixing the handle (32) at the center thereof;

상기 본체(11)의 내부 공간(12) 벽에는 명주천(45)이 감싸지고 돌출되며, 상측으로 내부 덮개(30)가 덮여진 상태에서 뚜껑(20)을 덮어 납골함(10)을 완성하는 것이다.
The main shell 45 is wrapped around the wall of the inner space 12 of the main body 11 and is covered with the inner lid 30 to cover the lid 20 to complete the shell 10 .

이와 같이 성형한 납골함(10)의 내부 공간(12)에는 화장한 유골을 보관하는 것이며, 내부 공간(12)의 상측으로 손잡이(32)를 잡아 내부 덮개(30)로 마감한 후 뚜껑(20)을 본체(11)의 상측에 덮으면 고정홈(21)이 고정 돌출부(13)와 결합하면서 본체(11)와 뚜껑(20)이 결합하면서 납골함(10)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e handle 32 is hel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12 and is closed with the inner lid 30 and then the lid 20 is closed. The main body 11 and the lid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the fixing groove 21 is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13 so that the main body 11 can be stored.

상기 납골함(10)은 유골이 내부 공간(12)에 보관된 상태에서 내벽체(40)와 내부 덮개(30)의 삼베(34, 41, 41a, 41b)와 참나무 숯가루(35, 42, 42a, 42b)를 통하여 통풍이 이루어져 유골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36, 45)을 통하여 벌레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온도차이에 따른 결로현상을 방지하며 오랜 동안 청결하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41 and 41a and 41b of the inner wall body 40 and the inner lid 30 and oak charcoal powders 35 and 42 and 42a and 41a and 41b of the inner lid 30 in a state where the ashes are stored in the inner space 12. [ And 42b to prevent the ashes from decay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m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prings (36, 45) with the springs, and to prevent the condensation It is possible to keep it clean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향나무의 내부에 삼베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고 참나무 숯가루를 점착하여 마분지를 부착하는 구조를 2∼6겹으로 제공하며, 외측으로 치자물을 물을 들인 명추전을 감싸서 통풍과 벌레의 침투 및 청결한 상태를 지속하는 등 자연 친화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wo to six layers of a structure in which wood rosin is adhered to oak wood charcoal powder by applying rosin to the inside of the juniper, and wrapped around the outside of the juniper, And keeps the clean state, so that it can be very useful for nature-friendly use.

10 : 납골함 11 : 본체
12 : 내부 공간 13 : 고정 돌출부
20 : 뚜껑 21 : 고정홈
30 : 내부 덮개 31 : 연결대
32 : 손잡이 33, 43, 43a : 마분지
34, 41, 41a, 41b : 삼베 35, 42, 42a, 42b : 숯가루
36, 45 : 명주천 40 : 내 벽체
10: Nailbox 11: Body
12: inner space 13: fixed protrusion
20: lid 21: fixing groove
30: inner cover 31: connecting rod
32: handle 33, 43, 43a: cardboard
34, 41, 41a, 41b: flock 35, 42, 42a, 42b: charcoal powder
36, 45: Myo Ju 40: My wall

Claims (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향나무를 3년간 음지에서 건조한 후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판재를 켜서 곱게 다듬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13)를 형성하도록 사면에서 고정하여 내부 공간(12)이 형성되도록 본체(11)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고정홈(21)을 형성하는 뚜껑(20)을 가공하는 향나무 가공단계(S1);
참나무를 준비하여 숯 가마에서 숯으로 성형하고, 분말이 되도록 가공하여 1∼2mm의 구멍을 갖는 메쉬를 통과시켜 0.5∼2mm 크기의 숯가루를 선별하는 숯가루 성형단계(S2);
삼베(41)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고 상기 숯 가루 성형단계에서 얻어진 참나무 숯가루(42)를 삼베(41)에 점착하며, 상기 참나무 숯가루(42)의 표면에 마분지(43)를 세워 두께를 유지하고 상기 마분지(43)의 외벽으로 삼베(41a)에 송진을 점점이 칠한 후 참나무 숯가루(42a)를 점착하여 상기 마분지(43)의 양쪽에 삼베(41, 41a)와 참나무 숯가루(42, 42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 벽체(40)를 성형하는 내 벽체 성형단계(S3);
상기 마분지(43)의 상측과 하측의 양쪽 표면에서 삼베(34)에 송진을 점점이 칠하고 0.5∼2mm의 크기를 갖는 참나무 숯가루(42a)를 점착하여 내부 덮개(30)를 성형하는 내부덮개 성형단계(S4);
명주천에 치자를 이용하여 치자물을 들이는 명주천(45, 36)을 성형하는 명주천 성형단계(S5); 및
상기 치자물을 들인 명주천(45, 36)으로 내 벽체(40)를 내부 공간(12)의 바닥과 사면의 벽에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표면을 감싸도록 고정시켜 명주천(45)이 내 벽체(40)를 감싸도록 하며, 내부 공간(12)의 상측에 해당하는 크기로 내부덮개(30)를 절단하여 내부 덮개(30)의 전체면을 명주천(36)이 감싸도록 한 후 상측에서 열십자 형태로 연결대(31)를 형성하여 중앙에 손잡이(32)를 고정하는 명주천 마감단계(S6);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의 제조방법.
The main body 11 is formed so as to form the inner space 12 by fixing the slate to the slope so as to form the fixed protrusion 13 protruding upward, A step (S1) of processing a lumber (20) forming an upper side fixing groove (21);
A step S2 of forming a charcoal powder by preparing an oak, forming it into a charcoal in a charcoal kiln, processing the powder into a powder, passing through a mesh having a hole of 1 to 2 mm to select a charcoal powder having a size of 0.5 to 2 mm;
The oak charcoal powder 42 obtain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charcoal powder is adhered to the rim 41 and the cardboard 43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oak charcoal powder 42, The oak charcoal powder 42a is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board 43 and the oak wood charcoal powder 42a is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board 43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oven charcoal powder 42a on both sides of the cardboard 43, 42 and 42a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the inner wall 40;
An inner lid 30 for forming the inner lid 30 by applying the oven charcoal powder 42a having a size of 0.5 to 2 mm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rdboard 43, Molding step S4;
(S5) for molding the main spoons (45, 36) for sprinkling the garden sprinkler with the sprouts in the sprouts; And
The inner wall 40 is cut in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12 and the wall of the slope with the main springs 45 and 36 having the gentle squeeze water so as to surround the surface thereof, The inner lid 30 is cut in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12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lid 30 is wrapped around the wall 40, (S6) of forming a connecting rod (31) in a cross shape and fixing the handle (32) at the center.
KR1020120093783A 2012-08-27 2012-08-27 Urns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420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783A KR101420316B1 (en) 2012-08-27 2012-08-27 Urns and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783A KR101420316B1 (en) 2012-08-27 2012-08-27 Urns and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376A KR20140030376A (en) 2014-03-12
KR101420316B1 true KR101420316B1 (en) 2014-08-14

Family

ID=5064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783A KR101420316B1 (en) 2012-08-27 2012-08-27 Urns and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3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011Y1 (en) * 2006-03-28 2006-06-30 홍성기 Funeral urn
KR200429466Y1 (en) * 2006-07-20 2006-10-23 김영림 Cinerary urn
KR20100000789U (en) * 2009-12-11 2010-01-25 박소창 4 omitt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011Y1 (en) * 2006-03-28 2006-06-30 홍성기 Funeral urn
KR200429466Y1 (en) * 2006-07-20 2006-10-23 김영림 Cinerary urn
KR20100000789U (en) * 2009-12-11 2010-01-25 박소창 4 omit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376A (en)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316B1 (en) Urns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259024B1 (en) Table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KR20120101960A (en) Familly charnel case
KR200418291Y1 (en) A charnel box
KR200399690Y1 (en) the jade funeral urn with holes for ventilation
KR200240508Y1 (en) An cinerary urn made from yellow ocher
CN202799756U (en) Double-layer heat preservation flowerpot
KR100639940B1 (en) Coating sheet cinerary urn and coating moth
KR200398685Y1 (en) a ceramics funeral urn that is easy to exchange the thing removing a moisture
KR20020086022A (en) An cinerary urn made from yellow ocher
KR200480932Y1 (en) Culvating apparatus of sprout using charcoal
KR200357524Y1 (en) multipurpose decoration with mwshroom wood
KR200389611Y1 (en) A charnel box
KR200297520Y1 (en) Spoon case
KR100946254B1 (en) Dampproof and antibiotic urn
KR200182270Y1 (en) Furniture providing beneficial effect of medical herbs
KR200461584Y1 (en) Mini pots for decoration
KR200197654Y1 (en) The electronic warming cooker
KR100709697B1 (en) Bean sprouts cultivating apparatus having plastic vessel and yellow earth
KR200443658Y1 (en) Cushion member for bed mattress
KR200386000Y1 (en) the ceramics funeral urn with holes for ventilation
KR200401574Y1 (en) The charcoal filter
TWM628967U (en) Moisture-proof urn
KR100366857B1 (en) A receptacle cultivating bean sprouts
KR10092976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ions and far infrared emitting orna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