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937A - A cinerary urn set - Google Patents

A cinerary urn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937A
KR20230075937A KR1020210162642A KR20210162642A KR20230075937A KR 20230075937 A KR20230075937 A KR 20230075937A KR 1020210162642 A KR1020210162642 A KR 1020210162642A KR 20210162642 A KR20210162642 A KR 20210162642A KR 20230075937 A KR20230075937 A KR 20230075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box
enclosure
box body
lid
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0095B1 (en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이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주 filed Critical 이성주
Priority to KR102021016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095B1/en
Publication of KR2023007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9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2중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중 유골함은, 흙으로 빚은 외함 뚜껑과 외함 바디로 구성된 외함과; 상기 외함 바디 안쪽으로 삽입되는 내함 바디와, 상기 내함 바디 위쪽에 안착되는 내함 뚜껑으로 구성된 내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흙으로 빚은 것으로서 노출된 채로 매장시 생분해되도록 불에 굽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urn. The double u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closure composed of an enclosure lid made of soil and an enclosure body; An inner box composed of an inner box body inserted into the enclosure body and an inner box lid seated on top of the inner box body, wherein the inner box is made of soil and is formed in an exposed state and not baked to biodegrade when buried. to be characterized

Description

2중 유골함{A CINERARY URN SET}Double urn {A CINERARY URN SET}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중으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안으로 삽입 안착되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r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urn, on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other.

장례의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종래의 매장 문화에서 발생하던 국토의 비효율적인 활용문제와 환경문제, 그리고 장묘법 개정 등으로 인해 화장에 대한 인식이 많이 변했고, 특히, 최근에는 유골함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There are various methods of funeral, and the awareness of cremation has changed a lot due to the inefficient use of land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burial culture, as well as the revision of the Funeral Law. there is.

삶의 마지막이자 또 다른 안식처로 고인의 일생을 기리며 보호하기 위한 기념적 상징물 중 하나가 유골함인데, 화장 후의 골분을 유골함에 집어넣고 별도의 장소(예를 들어 납골당)에 안치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One of the memorial symbols to honor and protect the life of the deceased as the end of life and another resting place is the ossuary. there is.

이러한 유골함을 이용한 매장방식은 반려동물에게까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burial method using such an ashes is spreading to companion animals.

특히 반려동물의 경우에는 유골함을 납골당에 안치하는 것이 아니라 댁내에 보관하는 경우도 많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mpanion animals,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ashes are not enshrined in the ossuary, but are kept in the house.

그런데 종래의 유골함은 일반적으로 단일 도자기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외부 충격에 그대로 노출되어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urn is generally made of a single ceramic shap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xposed to external impact and is highly likely to be damaged.

또한, 유골함을 납골당에 안치하는 것 역시 비용적인 측면이나 공간 재활용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은 아니므로, 일정 시간이 지나 마음의 안정을 찾은 후, 유골함을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placing the urn in the ossuary is also not desirable in terms of cost or space recycling, it is most desirable to return the ossuary to nature after finding peace of mi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일 도자기 형태의 유골함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골분을 수목장 등에 뿌리거나 매장하려면 뚜껑의 개방이 용이해야 하는데, 뚜껑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뚜껑이 몸체에 그대로 얹혀 있는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밀폐력이 떨어져서 안에 있는 유골함 내부에서 부패가 발생할 수 있어서 문제가 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ingle pottery-type urn, the lid must be easily opened to scatter or bury the bone meal in a arboretum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the sealing power is lowered, which is a problem because decay may occur inside the urn.

등록실용신안 제20-0492279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9227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자기 형태의 유골함을 이용하면서도 유골함의 보관의 안정성을 높이고, 또한 시간이 지난 후 골분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2중 유골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torage of the urn while using a ceramic urn, and also to provide a double urn that facilitates the treatment of bone powder after time has elapsed.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2중 유골함은, 흙으로 빚은 외함 뚜껑과 외함 바디로 구성된 외함과; 상기 외함 바디 안쪽으로 삽입되는 내함 바디와, 상기 내함 바디 위쪽에 안착되는 내함 뚜껑으로 구성된 내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흙으로 빚은 것으로서 노출된 채로 매장시 생분해되도록 불에 굽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ouble u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closure composed of an enclosure lid and an enclosure body made of soil; An inner box composed of an inner box inserted into the inner box body and an inner box lid seated on top of the inner box body, wherein the inner box is made of soil and is formed in an exposed, unfired state so as to be biodegraded when buried. can

여기서, 상기 외함 바디의 안쪽 벽면에는 복수 개의 완충재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내함 바디가 상기 외함 바디 내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완충재는 상기 내함 바디의 외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cushioning materials are attach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nclosure body, and when the inner enclosure body is seated inside the enclosure body, the plurality of cushioning members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nclosure body.

여기서, 상기 내함 바디에 안착되는 상기 내함 뚜껑의 아랫면에는 접착용 물질이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내함 바디와 상기 내함 뚜껑이 접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Here, an adhesive material may be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x lid seated on the inner box body so that the inner box body and the inner box lid are adhesively bonded.

여기서, 상기 내함 바디의 아랫면은 중앙부분이 솟아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x body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central portion rises.

여기서, 상기 외함은 섭씨 1300도 이상에서 구운 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enclosure may be made of porcelain baked at 1300 degrees Celsius or mor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골함이 이중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그 안쪽에 배치되는 내함이 외함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내거나 삽입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rn has a doubl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he inner box disposed inside the urn can be easily taken out or inserted from the urn, increasing user convenience.

특히 외함과 내함은 모두 흙으로 빚은 것이지만 외함의 경우에는 1300도 이상의 온도로 구워서 외부의 충격에 쉽게 깨지지 않도록 하는 반면에 내함은 전혀 굽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하여 외부 노출시 수분과 결합하여 쉽게 생분해가 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유골함 처분이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oth the outer box and the inner box are made of soil, but the outer box is baked at a temperature of 1300 degrees or higher so that it is not easily broken by external impact, while the inner box is not baked at all so that it can be easily biodegraded by combining with moisture when exposed to the outside.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posal of the urn can be carried out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 유골함의 전체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러한 각 구성부분들이 결합되어 있는 사시도이이고,
도 3은 내함을 제거한 상태의 외함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내함이 외함 안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내함이 외함에 안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내함이 외함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함의 뚜껑을 덮기 바로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overa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u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each of these components are combined,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closure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enclosure is remov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box is inserted into the enclosure;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nner box is seated in the outer box;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mmediately before covering the lid of the enclosure in a state where the inner box is seated on the enclosur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 유골함(1)은 외함(100)과 내함(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2중 유골함(1)의 전체적인 분해 사시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2는 이러한 각 구성부분들이 결합되어 있는 사시도이다.The double urn ur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box 100 and an inner urn 200. An overa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is double urn urn 1 is shown in FIG. The sam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each of these components are combined.

또한 도 3은 내함(200)을 제거한 상태의 외함(100)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함(200)이 외함(100) 안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내함(200)이 외함(100)에 안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내함(200)이 외함(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함(100)의 뚜껑을 덮기 바로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closur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box 200 is removed,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box 200 is inserted into the enclosure 1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nner box 200 is seated on the enclosure 100, and FIG. 6 is a state just before the lid of the enclosure 100 is covered with the inner box 200 seated on the enclosure 100. is a drawing showing

이하에서는 이러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2중 유골함(1)의 외함(100)과 내함(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한다.Hereinafter, the outer box 100 and the inner box 200 of the double urn urn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우선 본 실시예에서 외함(100)과 내함(200)은 모두 흙으로 빚은 것이라 가정한다.First,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both the enclosure 100 and the inner enclosure 200 are made of soil.

일 예로 외함(100)과 내함(200)은 모두 옹기토로 제작되어 황토 특유의 통기성, 습도조절, 항균 작용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For example, both the outer box 100 and the inner box 200 are made of Onggito, so that they can exert the effects of air permeability, humidity control, and antibacterial action unique to ocher.

여기서 외함(100)은 섭씨 1300도 이상에서 구운 자기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강도가 더욱 강해지나, 필요에 따라 섭씨 800도 ~ 1200도, 또는 600도 ~ 1000도의 온도로 구운 도기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enclosure 100 may be made of porcelain baked at 1300 degrees Celsius or higher. In this case, the strength is stronger, but it can be formed as a pottery baked at a temperature of 800 to 1200 degrees Celsius or 600 to 1000 degrees Celsius as needed.

또한 필요에 따라 가마에게 굽기 전에 유약을 바를 수도 있는데, 도기나 자기를 만드는 과정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f necessary, glaze may be applied before baking in a kiln. Since the process of making pottery or porcelain per se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외함(100)은 외함 뚜껑(110)과 외함 바디(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외함 바디(120)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The enclosure 100 may include an enclosure lid 110 and an enclosure body 120, where the enclosure body 1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s shown in the drawings.

외함 뚜껑(110)은 이러한 외함 바디(120)의 위쪽에 안착되는데, 이때 외함 뚜껑(110)은 그 무게에 의해 외함 바디(120) 위쪽에 고정되고, 접착제 등과 같이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외함 바디(120)와 결합되지는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enclosure lid 110 is seated on the top of the enclosure body 120. At this time, the enclosure lid 110 is fixed to the top of the enclosure body 120 by its weight, and the enclosure body (110) is fixed using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adhesive. 120) is preferably not combined.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후 내함(200)을 꺼내어서 처리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ake it easy to take out and process the inner box 200 lat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외함 바디(120) 내부의 안쪽 벽면에는 복수 개의 완충재(130)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A plurality of cushioning materials 13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enclosure body 120 .

여기서 완충재(130)는 스폰지,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완충재(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함 바디(220)의 외측면이 외함 바디(120)의 내측면과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cushioning material 13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ponge or rubb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x body 2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box body 120. It serves to prevent contact.

한편, 내함(200)은 내함 뚜껑(210)과 내함 바디(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ner box 200 may include an inner box lid 210 and an inner box body 220.

여기서 내함 바디(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함 바디(120) 안쪽 공간으로 삽입되게 되는데, 내함 바디(220)가 외함 바디(120) 내부에 완전히 안착된 상태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함 뚜껑(210) 내함 바디(220)에 부착된 복수 개의 완충재(130)가 내함 바디(220)의 외측면과 맞닿게 되어 충격으로부터 내함 바디(22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Here, the inner box body 2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enclosure body 120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where the inner box body 220 is completely seated inside the enclosure body 120, as mentioned above, the inner box lid 210 )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ers 130 attached to the inner box body 220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x body 220 to minimize damage to the inner box body 220 from impact.

또한 내함 바디(220)의 아랫면은 중앙부분이 솟아오른 형태가 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형상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되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x body 22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rises, and an example of its specific shape is shown in FIG. 4 .

즉, 도 4는 내함 바디(220)가 외함 바디(120)의 안쪽에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인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함 바디(220)의 아랫면 중앙 부분이 양쪽 부분보다 위쪽으로 솟아오른 형상임을 알 수 있다.That is,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inner box body 220 is seated inside the outer box body 120. As shown in the figure, the central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x body 220 rises upwards than both sides.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이는 앞서 언급한 완충재(130)와 마찬가지로 외부 충격에 의해 내함 바디(22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inimize damage to the inner box body 220 due to external impact, similar to the aforementioned shock absorber 130 .

즉, 내함 바디(220)의 아랫면 전체가 외함 바디(120)의 아랫면과 모두 맞닿아 있는 경우보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약간의 이격이 있도록 하여 그 사이에 소정의 공기층(300)을 형성하는 경우가 외부 충격이 내함 바디(22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at is, rather than the case where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inner enclosure body 2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nclosure body 120,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form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ransfer of external impact to the inner body 220.

단지 외부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외함 바디(120) 아랫면에까지 소정의 완충재(130)를 넣는 경우에는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외함 바디(120) 내에서의 내함 바디(220)의 기울어짐 또는 움직임이 발생하여 내함 바디(220)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a predetermined cushioning material 130 is inserted eve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nclosure body 120 to prepare for external impact, not only the cost increases, but also the tilt or movement of the enclosure body 220 within the enclosure body 120 This may cause damage to the inner box body 220.

한편, 내함 뚜껑(210)은 내함 바디(220) 위쪽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내함 뚜껑(210)와 내함 바디(220) 사이에는 소정의 접착용 물질(230)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ner lid 210 is seated above the inner box body 220, and a predetermined adhesive material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box lid 210 and the inner box body 220.

예를 들어 내함 바디(220) 위쪽에 안착되는 내함 뚜껑(210)의 아랫면에는 접착용 물질(230)이 부착될 수 있고, 반대로 내함 뚜껑(210)과 만나는 내함 바디(220) 위쪽에 접착용 물질(230)이 부착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material 23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x lid 210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box body 220, and the adhesive material 23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x body 220 that meets the inner box lid 210. 230 may be attached.

여기서 접착용 물질(230)은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Here, the adhesive material 230 may be, for example, double-sided tape.

즉, 양면 테이프의 한쪽 종이를 제거하여 내함 뚜껑(210)의 내함 바디(220)와 만나는 위치에 부착하고, 추후 유골을 내함 바디(220)에 담은 후에 그 양면 테이프의 나머지 종이를 제거하여 내함 뚜껑(210)로 내함 바디(220)를 덮으면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내함 뚜껑(210)과 내함 바디(220)가 강하게 결합하게 된다.That is, one side of the double-sided tape is removed and attached to the position where the inner box lid 210 meets the inner box body 220, and after the ashes are later contained in the inner box body 220, the remaining paper of the double-sided tape is removed to cover the inner box. When the inner box body 220 is covered with 210, the inner box lid 210 and the inner box body 220 are strongly coupl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double-sided tape.

따라서 이동 등으로 인해 내함 뚜껑(210)이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함 뚜껑(210)과 내함 바디(220) 간의 밀착도를 높여 내부의 부패를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refore, not only can damage be prevented by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inner box lid 210 due to movement, etc., but also an effect of preventing internal decay by increasing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inner box lid 210 and the inner box body 220.

이러한 내함(200)은 외함(100)과 같이 흙으로 빚은 것임은 동일하지만, 외함(100)과 달리 불게 굽지 않은 상태로 됨이 바람직하다.The inner box 200 is the same as the outer box 100 in that it is made of soil, but unlike the outer box 100, it is preferable to be in a non-bake state.

이처럼 흙으로 빚기만 하고 불에 굽지 않은 경우 외부에 노출된 채로 매장 등이 되게 되면 생분해가 발생하여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In this way, if it is only made of soil and not baked, if it is buried while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be biodegraded and decomposed naturally.

즉, 내함(200)이 다량의 수분과 직접 만나는 경우 생분해가 쉽게 이루어지므로, 내함(200)을 처분할 때 땅에 매장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inner box 200 is easily biodegraded when it directly contacts a large amount of moisture, when the inner box 200 is disposed of, it is only necessary to bury it in the ground.

예를 들어 화장 후의 골분을 내함(200) 넣은 경우에, 추후 내함(200)만을 꺼내어서 땅에 묻게 되면 내함(200)이 생분해가 되면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bone powder after cremation is put into the inner box 200, when only the inner box 200 is taken out and buried later, the inner box 200 biodegrades and disappears.

이러한 2중 유골함(1)을 이용하여 유골을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storing ashes using the double urn urn 1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1) 화장 후의 골분을 내함 바디(220)에 넣는다.(1) The bone powder after cremation is put into the inner box body 220.

(2) 내함 뚜껑(210)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던 양면 테이프의 종이를 벗겨낸다.(2) Peel off the paper of the double-sided tap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inner lid 210.

(3) 내함 뚜껑(210)을 내함 바디(220)에 덮은 후 강하게 눌러서 양면 테이프에 의한 접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3) After covering the inner box lid 210 on the inner box body 220, press it hard so that the adhesion by the double-sided tape is well achieved.

(4) 내함(200)을 외함 바디(120) 내에 삽입한다.(4) The inner box 200 is inserted into the enclosure body 120.

(5) 외함 뚜껑(110)을 외함 바디(120) 위에 덮는다.(5) Cover the enclosure lid 110 on the enclosure body 120.

(6) 2중 유골함(1)을 추모 장소에 올려 놓아 보관한다.(6) Put the double urn (1) on the memorial site and store it.

다음으로 이러한 2중 유골함(1)을 소정의 기간 동안 보관한 후에, 유골을 처분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process of disposing of the ashes after storing the double urn 1 for a predetermined period will be described.

(1) 외함(100)으로부터 외함 뚜껑(110)을 개방한다.(1) Open the enclosure lid 110 from the enclosure 100.

(2) 외함 바디(120) 내부에 안착되어 있던 내함(200)을 꺼낸다.(2) Take out the inner box 200 seated inside the enclosure body 120.

(3) 꺼낸 내함(200)을 땅속에 매장한다.(3) Bury the removed inner box 200 in the ground.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골이 내함(200)과 함께 땅속에서 자연 분해되어 사라지게 되고, 외함(100)은 재활용이 가능하다.Through this process, the remains are naturally decomposed into the ground together with the inner case 200 and disappear, and the outer case 100 can be recycled.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can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2중 유골함 100 : 외함
110 : 외함 뚜껑 120 : 외함 바디
130 : 완충재 200 : 내함
210 : 내함 뚜껑 220 : 내함 바디
230 : 접착용 물질
1: double urn 100: enclosure
110: enclosure lid 120: enclosure body
130: buffer material 200: inner box
210: inner box lid 220: inner box body
230: adhesive material

Claims (5)

흙으로 빚은 외함 뚜껑과 외함 바디로 구성된 외함과;
상기 외함 바디 안쪽으로 삽입되는 내함 바디와, 상기 내함 바디 위쪽에 안착되는 내함 뚜껑으로 구성된 내함;을 포함하고,
상기 내함은 흙으로 빚은 것으로서 노출된 채로 매장시 생분해되도록 불에 굽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유골함.
An enclosure composed of an enclosure lid and an enclosure body made of earth;
Including; an inner box composed of an inner box body inserted into the enclosure body and an inner box lid seated above the inner box body,
The inner box is made of soil and is a double ur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n unfired state so that it is biodegradable when buried while being ex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바디의 안쪽 벽면에는 복수 개의 완충재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내함 바디가 상기 외함 바디 내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완충재는 상기 내함 바디의 외측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유골함.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ushioning materials ar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enclosure body,
When the inner box body is seated inside the outer box body, the plurality of cushioning materials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x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 바디에 안착되는 상기 내함 뚜껑의 아랫면에는 접착용 물질이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내함 바디와 상기 내함 뚜껑이 접착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유골함.
According to claim 1,
A double urn, characterized in that an adhesive material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lid, which is seated on the inner box body, so that the inner box body and the inner lid are adhesively bo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 바디의 아랫면은 중앙부분이 솟아오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유골함.
According to claim 1,
The double ur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dy is formed in the form of a raised centra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은 섭씨 1300도 이상에서 구운 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유골함.
According to claim 1,
The double urn, characterized in that the enclosure is made of porcelain baked at 1300 degrees Celsius or more.
KR1020210162642A 2021-11-23 2021-11-23 A cinerary urn set KR102630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642A KR102630095B1 (en) 2021-11-23 2021-11-23 A cinerary urn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642A KR102630095B1 (en) 2021-11-23 2021-11-23 A cinerary urn 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937A true KR20230075937A (en) 2023-05-31
KR102630095B1 KR102630095B1 (en) 2024-01-29

Family

ID=8654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642A KR102630095B1 (en) 2021-11-23 2021-11-23 A cinerary urn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09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194A (en) * 2009-02-03 2010-08-12 (주)유티산업 Funeral urn
KR20120006009U (en) * 2011-02-18 2012-08-28 심요섭 Biodegradable possible cinerary urn
KR20140036587A (en) * 2012-09-17 2014-03-26 명안삼 A cinerary urn
KR20140095448A (en) * 2014-05-19 2014-08-01 이승아 A Cinerary
KR20170056947A (en) * 2015-11-16 2017-05-24 장지훈 Cinerary Urn Having Dual Structure
KR20170124902A (en) * 2016-05-03 2017-11-13 김영수 Ocher stone cinerary urn foe dual structure
KR200492279Y1 (en) 2018-04-13 2020-09-09 주창만 improvement ashes box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194A (en) * 2009-02-03 2010-08-12 (주)유티산업 Funeral urn
KR20120006009U (en) * 2011-02-18 2012-08-28 심요섭 Biodegradable possible cinerary urn
KR20140036587A (en) * 2012-09-17 2014-03-26 명안삼 A cinerary urn
KR20140095448A (en) * 2014-05-19 2014-08-01 이승아 A Cinerary
KR20170056947A (en) * 2015-11-16 2017-05-24 장지훈 Cinerary Urn Having Dual Structure
KR20170124902A (en) * 2016-05-03 2017-11-13 김영수 Ocher stone cinerary urn foe dual structure
KR200492279Y1 (en) 2018-04-13 2020-09-09 주창만 improvement ashes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095B1 (en)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329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cological burial
KR20230075937A (en) A cinerary urn set
KR101255949B1 (en) The Ashes Box of Vacuum Stracture for Prevention of Ashes Rottenness
US3103053A (en) Burial vault assembly
KR100940348B1 (en) A paper charnel pot which is coated with the loess and hempcloth layer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KR102368952B1 (en) Powdered bones keep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KR200173781Y1 (en) A bones jar of a deceased person
CN213742633U (en) Funeral parlor equipment concentrator
KR102050776B1 (en) Sealing method using decomposable charcoal and Korean p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01030016Y (en) Novel cinerary casket
KR101162921B1 (en) Cinerary urn having adiabatic sealing structure by double wall of stainless steel
US20200383862A1 (en) Cinerary urn set
KR20060090371A (en) Functional container for receiving ashes
CN105380770A (en) Polytetrafluoroethylene cinerary casket
KR100765132B1 (en) A charnel urn formed of charco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29899Y1 (en) a container for receiving ashes
KR200404416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hidden charnel house
KR200325773Y1 (en) Envelope for remains
KR200231795Y1 (en) Vacuum charnel container
KR200395225Y1 (en) Ventilation structure of Duplex ashes chest
KR200386000Y1 (en) the ceramics funeral urn with holes for ventilation
KR200397432Y1 (en) Funeral urn
AU2012101032A4 (en) A Display Urn
KR20080000626U (en) A cinerary urn using ocher stone
KR100647129B1 (en) Burial charnel ch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