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417A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5417A KR20140095417A KR1020130156555A KR20130156555A KR20140095417A KR 20140095417 A KR20140095417 A KR 20140095417A KR 1020130156555 A KR1020130156555 A KR 1020130156555A KR 20130156555 A KR20130156555 A KR 20130156555A KR 20140095417 A KR20140095417 A KR 201400954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target area
- point
- points
- vertex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86 linear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Landscapes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대상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타겟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타겟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라미터 계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지형의 풍상측 및 풍하측 단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간을 이용하여 풍상측 수평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간을 이용하여 풍하측 수직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하중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0: 통신부
111: 정보 수집부
112: 타겟 영역 설정부
113: 정점높이 산정부
114: 풍속할증계수 산출부
12: 저장부
13: 입력부
14: 출력부
Claims (15)
- 대상 영역 내 다수의 지점의 높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과 상이한 타겟 영역을 설정하는 타겟 영역 설정부; 및
상기 타겟 영역의 정점의 높이로부터 상기 타겟 영역의 지표면의 높이를 감산하여, 구조물에 가해지는 풍하중을 산출하기 위한 정점높이를 산정하는 정점높이 산정부;
를 포함하는 풍하중 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영역을 상기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풍하중 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다수의 지점에 대한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digital map); 및
상기 다수의 지점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높이 정보를 획득하는 풍하중 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다수의 지점에 대한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및
상기 다수의 지점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수치표고모델(DEM)을 생성하고, 상기 수치표고모델로부터 상기 높이 정보를 획득하는 풍하중 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역 설정부는:
상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상기 대상 영역 내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간의 높이 차에 기 설정된 값을 승산한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 영역; 또는
상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상기 대상 영역 내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간의 높이 차에 기 설정된 값을 승산한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 영역을 제 1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영역 내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간의 높이 차에 기 설정된 값을 승산한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 영역;
을 상기 타겟 영역으로 설정하는 풍하중 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높이 산정부는:
상기 타겟 영역 내 가장 높은 지점을 상기 정점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영역 내 가장 낮은 지점;
상기 타겟 영역 내 다수의 지점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지점;
상기 타겟 영역 내 다수의 지점의 높이에 대한 도수분포에서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의 계급값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지점; 또는
상기 타겟 영역 내 다수의 지점의 높이에 대한 도수분포에서 가장 낮은 계급의 계급값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지점;
을 상기 지표면으로 결정하는 풍하중 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높이를 기반으로 지형의 풍속할증계수를 산출하는 풍속할증계수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풍하중 산출 장치. - 대상 영역 내 다수의 지점의 높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과 상이한 타겟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영역의 정점의 높이로부터 상기 타겟 영역의 지표면의 높이를 감산하여, 구조물에 가해지는 풍하중을 산출하기 위한 정점높이를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풍하중 산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영역을 상기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하중 산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지점에 대한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및
상기 다수의 지점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높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하중 산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지점에 대한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도, 및 상기 다수의 지점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수치표고모델(DEM)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표고모델로부터 상기 높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풍하중 산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상기 대상 영역 내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간의 높이 차에 기 설정된 값을 승산한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 영역; 또는
상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상기 대상 영역 내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간의 높이 차에 기 설정된 값을 승산한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 영역을 제 1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영역 내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간의 높이 차에 기 설정된 값을 승산한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 영역;
을 상기 타겟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하중 산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높이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영역 내 가장 높은 지점을 상기 정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타겟 영역 내 가장 낮은 지점;
상기 타겟 영역 내 다수의 지점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지점;
상기 타겟 영역 내 다수의 지점의 높이에 대한 도수분포에서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의 계급값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지점; 또는
상기 타겟 영역 내 다수의 지점의 높이에 대한 도수분포에서 가장 낮은 계급의 계급값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지점;
을 상기 지표면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풍하중 산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높이를 기반으로 지형의 풍속할증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풍하중 산출 방법. -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풍하중 산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127,650 US9869800B2 (en) | 2013-01-24 | 2013-12-18 | Peak height for the calculation of wind load calculation apparatus and method |
PCT/KR2013/011841 WO2014115968A1 (ko) | 2013-01-24 | 2013-12-18 | 풍하중 계산을 위한 정점높이 산정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8179 | 2013-01-24 | ||
KR20130008179 | 2013-01-24 | ||
KR20130019915 | 2013-02-25 | ||
KR1020130019915 | 2013-02-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5417A true KR20140095417A (ko) | 2014-08-01 |
KR101428706B1 KR101428706B1 (ko) | 2014-08-13 |
Family
ID=51743869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6555A KR101428706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62A KR101428708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64A KR101428704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60A KR101428711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63A KR101428709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58A KR101428707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53A KR101428705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6562A KR101428708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64A KR101428704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60A KR101428711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63A KR101428709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58A KR101428707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0130156553A KR101428705B1 (ko) | 2013-01-24 | 2013-12-16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869800B2 (ko) |
KR (7) | KR10142870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64099B2 (en) * | 2012-11-20 | 2018-01-09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wind load |
KR101648369B1 (ko) * | 2014-09-25 | 2016-08-1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1626498B1 (ko) * | 2014-09-25 | 2016-06-0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KR102218324B1 (ko) * | 2018-12-31 | 2021-02-2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설계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3057A (ja) | 1999-11-18 | 2001-05-25 | Asia Air Survey Co Ltd | 都市の3次元モデルを作成する方法 |
KR100501071B1 (ko) | 2005-04-28 | 2005-07-18 |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rfm을 이용한 수치도화 시스템 및방법 |
KR20100136604A (ko) | 2009-06-19 | 2010-12-29 | (주)이지스 | 3차원 지형 영상 실시간 가시화 시스템 및 이의 방법 |
KR20110016523A (ko) | 2009-08-12 | 2011-02-18 | 한국전력공사 | Gis 자료를 활용한 풍속할증 계수 산정 시스템, 방법, 및 기록매체 |
KR101055419B1 (ko) | 2011-04-29 | 2011-08-09 | (주) 이우티이씨 |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지형측량 방법 |
US9167317B2 (en) * | 2011-06-23 | 2015-10-20 | Edward DeMar | Battery monitoring system |
KR101099484B1 (ko) | 2011-07-29 | 2011-12-27 | (주)원지리정보 | 3차원지형측량제어모듈을 통한 3차원 지도 모델링 데이터 생성장치 및 방법 |
KR101324752B1 (ko) | 2011-08-25 | 2013-11-05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풍속고도분포계수 산정 방법 및 산정 장치 |
US9619612B2 (en) * | 2012-10-15 | 2017-04-11 | Battery Technology Holdings, Llc | Tester for equipment, apparatus, or component with distributed processing function |
US9316694B2 (en) * | 2013-02-12 | 2016-04-19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Battery monitoring system with time-based diagnostic activation |
-
2013
- 2013-12-16 KR KR1020130156555A patent/KR1014287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6 KR KR1020130156562A patent/KR1014287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6 KR KR1020130156564A patent/KR1014287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6 KR KR1020130156560A patent/KR10142871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6 KR KR1020130156563A patent/KR1014287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6 KR KR1020130156558A patent/KR1014287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6 KR KR1020130156553A patent/KR1014287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8 US US14/127,650 patent/US9869800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8704B1 (ko) | 2014-08-13 |
KR20140095419A (ko) | 2014-08-01 |
KR20140095416A (ko) | 2014-08-01 |
KR20140095418A (ko) | 2014-08-01 |
KR20140095420A (ko) | 2014-08-01 |
KR101428709B1 (ko) | 2014-08-13 |
KR101428705B1 (ko) | 2014-08-13 |
KR101428707B1 (ko) | 2014-08-13 |
KR101428708B1 (ko) | 2014-08-13 |
KR20140095960A (ko) | 2014-08-04 |
KR101428711B1 (ko) | 2014-08-13 |
US9869800B2 (en) | 2018-01-16 |
KR20140095421A (ko) | 2014-08-01 |
US20150369959A1 (en) | 2015-12-24 |
KR101428706B1 (ko) | 2014-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8706B1 (ko) |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440462B1 (ko) | 지형계수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440459B1 (ko) | 지표면 높이를 이용한 지표면 조도 산정 장치 및 방법 | |
KR101613641B1 (ko) |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22356B1 (ko) | 경사도를 이용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514713B1 (ko) | 지표면 높이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 |
KR101657636B1 (ko) | 정점과 구조물이 위치하는 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이용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586018B1 (ko) |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21862B1 (ko) | 정점과 구조물이 위치하는 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이용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57638B1 (ko) |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26498B1 (ko) |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471957B1 (ko) |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26501B1 (ko) |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13632B1 (ko) |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48369B1 (ko) |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21860B1 (ko) |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48366B1 (ko) |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648367B1 (ko) |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519072B1 (ko) | 표본 수집을 통한 설계풍속 산정 장치 및 방법 | |
KR101512466B1 (ko) |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