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178A -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178A
KR20140095178A KR1020130007757A KR20130007757A KR20140095178A KR 20140095178 A KR20140095178 A KR 20140095178A KR 1020130007757 A KR1020130007757 A KR 1020130007757A KR 20130007757 A KR20130007757 A KR 20130007757A KR 20140095178 A KR20140095178 A KR 20140095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unit
micom
microcomputer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수
Original Assignee
이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수 filed Critical 이화수
Priority to KR102013000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178A/ko
Publication of KR2014009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에게 그래픽 패턴이나 음성이나 문자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북장치에 관한 것으로,
학습교재(A)의 좌표에 해당하는 코드번호 및 그래픽패턴을 식별하여 판독하는 북감지센서부(40)와; 상기 북감지센서부(40)에 의해 인가되는 좌표 위치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X, Y의 좌표값으로 디코딩하는 좌표검출부(10); 상기 좌표검출부(10)에 의해 디코딩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컴(20); 상기 마이컴(20)에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20)의 동작을 수행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0); 상기 마이컴(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은 물론 인코딩하는 변환부(50); 및 상기 좌표검출부(10)로부터 인가되는 일정한 전하에 의해 학습자가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전자펜(B)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자북장치의 좌표검출부에 의해 신교재는 물론 구교재의 병용도 가능해짐으로써, 상기 학습교재의 구입 및 사용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어 학습자에게 공평한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Device for providing media contents service for learning with the light pen}
본 발명은 학습자에게 그래픽 패턴이나 음성이나 문자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북장치의 검출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구교재와 신교재를 병용함은 물론 시청각효율을 배가하여 교육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어의 학습에는 테이프에서 나오는 음성을 반복 청취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학습자가 미처 숙지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지나가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학습자의 레벨을 고려하지 않아 학습 능률 저하는 물론 학습 자신감을 떨어뜨리는 역효과를 발생한다.
특히, 아동이나 어린이와 같이 활동성이 우수하여 정적인 학습에 매우 취약한 학습자의 경우, 고전방식으로는 더 이상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여 학습 진도가 매우 더디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전자북장치로서 전자펜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성취감을 높이는 기구들이 개발되어 있다.
즉, 상기 전자북장치의 대부분은 정적인 학습뿐만 아니라 동적인 학습도 충족시킴으로써 성장기 아이들의 정신적인 성장 및 육체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방식이며, 특히 전자펜에서 스캔한 위치에 표시된 해당 학습교재의 학습 정보를 출력제어하는 마이컴을 제공함과 아울러 시청각 효율을 배가하여 집중력이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학습교재의 대부분은 적외선 검출방식으로 이용하여 그래픽 패턴을 스캔하여 검출하는 방식으로서 특수스티커를 검출하는 방식의 경우 인식이 불가능하여 종래에 제조된 구교재는 전혀 사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상기 전자북장치의 보급화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학습교재 중 구교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신교재의 구입에 따른 교육비 부담이 가중되고, 교재개발자의 입장에서도 교재개발에 따른 부담감으로 인해 개발비가 증대됨은 물론 다양한 교육기기와의 연동 및 확정성을 갖지 못하여 공평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 학습교재의 검출방식을 개선하여 성장기에 있는 아동이나 어린이에게 정적인 학습의 기회를 확대함은 물론이거니와 동적인 학습도 제공하고, 상기 전자북장치의 대중화 및 교육기기와의 연동성을 최대로 부여하여 공평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북장치의 검출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구교재와 신교재를 병용함은 물론 시청각효율을 배가하여 교육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학습교재에 포함된 음성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판독하여 바코드의; 좌표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로서, 상기 학습교재의 좌표에 해당하는 정보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북감지센서부와; 상기 북감지센서부에 의해 인가되는 좌표 위치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X, Y의 좌표값으로 디코딩하는 좌표검출부; 상기 좌표검출부에 의해 디코딩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좌표검출부의 신호를 수행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마이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은 물론 인코딩하는 변환부; 및 상기 좌표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일정한 전하에 의해 학습자가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전자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전자북장치의 좌표검출부에 의해 신교재는 물론 구교재의 병용도 가능해짐으로써, 상기 학습교재의 구입 및 사용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어 학습자에게 공평한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학습교재에 포함된 음성신호나 디스플레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듣기와 말하기를 포함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학습효율이 더욱 증진된다.
셋째, 상기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가 원하는 부분을 스스로 선택하여 반복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상기 학습자가 다양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극대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북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일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북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다른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북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북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북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학습교재(A)에 포함된 음성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판독하여 바코드의 좌표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로서, 상기 학습교재(A)의 좌표에 해당하는 정보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북감지센서부(40)와; 상기 북감지센서부(40)에 의해 인가되는 좌표 위치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X, Y의 좌표값으로 디코딩하는 좌표검출부(10); 상기 좌표검출부(10)에 의해 디코딩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컴(20); 상기 마이컴(20)에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좌표검출부(10)의 신호를 수행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0); 상기 마이컴(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은 물론 인코딩하는 변환부(50); 및 상기 좌표검출부(10)로부터 인가되는 일정한 전하에 의해 학습자가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전자펜(B)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는 상기 전자북장치(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기 바코드의 코드번호가 포함되어 전자북으로 통칭하는 학습교재(A), 및 상기 학습교재(A)의 음성정보나 또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전자펜(B)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음을 첨언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펜(B)은 학습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정보 출력장치로서, 상기 학습교재(A)에 접촉하는 경우 해당 지점의 좌표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자펜(B)의 사용과정에서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기기(60)를 더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전자펜(B)에는 볼륨버튼은 물론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USB 포트와, 메모리팩을 연결하는 메모리 팩 삽입구, 및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삽입구와 같은 각종 편의장치 및 전장품을 구성하여편리성을 향상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전자펜(B)에는 상기 학습교재(A)의 좌표에 해당하는 코드번호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북감지센서부(40)를 구성하며, 상기 북감지센서부(40)는 상기 학습교재(A)의 뒷면에 표시된 식별자를 통해 상기 바코드의 코드번호를 정확하게 판독하도록 가능한 광센서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표검출부(10)는 상기 학습교재(A)가 구교재인지 아니면 신교재인지를 선택하여 검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학습교재(A)에 인쇄된 그래픽이나 그래픽패턴을 체크하거나 상기 학습교재(A)의 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를 포함한 인덱스를 인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20)은 상기 좌표검출부(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좌표검출부(10)에 의해 디코딩된 그래픽 패턴이나 좌표 데이터를 인지하여 각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자펜(B)의 볼륨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의 신호를 수신하여 총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20)에는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USB 소켓(22)이나 상기 전자펜(B)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스위치부(26)나 상기 전자북(B)의 작동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조명부(24)를 포함한 각종 전장품을 더 구성하여 편리성을 향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30)는 상기 마이컴(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20)의 동작을 수행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특히 상기 마이컴(20)에 내장식을 구성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30)는 상기 좌표검출부(10)로부터 검출되는 언어나 문자를 상기 학습자의 해당 언어나 문자 즉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언어나 문자로 비교하여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50)는 마이컴(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은 물론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이때, 상기 변환부(50)는 컴퓨터와 같은 휴대기기(60)를 연결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휴대기기(60)에 구성된 이어폰(62)이나 스피커(64)를 이용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자북장치(1)에 의해 학습교재를 사용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학습교재(A)의 학습하고자하는 위치에 상기 전자펜(B)의 선단부를 접촉하거나 근거리에 위치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학습교재(A)의 배치여부는 북감지센서부(40)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식별되며, 특히 상기 학습교재(A)의 정확한 해당위치에 배치하여야만 코드번호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마이컴(20)에서는 상기 북감지센서부(40)로부터 인가되는 비트열 비트열을 기초로 해당 학습교재(A)의 일련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학습교재의 기능코드를 실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학습자가 실행시킬 페이지의 메뉴를 지정하면, 상기 학습교재의 메뉴가 상기 좌표검출부(10)에 의해 좌표값을 디코딩되어 상기 마이컴(20)으로 인가되므로 상기 마이컴(20)이 인식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마이컴(20)에서는 상기 메뉴의 좌표값을 인지하여 해당 스트립트를 실행하는 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전자펜(B)의 스피커나 화면을 통해 원하는 음성 또는 영상이 출력되는 것이다.
즉, 상기 마이컴(20)에서는 학습자가 실행시킬 페이지를 지정하였는가를 판단하며, 이에 의해 학습자가 상기 전자펜(B)을 이용하여 해당페이지를 지정하여 전자북의 여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학습교재 B : 전자펜
10 : 좌표검출부 20 : 마이컴
22 : USB 소켓 24 : 조명부
26 : 스위치부 30 : 메모리부
40 : 북감지센서부 50 : 변환부
60 : 휴대기기 62 : 이어폰
64 : 스피커 1 : 전자북장치

Claims (2)

  1. 학습교재(A)의 음성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판독하여 바코드의 좌표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로서,
    상기 학습교재(A)의 좌표에 해당하는 정보를 식별하여 판독하는 북감지센서부(40)와;
    상기 북감지센서부(40)에 의해 인가되는 좌표 위치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X, Y의 좌표값으로 디코딩하는 좌표검출부(10);
    상기 좌표검출부(10)에 의해 디코딩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컴(20);
    상기 마이컴(20)에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좌표검출부(10)의 신호를 수행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0);
    상기 마이컴(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은 물론 인코딩하는 변환부(50); 및
    상기 좌표검출부(10)로부터 인가되는 일정한 전하에 의해 학습자가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전자펜(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검출부(10)는,
    상기 학습교재(A)에 인쇄된 그래픽이나 그래픽 패턴을 체크하거나 상기 학습교재(A)의 속성을 나타내는 바코드를 포함한 인덱스를 인식하여 구교재인지 신교재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

KR1020130007757A 2013-01-24 2013-01-24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 KR20140095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757A KR20140095178A (ko) 2013-01-24 2013-01-24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757A KR20140095178A (ko) 2013-01-24 2013-01-24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178A true KR20140095178A (ko) 2014-08-01

Family

ID=5174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757A KR20140095178A (ko) 2013-01-24 2013-01-24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1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0098A (zh) * 2015-06-19 2015-09-09 广东新亚洲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式互动教学集成系统
CN104978875A (zh) * 2015-07-21 2015-10-14 合肥玖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智能教学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0098A (zh) * 2015-06-19 2015-09-09 广东新亚洲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式互动教学集成系统
CN104978875A (zh) * 2015-07-21 2015-10-14 合肥玖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智能教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476B1 (ko) 저렴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oid인식펜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이의 학습방법.
US20110300516A1 (en) Tactile Tile Vocalization
US20160162137A1 (en) Interactive Digital Workbook Using Smart Pens
Rahmat et al. An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of hijaiyah alphabet for children education
US11138896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402367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Product Demonstrations
JP2017219718A (ja) プログラミング学習装置及びプログラム
Mountapmbeme et al. Addressing accessibility barriers in programming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 literature review
KR20190062181A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CN111259863A (zh) 弹奏手型检测/展示方法、介质、钢琴、终端及服务端
US20190108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ingual interactive self-learning
Syahidi et al. AUTOC-AR: A Car Design and Specification as a Work Safety Guide Based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N111046852A (zh) 个人学习路径生成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40095178A (ko) 전자펜이 적용된 교육용 전자북장치
Kurniawan et al. Multimedia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daily basic knowledge learning media for early childhood and kindergarten
KR1019178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CN106358080A (zh) 多媒体文件观看情况的检测方法和装置
Martins et al. Teaching children musical perception with MUSIC-AR
KR20170121915A (ko) 스마트 펜을 이용한 그림 그리기 방법 및 시스템
Ahmad et al. Towards a low-cost teacher orchestration using ubiquitous computing devices for detecting student’s engagement
CN111081090B (zh) 一种点读场景下的信息输出方法及学习设备
US11727819B2 (en) Interactive system for teaching sequencing and programming
KR20100052023A (ko) 교습용 디지털 스케치북
JP2002014606A (ja) そろばん型入力装置と、そろばん教育装置とその記録媒体、及びそろばん教育システム
CN111563514B (zh) 一种三维字符的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