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228A -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228A
KR20140094228A KR1020130006714A KR20130006714A KR20140094228A KR 20140094228 A KR20140094228 A KR 20140094228A KR 1020130006714 A KR1020130006714 A KR 1020130006714A KR 20130006714 A KR20130006714 A KR 20130006714A KR 20140094228 A KR20140094228 A KR 20140094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y protection
density
protection pattern
imag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228A/ko
Priority to US14/070,738 priority patent/US20140204406A1/en
Publication of KR20140094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95Secure prin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2Special processing for irreversibly adding or changing the sheet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or its appearance, e.g. stamping, annotation printing, pun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67Post-processing of the composed and rasterized print image
    • G06K15/1889Merging with other data
    • G06K15/189Merging with other data adding a background, e.g. a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36Editing, i.e. producing a composite image by copying one or more original imag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26Editing of the image, e.g. add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FORIMG APPARATUS, HOST APPARAUTS, MEHTOD FOR IMAGE FORMING, METHOD FOR PRINT CONTROLL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이미지의 농도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터의 생성, 인쇄, 수신, 전송 등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서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 구현한 복합기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 인터넷 환경이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을 통하여 각종 티켓 등의 결재 절차를 인터넷 상을 통하여 수행되고, 티켓의 인쇄나 지급 전표를 가정에서 출력하는 경우가 많아 졌다. 이에 따라, 가정용 화상형성장치도 진짜를 증명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 QR 코드 등의 2차 기초 심볼이나 1차 기초 바코드, 위조 방지를 위한 복사 방지 패턴을 갖는 출력물을 인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와 같이 복사 방지 패턴이 구비된 인쇄물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을 이용하였다. 첫번째로는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전용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복사방지 화상을 작성하고, 복사 방지 화상이 배경에 배치되도록 문서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첫번째 방법은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가 빈번한 관공서나 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전용지를 이용하여 한다는 점에서 전용지의 구입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과 전용지가 없는 경우에는 복사 방지 패턴을 갖는 인쇄물을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두 번째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두 번째 방식을 이용하면, 복사 방지 패턴을 인쇄하기 위한 추가 토너 소비가 유발된다는 점에서, 문서만을 인쇄하는 경우보다 토너 소비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토너의 소비량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복사 방지 패턴을 인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 이미지의 농도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가변하여 출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비례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이상이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은 제2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의 복수의 토너로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장치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토너 각각의 토너 양을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토너 양을 기초로 가장 많은 토너 양을 갖는 토너의 토너 색에 대응하는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의 복수의 토너로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장치이고, 복사 방지 패턴의 색상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선택받은 색상의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복사 방지 패턴의 형태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선택받은 복사 방지 패턴의 형태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사 방지 패턴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캔부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화상 데이터로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 장치는, 문서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문서를 합성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 드라이버부,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 방법은,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비례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이상이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은 제2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지 않고, 상기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의 복수의 토너로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장치이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토너 각각의 토너 양을 검출하고,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토너 양을 기초로 가장 많은 토너 양을 갖는 토너의 토너 색에 대응하는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의 복수의 토너로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장치이고, 복사 방지 패턴의 색상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색상의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방법은, 복사 방지 패턴의 형태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복사 방지 패턴의 형태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사 방지 패턴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화상 데이터로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 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은, 문서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문서를 합성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쇄 제어 방법은, 문서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문서를 합성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복사 방지 패턴의 합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농도에 따른 복사방지 패턴 농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호스트 장치(100) 및 화상형성장치(200)로 구성된다.
호스트 장치(100)는 문서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 장치(100)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PC,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MP, MP3 등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200)는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 또는 자체적으로 스캔한 스캔 이미지, 또는 기저장하고 있던 문서 파일에 대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200)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호스트 장치(100) 또는 화상형성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인쇄 대상의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스트 장치(100)는 인쇄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문서와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경우,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의 합성을 호스트 장치(100)에서 수행하는바, 호스트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는, 호스트 장치(100)는 일반적인 인쇄 데이터(즉,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되지 않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와 복사 방지 패턴을 합성하고, 복사 방지 패턴을 갖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경우, 복사 방지 패턴과 인쇄 데이터의 합성을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수행하는바, 화상형성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00)는 기저장된 데이터 또는 스캔부에서 스캔된 이미지와 복사 방지 패턴을 합성하고, 복사 방지 패턴을 갖는 스캔 이미지(또는 기저장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되는 경우, 복사 방지 패턴과 스캔 이미지의 합성을 화상형성장치(200) 자체적으로 수행되는바, 화상형성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도 도 3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호스트 장치(100)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복사 방지 패턴을 화상 데이터와 합성하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복사 방지 패턴을 갖는 인쇄물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사 방지 패턴의 합성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조정하여 인쇄할 수 있는바, 불필요한 토너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100)가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에 연결되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호스트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반대로, 화상형성장치(200) 역시 복수의 호스트 장치(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200)가 직접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호스트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200)는 라우터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유선 방식뿐만 아니라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검출부(140), 프린터 드라이버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호스트 장치(100)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뿐만 아니라, PDA, PMP, 휴대폰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호스트 장치(100)를 외부장치(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 망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0)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란,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및 토너 정보(구체적으로, 토너 양에 대한 정보(화상형성장치가 복수의 토너를 갖는 경우, 각 토너별 토너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후술할 프린터 드라이버부(15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부(150)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화상형성장치(200)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하는 장치라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복사 방지 패턴이 추가된 이미지 파일 자체를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복사 방지 패턴의 이미지, 파일 자체 및 이들의 합성 정보를 개별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합성 정보를 기초로 개별적으로 수신된 복사 방지 패턴의 이미지 및 파일을 합성하여 인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호스트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호스트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인쇄 잡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이용해 출력할 인쇄 잡(또는 인쇄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인쇄 잡에 적용될 인쇄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되는 인쇄 옵션은 복사 방지 패턴의 적용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복사 방지 패턴을 인쇄 옵션으로 선택받은 경우에만, 복사 방지 패턴을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의 별도의 선택이 없더라도 복사 방지 패턴의 적용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을 선택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가 복사 방지 패턴을 인쇄 옵션으로 선택하면,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들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은, 적용할 복사 방지 패턴의 형상,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 위치, 복사 방지 패턴의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옵션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는 도 5에 도시하였다.
저장부(130)는 각종 인쇄 잡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상술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된 화상형성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 정보는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만약, 호스트 장치(100)가 복수의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결 가능한 경우, 저장부(13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후술할 프린터 드라이버부(150)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복사 방지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사 방지 패턴은 '카피 금지', 'copy' 등과 같은 문자 형상일 수 있으며, 지폐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5개의 원형을 갖는 스페셜 마크(special mark)의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원형들 사이의 거리, 배치 등에 따라 각국에서 삽입되는 복사 방지 패턴은 조금씩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호스트 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검출부(140)는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40)는 문서 내에 포함된 각종 오브젝트(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등을 인쇄하는데 필요한 토너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검출부(140)는 문서에 적용된 각종 인쇄 옵션(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정된 디폴트 인쇄 옵션)을 고려하여 문서의 인쇄 필요한 토너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품질을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인쇄하는 경우, 필요한 토너 양이 100이나, 인쇄 품질을 절약 모드로 설정하여 인쇄하는 경우, 필요한 토너 양은 100보다 작은 토너 양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100)에서의 인쇄 품질을 일반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200)가 에코 모드로 동작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자동적으로 인쇄 품질을 일반 모드에서 절약 모드로 변경하여 인쇄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검출부(140)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해당 문서를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인쇄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으로 토너 양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140)는 문서의 인쇄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140)는 계산된 토너 양 및 검출된 인쇄 범위를 고려하여 인쇄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용지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되는 토너 양은 용지의 전부 영역에 대해서만 인쇄 작업을 수행할 때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토너 양만을 고려하여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가 고려되면, 용지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문서에 대해서 필요한 농도보다 매우 낮은 농도의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부(140)는 문서를 인쇄하는데 필요한 토너 양 및 문서의 인쇄 영역을 고려하여 인쇄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는 인쇄 잡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는 복사 방지 패턴의 적용이 필요한 경우,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문서의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 특성과 같이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문서의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B 구간과 C 구간의 경계)보다 높으면, 즉, 6의 C 구간인 경우,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기설정된 농도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문서의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B구간과 C구간의 경계)보다 낮으면, 즉, 도 6의 B구간인 경우,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 보다 낮은 농도(구체적으로는, 검출된 인쇄 농도에 비례한 농도)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문서의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2 농도(A 구간과 B 구간의 경계)보다 낮으면, 즉, 도 6의 A 구간인 경우,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매우 연한 농도의 문서 인쇄인 경우, 복사 방지 패턴의 출력이 필요 없는 상태인바, 복사 방지 패턴이 문서에 합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후의 단계에서 화상 데이터만이 인쇄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는 문서와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는 검출된 문서의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앞서 결정된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로 문서를 합성하고, 복사 방지 패턴이 삽입된 문서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이란, 랜더링된 문서에 복사 방지 패턴을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CMYK 칼라 공간에서 삽입된다.
이때,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선택받은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 또는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디폴트 옵션을 고려하여 복사 방지 패턴과 문서를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색상, 위치, 패턴 형태)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옵션을 반영하여 복사 방지 패턴과 문서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색상에 대한 옵션을 '자동(auto)'로 설정한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0)가 가장 많은 토너 양을 가지는 토너의 토너 색을 복사 방지 패턴의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위치 옵션을 선택받지 않은 경우에는 문서의 인쇄 영역을 고려하여 복사 방지 패턴이 위치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용지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폴트로 설정된 위치가 인쇄 영역과 다른 영역이면, 복사 방지 패턴과 인쇄 영역이 상호 다른 영역에 배치되어, 복사 방지 패턴이 불필요하게 인쇄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는 인쇄 영역을 고려하여 복사 방지 패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부(150)가 문서와 복사 방지 패턴을 실질적으로 이미지 합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실질적인 이미지 합성을 수행하지 않고, 문서에 대한 정보 및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정보(복사 방지 패턴의 이미지,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 색상, 위치 등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질적인 이미지 합성은 후술할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호스트 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인쇄 잡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으면,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가 검출되도록 검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검출된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가 결정하고, 결정된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과 문서가 합성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프린터 드라이버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생성된 인쇄 데이터가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100)는 별도의 전용지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소프트웨어적으로 복사 방지 패턴을 화상 데이터와 합성하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복사 방지 패턴을 갖는 인쇄물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호스트 장치(100)는 복사 방지 패턴의 합성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조정하여 인쇄할 수 있는바, 불필요한 토너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를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검출부(140), 프린터 드라이버부(150) 및 제어부(16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각 구성은 상호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현시에 검출부(140) 및 프린터 드라이버부(150)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검출부(140)와 제어부(10)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검출부(140), 프린터 드라이버부(150) 및 제어부(160)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문서와 복사 방지 패턴을 합성하는 동작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저장부(230), 검출부(240), 스캔부(250), 이미지 처리부(260), 화상 형성부(270) 및 제어부(28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 망을 통해 호스트 장치(100)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호스트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란, 화상형성장치(200)의 동작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 및 토너 정보(구체적으로, 토너 양에 대한 정보(화상형성장치가 복수의 토너를 갖는 경우, 각 토너별 토너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호스트 장치(10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화상형성장치(200)가 다이렉트 프린팅이 가능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파일 자체를 인쇄 데이터로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다이렉트 프린팅이란, 화상형성장치에 파일 자체를 전송하는 동작만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잡 수행 명령은 원고를 스캔하여 인쇄하는 복사 명령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에 저장된 파일을 인쇄하는 인쇄 명령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잡 수행 명령이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명령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을 선택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가 복사 방지 패턴을 인쇄 옵션으로 선택하면,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들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은, 적용할 복사 방지 패턴의 형상,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 위치, 복사 방지 패턴의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옵션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는 도 5에 도시하였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복사 방지 패턴을 인쇄 옵션으로 선택받은 경우에만, 복사 방지 패턴을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사용자의 별도의 선택이 없더라도 복사 방지 패턴의 적용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20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을 선택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은 외부 장치(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저장부(230)는 각종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 정보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때, 상태 정보는 후술할 검출부(240)에서 검출된 복수의 토너 각각의 토너 양을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상술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후술할 스캔부(250)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후술할 이미지 처리부(260)에서 합성된 이미지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복사 방지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사 방지 패턴은 '카피 금지', 'copy' 등과 같은 문자 형상일 수 있으며, 지폐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5개의 원형을 갖는 스페셜 마크(special mark)의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원형들 사이의 거리, 배치 등에 따라 각국에서 삽입되는 복사 방지 패턴은 조금씩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검출부(240)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40)는 화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각종 오브젝트(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등을 인쇄하는데 필요한 토너의 양을 기초로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40)는 현재 잡이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작업인 경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잡이 스캔 이미지에 대한 인쇄 작업에 대한 것인 경우, 스캔부(250)에서 스캔되어 생성된 스캔 이미지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잡이 기저장된 파일에 대한 인쇄 작업에 대한 것이면, 기저장된 파일의 인쇄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및 스캔부(250)를 총괄하여 입력부라 칭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 스캔부(250)를 통하여 수신된 스캔 이미지,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파일을 총괄하여 화상 데이터라고 지칭한다. 구체적인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농도의 검출 동작은 도 2의 검출부(140)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검출부(240)는 화상형성장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토너로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장치이면, 복수의 토너 각각의 토너 양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240)는 검출된 복수의 토너별 토너 양을 상태 정보로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토너 양의 검출은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인쇄 작업의 완료 시마다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240)는 후술할 스캔부(250)에서 스캔된 문서가 기설정된 패턴(예를 들어, 복사 방지 패턴)을 포함하는지를 판단한다. 스캔 문서에 복사 방지 패턴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기술은 널리 알려진 기술인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스캔된 문서에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출부(240)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이와 같은 판단 동작은 후술할 스캔부(250) 또는 이미지 처리부(26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스캔부(250)는 원고를 스캔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잡 수행 명령이 복사 명령인 경우, 스캔부(250)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260)는 잡에 대한 랜더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2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파싱 및 랜더링을 수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260)는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색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260)는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랜더링된 인쇄 데이터 및 스캔부(250)에서 RGB로 스캔된 스캔 이미지에 대해서 CMYK 색상 값을 갖는 화상 데이터로 색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260)는 복사 방지 패턴의 적용이 필요한 경우, 검출부(240)에서 검출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 특성과 같이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 농도의 결정하는 동작은 도 2의 프린터 드라이버부(150)의 동작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260)는 화상 데이터와 복사 방지 패턴을 합성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260)는 앞서 과정에서 결정된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기초로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B구간과 C구간의 경계)보다 낮으면(도 6의 B구간인 경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 보다 낮은 농도(구체적으로는, 검출된 인쇄 농도에 비례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화상 데이터와 복사 방지 패턴을 합성할 수 있다. 한편,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높으면(도 6의 C 구간인 경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화상 데이터와 복사 방지 패턴을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이란, 화상 데이터에 복사 방지 패턴을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이미지 처리부(260)는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은 제2 농도(A구간과 B구간의 경계)이면, 즉, 복사 방지 패턴이 출력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연한 이미지의 출력이면, 화상 데이터만이 인쇄되도록 별도의 합성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2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서 선택받은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 및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디폴트 옵션을 고려하여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옵션(색상, 위치, 패턴 형태)을 선택받은 경우, 이미지 처리부(260)는 선택받은 옵션을 반영하여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색상에 대한 옵션을 '자동(auto)'로 설정한 경우, 이미지 처리부(260)는 가장 많은 토너 양을 가지는 토너의 토너 색을 복사 방지 패턴의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260)는 사용자로부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위치 옵션을 선택받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의 인쇄 영역을 고려하여 복사 방지 패턴이 위치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용지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폴트로 설정된 위치가 인쇄 영역과 다른 영역이면, 복사 방지 패턴과 인쇄 영역이 상호 다른 영역에 배치되어, 복사 방지 패턴이 불필요하게 인쇄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부(260)는 인쇄 영역을 고려하여 복사 방지 패턴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결정된 위치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를 합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270)는 복사 방지 패턴이 삽입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270)는 이미지 처리부(260)에서 생성된 '복사 방지 패턴이 삽입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한편, 화상 데이터의 농도가 기설정된 제2 농도 보다 낮아 화상 데이터에 복사 방지 패턴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화상 형성부(270)는 복사 방지 패턴이 삽입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농도가 제2 농도 보다 낮은 경우에도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화상 데이터의 농도가 제2 농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형태로 구현하거나, 사용자로 부터 인쇄 작업의 진행 여부를 확인받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화상형성장치(2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으면,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 인쇄 데이터 또는 스캔부(250)를 통해 스캔된 스캔 이미지의 인쇄 농도가 검출되도록 검출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농도가 검출되면, 제어부(280)는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가 합성되도록 이미지 처리부(260)를 제어하고, 복사 방지 패턴이 삽입된 화상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화상 형성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캔된 원고에 대한 인쇄 작업 중, 검출부(240)에서 스캔된 문서에 대한 복사 방지 패턴을 검색되면, 제어부(280)는 복사 방지 패턴이 포함된 스캔된 문서에 대한 인쇄 작업을 중단하고, 인쇄할 수 없다는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스캔된 문서에 복사 방지 패턴이 검출되면, 검출된 복사 방지 패턴과 다른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되도록 이미지 처리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폐에 대한 복사 작업을 내린 경우, 검출부(240)는 5개의 원형을 갖는 스페셜 마크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280)는 "COPY", "위조 지폐"와 같은 복사 방지 패턴이 화폐이미지와 합성되어 인쇄되도록 이미지 처리부(260) 및 화상 형성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별도의 전용지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소프트웨어적으로 복사 방지 패턴을 화상 데이터와 합성하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복사 방지 패턴을 갖는 인쇄물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00)는 복사 방지 패턴의 합성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조정하여 인쇄할 수 있는바, 불필요한 토너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복사 방지 패턴의 합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 데이터(410)와 복사 방지 패턴(420)이 상호 오버레이 되어 하나의 인쇄 이미지(430)로 합성된다. 합성 시에 화상 데이터(410) 및 복사 방지 패턴(420)은 CMYK 값을 갖는 이미지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합성을 수행하기 전에, 이미지 처리부(260)는 인쇄 데이터 및 스캔 이미지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CMYK 값을 갖는 이미지 데이터로 이미지 처리를 선행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는 패턴의 종류를 선택받는 영역(510), 패턴의 위치를 선택받는 영역(520), 패턴의 색상을 선택받는 영역(530)을 포함한다.
패턴의 종류를 선택받는 영역(510)은 사용자로부터 적용될 복사 방지 패턴의 종류 또는 형상을 선택받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복사 방지 패턴의 명칭을 통하여 선택받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실질적인 패턴의 형상 또는 모양을 표시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패턴의 위치를 선택받는 영역(520)은 사용자로부터 앞서 선택된 패턴의 표시 위치를 선택받는 영역이다.
패턴의 색상을 선택받는 영역(530)은 사용자로부터 앞서 선택된 패턴의 색상을 선택받는 영역으로, 사용자가 특정 색을 선택하지 않고 AUTO를 선택하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많이 남은 토너의 색을 패턴의 색상으로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패턴의 색상의 선택받는 영역(530)은 화상형성장치가 컬러 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인 경우에 표시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가 흑백 인쇄만 가능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영역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농도에 따른 복사방지 패턴 농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사 방지의 패턴의 농도는 화상 데이터의 농도의 3개의 구간(A, B, C 구간) 별로 다르게 적용된다.
먼저, A 구간은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2 농도(A 구간과 B 구간의 경계)보다 낮은 구간으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가 A 구간에 해당하면,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가 A 구간에 해당한다는 것은, 매우 연한 농도의 문서인바, 실질적인 인쇄물에 토너가 적은 양이 인쇄되는 문서로, 복사 방지 패턴의 출력이 필요 없는 상태로 파악하고,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B 구간은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B 구간과 C구간의 경계)보다 낮고, 기설정된 제2 농도(A 구간과 B 구간의 경계)보다는 높은 구간으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가 B 구간에 해당하며,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에 비례한 농도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C 구간은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B 구간과 C 구간의 경계)보다 높은 구간으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가 A 구간에 해당하면,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디폴트 농도 결정할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복사 방지의 패턴의 농도를 3개의 구간을 구분하여 결정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2개 구간 및 4개 구간 이상으로 구분하여 결정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간 구분없이, 화상 데이터의 전 농도 범위에 대해서 동일한 비율로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문서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S710).
그리고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한다(S720). 구체적으로, 문서 내에 포함된 각종 오브젝트(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등을 인쇄하는데 필요한 토너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문서에 적용된 각종 인쇄 옵션(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정된 디폴트 인쇄 옵션)을 고려하여 문서의 인쇄 필요한 토너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문서의 인쇄 영역을 검출하고, 계산된 토너 양 및 검출된 인쇄 범위를 고려하여 인쇄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산출한다(S730). 구체적으로, 검출된 인쇄 농도에 비례하여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산출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 특성과 같이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문서와 복사 방지 패턴을 합성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S740). 구체적으로, 검출된 문서의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앞서 결정된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과 문서를 합성하고, 복사 방지 패턴이 삽입된 문서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이란, 랜더링된 문서에 복사 방지 패턴을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복사 방지 패턴의 삽입은 CMYK 칼라 공간에서 삽입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문서와 복사 방지 패턴을 실질적으로 이미지 합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실질적인 이미지 합성을 수행하지 않고, 문서에 대한 정보 및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정보(복사 방지 패턴의 이미지,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 색상, 위치 등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한다(S75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은, 별도의 전용지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소프트웨어적으로 복사 방지 패턴을 화상 데이터와 합성하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복사 방지 패턴을 갖는 인쇄물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사 방지 패턴의 합성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조정하여 인쇄할 수 있는바, 불필요한 토너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과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호스트 장치(1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호스트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화상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화상 데이터의 농도를 계산한다(S810). 구체적으로, 화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각종 오브젝트(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등을 인쇄하는데 필요한 토너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화상 데이터에 적용된 각종 인쇄 옵션(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정된 디폴트 인쇄 옵션)을 고려하여 화상 데이터의 인쇄 필요한 토너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의 인쇄 용지상의 인쇄 영역을 검출하고, 계산된 토너 양 및 검출된 인쇄 범위를 고려하여 인쇄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산출한다(S820). 구체적으로, 검출된 인쇄 농도에 비례하여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산출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 특성과 같이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와 복사 방지 패턴을 합성한다(S830). 구체적으로, 검출된 문서의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앞서 결정된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과 문서를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이란, 화상 데이터에 복사 방지 패턴을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복사 방지 패턴이 삽입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S84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별도의 전용지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소프트웨어적으로 복사 방지 패턴을 화상 데이터와 합성하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복사 방지 패턴을 갖는 인쇄물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사 방지 패턴의 합성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조정하여 인쇄할 수 있는바, 불필요한 토너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과 같은 화상 형성 방법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2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를 결정한다(S91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옵션 선택 등을 기초로 복사 방지 패턴을 인쇄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 결과,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가 필요한 것으로 산출되면, 인쇄 데이터 또는 스캔 데이터에 대한 색변환을 수행한다(S920).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의 경우, 파싱 및 렌더링을 수행하여 인쇄 이미지를 생성하고, RGB의 인쇄 이미지를 CMYK 인쇄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이미지의 경우, RGB의 스캔 이미지를 CMYK 스캔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대상인 화상 데이터의 농도를 결정하고, 삽입될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결정한다(S930). 그리고, 복사 방지 패턴의 색상을 결정한다(S940), 구체적으로, 결정 동작(S930, S940)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결정된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 및 색상을 기초로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다(S95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복사 방지 패턴의 합성 과정에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조정하는바, 불필요한 토너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9와 같은 이미지 처리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호스트 장치(200)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2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호스트 장치 또는 화상형성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이미지 처리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이미지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사 방지 패턴의 인쇄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1005).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옵션 선택 등을 기초로 복사 방지 패턴을 인쇄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인쇄 데이터 또는 스캔 데이터에 대한 색변환을 수행한다(S1010).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의 경우, 파싱 및 렌더링을 수행하여 인쇄 이미지를 생성하고, RGB의 인쇄 이미지를 CMYK 인쇄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이미지의 경우, RGB의 스캔 이미지를 CMYK 스캔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대상인 화상 데이터의 농도를 결정한다(S1015). 구체적으로, 화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각종 오브젝트(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등을 인쇄하는데 필요한 토너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화상 데이터에 적용된 각종 인쇄 옵션(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정된 디폴트 인쇄 옵션)을 고려하여 화상 데이터의 인쇄 필요한 토너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의 인쇄 용지상의 인쇄 영역을 검출하고, 계산된 토너 양 및 검출된 인쇄 범위를 고려하여 인쇄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데이터의 농도가 기설정된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S1020), 화상 데이터의 농도가 기설정된 제1 임계값을 초과하면(S1020-Y)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기설정된 농도(예를 들어, MAX 농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화상 데이터의 농도가 기설정된 제1 임계값을 이하이면(S1020-N), 화상 데이터의 농도가 제1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025). 판단결과, 화상 데이터의 농도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S1025-Y), 별도의 복사 방지 패턴의 합성 동작 없이,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S1030).
한편, 화상 데이터의 농도가 기설정된 제2 임계값을 초과하면(S1025-N), 검출된 화상 데이터의 농도에 비례하게 복사 방지 패턴의 농도를 결정한다(S1035).
그리고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색상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40). 구체적으로,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색 옵션이 AUTO로 설정되어 있거나, 별도의 선택이 없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색상이 AUTO로 설정되어 있으면(S1040-Y), 잔여 토너량에 따라 복사 방지 패턴의 색을 결정한다(S1045).
판단결과,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색상이 설정되어 있거나, 흑백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이면(S1050), 기선택된 색상 또는 검정 색에 대응되는 복사 방지 패턴을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복사 방지 패턴의 색 및 농도에 기초하여, 복사 방지 패턴과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다(S1055).
그리고 복사 방지 패턴이 삽입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S106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화상형성시스템 100: 호스트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검출부
150: 인쇄 드라이버부 160: 제어부
200: 화상형성장치 210: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저장부
240: 검출부 250: 스캔부
260: 이미지 처리부 270: 화상 형성부
280: 제어부

Claims (23)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비례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이상이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은 제2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의 복수의 토너로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장치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토너 각각의 토너 양을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토너 양을 기초로 가장 많은 토너 양을 갖는 토너의 토너 색에 대응하는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의 복수의 토너로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장치이고,
    복사 방지 패턴의 색상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선택받은 색상의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복사 방지 패턴의 형태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선택받은 복사 방지 패턴의 형태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사 방지 패턴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캔부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화상 데이터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문서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문서를 합성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 드라이버부;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
  12.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비례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기설정된 제1 농도 이상이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에 대한 기설정된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제1 농도 보다 낮은 제2 농도 보다 낮으면,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지 않고,
    상기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복사 방지 패턴이 합성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의 복수의 토너로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장치이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토너 각각의 토너 양을 검출하고,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토너 양을 기초로 가장 많은 토너 양을 갖는 토너의 토너 색에 대응하는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의 복수의 토너로 컬러 인쇄가 가능한 장치이고,
    복사 방지 패턴의 색상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색상의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복사 방지 패턴의 형태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받은 복사 방지 패턴의 형태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사 방지 패턴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화상 데이터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22.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 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문서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문서를 합성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23. 인쇄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쇄 제어 방법은,
    문서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문서에 대한 인쇄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인쇄 농도에 대응되는 농도로 복사 방지 패턴이 인쇄되도록 상기 복사 방지 패턴과 상기 문서를 합성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30006714A 2013-01-21 2013-01-21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40094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714A KR20140094228A (ko) 2013-01-21 2013-01-21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4/070,738 US20140204406A1 (en) 2013-01-21 2013-11-04 Image forming apparatus, host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ri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714A KR20140094228A (ko) 2013-01-21 2013-01-21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228A true KR20140094228A (ko) 2014-07-30

Family

ID=5120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714A KR20140094228A (ko) 2013-01-21 2013-01-21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04406A1 (ko)
KR (1) KR201400942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2408B2 (ja) * 2017-10-27 2022-01-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3122B1 (en) * 1999-11-05 2004-07-13 Tony Rodriguez Watermarking an image in color plane separations and detecting such watermarks
JP2001328325A (ja) * 2000-03-03 2001-11-2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996522B2 (ja) * 2008-03-28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装置の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20100028067A1 (en) * 2008-08-01 2010-02-04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Device, Printing System, and Near-End Notif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04406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0058B2 (ja) 複写禁止情報を含む2次元コードを抽出可能な画像形成装置、その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
JP415882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14147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0356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786030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634161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9217811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および画像読取プログラム
US20150043018A1 (en) Image forming device,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541963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スクリプト補正方法
JP573929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リンタドライバプログラム
KR20140094228A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화상형성방법,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5304546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7837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25372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0719376A (zh) 图像形成装置以及控制方法
JP692656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60046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1010537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JP5717895B2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77933A (ja) 画像処理装置
JP2008065148A (ja) 画像表示装置
US2013006377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ctual-size preview,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4337836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情報端末装置、プログラム
JP2021190044A (ja) 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4238722B2 (ja) 画像形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