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159A -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159A
KR20140094159A KR1020130006513A KR20130006513A KR20140094159A KR 20140094159 A KR20140094159 A KR 20140094159A KR 1020130006513 A KR1020130006513 A KR 1020130006513A KR 20130006513 A KR20130006513 A KR 20130006513A KR 20140094159 A KR20140094159 A KR 20140094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welding
base material
hou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599B1 (ko
Inventor
김석조
Original Assignee
김석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조 filed Critical 김석조
Priority to KR2013000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5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2)의 사이로 노출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5)을 구비하는 용접 지그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 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센터핀(11)과 센터홈(15)을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게 설치되고, 턴테이블(5)에 회전구(31)를 개재하여 모재(B)를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롤(30); 및 상기 회전롤(30)상에 모재(B)를 고정하는 결속구(41)를 개재하고, 모재(B)에 따라 가변되는 유도롤(47)을 구비하는 결속수단(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용접 지그장치에 보다 손쉽게 용접 작업이 용이하도록 보조기구를 채택함에 따라 보조기구의 설치 및 탈부착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고, 모재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용접 작업이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함은 물론 작업성이 뛰어나 생산성과 실용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The welding aid apparatus of welding Jig device}
본 발명은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접 지그장치에 보다 손쉽게 용접 작업이 용이하도록 보조기구를 채택함에 따라 보조기구의 설치 및 탈부착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고, 모재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용접 작업이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함은 물론 작업성이 뛰어나 생산성과 실용성을 향상할 수 있는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용접장치에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자체회전도 되는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이 설치된 수동용접장치의 동체내부에는 턴테이블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모터와 회로가 내장되며, 턴테이블의 저면과 동체에 센서가 설치되어 턴테이블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용접장치는 한 종류의 물품을 연속적으로 동일하게 용접하는 장점은 있지만, 여러 가지 다른 물품을 용접할 수는 단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회전하는 턴테이블이 센서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센서의 설치위치, 설치 개수 등에 따라 회전각도가 한정되며, 따라서 현 실정에서와 같은 다품종 소량 생산 체재 하에서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9793호의 "용접장치 턴테이블의 회전제어 구조"에 의하면, 용접용 턴테이블(1)이 모터(2)에 의해 회전하고, 또 턴테이블 자체의 경사각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통상의 용접장치(3)에 있어서, 용접장치(3)의 모터(2) 일측에 엔코더(4)를 설치하고 용접장치(3)의 동체(3) 일측면에는 입력부(5)를 형성하여 구성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은 턴테이블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외에 별도의 감속기구를 개재하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적 외형 사이즈가 커지므로 좁은 작업 현장에서 사용하기 불편하고 절연이 용이치 않은 구조이기 때문에 제어기 등의 기판이 고주파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6802호에 의하면, 상기 좌우 측면판(12)(13)에 지지축(22)을 개재하여 경사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의 가이드(26)에 의해 경사각도가 제한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저면에 장착되어 턴테이블(15)을 구동하도록 연결되는 기어모터(30); 상기 상면판(14)과 정면판(1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프레임(20)의 경사각에 무관하게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40); 및 상기 기어모터(30)를 제어하도록 일측 측면판(12)(13)에 설치되는 제어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본 출원인이 제안한 선행등록특허에 의하면, 종래의 단점을 보완하여 소형의 간편화된 구조를 기반으로 하면서 용접시 발생하는 고주파에 의한 장치의 파손을 예방하고, 용접작업 시에 발생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어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장점으로 인하여 종래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지만, 다양한 모재의 크기 및 형상에 따른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 모재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대체할 필요가 있는 최적설계 측면에서 미흡한 실정으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9793호 "용접장치 턴테이블의 회전제어 구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6802호 "용접용 지그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지그장치에 보다 손쉽게 용접 작업이 용이하도록 보조기구를 채택함에 따라 보조기구의 설치 및 탈부착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고, 모재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용접 작업이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함은 물론 작업성이 뛰어나 생산성과 실용성을 향상할 수 있는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사이로 노출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용접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센터핀과 센터홈을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게 설치되고, 턴테이블에 회전구를 개재하여 모재를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롤; 및 상기 회전롤 상에 모재를 고정하는 결속구를 개재하고, 모재에 따라 가변되는 유도롤을 구비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하우징은 프레임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속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회전롤은 회전구 상에 고무 또는 우레탄링을 결속하여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전기흐름으로부터 회전롤의 베어링이 파손됨은 물론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결속구를 지닌 접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결속수단은 결속구와 조절판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가압로프와, 상기 가압로프에서 이동 가능하면서 스프링에 의해 고정하는 가변판과, 상기 가변판의 하부에 모재의 회전을 유도하는 유도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는 용접 지그장치로부터 보조기구의 설치 및 탈부착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고, 모재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용접 작업이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함은 물론 작업성이 뛰어나 생산성과 실용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를 결합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를 정면 및 배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2)의 사이로 노출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5)을 구비하는 용접 지그장치(1)에 관련되며, 특히 용접보조기구를 채택하여 모재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용접 작업이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함은 물론 작업성이 뛰어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용접보조기구는 하우징(10), 회전롤(30), 결속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 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10)은 센터핀(11)과 센터홈(15)을 각각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면이 노출된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은 프레임(2)의 상부에 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는 센터핀(11)과 센터홈(15)을 통하여 서로 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프레임(2)에는 센터핀(11)이, 하우징(10)에는 센터홈(15)이 각각 구비되어 프레임(2)으로부터 하우징(10)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 결합된다. 그리고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센터핀(11)과 센터홈(15)을 서로 상반된 위치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하우징(10)은 프레임(2)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속구(20)(25)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프레임(2)과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결속구(20)(25)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결속구(20)(25)는 하우징(10)과 프레임(2)상에 각각 구비한다. 한편 결속구(20)(25)는 Hook Clamp로서 하우징(10)에 결속구(20)인 클램핑훅(Clamping hook), 프레임(2)에 결속구(25)인 캐치브라켓(Catch bracket)을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결속구(20)(25)는 하우징(10)과 프레임(2)을 안정적으로 결합 및 착탈 용이하게 훅 클램프뿐만 아니라, 토글클램프(Latch type)도 적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다양한 클램프도 적용 가능하다할 것이다. 즉 결속구(20)는 하우징(10)에, 결속구(25)는 프레임(2)에 각각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손쉽게 착탈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결속구(20)(25)는 서로 상반된 위치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로 설명된 결속구는 상기의 설명한 Hook Clamp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토글클램프도 사용 가능하다할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게 설치되는 회전롤(30)은 턴테이블(5)에 회전구(31)를 개재하여 모재(B)를 회전을 유도한다. 회전롤(3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회전롤(30)은 모재(B)를 안착시켜 회전시킨다. 회전롤(30)은 턴테이블(5)을 회전시키는 모터(도면번호 미부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 회전롤(30)상에 회전구(31)를 개재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부호 6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5)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롤을 나타낸 것으로, 구동롤(6)은 턴테이블(5)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롤(30)을 회전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회전롤(30)은 회전구(31)상에 고무 또는 우레탄링(33)을 결속하여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전기흐름으로부터 회전롤(30)의 베어링이 파손됨은 물론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결속구(35a)를 지닌 접지편(35)을 구비한다. 회전롤(30)은 그 외주면에 고무 또는 우레탄링(33)을 결속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데, 즉 회전롤(30)이 턴테이블(5)의 구동롤(6)과 서로 맞물려 회전시 고무 또는 우레탄링(33)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롤(30)은 용접 지그장치(1)로부터 통전되는 전기흐름으로부터 회전롤(30)의 베어링 파손을 방지하도록 접지편(35)을 구비하는데, 접지편(35)은 도 3처럼 회전롤(30)의 일측에 개재하여 결속구(35a)를 통해 착탈됨과 함께 결속구(35a)에 의해 회전롤(30)을 가압하여 회전시 미끄러짐을 동시에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롤(30)상에 모재(B)를 고정하는 결속구(41)를 개재하는 결속수단(40)은 모재(B)에 따라 가변되는 유도롤(47)을 구비한다. 결속수단(4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롤(30)상에 모재(B)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회전롤(30)상에 작업할 모재(B)를 올려 안착시킨 다음 결속수단(40)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결속수단(40)은 회전롤(30)에 안착되는 모재(B)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위치가 변동되는 유도롤(47)을 구비하는데, 유도롤(47)은 회전롤(30)에 모재(B)만을 안착 고정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 가능하면서 모재(B)를 잡아주어 고정시킨다. 또한 유도롤(47)은 모재(B)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상 즉, 일측이 휘어진 모양을 가진 모재(B)를 고정하여 안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결속수단(40)은 결속구(41)와 조절판(43)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가압로프(45)와, 상기 가압로프(45)에서 이동 가능하면서 스프링(46a)에 의해 고정하는 가변판(46)과, 상기 가변판(46)의 하부에 모재(B)의 회전을 유도하는 유도롤(47)을 구비한다. 결속수단(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롤(30)상에 모재(B)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가압로프(45), 가변판(46), 유도롤(47)로 이루어진다. 가압로프(45)는 하우징(10)의 일측에 개재된 결속구(41)와 하우징(10)의 타측에 개재된 조절판(43)을 통하여 회전롤(30)상의 모재(B)를 고정시키도록 끼워져서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데, 가압로프(45)는 일측으로 고리모양의 훅을 개재하여 모재(B)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결속수단(40)의 하나인 결속구(41)에 걸어주고 이와 반대방향으로 조절판(43)이 모재(B)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가압로프(45)를 조절하면서 고정해주어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조절판(43)은 도 3 내지 도 5처럼 나비너트(도면번호 미부여)를 통하여 가압로프(45)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가변판(46)은 가압로프(45)상에서 원활한 이동을 위한 스프링(46a)을 개재하는데, 가변판(46)은 모재(B)를 정위치에 유도하면서 후술하는 유도롤(47)의 정위치에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변판(46)은 도 3 및 도 4처럼 가압로프(45)의 상하로 맞닿는 판으로 구성되고, 그 맞닿는 판의 사이에 스프링(46a)이 내재되어 가압로프(45)상에 고정됨은 물론 모재(B)의 크기 및 형상 변화에 있어 스프링(46a)에 의해 가변판(46)이 이동 가능하다.
또한, 유도롤(47)은 가압로프(45)와 상호 연계 작동하는데, 즉 가압로프(45)를 통하여 회전롤(30)상에 안착된 모재(B)를 가압 고정하는 동시에 모재(B)에 맞닿아 모재(B)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러한 유도롤(47)은 가변판(46)에 의해 모재(B)를 정위치에 유도되고, 회전롤(30)에 모재(B)만을 안착 고정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 가능하면서 모재(B)를 잡아주어 고정시킨다. 또한 유도롤(47)은 모재(B)의 크기뿐만 아니라 형상 즉, 일측이 휘어진 모양을 가진 모재(B)를 고정하여 안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사용에 있어서, 먼저 용접 지그장치(1)와 용접보조기구를 서로 결합하는데, 용접 지그장치(1)의 프레임(2) 상부에 용접보조기구의 하우징(10)이 안착되도록 센터핀(11)과 센터홈(15)을 서로 맞추어 안착 결합한다. 이어서, 하우징(10)과 프레임(2)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구(20)(25)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이와 반대로 분해시 손쉽게 착탈 가능하다.
이어서, 모재(B)는 크기, 즉 모재(B)의 지름에 상관없고, 형상 즉 편심된 모재(B)도 상관이 없이 회전롤(30)상에 안착 가능하다. 이는 결속수단(40), 즉 결속구(41)와 조절판(43)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회전롤(30)에 안착되는 모재(B)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가압로프(45)를 통하여 모재(B)를 가압 고정하는 동시에 유도롤(47)을 통하여 모재(B)에 맞닿아 회전을 유도한다. 더구나, 가변판(46)을 통하여 가압로프(45)상에 고정됨은 물론 모재(B)의 크기 및 형상 변화에 있어 스프링(46a)에 의해 가변판(46)이 이동하여 위치를 잡아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용접보조기구는 용접 지그장치로부터 설치 및 탈부착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고, 모재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용접 작업이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함은 물론 작업성이 뛰어나 생산성과 실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용접 지그장치 2: 프레임
5: 턴테이블 6: 구동롤
10: 하우징 11: 센터핀
15: 센터홈 20,25: 결속구
30: 회전롤 31: 회전구
33: 고무 또는 우레탄링 35: 접지편
40: 결속수단 41: 결속구
45: 가압로프 46: 가변판
47: 유도롤 B: 모재

Claims (4)

  1. 프레임(2)의 사이로 노출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5)을 구비하는 용접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 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센터핀(11)과 센터홈(15)을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게 설치되고, 턴테이블(5)에 회전구(31)를 개재하여 모재(B)를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롤(30); 및
    상기 회전롤(30)상에 모재(B)를 고정하는 결속구(41)를 개재하고, 모재(B)에 따라 가변되는 유도롤(47)을 구비하는 결속수단(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프레임(2)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속구(20)(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30)은 회전구(31)상에 고무 또는 우레탄링(33)을 결속하여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전기흐름으로부터 회전롤(30)의 베어링이 파손됨은 물론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결속구(35a)를 지닌 접지편(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40)은 결속구(41)와 조절판(43)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속되는 가압로프(45)와, 상기 가압로프(45)에서 이동 가능하면서 스프링(46a)에 의해 고정하는 가변판(46)과, 상기 가변판(46)의 하부에 모재(B)의 회전을 유도하는 유도롤(4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KR20130006513A 2013-01-21 2013-01-21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KR101480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6513A KR101480599B1 (ko) 2013-01-21 2013-01-21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6513A KR101480599B1 (ko) 2013-01-21 2013-01-21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159A true KR20140094159A (ko) 2014-07-30
KR101480599B1 KR101480599B1 (ko) 2015-01-09

Family

ID=5173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6513A KR101480599B1 (ko) 2013-01-21 2013-01-21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1298A (zh) * 2023-12-07 2024-01-12 武汉瑞普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车门总成自动焊接工装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312A (ja) * 1990-01-22 1991-09-30 Itsuo Takeshita 管回転装置
JPH0721282U (ja) * 1993-09-10 1995-04-1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管円周自動溶接装置
KR100772727B1 (ko) * 2005-09-23 2007-11-02 차용훈 용접 대상물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1298A (zh) * 2023-12-07 2024-01-12 武汉瑞普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车门总成自动焊接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599B1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5733B (zh) 一种适用于工业机器人的夹持装置
KR101172409B1 (ko) 파이프 절단장치
CN201670950U (zh) 工缝电机传动皮带的张紧装置
CN206578558U (zh) 一种机械加工通用托架
KR101480599B1 (ko) 용접 지그장치의 용접보조기구
TW201315857A (zh) 縫紉機之縫紉物移送裝置
TW201433794A (zh) 折彎治具
CN112264972A (zh) 一种工件翻转用工业机器人
CN210081329U (zh) 一种易于调控的曲轴加工用磨削装置
CN207757515U (zh) 一种电动式g型夹具
CN213828799U (zh) 一种操作简便的三爪内外孔轴承拆装工具
CN208723701U (zh) 一种电动磁耦合驱动器及使用该驱动器的真空设备
CN105382829A (zh) 一种乘用车总装生产线及其仪表台装配助力机械手
CN206405536U (zh) 一种新型坡口机
CN202088644U (zh) 壁纸圆网印刷机的导带张紧装置
CN208178548U (zh) 手压切割机
KR101435072B1 (ko) 토페도카용 스위치
CN205704156U (zh) 一种机械手轴臂机构
CN209139672U (zh) 一种自动压披锋夹具
CN218015747U (zh) 一种v法铸造砂箱翻箱装置
CN214391759U (zh) 一种圆弧角模具
CN219212384U (zh) 一种机床加工限位装置
CN111472110B (zh) 一种绳头折边装置
CN203317653U (zh) 一种多色拉链机夹持装置
KR102388574B1 (ko) 터닝 컨베이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