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14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141A
KR20140093141A KR1020130005597A KR20130005597A KR20140093141A KR 20140093141 A KR20140093141 A KR 20140093141A KR 1020130005597 A KR1020130005597 A KR 1020130005597A KR 20130005597 A KR20130005597 A KR 20130005597A KR 20140093141 A KR20140093141 A KR 20140093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over
frame
plate
disposed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현
임병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5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3141A/ko
Publication of KR2014009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Connection Plate),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조인트 팬(Joint Fan) 및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조인트 팬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는 서포터(Supporter)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께가 얇고 시인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Connection Plate),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조인트 팬(Joint Fan) 및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조인트 팬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는 서포터(Suppo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팬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체결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하 운동 시에 상기 조인트 팬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팬의 길이는 폭보다 더 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제 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인트 팬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사이의 각도를 제 1 각도라 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제 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인트 팬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사이의 각도를 제 2 각도라 할 때,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각도는 상기 제 2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제 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조인트 팬은 상기 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제 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조인트 팬은 상기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단변(Short Side)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와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상기 조인트 팬이 삽입되고 회전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자석부(Inner Magnetic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 자석부에 대응되는 외측 자석부(Outer Magnetic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자석부와 상기 외측 자석부는 상기 후면커버를 사이에 두고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자석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벽(Wall) 또는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자석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후면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자석부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프레임을 향해 함몰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에는 스피커(Speaker)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자석부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내측 자석부는 상기 함몰부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분(Horizontal Part)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Vertical Dir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덮는(Cover)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직부분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탄력성을 갖는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에는 가이드부(Guide Part)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소정의 구조물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과 후면커버 사이에 내측 자석부를 배치하고 아울러 후면커버의 후방에 외측 자석부를 배치함으로서, 내측 자석부와 외측 자석부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석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후면커버를 고정함으로써, 후면커버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석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후면커버를 고정함으로서 스크류 등의 다른 체결수단의 사용을 줄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 및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3 내지 도 56은 기어를 이용하여 후면커버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7 내지 도 68은 다른 구성의 체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9 내지 도 82는 또 다른 구성의 체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anel),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광학층(Optical Layer, 110) 및 광원부(Light Source Part, 12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10B), 프레임(Frame, 1600) 및 후면커버(Back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광학층(110)과 광원부(120)를 포함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액정 패널일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층(110)은 복수의 시트(Shee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리즘 시트 및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원부(120)에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Light Source)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0B)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인 경우도 가능하고,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인 경우도 가능하다.
백라이트 유닛(10B)의 후방에는 프레임(1600) 및 후면커버(13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광원부(120)는 프레임(16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백라이트 유닛(10B)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인 경우에, 광원부(12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들이 프레임(1600)에 소정 패턴(Pattern)으로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후면커버(130)는 백라이트 유닛(10B)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및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면 기판 및 후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인 액정 패널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내측 자석부와 외측 자석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무게가 가벼운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표시 패널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유기 표시 패널인 경우에 프레임(16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착시트(미도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구동부(300Q)에서 공급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 도 2에서는 구동부(300Q)가 하나의 모듈(Module)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구동부(300Q)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 형태로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동부(300Q)는 데이터 라인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 및 제어하는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스캔 라인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 및 제어하는 스캔 구동부(미도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부(300Q)는 구동보드(Driving Board)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교차하는 스캔 라인(S1~Sm)과 데이터 라인(D1~D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위치에 서브 픽셀(Sub Pixel, P)이 배치될 수 있다.
스캔 라인은 서브 픽셀로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캔 라인은 구동부(300Q)가 생성한 스캔 신호의 공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은 서브 픽셀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라인은 구동부(300Q)가 생성한 데이터 신호의 공급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소거(Erase) 신호가 공급되는 소거 라인(Erase Line)이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3을 살펴보면 서브 픽셀의 구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서브 픽셀은 유기 셀(OLE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픽셀은 제 1 트랜지스터(Tr1), 제 2 트랜지스터(Tr2), 제 3 트랜지스터(Tr3) 및 커패시터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라인(Scan)으로 스캔 신호가 공급되면, 제 1 트랜지스터(Tr1)가 턴-온(Turn-On)되고, 이때 데이터 라인(Data)으로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커패시터부(C)의 양단에는 전원 전압(VDD)과 데이터 신호의 전압(Vd)의 차이만큼의 전압이 걸리게 되어, 커패시터부(C)에는 (VDD-Vd)의 전압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면, 제 3 트랜지스터(Tr3)의 게이트(Gate) 단자에 (VDD-Vd)의 전압이 걸리게 됨으로써, 제 3 트랜지스터(Tr3)가 턴-온 되고, 이에 따라 커패시터부(C)에 저장된 (VDD-Vd)의 전압에 따른 전류가 유기 셀(OLED)로 공급되어 유기 셀(OLED)이 발광하게 된다.
한편, 소거 라인(Erase)으로 소거 신호가 공급되면, 제 2 트랜지스터(Tr2)가 턴-온 될 수 있다. 그러면, 커패시터부(C)의 양단이 단락(Short) 됨으로써, 커패시터부(C)에 충전된 전압이 모두 방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3 트랜지스터(Tr3)가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그러면, 유기 셀(OLED)의 발광이 정지될 수 있다.
여기,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소거라인(Erase)이 생략되는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유기 셀의 발광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유기 셀은 음극(200)과 양극(260) 사이에 전자 주입층(210), 전자 수송층(220), 발광층(230), 정공 수송층(240), 정공 주입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200)과 양극(260)에 전압이 걸리게 되면, 계조 전류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음극(200)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전자 주입층(210) 및 전자 수송층(220)을 통해 발광층(230)으로 이동한다.
아울러, 양극(260)으로부터 발생된 정공은 정공 주입층(250) 및 정공 수송층(240)을 통해 발광층(230)으로 이동한다.
이때, 발광층(230)에서는 전자 주입층(210)과 전자 수송층(220)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정공 주입층(250)과 정공 수송층(240)으로부터 공급된 정공이 충돌하여 재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의 충돌에 의해 발광층(230)에서 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광층(230)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는 양극(260)으로 공급되는 계조 전류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여기, 도 4는 유기 셀의 구조 및 발광 원리의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여기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기 셀은 전자 주입층(210), 전자 수송층(220), 정공 수송층(240), 정공 주입층(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대해 액정 패널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하의 설명이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유기전계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하의 설명에서 광학층(110) 및/또는 광원부(120)가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에는 브라켓(Bracket, 140)이 부착될 수 있다. 이처럼, 후면기판(111)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기 위해, 후면기판(111)의 후면과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접착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층(400)을 이용하여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브라켓(140)을 부착시키게 되면 후면기판(111)과 브라켓(140)의 체결을 위해 팸넛(Pemnut), 보스(Boss) 등의 지지수단 및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브라켓(140)과 후면기판(111)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140)의 후면기판(111)을 향하는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에 접착층(40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접착재료가 브라켓(14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140)을 후면기판(111)의 후면에 부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접착층(400)보다 더 연장된 부분(W1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길이방향으로 브라켓(14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W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은 베이스부(1000), 머리부(1002) 및 베이스부(1000)와 머리부(1002)를 연결하는 기둥부(10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40)의 베이스부(1000)와 후면패널(110)의 사이에 접착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브라켓(140)은 함몰부(홈)를 포함하고 접착층(400)이 적용되는 제 1 면(First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40)은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돌출부(1001) 및 제 1 돌출부(1001)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돌출부(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출부(1001)는 후면패널(111)의 폭방향(수직방향(DRV))으로 후면패널(111)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돌출부(1002)는 제 1 돌출부(1001)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DRH, 길이방향,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데, 제 1 돌출부(1001)와 제 2 돌출부(1002)는 뒤집어진 L 형상(Inverted L-shape)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브라켓(140)이 베이스부(1000), 머리부(1002) 및 기둥부(1001)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하의 브라켓(140)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의 경우와 같이, 브라켓(140)의 상부에는 보조 브라켓(48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조 브라켓(4800)은 브라켓(140)의 머리부(1002)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에는 브라켓(140), 보조 브라켓(4800)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만, 브라켓(140)을 제 1 브라켓(140)이라 하고, 보조 브라켓(4800)을 제 2 브라켓(4800)이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브라켓(4800)은 후면기판(111)에 근접하게 위치한 부분(4801)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브라켓(4800)에서 후면기판(111)에 근접한 부분을 저고도부분(4801)이라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면기판(111)의 후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의 높이(HA2)는 브라켓(140)의 최대 높이(HA1)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은 브라켓(140)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심방향으로 소정 거리(LA1)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브라켓(4800)은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된 제 1 레지(Ledge, 4802)와 제 2 레지(4801)를 포함하고, 제 1 레지(4802)와 제 2 레지(4801)는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번호 미지정)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연장부는 제 1 레지(4802)와 제 2 레지(4801)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레지(4802)는 제 2 돌출부(1002)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Frame)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은 제 1 레지(4802)와 접촉(Contact)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화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커버(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에 고정되지 않고,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학층(110)은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보조 브라켓(4800)의 상부에 광학층(110)이 배치되면, 광학시트부(11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기판(111)이 소정 거리(Z1)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Air Gap, 6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후면기판(111)과 광학층(110)의 사이에 에어층(650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에어층(65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조 브라켓(4800)의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광학층(110)의 상부에는 광원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부(120)는 광학층(110)과 함께 보조 브라켓(4800)의 저고도부분(4801)에 배치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백라이트 유닛(10B)이 직하타입(Direct Type) 광원부(120)를 갖는 경우이다.
또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4800)의 제 1 레지(4802)에 광학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는 광학층(110)의 상부에 도광판(Light Guide Plate, 7000)이 배치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백라이트 유닛(10B)이 엣지타입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엣지타입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을 살펴보면, 브라켓(140)에는 홀(10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1003)을 통해 연결 프레임(Connection Frame, 5000)이 브라켓(14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프레임(5000)의 일부가 브라켓(140)의 홀(1003)에 단순히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결 프레임(5000)에 전달되는 비틀림 등의 외력이 브라켓(14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브라켓(4800)은 복수의 브라켓(14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프레임(5000)에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결 프레임(5000)은 측벽(5004)과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탭(Tab Portion, 5003)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탭(5003)은 브라켓(140)의 제 1 연장부에 형성된 홀(1003)을 관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DRH)으로 제 1 탭(5003)의 폭은 브라켓(140)의 제 2 돌출부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5000)에는 홀(5001)이 형성되고, 보조 브라켓(4800)에도 연결 프레임(5000)의 홀(5001)에 대응되는 홀(48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5000)의 홀(5001)과 보조 브라켓(4800)의 홀(4804)을 통해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S100)이 연결 프레임(5000)과 보조 브라켓(4800)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결 프레임(5000)은 브라켓(140)의 홀(1003)(또는 홈)에 끼워지는 제 1 탭(5003) 및 보조 브라켓(4800)과 체결되는 측벽(50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5000)의 제 1 탭(5003)은 수평부분이라 하고, 측벽(5004)은 수직부분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을 살펴보면, 보조 브라켓(4800)에 프레임(160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2의 경우와 같이, 보조 브라켓(4800)과 프레임(1600)은 소정의 체결수단(S11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소정 영역에서는 보조 브라켓(4800)과 프레임(1600)이 소정의 체결수단(S110)에 의해 체결되고, 다른 영역에서는 보조 브라켓(4800)과 연결 프레임(5000)이 소정의 체결수단(S1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자석부(Inner Magnetic Part, 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자석부(500)는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은 각각 철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연결할 수 있다. 혹은, 또 다른 체결수단의 개수/크기 등을 줄이더라도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충분히 강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를 살펴보면, 내측 자석부(500)는 하나의 프레임(1600)에 복수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측 자석부(500)는 프레임(160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16의 경우와 같이, 내측 자석부(500)는 홀(H2)을 포함하고, 프레임(1600)은 내측 자석부(500)의 홀(H2)에 대응하는 홈 또는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정의 체결수단(S120)이 내측 자석부(500)의 홀(H2)과 프레임(1600)의 홈 또는 홀(H1)에 삽입되어 내측 자석부(500)가 프레임(1600)에 연결될 수 있다.
혹은 내측 자석부(500)는 후면커버(130)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혹은 내측 자석부(500)는 자력으로 프레임(1600)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프레임(1600)은 내측 자석부(500)가 자기적으로 부착되기 위해 철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내측 자석부(500)는 프레임(1600)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내측 자석부(500)가 자력으로 프레임(1600)에 부착된 경우 및/또는 내측 자석부(500)가 프레임(1600)에 용접되는 경우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프레임(1600)은 후면커버(13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내측 자석부(500)는 프레임(1600) 돌출부(16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내측 자석부(5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에도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보다 효과적으로 자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8을 살펴보면, 프레임(1600)에는 내측 자석부(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이탈 방지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이탈 방지부(600)는 내측 자석부(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조 공정 시 제 1 이탈 방지부(600)를 프레임(1600)에 용접한 상태에서, 내측 자석부(500)를 제 1 이탈 방지부(600)에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후면커버(130)에 내측 자석부(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의 (A)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내측 자석부(500)의 주위에 배치되며, 프레임(1600)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610)는, 도 20의 경우와 같이, 링(Ring)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돌출부(610)는 내측 자석부(500)를 감싸고, 이에 따라 내측 자석부(500)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B)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에는 제 2 이탈 방지부(6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이탈 방지부(620)는 후면커버(130)에 용접에 의해 연결되거나 혹은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커버(130)의 후방에 위치하며, 내측 자석부(500)에 대응되는 외측 자석부(Outer Magnetic Part, 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자석부(70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벽(Wall, 770) 또는 거치대 등의 소정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내측 자석부(500)와 외측 자석부(700)는, 도 22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를 사이에 두고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벽걸이용 거치대 등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770) 또는 거치대 등의 구조물에 손쉽게 거치시킬 수 있다.
도 23을 살펴보면, 외측 자석부(700)는 자력을 띄는 베이스 자석(710) 및 베이스 자석(710)에 형성된 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소정의 체결수단(720)이 홀(H3)을 관통하여 벽(770) 또는 거치대 등의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자석부(700)가 벽(770) 또는 거치대 등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에는 외측 자석부(7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헤. 외측 자석부(700)의 주위에 배치되며, 프레임(1600)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또 다른 돌출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또 다른 돌출부(630)는, 앞선 도 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Ring)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또 다른 돌출부(630)는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후면커버(130)에 연결되거나 접착제, 접착시트 등에 의해 후면커버(13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5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내측 자석부(500)를 향해 함몰되며, 외측 자석부(700)가 삽입되는 제 1 함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측 자석부(7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후면커버(130)에 외즉 자석부(700)가 삽입되는 제 1 함몰부(131)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 시, 제 1 함몰부(131)의 깊이(W1) 만큼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770) 혹은 거치대 등의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도 26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외측 자석부(700)를 향해 함몰되며, 내측 자석부(500)가 삽입되는 제 2 함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측 자석부(5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 과정에서 외측 자석부(700)와의 접점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8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프레임을 향해 함몰되는 제 3 함몰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함몰부(133)는 복수의 내측 자석부(500)들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내측 자석부(500)는 제 3 함몰부(133)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제 3 함몰부(133)에는 스피커(Speaker, 8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함몰부(133)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스피커(80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스피커(80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스피커(800)를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스피커(800)의 사이즈 뿐 아니라 형태도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배치되는 스피커(8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 함몰부(133) 내에는 홀(H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H4)을 통해 스피커(800)와 구동보드(Driver Board, 83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800)와 구동보드(830)를 연결하는 케이블(820)이 홀(H4)을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보드(820)는 스피커(800)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스피커(80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9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스피커(8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스피커(800)의 출력부분(810)은 스피커(8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800)의 출력부분(810)은 스피커(800)의 음이 출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0의 경우와 같이, 스피커(800)에서 출력된 음성이 스피커(800)와 벽(770) 혹은 거치대 등의 구조물 사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지나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도 30에서 화살표가 음성의 발산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스피커(800)에서 출력된 음성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산되도록 하기 위해 스피커(800)의 출력부분(81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는 충분히 큰 간격(W3)이 마련될 수 있다.
후면커버(130)의 제 3 함몰부(133)에 스피커(800)가 장착되는 경우, 스피커(800)를 보호하기 위해, 도 31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34)는, 스피커(800)가 제 3 함몰부(133)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피커(800)보다 소정 높이(W4)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770) 등에 충돌하더라도 스피커(8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2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돌출부(134)는 구동보드(830)가 위치한 영역과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에 돌출부(134)를 형성하게 되면,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서 구동보드(830)가 배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고, 아울러 스피커(800)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도 32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840은 소정의 회로부품일 수 있고, 부호 900은 하부커버(Bottom Cover)일 수 있다. 하부커버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도 33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H)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분(Horizontal Part, 130H) 및 제 1 방향(DRH)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V)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Vertical Direction, 130V)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H)을 수평방향이라 하고, 제 2 방향(DRV)를 수직방향이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덮는(Cover)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후면커버(130)의 수평부분(130H)은 적어도 프레임(16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커버(130)가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Front Surface)의 가장자리가 노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제 1 위치(PST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바라보았을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인성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내측 자석부(500)를 배치하여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을 자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 및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후면커버(130)를 적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적어도 수직부분(130V)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탄력성을 갖는 완충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130A)는 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30)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물,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00), 프레임(1600)의 사이 공간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부(130A)는 스펀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30A)는 어두운 색, 예컨대 검은색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유기 표시 패널인 경우에는, 도 35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프레임(16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사이에는 접착층(1600A)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도 36을 살펴보면, 제 2 방향(DRV)으로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은 디스플레이 패널(100)보다 소정 높이(W5) 만큼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이 손상을 입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7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방향(DRH)의 가로 방향으로의 단면, 즉 B1-B2라인을 따라 절단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을 보면, 도 37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양쪽 측면이 각각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도 38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방향(DRH)의 세로 방향으로의 단면, 즉 C1-C2라인을 따라 절단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을 보면, 도 38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은 후면커버(130)의 수직부분(130V)에 의해 덮이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에는 하부커버(Bottom Cover, 90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은 후면커버(130)에 의해 가려지는데 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 공간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하부커버(9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커버(900)는 프레임(1600) 및/또는 후면커버(1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9를 살펴보면, 하부커버(900)는, 제 1 영역(AR1)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Front Surface)의 일부를 가리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37 및 도 38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단변영역(SS1), 제 2 단변영역(SS2) 및 제 1 장변영역(LS1)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노출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장변영역(LS2)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하부커버(9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40을 살펴보면, 후면커버(130)의 내측에는 가이드부(Guide Part, 1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100)는 용접에 의해 후면커버(1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부(1100)와 후면커버(130)의 내측면 사이에 접착층(1120)이 배치되어 가이드부(1100)를 후면커버(130)에 부착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100)에는 홈(1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100)의 홈(1110)에는 소정의 구조물이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1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프레임(5000) 및 보조 브라켓(4800)의 끝단이 가이드부(1100)의 홈(1110)에 끼워질 수 있다.
또는, 도 42의 경우와 같이, 경우에 프레임(1600)의 끝단이 가이드부(1100)의 홈(1110)에 끼워질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56은 기어를 이용하여 후면커버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커버(130)와 프레임(16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200)는 회전 가능한 기어로드(Gear Rod, 1210)와 기어로드(1210)와 연동되는 체결수단(Fastening Means, S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체결부(1200)는 하우징(1200H)를 포함하고, 하우징(1200H)이 후면커버(130)에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혹은 하우징(1200H)과 후면커버(130)의 내측면 사이에 접착층(1200A)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0H)에는 체결수단(S130)이 위치하고, 체결수단(S130)이 관통하는 홀(H5)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0)은 체결부(1200)에 대응하는 홀(Hole, H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200)의 체결수단(S130)은 기어로드(1210)의 회전에 따라 프레임(1600)의 홀(H6)에 삽입되거나 홀(H6)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체결수단(S130)은 기어로드(1210)의 회전에 따라 기어로드(121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수직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수단(S130)과 기어로드(1210)는, 도 44의 경우와 같이, 웜기어(Warm Gear)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4를 살펴보면, 기어로드(1210)는 회전축(1210B)과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분(1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체결수단(S130)은 기어로드(1210)의 나사부분(1210A)에 대응되는 제 1 나사부분(S130A)과 프레임(1600)의 홀(H6)에 대응하는 제 2 나사부분(S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로드(1210)가 회전하면 나사부분(1210A)에 맞물리는 체결수단(S130)의 제 1 나사부분(130A)을 포함하는 체결수단(S130)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수단(S130)의 제 2 나사부분(130B)이 프레임(1600)의 홀(H6)에 삽입되어 프레임(1600)과 체결부(1200)가 연결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의 단변(Short Side)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의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에 대응되며 제 1-1 기어로드(1210-1)와 제 1-1 기어로드(1210-1)에 연동되는 제 1-1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1-1 체결부(1200-1) 및 후면커버(130)의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에 대응되며 제 1-2 기어로드(1210-2)와 제 1-2 기어로드(1210-2)에 연동되는 제 1-2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1-2 체결부(12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1 체결부(1200-1)는 제 1-1 하우징(1200H-1)을 포함하고, 제 1-2 체결부(1200-2)는 제 1-2 하우징(1200H-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0)에는 제 1-1 체결수단 또는 제 1-2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홀(H6)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체결부(1200)는 프레임(16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6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는 소정의 체결수단(S140)에 의해 프레임(1600)에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체결부(1200)의 체결수단(S130)이 삽입되는 홀(H7)을 포함하는 홀 하우징(1220)이 후면커버(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 하우징(1220)은 후면커버(130)에 용접되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홀 하우징(1220)과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접착층(1220A)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부(12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7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에서 체결수단(S130)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하우징(1200H)을 설치하고, 각각의 하우징을 바(Bar, 1200B)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8을 살펴보면, 프레임(1600)은 체결부(1200)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16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프레임(1600)의 홈(1620)은 체결부(1200)의 하우징(1200H)에 대응될 수 있다. 체결부(1200)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1620)은 홀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연결 과정에서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를 용이하게 정렬(Align)시킬 수 있다.
또는, 도 49 내지 도 50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의 하우징(1200H)에는 프레임(1600)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200P)를 포함하고, 프레임(1600)에는 돌출부(1200P)에 대응되는 홈 또는 홀(H9)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00)의 돌출부(1200P)기 프레임(1600)의 홈 또는 홀(H9)에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연결 과정에서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를 용이하게 정렬(Align)시킬 수 있다.
후면커버(130)의 단변(SS) 뿐 아니라 장변(Long Side)에도 체결부(12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1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의 단변(SS,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대응되며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와 제 1 기어로드(1201-1, 1210-2)에 연동되는 제 1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1 체결부(1200-1, 1200-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체결부(1200)는 후면커버(130)의 장변(Long Side), 예컨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에 대응되며 제 2 기어로드(1310)와 제 2 기어로드(1310)에 연동되는 제 2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2 체결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체결부(1300)에 포함되는 체결수단은 앞선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다.
프레임(1600)에는 제 2 체결부(1300)의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홀(H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2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어로드(1310)의 길이(L2)는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제 2 기어로드(1310)와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기어로드(1310)와 제 2 기어로드(1210-1, 1210-2)는 베벨 기어(Bevel Gear)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53의 경우와 같이, 제 2 기어로드(1310)의 끝단에는 제 1 베벨 기어(1300BG)가 배치되고,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의 끝단에는 제 2 베벨 기어(1200BG)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베벨 기어(1300BG)와 제 2 베벨 기어(1200BG)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의 회전 시 제 2 기어로드(1310)가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기어로드(1310)의 회전 시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의 연결 과정에서 작업자가 제 1 기어로드(1210-1, 1210-2)를 회전시켜 제 1 체결부(1200)에 포함된 체결수단을 프레임(1600)의 홀(H6)에 삽입하면, 제 2 기어로드(1310)가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이로 인해 제 2 체결부(1300)에 포함된 체결수단이 프레임(1600)의 홀(H10)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2 체결부(1300)는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4의 경우와 같이, 제 2 체결부(1300)는 제 1-1 기어로드(1210-1)와 연동되는 제 2-1 기어로드(1310-1)와 제 2-1 기어로드(1310-1)에 연동되는 제 2-1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2-1 체결부(1300-1) 및 제 1-2 기어로드(1210-2)와 연동되는 제 2-2 기어로드(1310-2)와 제 2-2 기어로드(1310-2)에 연동되는 제 2-2 체결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제 2-2 체결부(130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1 기어로드(1310-1)와 제 2-2 기어로드(1310-2)는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 2-1 체결부(1300-1)는 제 2-1 하우징(1300H-1)을 포함하고, 제 2-2 체결부(1300-2)는 제 2-2 하우징(1300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1 체결수단과 제 2-2 체결수단은 앞선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다.
제 2-1 기어로드(1310-1)와 제 1-1 기어로드(1210-1)는 서로 연결되고, 제 2-2 기어로드(1310-2)와 제 1-2 기어로드(1210-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5의 경우와 같이, 제 2-1 기어로드(1310-1)의 끝단에는 제 1-1 베벨 기어(1300BG-1)가 배치되고, 제 1-1 기어로드(1210-1)의 끝단에는 제 2-1 베벨 기어(1200BG-1)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1 베벨 기어(1300BG-1)와 제 2-1 베벨 기어(1200BG-1)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아울러, 제 2-2 기어로드(1310-2)의 끝단에는 제 1-2 베벨 기어(1300BG-2)가 배치되고, 제 1-2 기어로드(1210-2)의 끝단에는 제 2-2 베벨 기어(1200BG-2)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2 베벨 기어(1300BG-2)와 제 2-2 베벨 기어(1200BG-2)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56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30)의 장변측에 배치되는 제 2-1 기어로드(1310-1) 및 제 2-2 기어로드(1310-2)의 길이(L4)는 제 1-1 기어로드(1210-1) 및 제 2-2 기어로드(1210-2)의 길이(L3)보다 짧을 수 있다.
도 57 내지 도 68은 다른 구성의 체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를 연결하는 체결부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7을 살펴보면, 체결부는 프레임(1600)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1400),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1410), 제 1 플레이트(1400)와 제 2 플레이트(141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Connection Plate, 1420) 및 연결 플레이트(1420)에 배치되는 조인트 팬(Joint Fan, 14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체결부는 후면커버(130)에 배치되고 조인트 팬(1430)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는 서포터(Suppo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섬령한다.
연결 플레이트(1420)는 제 1 플레이트(1400) 및 제 2 플레이트(1410)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플레이트(1400)는 제 1 돌출부(1400P)를 포함하고, 연결 플레이트(1420)는 제 1 돌출부(1400P)에 대응하는 홀(1420H)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플레이트(1420)는 제 2 돌출부(1420P)를 포함하고, 제 2 플레이트(1410)는 제 2 돌출부(1420P)에 대응하는 홀(1410H)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400)의 제 1 돌출부(1400P)가 연결 플레이트(1420)의 홀(1420H)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58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420)는 제 1 돌출부(1400P)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9를 살펴보면, 조인트 팬(1430)은 제 1 플레이트(1400)와 연결 플레이트(1420)의 체결지점에서 연결 플레이트(1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1420)가 제 1 돌출부(1400P)를 축으로 회전할 때, 조인트 팬(1430)도 연결 플레이트(14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420)의 제 2 돌출부(1420P)가 제 2 플레이트(1410)의 홀(1410H)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 플레이트(1420)는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0의 경우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420)가 제 1 돌출부(1400P)를 축으로 회전하면, 제 2 플레이트(1410)는 연결 플레이트(142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플레이트(1410)의 상/하 운동 시에 조인트 팬(1430)은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체결부는 프레임(1600)의 단변(Short Side)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는 프레임(1600)의 제 1 단변(SS1) 영역에 위치하며 제 1-1 플레이트(1400-1), 제 2-1 플레이트(1410-1), 제 1 연결 플레이트(1420-1), 제 1 조인트 팬(1430-1)을 포함하는 제 1 체결부 및 프레임(1600)의 제 2 단변(SS2) 영역에 위치하며 제 1-2 플레이트(1400-2), 제 2-2 플레이트(1410-2), 제 2 연결 플레이트(1420-2), 제 2 조인트 팬(1430-2)을 포함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2를 살펴보면, 서포터(1500)는 후면커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서포터(1500)는 조인트 팬(1430)이 삽입되는 홀(151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서포터(1500)도 체결부에 대응하여 후면커버(130)의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63을 살펴보면, 조인트 팬(1430)은 길이와 폭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조인트 팬(1430)의 길이(L10)가 조인트 팬(1430)의 폭(L11)보다 더 큰 경우를 가정한다.
연결 플레이트(1420)의 회전에 의해 조인트 팬(1430)의 길이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4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1410)가 소정의 제 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조인트 팬(1430)의 길이방향(DL1)과 제 2 플레이트(1410)의 길이방향(DL2) 사이의 각도를 제 1 각도(θ1)라 가정한다. 추가로, 도 65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1410)가 제 1 지점과 다른 소정의 제 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조인트 팬(1430)의 길이방향(DL1)과 제 2 플레이트(1410)의 길이방향(DL2) 사이의 각도를 제 2 각도(θ2)라 가정한다.
여기서, 제 1 각도(θ1)와 제 2 각도(θ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처럼, 제 1 각도(θ1)와 제 2 각도(θ2)가 서로 다른 것은 조인트 팬(1430)의 길이(L10)가 폭(L11)과 다르기 때문이다.
도 64의 제 1 각도(θ1)와 도 65의 제 2 각도(θ2)를 비교하면, 제 1 각도(θ1)가 제 2 각도(θ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6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1410)가 소정의 제 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조인트 팬(1430)은 서포터(1500)의 홀(1510)에 삽입되거나 홀(15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6의 경우와 같이, 서포터(1500)에 형성된 홀(1510)의 후면커버(130)의 장변(LS1, LS2) 방향으로의 폭(L12)은 후면커버(130)의 단면(SS1, SS2) 방향으로의 폭(L13)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플레이트(1410)가 소정의 제 2 지점에 위치하면 조인트 팬(1430)은 후면커버(130)의 장변(LS1, LS2)으로 나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면커버(130)의 장변(LS1, LS2) 방향으로의 폭(L12)이 단면(SS1, SS2) 방향으로의 폭(L13)보다 큰 형태를 갖는 홀(1510)에 조인트 팬(1430)이 삽입되거나 홀(15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6의 경우와 같이, 제 2 플레이트(1410)가 소정의 제 2 지점에서 소정의 제 1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 내에서 회전하기 위해 서포터(1500)와 후면커버(130)의 사이에 조인트 팬(1430)이 삽입되고 회전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 65와 같은 상태에서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에 삽입되거나 홀(1510)로부터 이탈되고, 도 64와 같은 상태에서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포터(1500)에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4와 같은 상태에서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에 삽입되거나 홀(1510)로부터 이탈되고, 도 65와 같은 상태에서 조인트 팬(1430)이 서포터(1500)의 홀(15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포터(1500)에 연결되는 경우도 가능한 것이다.
도 68을 살펴보면, 제 1 플레이트(1400)에는 차단벽(1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벽(1401)은 제 2 플레이트(1410) 및/또는 연결 플레이트(1420)의 과도한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다.
도 69 내지 도 82는 또 다른 구성의 체결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를 연결하는 체결부(1500)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9를 살펴보면, 체결부(1500)는 베이스부(Base Part, 1510), 베이스부(1510)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1 후크(First Hook, HK1)를 포함하는 이동부(Move Part, 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체결부(15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부(Connection Part) 및 핸들부(Handle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와 핸들부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부(1510)는 제 1 개구부(First Opening, 1500H1)를 포함하고, 제 1 후크(HK1)는 제 1 개구부(150H1)를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1510)는 복수의 홀(H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홀(H12)은 베이스부(1510)를 후면커버(130) 혹은 프레임(1600)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0의 (A)를 살펴보면, 베이스부(1510)는 프레임(160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이동부(1520)는 프레임(1600)과 베이스부(15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베이스부(1510)는 프레임(1600)의 단변(SS1, SS2)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0의 (B)의 경우와 같이, 체결부(1500)는 후면커버(130)에 배치되는 연결부(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700)는 이동부(1520)에 배치되는 제 1 후크(HK1)에 대응되는 제 2 후크(Second Hook, HK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700)는 후면커버(130)의 단변(SS1, SS2)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71의 (A)의 경우와 같이, 베이스부(1510)는 후면커버(13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이동부(1520)는 후면커버(130)과 베이스부(15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베이스부(1510)는 후면커버(130)의 단변(SS1, SS2)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도 71의 (B)의 경우와 같이, 연결부(1700)는 프레임(160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연결부(1700)는 프레임(1600)의 단변(SS1, SS2)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1500)는 스프링부(Spring Part, 1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부(1530)는, 도 72의 경우와 같이, 일단이 베이스부(15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부(15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510)는 제 3 후크(Third Hook, HK3)를 포함하고, 이동부(1520)는 제 4 후크(Fourth Hook, HK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부(1530)의 일단은 제 3 후크(HK3)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4 후크(HK4)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3을 살펴보면, 이동부(1520)의 제 1 후크(HK1)는 베이스부(1510)의 제 1 개구부(1500H1) 내에서 전진 및/또는 후진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 74를 살펴보면, 베이스부(1510)는 제 2 개구부(Second Opening, 1500H2)를 더 포함하고, 이동부(1520)는 제 2 개구부(1500H2)에 대응하는 홀(H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체결수단(S200)이 베이스부(1510)의 제 2 개구부(1500H2)를 관통하여 이동부(1520) 홀(H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수단(S200)은, 도 75의 경우와 같이, 제 1 후크(HK1)와 연동하여 제 2 개구부(1500H2) 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 76을 살펴보면, 베이스부(1510)는 제 3 개구부(Third Opening, 1500H3A, 1500H3B) 및 제 3 후크(HK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후크(HK3-1)는 앞선 도 72에서 설명한 제 3 후크(HK3)와 위치 및/또는 형태는 다를 수 있으나 스피링부(1530)의 일단이 연결된다는 점에서 유사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베이스부(1510)의 제 3 개구부는 제 3-1 개구부(1500H3A) 및 제 3-2 개구부(1500H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1 개구부(1500H3A) 및 제 3-2 개구부(1500H3B)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3 후크(HK3-1)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부(1520)에는 제 3 개구부(1500H3A, 150H3B)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제 4 후크(Fourth Hook, HK4A, HK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4 후크(HK4A, HK4B)는 제 4-1 후크(HK4A) 및 제 4-2 후크(HK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1 후크(HK4A) 및 제 4-2 개구부(HK4B) 중 적어도 하나에 스프링부(1530)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 4 후크(HK4A, HK4B), 특히 제 4-1 후크(HK4A)는 앞선 도 72에서 설명한 제 4 후크(HK4)와 위치 및/또는 형태는 다를 수 있으나 스피링부(1530)의 타단이 연결된다는 점에서 유사할 수 있다.
베이스부(1510)와 이동부(15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4-1 후크(HK4A)는 제 3-1 개구부(1500H3A)를 통해 노출되고, 제 4-2 후크(HK4B)는 제 3-2 개구부(1500H3B)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7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부(1530)도 제 3-1 개구부(1500H3A)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베이스부(1510)가 프레임(1600) 혹은 후면커버(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부(1530)는 이동부(1520)의 이동에 따라 그 길이가 변동될 수 있다.
도 78을 살펴보면, 체결부(1500)에 포함된 핸들부(1800)는 베이스부(15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스프링부(1530)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1800)는 제 1 부분(First Part, 1810), 제 1 부분(1801)에 형성되는 제 1 홀(First Hole, H20), 제 1 부분(1810)에 연결되는 제 2 부분(Second Part, 1820) 및 제 2 부분(1820)에 형성되는 제 2 홀(Second Hole, H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1800)는 제 1 홀(H20)을 통해 베이스부(15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 2 홀(H20)은 제 1 연장방향(First Extension Direction, DRE1)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분(First Extension Part, H20A) 및 제 1 연장방향(DRE1)과 교차하는 제 2 연장방향(Second Extension Direction, DRE2)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분(Second Extension Part, H2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장방향(DRE1)과 제 2 연장방향(DRE2) 사이의 각도(θ3)는 0°-9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연장부분(H20B)의 크기는 제 1 연장부분(H20A)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79를 살펴보면, 베이스부(1510)는 핸들부(1800)의 제 2 홀(H21)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1500P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520)는 제 1 홀(H20)을 관통하고, 제 1 홀(H20) 내에서 이동가능한 제 2 돌출부(1500P2)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800)는 제 1 돌출부(1500P1)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0의 (A)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연장부분(H20A)에 위치하는 경우, 도 80의 (B)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부(1530)는 탄성에 의해 그 길이(S1)가 상대적으로 짧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도 81의 (A)의 경우와 같이, 핸들부(1800)가 회전하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홀(H20) 내에서 제 1 연장부분(H20A)에서 제 2 연장부분(H20B)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2 연장부분(H20B)에 위치하는 경우, 도 81의 (B)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부(1530)에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부(1530)의 길이(S2)가 길어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80의 (A)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연장부분(H20A)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부(1530)의 길이를 제 1 길이(S1)라고 가정한다. 아울러, 도 81의 (A)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2 연장부분(H20B)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부(1530)의 길이를 제 2 길이(S2)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 2 길이(S2)는 제 1 길이(S1)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2 연장부분(H20B)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돌출부(1500P2)는 제 2 연장부분(H20B)에 걸리게 되어 스프링부(1530)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제 1 연장부분(H20A)의 제 1 연장방향(DRE1)과 제 2 연장부분(H20B)의 제 2 연장방향(DRE2)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다.
아울러, 제 1 홀(H20)의 제 2 연장부분(H20B)은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걸리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크기가 작아도 관계없다. 이에 따라, 제 2 연장부분(H20B)의 크기는 제 1 연장부분(H20A)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1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홀(H20)의 제 2 연장부분(H20B)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부(1530)가 당겨져서 도 82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후크(HK1)와 제 2 후크(HK2)가 이탈될 수 있다.
반면에, 도 80의 경우와 같이 이동부(1520)의 제 2 돌출부(1500P2)가 제 1 홀(H20)의 제 1 연장부분(H20A)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부(1530)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거나 약해져서 도 82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후크(HK1)와 제 2 후크(HK2)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600)과 후면커버(13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기기로서 방송신호 수신기(Broadcasting Signal Receiver)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폰 등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180Q)는 앞선 도 1 내지 도 82에서 상세히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디스플레이부라고 칭할 수 있다.
아울러, 앞선 도 2에서 설명한 구동부(300Q)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어부(170Q)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적어도 앞선 도 35에서 설명한 구동보드(830)는 적어도 이하에서 설명할 제어부(170Q)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80Q),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무선 통신부에 대응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Q)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후면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Connection Plate);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조인트 팬(Joint Fan); 및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조인트 팬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는 서포터(Supporter);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팬은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체결지점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하 운동 시에 상기 조인트 팬은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팬의 길이는 폭보다 더 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제 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인트 팬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사이의 각도를 제 1 각도라 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제 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조인트 팬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사이의 각도를 제 2 각도라 할 때,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는 상기 제 2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제 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조인트 팬은 상기 홀에 삽입되거나 상기 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제 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조인트 팬은 상기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단변(Short Side)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와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상기 조인트 팬이 삽입되고 회전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자석부(Inner Magnetic Part)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 자석부에 대응되는 외측 자석부(Outer Magnetic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자석부와 상기 외측 자석부는 상기 후면커버를 사이에 두고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자석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벽(Wall) 또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자석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후면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자석부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는 상기 프레임을 향해 함몰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에는 스피커(Speaker)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자석부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상기 내측 자석부는 상기 함몰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분(Horizontal Part);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Vertical Direction);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을 덮는(Cover)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분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탄력성을 갖는 완충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에는 가이드부(Guide Part)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소정의 구조물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05597A 2013-01-17 2013-01-17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3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97A KR20140093141A (ko) 2013-01-17 2013-01-17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97A KR20140093141A (ko) 2013-01-17 2013-01-1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41A true KR20140093141A (ko) 2014-07-25

Family

ID=5173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597A KR20140093141A (ko) 2013-01-17 2013-01-1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31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056A (ko) * 2015-10-26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117621A1 (en) * 2016-12-23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056A (ko) * 2015-10-26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117621A1 (en) * 2016-12-23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649255B2 (en) 2016-12-23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31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5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01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RE46796E1 (en) Display apparatus
US8416361B2 (en) Display apparatus
KR101758835B1 (ko)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KR201700668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447763A2 (en) Display device
KR20140093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039275A1 (en) Display device
KR1020290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31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31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064432B2 (en) Display device
US20230408025A1 (en) Mobile terminal
KR201300957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311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39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4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224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44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43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3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45B1 (ko) 슬림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620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