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743A - 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743A
KR20140092743A KR1020130152139A KR20130152139A KR20140092743A KR 20140092743 A KR20140092743 A KR 20140092743A KR 1020130152139 A KR1020130152139 A KR 1020130152139A KR 20130152139 A KR20130152139 A KR 20130152139A KR 20140092743 A KR20140092743 A KR 20140092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plant
magnet
base portion
plant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우
최정훈
홍성수
Original Assignee
(주)에코시티
김석우
최정훈
홍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시티, 김석우, 최정훈, 홍성수 filed Critical (주)에코시티
Publication of KR2014009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7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ficial plant that is arranged and maintained easily; and an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The artificial plant (1) comprises: a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1) and one base part (13). The main body parts (11) have a shape imitating a plant, and a bendable wire (17) is accommodated inside a stem part (11a). The base part (13) has a resin part (13a) and a magnet (15).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9)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end are formed above the base part (13). In addition, a planar lower surface (2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part (13). The magnet (15) is arranged on part of the lower surface (21) to be exposed,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esin part (13a)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agnet (15) constitute the lower surface (21). A wire (17) is fixed into the insertion holes (19) a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wire (1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9). Accordingly, the wire (17) is connected to the base part (13).

Description

인공 식물 및 인공 식물 설치 시스템 {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본 발명은 조화나 인공 관엽 식물 등의 인공 식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rtificial plants such as artificial plants and artificial plants.

최근, 오피스빌딩·상업시설·점포 등, 여러 공간에 있어서 벽면 녹화가 행해지고 있다. 벽면 녹화는 녹화 면적의 확보나 식물을 사용하여 디자인된 벽면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Recently, wall-screening is being performed in various spaces such as office buildings, commercial facilities, shops. The use of wall-screening is expanding, such as securing a green area and wall-mounted displays designed using plants.

식물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빛, 수분, 온도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고, 따라서 설비로서 급수, 배수, 전원, 건조 구조 강도 등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위생과 관련된 문제가 있고, 살아있는 식물을 유지 관리하면서 벽면에서 식물을 육성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많다. 또한 식물을 육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고정시키는 골조 등의 설치는 대규모의 공사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In order to cultivate plants, it is necessary to satisfy light, moisture and temperatur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atisfy water supply, drainage, power supply, and dry structural strength as facilities. There are also problems with hygiene, and it is often difficult to nurture plants on the walls while maintaining and maintaining living plants. In addition, a system for cultivating plants and a framework for fixing them may require a large-scale construction.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벽면 녹화에 조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의 설치 공법은, 벽면에 부착된 발포 스티로폼 등의 발포재로 이루어진 베이스에 조화의 줄기부분을 필요한 길이로 절취하여 삽입하고,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조화에 접착제를 붙여 찔러넣기 위하여 한번에 줄기를 삽입시키거나 꽂아 세우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그 작업은 플라워 디자이너 등의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자가 아니면 어려운 작업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case where harmonization is used for wall surface recording. In its installation method,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trunk portion of the trimming is inserted into a base made of a foamed material such as foamed styrofoam adhered to a wall and inserted into a required length, and is fixed by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insert or insert stems at one time in order to attach glue to the harmony, it is a difficult task to work without a skilled artisan, such as a flower designer.

또한 조화에 의해 녹화된 벽면의 메인터넌스나 모양 바꿈 등의 조화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베이스의 발포재부터 교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번 사용한 조화를 베이스에 삽입할 때에 줄기를 적절히 절단시키고 있기 때문에 재이용이 곤란하게 된다. Further,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maintenance of the wall surface recorded by the harmony and the harmony such as the shape chang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foam member of the base. However, since the stems are suitably cut when inserting the used harmony into the base, reuse becomes difficult.

종래 베이스에 삽입하는 방법 이외의 방법으로 벽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식물로서 프리저브드 플라워(preserved flower)나 드라이 플라워에 자석을 장착시킨 마그넷 부착 플라워가 제안되었다(특허문헌 1).There has been proposed a flower with a magnet in which a magnet is attached to a preserved flower or a dry flower as a plant which can be adhered to a wall surface by a method other than a method of inserting into a conventional base (Patent Document 1).

[선행문헌][Prior Art]

(특허문헌1) 일본국 등록신안번호 제3128279호 공보
(Patent Document 1) Japanes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128279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마그넷 부착 플라워는 벽면에 부착시킨 후에 있어서 줄기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식물의 배치나 배열을 바꾸는 것, 즉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arrangement or arrangement of plants by arranging the stem after attaching the flower with the magn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at is, arranging.

본 발명의 목적은 어레인지먼트나 메인티넌스를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인공 식물 및 인공 식물 설치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plant and an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that can easily perform arrangement and maintenance.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굴곡가능한 축부재를 가지고, 식물을 본뜬 형상인 본체부와, 상기 축부재의 일단과 연접하고, 대략 평면 형상의 설치 대상물과 밀착하는 설치 평면이 형성된 기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저부는 상기 설치 평면과 상기 설치 대상물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식물이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ounting a shaft, comprising: a main body part having a flexible shaft member and simulating a plant; And the base portion has a fixing means for detachably fixing the installation plane and the installation object.

이와 같이 구성된 인공 식물은, 고정 수단에 의해 설치 대상물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가 있기 때문에 발포재 등의 베이스에 줄기를 삽입시켜서 고정할 필요가 없고, 인공 식물의 배치의 수정이나 변경, 메인터넌스를 위해 떼어 내는 것을 간편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축부재가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축부재를 굴곡시키는 것으로 더욱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가 있다. Since the artificial plant thus constructed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object to be installed by the fixing means,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and fix the stem in the base of the foam material or the like, It can be easily removed. Further, since the shaft member is configured to be bendable, the shaft member is bent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can be further increased.

즉, 본 발명의 인공 식물은 설치 대상물에 대한 착탈이 대단히 간편하고, 또한 설치 대상물에 고정한 상태에서 있어서도 축부재를 굴곡시키는 것에 의해 식물의 배치 변경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나 어레인지먼트를 간편하게 행할 수가 있다. That is, the artificial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to an object to be installed, and even when the object is fixed to the object to be installed, the arrangement of the plant can be easily changed by bending the shaft member. Therefore, maintenance and arrangement can be performed easily There is a number.

또한, 설치 대상물은 그 전체가 대략 평면 형상일 필요는 없고, 적어도 설치 평면이 밀착하는 부분이 대략 평면 형상이면 좋다. In addition, the object to be installed need not necessarily have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and at least a portion in which the mounting plane is in close contact may have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상술한 축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와이어를 사용할 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굴곡 가능한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가 있다. 또 축 부재는 식물의 줄기, 가지, 잎 등 심재(芯材)로서 사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As the shaft member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wire made of metal can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structions capable of bending can be employed.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shaft member is used as a core material such as stem, branch, and leaf of a plant.

상술한 고정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석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설치 대상물로서 자석이 끌어당기는 재질, 예를 들면 강철판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석이 설치되는 장소라면 다양한 장소에서 인공 식물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the above fixing means, for example, a magnet can be us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a material attracted by the magnet, for example, a steel plate, as an installation object.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rtificial plants in various places if the magnet is installed.

고정 수단으로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설치 평면을 자석에 있어서의 설치 대상물과 대향하는 영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공 식물에는, 기저부를 붙잡아서 설치 평면의 일단이 설치 대상물로부터 떨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것으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기저부를 설치 대상물로부터 떼어낼 수가 있어, 떼어냄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자석의 자력이 클 때 좀 더 유리하다.In the case of using a magnet as the fixing means, the mounting plane may be larger than the area facing the mounting object on the magnet. The artificial plan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ble to detach the base portion from the object to be set with a small force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by holding the base portion and applying force such that one end of the installation plane is separated from the object to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is is more advantageous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s large.

또한 기저부와 설치 대상물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되는 것으로부터, 인공 식물을 안정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ase and the object to be installed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stably install the artificial plant.

또 고정 수단은 자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면 패스너(fastener), 점착 고정 시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fix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e magnet, and for example, a surface fasten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xing sheet, or the like may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인공 식물은 설치 대상물에 기저부를 설치한 상태에서 축부재를 굴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굴곡 작업 중에 축부재가 기저부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축부재가 기저부와 강고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마그넷 부착 플라워에서는 마그넷과 꽃 부분을 직접 접합시키기 때문에 접합면이 작게 되거나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기가 곤란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rtificial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end the shaft member in a state where the base body is provided on the object to be installed,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ft member is firmly connected to the base body so as to prevent the shaft body from falling off from the base body during the bending work Do. In the flower with a magnet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since the magnet and the flower portion are directly bonde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bonding strength or a reduced bonding surface.

그러나 본 발명의 인공 식물은 상기 기저부에 끼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축 부재의 일단이 상기 끼움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가 상기 끼움 구멍에 고정되어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However, the artificial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fitting hole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and the shaft member is fixed to the fitting hole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shaf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이와 같이 구성된 인공 식물은, 기저부와 본체부의 연결이 강고하게 되기 때문에 축부재를 굴곡시킬 때에 축부재가 기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축부재를 끼움 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접착제로 고정하거나 또는 수지재로 코팅하거나, 가열에 의해 기저부와 본체부를 융착시키는 것에 의해, 축부재가 끼움 구멍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the artificial plant thus constructed,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and the main body is strengthened, the shaft memb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portion when the shaft member is bent.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haft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fitting hole by fixing the shaft member with an adhesive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the fitting hole or by coating with a resin material or by fusing the base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by heating.

또한 상술한 끼움 구멍은 기저부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끼움 구멍에는 동일한 식물을 본뜬 본체부를 끼울 필요는 없고, 다른 식물을 본뜬 본체부를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마그넷 부착 플라워와 같이 마그넷과 꽃 부분을 직접 접합하는 구성에서는 복수의 꽃 부분을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Further,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fitting holes may be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the body part of the same plant in each of the fitting holes, and it is possible to sandwich the body part which is similar to other plants. Further, it is difficult to firmly fix a plurality of flower parts in a structure in which a magnet and a flower part are directly joined together, such as the flower with a magnet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또한 상기 기저부는, 상기 끼움 구멍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설치 평면이 형성된 부분에 대하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도 좋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base portion is constituted such that the portion where the fitting hole is formed can change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portion where the mounting plane is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된 인공 식물은 끼움 구멍이 형성된 부분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메인터넌스가 가능하게 되고 어레인지먼트의 자유도가 높아질 수가 있다. The artificial plant thus configured can be maintaine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portion where the fitting hole is formed,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arrangement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기저부는 고정수단을 복수개 갖도록 구성되는 것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고정수단의 위치나 고정 강도의 조정을 자유롭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 경우 기저부를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저부에는 많은 수의 본체부를 연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bas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fixing means.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position and fixed strength of the fixing means. In this case, the base portion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A large number of body portions can be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thus configured.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대략 평판 형상이란, 기저부 전체로서 대략 평면 방향으로의 넓이를 갖는 형상이면 좋은데, 예를 들면 격자 형상으로 기둥이나 판이 조합되어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The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 shape having a width in a substantially planar direction as a whole of the base portion. For example, it may be a plate or a combination of columns in a lattice shape.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공 식물과,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인공 식물을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대략 평면 형상의 설치 대상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식물 설치 시스템이다. An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tificial pla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substantially planar object to be installed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artificial plant by the fixing means System.

이와 같이 구성된 인공 식물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에 기재된 인공 식물을 적절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The artificial plant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suitably install the artificial plants described in claims 1 to 7.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은, 고정 수단에 의해 설치 대상물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가 있기 때문에 발포재 등의 베이스에 줄기를 삽입시켜서 고정할 필요가 없고, 인공 식물의 배치의 수정이나 변경, 메인터넌스를 위해 떼어내는 것을 간편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축부재가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축부재를 굴곡시키는 것으로 더욱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가 있다.
Since the artificial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object to be installed by the fixing means,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and fix the stem in the base of the foam material or the like,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Further, since the shaft member is configured to be bendable, the shaft member is bent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1은 인공 식물 설치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인공 식물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b)는 인공 식물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기저부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기저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기저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기저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변형례의 기저부를 사용한 인공 식물의 각도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기저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인데, 도 7(a)는 평면도, 도 7(b)는 정면도, 도 7(c)는 측면도, 도 7(d)는 저면도, 도 7(e)는 도 7(a)의 선 B-B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례의 기저부를 사용한 인공식물의 각도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Fig. 2 (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rtificial plant, and Fig. 2 (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tificial plant is decomposed.
3 (a) is a plan view of the base portion, and Fig. 3 (b) is a bottom view of the base portion.
4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ase portion.
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ase por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ngle change of an artificial plant using the base of the modification. Fig.
7B is a front view, FIG. 7C is a side view, FIG. 7D is a bottom view, and FIG. 7B is a side view of the base portion. FIG. 7A is a plan view, e)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7 (a).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ngle change of the artificial plant using the base of the modifica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실시예][Example]

(1) 전체 구성(1) Overall configuration

본 실시예의 인공 식물 설치 시스템을 도 1에 도시한다. 인공 식물 설치 시스템은 인공 식물(1), 인공식물(1)을 설치할 벽면(3)에 장착된 평면 형상의 강철판(5)을 구비한다. 인공 식물(1)은 그 기저부(13)에 의해 강철판(5)에 고정되어 있다. 강철판(5)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설치 대상물의 일례이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서 사용하는 상하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사용한 것일 뿐, 사용 시의 방향 등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is shown in Fig. The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has a planar steel plate 5 mounted on a wall surface 3 on which the artificial plant 1 and the artificial plant 1 are to be installed. The artificial plant 1 is fixed to the steel plate 5 by its base portion 13. The steel plate 5 is an example of an object to be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s of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directions and the like at the time of use are not limited.

인공식물(1)의 전체 도면을 도 2(a)에 도시한다. 또한 인공 식물(1)의 분해도를 도 2(a)에 도시한다. 인공 식물(1)은 복수의 본체부(11) 및 1개의 기저부(3)를 구비한다. 도 3(a)는 기저부(13)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기저부(13)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An overall view of the artificial plant 1 is shown in Fig. 2 (a). Fig. 2 (a)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artificial plant 1. The artificial plant 1 has a plurality of main body portions 11 and one base portion 3. Fig. 3 (a) shows a plan view of the base portion 13, and Fig. 3 (b) shows a bottom view of the base portion 13. Fig.

본체부(1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을 본뜬 형상이다. 본체부(11)의 줄기부분(11a)의 내부는 와이어(17)가 수용되어 있다. 와이어(17)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부재의 일례이다. 와이어(17)는 굴곡 가능하기 때문에 줄기 부분(11a)을 자유 자재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줄기부분(11a)의 표면 및 잎 부분(11b)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The main body 11 is shaped like a plant as shown in Fig. 2 (b). The inside of the stem portion 11a of the main body portion 11 accommodates the wire 17 therein. The wire 17 is an example of the shaft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 17 is flexible, the stem portion 11a can be freely deformed. The surface of the stem portion 11a and the leaf portion 11b are made of synthetic resin.

도 2(b)에 도시한 기저부(13)는, 도 3(a)의 선 A-A의 단면도이다. 기저부(13)는 수지 부분(13a)과 자석(15)을 가지고 있다. 기저부(13)의 위쪽에는 상단에 개구를 갖는 복수의 끼움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저부(13)의 하단에는 평면 형상의 하면(21)이 형성되어 있다. 하면(21)의 일부에 자석(15)이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수지부분(13a)의 하단면과 자석(15)의 하단면으로 하면(21)을 구성하고 있다. 이 하면(21)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설치 평면의 일례이다. The base portion 13 shown in Fig. 2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a). The base portion 13 has a resin portion 13a and a magnet 15.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19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end are formed above the base portion 13.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3 is formed with a flat bottom surface 21.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portion 13a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agnet 15 constitute a lower surface 21.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portion 13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gnet 15 constitute the lower surface 21. This lower surface 21 is an example of an installation plane in the present invention.

끼움 구멍(19)에는 와이어(17)의 하단부(줄기부분(11a)의 하단부)가 삽입 가능하며, 와이어(17)의 하단부가 끼움 구멍(19)에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17)가 끼움 구멍(19)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17)와 기저부(13)가 연접된다. 또한 와이어(17)와 기저부(13)의 고정은 접착제를 끼움 구멍(19)에 주입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The lower end of the wire 17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9 and the lower end of the wire 17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9, (19). Thus, the wire 17 and the base portion 13 are connected. The fixing of the wire 17 and the base 13 is carried out by injecting an adhesive into the fitting hole 19.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13)를 강철판(5)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하면(21)이 강철판(5)과 밀착되고, 자석(15)이 강철판(5)을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하면(21)과 강철판(5)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1, when the base 13 is attached to the steel plate 5, the lower surface 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eel plate 5, and when the magnet 15 pulls the steel plate 5, (21) and the steel plate (5) are detachably fixed.

자석(15)은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면 이외의 주위(측방의 주위)가 수지부분(13a)에 의해 덮여 있다. 즉, 하면(21)은 자석(15)에 있어서의 강철판(5)과 대향하는 영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2 (b) and Fig. 3 (b), the periphery of the magnet 15 other than the lower end surface thereof is covered with the resin portion 13a. That is, the lower surface 2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facing the steel plate 5 of the magnet 15.

(2) 작용 효과(2) Action effect

본 실시예의 인공 식물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인공 식물(1)은, 자석(15)에 의해 강철판(5)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인공 식물(1)의 배치의 수정이나 변경, 메인터넌스를 위한 떼어냄을 간편하게 행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artificial plant 1 used in the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steel plate 5 by the magnet 15, it is possible to modify or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artificial plant 1,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detachment for maintenance.

또한, 줄기부분(11a)이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줄기 부분(11a)을 굴곡시키는 것으로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질 수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em portion 11a is configured to be bendable, the stem portion 11a can be bent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can be increased.

또 기저부(13)는 하면(21)에서 강철판(5)과 밀착시켜 두고, 그 하면(21)은 자석(15)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공 식물(1)을 강철판(5)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것으로,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떼어낼 수가 있다. 이는 자석(15)의 자력이 클 ? 보다 유리하다. The bottom portion 1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eel plate 5 at the lower surface 21 and the lower surface 21 is formed wider than the magnet 15. Therefore, by applying a force to detach the artificial plant 1 from the steel plate 5, it can be removed with a small force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is is becaus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5 is large. More advantageous.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공 식물 설치 시스템에서는, 인공 식물(1)은 강철판(5)에 대한 탈착이 대단히 간편하고, 또한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줄기 부분(11a)을 굴곡시키는 것에 의한 식물의 배치 변경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나 어레인지먼트를 간편하게 행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rtificial plant sett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tificial plant 1 is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to the steel plate 5, and the arrangement of the plant can be easily changed by bending the stem portion 11a in the installed state Therefore, maintenance and arrangement can be performed easily.

또한 본 실시예의 인공 식물(1)은 끼움 구멍(19)에 와이어(17)를 끼워서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기저부(13)와 본체부(11)의 고정이 강고하게 되며 따라서 줄기 부분(11a)을 굴곡 시켜도 기저부(13)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Since the artificial plant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by fitting the wire 17 in the fitting hole 19, the fixing of the base portion 13 and the body portion 11 becomes strong, It can be suppressed from falling off the base portion 13 even when bent.

[변형례][Modification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자석을 사용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면 패스너(fastener)나 점착 고정 시트(점착성 및 탄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수지 부재)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기저부가 설치될 설치 대상물로서는, 채용한 고정 수단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수단이 자석인 경우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강철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석이 부착 가능한 다양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a configuration using a magnet as the fixing means is exemplified, but a surface fastener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xing sheet (a sheet-like resin member having adhesiveness and elasticity) or the like may be used. As a mounting object on which the base portion is to be mounted, a mounting and dismounting means can be used. For example, when the fixing means is a magnet, it is not limited to the steel plate as in the above embodiment, but various kinds of attachable magnets can be used.

또한 자석(15)이 직접 강철판(5)에 접촉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자석(15)의 표면이 수지 등으로 덮여 있어서 강철판(5)과 직접 접촉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The magnet 15 is 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eel plate 5. However, the magnet 15 may not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eel plate 5 because the surface of the magnet 15 is covered with resin or the like.

또한 자석(15)은 그 하단면 이외의 주위가 수지부분(13a)에 의해 덮여 있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자석(15)의 주위의 일부가 수지부분(13a)으로 덮여 있지 않는 구성, 다시 말하면 강철판(5)에서 볼 때 하면(21)의 외연의 일부를 자석(15)이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The magnet 15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magnet 15 other than the lower end surface is covered by the resin portion 13a. 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magnet 15 is not covered with the resin portion 13a, (15) may form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21) when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5).

또한 기저부(13)의 끼움 구멍(19)에는 동일한 본체부(11)를 끼우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복수의 다른 형상의 본체부를 끼우는 구성이어도 좋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same body portion 11 is sandwiched is provided in the fitting hole 19 of the base portion 13, it is also possible to sandwich a plurality of differently shaped body portions.

또한 끼움 구멍(19)으로의 본체부(11)의 고정은 접착제로 행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수지로 코팅하거나, 가열에 의해 와이어(17)와 기저부(13)를 융착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을 실현해도 좋다. The fixing of the main body 11 to the fitting hole 19 is exemplified by an adhesive, but the fixing may be achieved by coating the resin with the resin or by fusing the wire 17 and the base 13 by heating good.

또한, 끼움 구멍(19)은 기저부(13)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기저부(41)와 같이, 2개 이상의 부품으로 분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기저부(41)는 제 1 부재(43)와 제 2 부재(45)로 되어 있다. 제 1 부재(43)에는 자석(15)이 설치되어 하면(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부재(45)에는 끼움 구멍(19)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fitting hole 19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13 as an example. However, like the base portion 41 shown in Figs. 4 (a) and 4 (b) Or may be configured as possible. The base 41 comprises a first member 43 and a second member 45. The first member 43 has a bottom surface 21 on which a magnet 15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19 are formed on the second member 45.

따라서 제 1 부재(43)에는 홈부(47)가 형성되고, 제 2 부재(45)에는 기둥부(49)가 형성되어, 홈부(47)에 기둥부(49)를 삽입하는 것으로 제 1 부재(43)와 제 2 부재(45)가 조립된다. 제 2 부재(45)는 다른 형상의 것으로 바꾸어 꽂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은데, 예를 들면 도 4(c)에 도시되는 제 2 부재(45)와 같이 끼움 구멍(19)의 수가 다른 것으로 바꾸어 꽂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홈부(47)에 삽입된 기둥부(49)는 접착제나 나사 등으로 고정시켜도 좋다. The first member 43 is formed with the groove 47 and the second member 45 is formed with the column 49. By inserting the column 49 into the groove 47, 43 and the second member 45 are assembled. The second member 45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be replaced with another shape. 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member 45 shown in Fig. 4 (c), the number of the fitting holes 19 is changed It is also possible to plug. The columnar portion 49 inserted into the groove 47 may be fixed with an adhesive or a screw.

상기 제 2 부재(45, 45a)는, 끼움 구멍의 개구가 윗쪽 방향만이 아닌 사선 방향이나 측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본체부(11)를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실시예에 도시된 기저부(13)에 있어서도, 끼움 구멍(19)의 개구의 방향(끼움 구멍(19)의 방향)을 상기 제 2 부재(45, 45a)와 같이 사선 방향이나 측면 방향으로 향하게 형성하여도 좋다. The second member (45, 45a) can be formed so that the opening of the fitting hole is oriented obliquely or sideways, not only in the upward direction. It becomes possible to arrange it. Also in the base portion 13 shown in the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fitting hole 19 (the direction of the fitting hole 19) is directed in the oblique direction or the lateral direction as the second member 45, 45a .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저부를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로 나누는 경우, 끼움 구멍(19)이 형성된 제 2 부재가 하면(21)(설치 평면)이 형성된 제 1 부재에 대하여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When the base is divided in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ember having the fitting hole 19 can be changed i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having the lower surface 21 (mounting plane) .

구체예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다. 기저부(61)는 제 1 부재(63)와 제 2 부재(65)로 되어 있다. 제 1 부재(63)에는 자석(15)이 설치되어 하면(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부재(65)에는 끼움 구멍(19)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부재(63)와 제 2 부재(65)는 양단이 구형상체(67)인 연결 부재(6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1 부재(63) 및 제 2 부재(65)는 양쪽 모두 구형상체(67)가 끼워넣어져 구형상체(67)를 중심으로 회전 변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Specific examples thereof are shown in Figs. 5 (a) and 5 (b). The base 61 is composed of a first member 63 and a second member 65. The first member 63 is provided with a magnet 21 and the second member 6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19. The first member 63 and the second member 6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69 whose both ends are spherical members 67. Both the first member 63 and the second member 65 are fitted in the spherical bodies 67 so that they can be rotationally displaced about the spherical bodies 67.

이 때문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재(63)에 대하여 제 2 부재(65)를 기울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인공 식물(1b)과 같이, 인공 식물(1a)과 동일한 상태로부터 제 2 부재를 기울게 하는 것으로 본체부를 기울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tilt the second member 65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63 as shown in Fig. 5 (b).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tilt the body portion by tilting the second member from the same state as the artificial plant 1a, like the artificial plant 1b shown in Fig.

또한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81)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기저부(81)는, 외연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통형상의 측면부(83)와, 측면부(83)의 내측의 상하단부에 있어서 2층으로 설치된 기둥부(85)(상측 기둥부(85a), 하측 기둥부(85b))를 가지고 있다. 각 기둥부(85)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7 (a) to 7 (e), the base portion 8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The base portion 81 has a rectangular cylindrical side portion 83 formed in the outer edge and a column portion 85 provided in two layer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side of the side portion 83 (the upper column 85a, (85b). Each column portion 85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기둥부(85)를 구성하는 기둥의 교차점, 및 기둥부(85)와 측면부(83)의 연결점에는 끼움 구멍(87)이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실시예의 끼움 구멍(19)과 동일하게 본체부(11)를 끼워 넣어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석(89)이 복수개 배열되어 있다. 이 자석(89)과 하측 기둥부(85b)에 의해 설치 대상물과 밀착시키는 설치 평면이 형성된다. A fitting hole 87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pillars constituting the pillars 85 an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illars 85 and the side portions 83. In the same way as the fitting hole 19 of the above- (11) can be inserted and fixed. Further, a plurality of magnets 89 are arranged. The magnet 89 and the lower pillar 85b form a mounting plane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object.

상기 기저부(81)는 측면부(83)과 기둥부(85)에 의해 전체로서 대략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간격이 없는 평판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원형이거나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base portion 8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as a whole by the side portion 83 and the column portion 8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a flat plate shape having no gap. Further, the planar shape is not limited to a rectangle, but may be circular or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lace.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기저부(81)를 사용한 인공 식물(91)은 평면상으로 복수의 본체부(11)가 연결되어 있다. 이 인공 식물(91)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철판이나 강철 시트 등이 배치된 벽면(93)에 설치하는 것으로, 다수의 본체부를 한번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8 (a), a plurality of body portions 11 are connected in a planar manner to the artificial plant 91 using the base portion 81 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artificial plant 91 on the wall surface 93 on which the steel sheet or the steel sheet is disposed as shown in Fig. 8 (b), it is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main body portions at once.

1, 1a, 1b: 인공 식물 3: 벽면
5: 강철판 11: 본체부
13: 기저부 15: 자석
17: 와이어 19: 끼움 구멍
21: 하면 41: 기저부
43: 제 1 부재 45: 제 2 부재
45a: 제 2 부재 47: 홈부
49: 기둥부 61: 기저부
63: 제 1 부재 65: 제 2 부재
67: 구형상체 69: 연결 부재
81: 기저부 83: 측면부
85: 기둥부 87: 끼움 구멍
89: 자석 91: 인공 식물
93: 벽면
1, 1a, 1b: artificial plant 3: wall
5: steel plate 11:
13: Base 15: Magnet
17: wire 19: insertion hole
21: lower surface 41:
43: first member 45: second member
45a: second member 47:
49: column portion 61:
63: first member 65: second member
67: spherical body 69: connecting member
81: base portion 83:
85: column portion 87: fitting hole
89: Magnet 91: Artificial plant
93: Wall

Claims (8)

굴곡 가능한 축부재를 가지며, 식물을 본뜬 형상인 본체부와,
상기 축부재의 일단과 연접하고, 대략 평면 형상의 설치 대상물과 밀착하는 설치 평면이 형성된 기저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저부는 상기 설치 평면과 상기 설치 대상물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flexible shaft member and shaped like a plant,
And a base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member and has a mounting plane in close contact with a substantially planar mounting object,
And the base portion has fixing means for detachably fixing the mounting plane and the mounting o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is a magn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평면은 상기 자석에 있어서의 상기 설치 대상물과 대향하는 영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stallation plan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a region facing the installation object in the magne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에는 끼움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의 일단이 상기 끼움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가 상기 끼움 구멍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tting hole and the shaft member is fixed to the fitting hole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shaf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끼움 구멍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설치 평면이 형성된 부분에 대하여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se portion is configured so that a portion where the fitting hole is formed can change an angle with respect to a portion where the mounting plane is form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고정 수단을 복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base portion has a plurality of fixing mean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ase por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공 식물과,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인공 식물을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대략 평면 형상의 설치 대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 설치 시스템.
8. An artificial pla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n object to be installed which is substantially planar and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artificial plant by the fixing means.
KR1020130152139A 2013-01-16 2013-12-09 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KR2014009274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05557 2013-01-16
JP2013005557A JP6418721B2 (en) 2013-01-16 2013-01-16 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743A true KR20140092743A (en) 2014-07-24

Family

ID=5044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139A KR20140092743A (en) 2013-01-16 2013-12-09 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18721B2 (en)
KR (1) KR20140092743A (en)
CN (2) CN10372297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43A (en) * 2018-06-26 2020-01-07 이종원 Frame with Scandia Moss
IT202100001352A1 (en) * 2021-01-25 2022-07-25 Jupiter Int S R L SYSTEM FOR CREATING ARTIFICIAL FLORAL ARRANGEMENTS
KR102483629B1 (en) * 2022-10-05 2023-01-02 신정옥 Branch connecting structure for ar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8721B2 (en) * 2013-01-16 2018-11-07 ▲吉▼坂包装株式会社 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KR102216632B1 (en) * 2019-10-17 2021-02-17 박세민 Flower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9596U (en) * 1978-03-20 1979-09-27
JPS582415U (en) * 1981-06-30 1983-01-08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Fixing mechanism
JPS5848719U (en) * 1981-09-26 1983-04-01 馬瀬 典彦 wall decorations
JPS62186927U (en) * 1986-05-15 1987-11-27
JP2526140Y2 (en) * 1988-11-21 1997-02-19 富士電機株式会社 Display board mounting device for display shelf
JPH0633168U (en) * 1992-09-24 1994-04-28 株式会社丸善製作所 Branching device made of synthetic resin
JP3048445U (en) * 1997-06-19 1998-05-15 峯一 谷山 Luminous hook
KR200230894Y1 (en) * 2000-12-30 2001-07-03 김영철 a rest for artificial flowers
CN201451517U (en) * 2009-06-23 2010-05-12 申宝银 Convenient ikebana flowers and plants with magnets
CN202491627U (en) * 2011-11-14 2012-10-17 王明红 Combined flower column
JP6418721B2 (en) * 2013-01-16 2018-11-07 ▲吉▼坂包装株式会社 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43A (en) * 2018-06-26 2020-01-07 이종원 Frame with Scandia Moss
IT202100001352A1 (en) * 2021-01-25 2022-07-25 Jupiter Int S R L SYSTEM FOR CREATING ARTIFICIAL FLORAL ARRANGEMENTS
KR102483629B1 (en) * 2022-10-05 2023-01-02 신정옥 Branch connecting structure for ar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36843A (en) 2014-07-28
CN103722974A (en) 2014-04-16
CN203793010U (en) 2014-08-27
JP6418721B2 (en)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2743A (en) Artificial Plant and Artificial Plant Installation System
USD634168S1 (en) Combined pressure fit base and stem for modular panel mounting systems
TR200402617T4 (en) Module structure with magnetic coupling for the construction of stable grid structures
US9523205B2 (en) Device for covering a building structure and structure covered by such a device
USD605784S1 (en) Ceiling panel
KR20190058784A (en) Freely having a changeable interior board
KR20150088967A (en) Flooring support used on keel
KR100811773B1 (en) Corner jointing structure for partition
US20130221173A1 (en) Magnetic hanging apparatus
KR20110004846U (en) System for combining display panel
KR101404384B1 (en) The ceiling panel for bathroom
JP6598212B2 (en) Panel joint material, partition structure and partition construction method
JP6671096B2 (en) Finishing materials for buildings
JP2015130716A (en) Wiring cover connector
KR20190020929A (en) Drain board
KR200475250Y1 (en) Sandwich panel with Sash
JP2012154134A (en) Partition wall structure of wooden house
JP6967266B2 (en) Partition wall structure and fixing brackets
KR101905388B1 (en) Drain board assembly
DK200800943A (en) A modular system for partition or decoration
JPH04306343A (en) Mounting method for ceiling plate
JP2008264285A (en) Frame assembly tool
CN203563168U (en) Sound horn decoration ring improvement assembling structure
EP1808548A1 (en) Baseboard system
KR101311044B1 (en) Modular interior art hall, light box and its construc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