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637A -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637A
KR20140092637A KR1020130004939A KR20130004939A KR20140092637A KR 20140092637 A KR20140092637 A KR 20140092637A KR 1020130004939 A KR1020130004939 A KR 1020130004939A KR 20130004939 A KR20130004939 A KR 20130004939A KR 20140092637 A KR20140092637 A KR 20140092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area
user
data
sc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형
Original Assignee
박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형 filed Critical 박기형
Priority to KR102013000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2637A/ko
Publication of KR2014009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기능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뷰어 기능(viewr function)의 구현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전자문서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 및 그 소스 정보(source information)가 포함된 스크랩(scrap)을 추출하고, 문서 편집 기능(document edit function)의 구현에 따라 상기 추출된 스크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Description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portable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랩하되 원본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디지털 형태로 유통된다. 이러한 정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휴대단말들을 통해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자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복사 및 붙여넣기 방식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텝(step)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다루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컨텐츠(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모든 컨텐츠를 포함)를 스크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디지털 컨텐츠의 무분별한 복사 및 배포로 인해 저작권 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려면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랩한 사용자는 원본 정보를 표시해야 하고, 이를 위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디지털 컨텐츠 원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랩하되 자동으로 원본 정보를 추출하여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크랩할 수 있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문서 뷰어(viewer) 기능과 편집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컨텐츠의 스크랩시 디지털 컨텐츠 원본의 소스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소스 정보에 대한 부가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는 전자 문서 뷰어 기능과 전자 문서 편집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다른 특징은 통신 기능을 갖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기능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및 뷰어 기능(viewr function)의 구현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전자문서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 및 그 소스 정보(source information)가 포함된 스크랩(scrap)을 추출하고, 문서 편집 기능(document edit function)의 구현에 따라 상기 추출된 스크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뷰어 기능(viewer function)과 상기 문서 편집 기능(document edit function)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내에서 동시에 실행되거나,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동시에 구현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동영상(video), 오디오(audio), 하이퍼링크 데이터(Hyperlink dat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디지털 컨텐츠가 웹페이지 파일, 전자책 파일, 마이크로소프트사 오피스 제품군을 통해 표시되는 전자문서 파일을 포함하는 전자책 파일, 전자문서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어부는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타입(type)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랩 대상 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페이지 전체 텍스트의 선택과 문단별 텍스트의 선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랩 대상 데이터가 이미지(image)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한 페이지(page) 내의 모든 이미지를 테이블(table) 또는 썸네일(thumbnails) 형태의 목록(list)으로 표시하고, 리스트된 이미지에 대한 선택을 인식하고, 선택된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표시를 나타내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랩 대상 데이터가 이미지(image)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현재 페이지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를 포함한 전체 페이지(page)를 이미지 타입으로 선택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뷰어 영역에 대한 터치와 동시에 상기 문서 편집 영역에 스크랩되는 대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가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어부가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영역 선택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부분 스크랩을 선택한 경우, 사각형, 단일 폐곡선, 반자동 단일 폐곡선, 자동 단일 폐곡선 인식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영역을 인식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어부가 선택된 데이터 영역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과,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과,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뷰어 영역에서 문서 편집 영역으로 복사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출처 정보 및 표시 위치 정보에 대한 하이퍼링크(Hyperlink) 기능을 더 제공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어부가 추출된 데이터의 소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억세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첫째, 전자 문서 뷰어 기능과 편집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간단한 동작으로 전자 문서의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 화면으로 스크랩할 수 있다.
셋째, 전자 문서에서 편집 화면으로 복사된 디지털 컨텐츠의 소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기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스크랩 동작에 의해 원본 출처 목록이 표기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으로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으로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세로로 놓인 상태에서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세로로 놓인 상태에서의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세로로인 상태에서의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인 상태에서의 스크랩 방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뷰어 화면에서의 데이터 선택과 동시에 편집 화면에 복사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타입별로 스크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는, 전자수첩,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개인 정보 처리 장치는 물론 스마트 폰(smart phone)이라 불리우는 이동통신 단말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 장치를 통칭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기반에서 동작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가 의사에 따라 특정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 문서 뷰어(document viwer): 사용자가 전자 문서(electronic document)를 볼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 디지털화된 방법으로 제작, 유통, 소비될 수 있는 제품군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각종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MP3 음악 파일, 멀티미디어 서적 등이 있다.
· 전자 문서(electronic document): PDF, DOC, Epub, Mobi, PPT, XLS 등 다양한 문서 포맷이 존재.
· 노트 편집기(note editor): 메모나 문서작성을 위한 일종의 간단한 워드 프로세서(word processor). 문서 노트를 전자화한 개념이며 최근 태블릿 PC의 등장으로 인해 노트 관련 어플리케이션(appilcation)이 양산되고 있음. 대표적인 예로는 "ever note", "awesome note", "notability" 등이 있다
· 스크랩(scrap): 디지털 컨텐츠 안에 있는 다양한 정보를 노트 편집기(note editor)에 복사해오는 행위.
·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인터넷 페이지를 볼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기능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50)과, 뷰어 기능(viewr function)의 구현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150)을 통해 표시되는 전자문서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 및 그 소스 정보(source information)가 포함된 스크랩(scrap)을 추출하고, 문서 편집 기능(document edit function)의 구현에 따라 상기 추출된 스크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한편, 인터넷 통신을 구현하거나, 다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장치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10)는 이더넷(Ethernet), 적외선(Infra Red) 무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장치(100) 내에 상기 문서 뷰어 기능 또는 문서 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인터넷이나 다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편집 완성된 전자 문서 등의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는 탈착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interface)는 외부 장치(200)와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또는 외장 하드 디스크 등의 메모리 장치나 컴퓨터나 다른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부속 요소로서 동작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그 설정으로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랩하고자 하는 대상 데이터의 타입(type)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즉, 그 선택에 따라 구동하는 프로그램의 크기가 바뀔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랩 대상 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페이지 전체 텍스트의 선택과 문단별 텍스트의 선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기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예시도는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로 놓인 경우를 설명하나, 세로 위치 상태에서도 이와 동일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음은 언급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의 뷰어 영역(151)에 디지털 컨텐츠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의 좌측 영역인 뷰어 영역에 표시되는 디지털 컨텐츠 소스는 Epub 파일, PDF 파일, 웹 브라우져에 의한 웹 페이지, 기타 전자책 파일(Mobi, Daisy, DjVu, Txt), HWP 파일,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Office 계열 문서(MS-Word 파일, PPT 파일, 엑셀 파일 등)가 표시될 수 있다. 전자 뷰어 영역은 본 설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편집 기능을 가진 것이어도 무관하다.
뷰어 영역(151)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고, 편집 영역(152)은 제2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뷰어 영역(151)과 편집 영역(152)이 동시에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뷰어 영역(151) 또는 편집 영역(152)에 표시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통신부(110)를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나 메모리(12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우측 영역인 문서 편집 영역(152)에는 뷰어 영역(151)에서 스크랩해온 데이터가 표시된다. 물론, 초기 화면에서는 비어있는 문서가 표시된다. 본 예시에서는 좌측에 뷰어 영역(151)이 우측에 편집 영역(152)이 표시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뷰어 영역(151)에서 선택한 디지털 컨텐츠(151-a)를 드래그 방식, 스와이프 제스쳐 방식 또는 스크랩 버튼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편집 영역으로 스크랩하면,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가 편집 영역(152)에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편집 영역(152)의 일반 편집 문서(152-d)가 아닌 복사된 영역(152-a)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위치하면 그 하단부(152-b) 또는 별도의 화면을 통해 원본 출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서로 다른 다수의 뷰어 영역(151)으로부터 편집 영역(152)으로 스크랩된 데이터를 한번에 볼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상단부에 참조 버튼(152-c)을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출처 정보 및 표시 위치 정보에 대한 하이퍼링크(Hyperlink)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편집 영역(152)의 최상단부 또는 최하단부에 스크랩한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출처 정보가 자동으로 편집되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록(list)(152-f)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출처 정보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디지털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 혹은 표지.
2. 디지털 컨텐츠의 제목.
3. 디지털 컨텐츠의 저자 또는 작성자 (사진, 동영상 모두 포함).
4. 디지털 컨텐츠의 공동저자, 공동 작성자 또는 번역자.
5.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이나 ISSN(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
6. 전자문서를 억세스(access)할 수 있는 주소 (유료라면 판매처, 무료 도서라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곳 등).
7. 출판인 또는 출판사 정보.
8. 파일의 이름.
9. 파일의 포맷.
10. 문서가 개시된 날짜와 시간.
11. 복사된 데이터의 문서나 책 내의 위치 정보(chapter, page, paragraph, 웹 페이지의 위치 좌표).
12. 원본 데이터를 복사한 시간 정보.
13. 원본 데이터의 업데이트 상태나 버전 정보 (수정이 되거나 문서에 대한 새로운 버젼이 나온 것을 추적해주는 기능을 위한 것이다).
14. 그 밖의 파일의 태그값.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스크랩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방식과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 및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이는 경우와 세로 위치로 놓이는 경우에 그 구현 방식이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즉, 가로 위치로 놓이는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에 뷰어 영역과 편집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세로 위치로 놓이는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에 하나의 영역만이 표시되므로, 뷰어 영역과 편집 영역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먼저,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로 놓인 경우, 뷰어 영역에서 선택되는 디지털 컨텐츠가 텍스트인 경우에 위 세 가지 방식으로 스크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에서와 같이, 뷰어 영역(151)에서 손가락 또는 전용펜을 이용하여 스크랩할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때, 드래그 방식으로 선택하거나, 더블 터치(double touch) 동작으로 하나의 단락(paragraph)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영역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선택 영역이 하이라이트(highligt)로 표시된다.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에서 손가락 또는 전용펜을 떼는 시점을 스크랩의 선택 영역 종료 시점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선택 영역은 사각형, 단일 폐곡선, 반자동 단일 폐곡선, 자동 단일 폐곡선 인식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4b에서와 같이 하이라이트(highlight)된 선택 영역을 손가락이나 전용펜을 이용하여 홀드(hold)한다.
이어, 도 4c에서와 같이 하이라이트(highlight)된 영역을 편집 영역(152)을 드래그(drag)한다. 이때, 선택된 영역은 마치 하나의 사진 조각이 손가락에 달라붙어 있는 것과 같이 편집 영역(152) 위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서 손을 떼는 순간 스크랩이 완료되어 편집 영역(152) 위에 표시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에서는 스크랩할 텍스트의 선택과정을 도 5b에서는 홀드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동작은 위의 도 4a 및 도 4b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뷰어 영역에서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다르다. 뷰어 영역(151)에서 하이라이트(highlight)된 선택 영역을 손가락이나 전용펜을 이용하여 홀드(hold)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전용펜을 이용하여 스와이프(swipe)를 수행한다.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동작에 대하여 뷰어 영역과 편집 영역의 위치에 따라 상하좌우와 우상향, 좌상향, 우하향, 좌하향 (swipe up, swipe down, swipe left, swiper right, swipe up-right, swipe up-left, swipe down-right, swipe down-left) 중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표시 기능과 문서 편집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때, 스크랩(scrap) 대상 데이터가 표시된 프레임의 위치와 문서 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가 편집 영역에 복사되는데, 이때, 복사되어 놓일 위치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잡아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으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a에서는 스크랩할 텍스트의 선택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동작은 위의 도 4a 및 도 5a에서와 동일하다. 도 6b에서는 홀드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b와 도 5b와 달리, 손가락이나 전용펜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highligh)된 영역의 아무 곳이나 눌러 홀드(hold) 하면 화면 소정 영역에 스크랩을 위한 터치(touch) 버튼이 나타난다. 이어, 도 6c에서와 같이, 스크랩 버튼(scrap button)을 누르면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가 편집 영역으로 복사되며, 그 위치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잡아준다.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인 경우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텍스트 데이터 스크랩 방식과 조금 상이하다. 즉,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와 달리 영역 선택 과정이 생략된다. 이때에도 위에서 설명한 세 가지 스크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a와 같이, 뷰어 영역의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손가락이나 전용펜을 이용하여 홀드(hold)한 후에, 도 7b에서와 같이 편집 영역의 원하는 위치에 드래그(drag)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이나 전용펜을 떼면 복사가 완료된다. 이때, 다른 텍스트 데이터는 해당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의 영역 사이즈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자동으로 옮겨진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으로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a에서의 홀드(hold) 동작은 위의 도 7a에서와 같다. 즉, 스크랩하고 싶은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를 홀드한 후, 도 8b에서와 같이 편집 영역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 동작을 취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의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으로 이미지/비디오/오디오/하이퍼링크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a에서의 홀드(hold) 동작을 취하면 화면 소정 부위에 스크랩 버튼(scrap button)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도 9b에서와 같이 스크랩 버튼(scrap button)을 누르면 편집 영역으로 복사된다.
한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세로로 놓인 상태에서의 스크랩 동작은 위의 설명에서의 방식과 상이하다. 즉, 화면에 뷰어 영역 또는 편집 화면 중 어느 하나의 영역만이 표시되므로, 화면의 자동 변환 동작이 동반된다.
먼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방식을 설명하자면, 위의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0a 및 도 10b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도 10a에서와 같이 뷰어 영역에서 스크랩하고자 하는 텍스트 영역을 선택한 후, 도 10b에서와 같이 하이라이트된 선택영역에 대하여 홀드(hold) 동작을 수행한다. 홀드(hold)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전용펜을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도 10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은 편집 영역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편집 영역으로 전환되면 드래그(drag) 동작을 수행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손가락 또는 전용펜을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떼면 선택된 영역의 복사가 완료된다.
한편,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세로로 놓인 상태에서의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의 스크랩은 도 11a 내지 도 11c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뷰어 영역 상태에서의 텍스트 데이터의 선택 및 홀드 동작은 도 10a 및 도 10b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하이라이트(highlight)된 선택 영역을 홀드(hold)한 상태에서 스와이프(swipe)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뷰어 영역과 편집 영역이 동시에 표시되는 가로 뷰(view)에서와 달리, 도 11c에서와 같이 상, 하, 좌, 우, 우상향, 좌상향, 우하향 또는 좌하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하면,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가 복사되어 있는 편집 영역을 표시한다. 물론, 이때에서 복사 위치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잡아준다.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의 스크랩(scrap) 동작은 도 12a와 같이 원하는 텍스트 영역을 선택한 후, 도 12b에서와 같이 하이라이트(highlight) 영역에 아무 곳이나 손가락이나 전용펜을 이용하여 터치하면 스크랩 버튼(scrap button)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c에서와 같이 스크랩 버튼을 터치하면 터치 스크린 화면은 편집 영역으로 변환되고, 선택된 디지털 컨텐츠가 편집 영역에 복사되어 표시된다. 이때, 복사 위치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잡아준다.
한편,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가 가로로 놓인 상태에서 뷰어 영역과 편집 영역이 동시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구현된다. 뷰어 화면에서의 데이터 선택과 동시에 편집 화면에 복사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3a에서와 같이, 뷰어 영역에서 손가락이나 전용펜을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의 영역을 드래그한다. 터치 스크린에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우 상하로 이동할 때, 텍스트 라인을 따라 선택 영역이 결정된다. 이때, 뷰어 영역의 영역에서는 선택되고 있는 영역이 하이라이트 형태로 표시되며 이와 동시에 편집 영역에서도 동일하게 선택되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때, 편집 영역에서의 텍스트 데이터는 뷰어 영역에서의 하이라이트 영역만큼 표시된다. 즉, 뷰어 영역에서 선택 영역이 늘어나면 하이라이트 영역이 늘어나면서 편집 영역에서도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며, 반대의 경우 선택 영역이 줄어들면 하이라이트 영역이 줄어들면서 편집 영역에서도 표시되는 텍스트 데이터가 줄어들게 표시된다.
도 13b는 도 13a에서의 텍스트 데이터 선택 방식이 다른 경우이다. 즉, 터치 스크린에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동하면, 최초 접점과 현재의 접점 사이 거리를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선택된다.
한편, 도 13c에서는 폐곡선의 형태로 원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단일 폐곡선, 반자동 단일 폐곡선, 자동 단일 폐곡선 인식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14a와 같이 뷰어 영역에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타입이 혼합된 형태의 웹페이지(web-page)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크랩하고자 하는 대상 데이터의 타입(type)을 선택할 수 도 있다. 제어부는 화면 소정 부위에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타입(type)을 선택할 수 있는 안내 화면과 함께 선택 기능을 제공하거나, 화면 소정 부위에 예를 들어, 도 14b와 같이 "text", "audio", "video", "image" 등의 선택 버튼(151-b)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텍스트를 선택하는 경우에, 제어부는 페이지 전체 텍스트의 선택과 문단별 텍스트의 선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안내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화면 소정 부위에 도 14c와 같이 "전체", "문단별"의 선택 버튼(151-c)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도 있다.
스크랩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방식과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 및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스크랩을 수행한다.
만일, 사용자가 텍스트가 아닌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스크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타입의 데이터만을 한 페이지(page) 내에서 모두 추출하여 목록(list)으로 표시할 수 있다. 목록(list)의 표시 형태는 테이블(table)의 형태 또는 썸네일(thumb nail)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4b에서의 선택 버튼(151-b) 중 이미지(image)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 도 1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의 웹페이지(web page)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썸네일(thumb nail) 목록 화면(151-d)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 목록 화면(151-d)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편집 영역으로 스크랩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이미지에 별도의 선택 버튼을 표시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부는 현재 페이지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를 포함한 전체 페이지(page)를 하나의 이미지 타입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캡쳐의 형태로 이미지와 텍스트 모두를 한꺼번에 이미지화하여 선택할 수도 있도록 옵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100: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인터페이스부
140: 제어부 150: 터치스크린
151: 뷰어 영역 152: 편집 영역
200: 외부 장치

Claims (17)

  1. 디지털 컨텐츠 디스플레이 기능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뷰어 기능(viewr function)의 구현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전자문서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 및 그 소스 정보(source information)가 포함된 스크랩(scrap)을 추출하고, 문서 편집 기능(document edit function)의 구현에 따라 상기 추출된 스크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 기능(viewer function)과 상기 문서 편집 기능(document edit function)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내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 기능(viewer function)과 상기 문서 편집 기능(document edit function)은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동시에 구동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동영상(video), 오디오(audio), 하이퍼링크 데이터(Hyperlink dat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웹페이지 파일, 전자책 파일, 마이크로소프트사 오피스 제품군을 통해 표시되는 전자문서 파일을 포함하는 전자책 파일, 전자문서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타입(type)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랩 대상 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페이지 전체 텍스트의 선택과 문단별 텍스트의 선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2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랩 대상 데이터가 이미지(image), 동영상, 오디오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스크랩 대상 데이터를 목록(list)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테이블(table)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섬네일(thumbnails)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랩 대상 데이터가 이미지(image)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현재 페이지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를 포함한 전체 페이지(page)를 이미지 타입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뷰어 영역에 대한 터치와 동시에 상기 문서 편집 영역에 스크랩되는 대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영역 선택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부분 스크랩을 선택한 경우,
    사각형, 단일 폐곡선, 반자동 단일 폐곡선, 자동 단일 폐곡선 인식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스크랩 대상 데이터의 영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데이터 영역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과,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 방식과, 스크랩 버튼(scrap button)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뷰어 영역에서 문서 편집 영역으로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원본 출처 정보 및 표시 위치 정보에 대한 하이퍼링크(Hyperlink)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추출된 데이터의 소스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억세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KR1020130004939A 2013-01-16 2013-01-16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KR20140092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939A KR20140092637A (ko) 2013-01-16 2013-01-16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939A KR20140092637A (ko) 2013-01-16 2013-01-16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37A true KR20140092637A (ko) 2014-07-24

Family

ID=5173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939A KR20140092637A (ko) 2013-01-16 2013-01-16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26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8203A1 (zh) * 2020-04-27 2021-11-0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交互平板的页面编辑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8203A1 (zh) * 2020-04-27 2021-11-0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交互平板的页面编辑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47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dependently moving and regrouping selected objects
KR101371923B1 (ko) 휴대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2147704B (zh) 多屏幕对象保持并换页手势
US9310998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US9372872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a content of a file on a display apparatus
JP6147825B2 (ja) 電子機器および方法
US94655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ook-related items in a mobile device
US96260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30010595A (ko) 아이템 이동 방법 및 장치
EP2375342A2 (en)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writing text and function of clipping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20130002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Content In A Videoconferencing Environment Without A Personal Computer
EP27010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5510172A (ja) 携帯装置のページ表示方法及び装置
JP2019067260A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092379A1 (en) A method an apparatus for cataloguing data items
EP27728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loading and downloading file
KR101419871B1 (ko) 자막 편집 장치 및 자막 편집 방법
JP610887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71125B2 (ja) 電子機器、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787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ile in portable terminal
JP6405143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6209868B2 (ja) 情報端末、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40092637A (ko)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처리 장치
CN113436297A (zh) 图片处理方法和电子设备
JP202014958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