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464A -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 - Google Patents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464A
KR20140092464A KR1020120156809A KR20120156809A KR20140092464A KR 20140092464 A KR20140092464 A KR 20140092464A KR 1020120156809 A KR1020120156809 A KR 1020120156809A KR 20120156809 A KR20120156809 A KR 20120156809A KR 20140092464 A KR20140092464 A KR 20140092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amber
condensed water
liner
flui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5705B1 (en
Inventor
임창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마이엔씨
주식회사 구마건설
주식회사 구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마이엔씨, 주식회사 구마건설, 주식회사 구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마이엔씨
Priority to KR2012015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705B1/en
Publication of KR20140092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a non-excavation type water supply and sewage pipe repair work. The non-excavation type water supply and sewage pipe repair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amber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 first fluid feeding part feeding a first fluid into the chamber; a second fluid feeding part feeding a second fluid into the chamber; a distributing part distributing the first fluid or the second fluid to the outside, multiple panels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inside the chamber; and a condensed water outlet part discharging 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multiple panels to the outside, wherein the distributing part comprises multiple distributing holes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repairing un-

본 발명은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에 대한 보수 시공 효율을 높이고, 보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dispensing apparatus for repairing uncharged water supply and drain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 dispensing apparatus for repairing uncharged water supply and sewage, which can improve maintenance efficiency of a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

도시화와 함께 지하에는 상하수도관 및 가스관과 같은 각종 배관이 매설되었으며, 이와 같은 배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화되어 부식이 발생하게 되었다. 배관의 부식으로 인해 상하수가 누출되거나, 식수의 오염이 발생하며, 가스가 누출되어 노후된 배관의 보수 문제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With urbanization, various pipelines such as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and gas pipes were buried in the basement, and these pipes gradually became aged and corrosion occurred over time. It is an important issue to repair old pipes due to the leakage of water and sewage, pollution of drinking water and leakage of gas due to corrosion of piping.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 또는 가스관 등을 보수하기 위하여 굴착 공사를 하는 경우, 이에 따른 막대한 공사비와 교통체증의 가중, 안전사고의 발생, 환경문제 등 사회적 손실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도로의 폭이 좁고 굴곡부위가 많으며, 가지관 연결부나 맨홀과 같은 부대시설 접합부위가 많다. 또한, 배관의 매설 심도가 깊어 작업 환경이 열악하여 지장물의 제거 등에 사용되는 부대비용이 많이 소비되는 현장이 많아 비굴착식 배관 보수 공법이 유리하다.In the case of excavation works to repair water pipes or gas pipes buried underground, the cost of social loss such as enormous construction cost, heavy traffic, safety accidents and environmental problems will increase. As a result, the unreinforced water supply and sewerage repair method has begun to be developed. Especially in Korea, the width of the road is narrow and the bending part is many, and there are many joints of the auxiliary facilities such as the branch pipe connection and the manhole. In addition, since the depth of the piping is deep and the working environment is poor, many non-digging piping repairing methods are advantageous because there are many sites that are used for the removal of obstacles and the like.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으로는 신관 삽입 공법(slip lining), 변형관 삽입 공법(close fit pipes lining, fold and form lining), 제관공법(spirally wound pipes lining) 및 보강 튜브 경화 공법(cured in place pipe) 등이 있다. 이중에서 최근에는 보강 튜브 경화 공법이 가장 주목 받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As unreinforced water and sewerage repair methods, there are slip lining, close fit pipe lining, fold and form lining, spirally wound pipe lining, and cured in place pipe ). Recently, reinforced tube hardening method has been attracting the most attention, and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이와 같은 보강 튜브 경화 공법에서는 밀봉된 라이너의 일단을 견인기에 연결하고, 견인기를 배관 내부로 이동시켜 라이너를 배관 내부로 삽입한 후 팽창 및 경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라이너를 신속하게 팽창 및 경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In such a reinforcement tube curing method, one end of the sealed liner is connected to a retractor, the retractor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pipe, the liner is inserted into the pipe, and then the expansion and hardening are performed. A method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관에 삽입된 배관 보수용 라이너의 신속한 경화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iring uncharged water supply and drainage water that can rapidly cure a piping repair liner inserted into a piping and shorten a working ti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라이너 내부의 스팀 순환 구조를 고려하여 신속하게 라이너를 경화시킬 수 있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drilling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iring water and sewage, which can rapidly cure the liner in consideration of the steam circulation structure inside the lin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로 제1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유체 공급부, 상기 챔버의 내부로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유체 공급부, 상기 제1 유체 또는 상기 제2 유체를 외부로 분배하는 분배부, 상기 챔버 내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 및 상기 복수의 패널에 응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부는 이격된 복수의 분배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repairing unscored water and wastewater, comprising: a chamber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 first fl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rst fluid into the chamber; A second fluid supply part for supplying a second fluid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a distribution part for distributing the first fluid or the second flui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panel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side the chamber, And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condensed on the panel to the outside, wherein the dispens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spensing holes spaced apar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luid dispensing apparatus for repairing un-drilled water and sew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유체 분배 장치에 2개 이상의 분배홀을 구비함으로써, 라이너의 양단부 측에서 동시에 압축공기 또는 고온의 수증기를 주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라이너 내부에서의 유체의 순환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라이너의 신속한 팽창 및 경화를 달성할 수 있다.By providing two or more distribution holes in the fluid distribu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inject compressed air or hot steam at both ends of the liner, thereby increasing the circulation rate of the fluid inside the liner, Expansion and curing can be achieved.

또한, 유체 분배 장치 내부에 형성된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하여, 유체 분배 장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저해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Further, the condensed water formed inside the fluid distribution device can be efficiently discharged, and the condensed water that hinders the temperature rise inside the fluid distribution device can be effectively rem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에 의해 시공된 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을 II-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에 따른 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유체 분배 장치의 개략적인 유체 흐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유체 분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유체 분배 장치의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를 이용한 유체 분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ing constructed by a non-excavated water supply and drainage repai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FIG.
FIG. 3 and FIG.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work according to the unreduced water and sewage repai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repairing unreduced water and sewag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fluid flow of the fluid distribution device of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luid distribution device of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fluid distribution device of Fig.
1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fluid distribution method using a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repairing unreduced water and sew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에 의해 시공된 배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은 본 발명의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에 의해 시공된 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을 II-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Hereinafter, piping constructed by the unreduced water supply and drainag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Here,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line constructed by the unreduced water supply and drainage repai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은 보수의 대상이 되는 배관(20)에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라이너(liner: L)를 삽입하고, 경화시켜, 배관(20)의 내측을 라이너(L)로 보강하여 파손된 배관(20)을 보수하는 공법이다. In the unreinforced water supply and sewer repairing metho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ner (L) including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resin is inserted into a piping 20 to be repaired and cured to form the inside of the piping 20 And is reinforced with the liner (L) to repair the broken pipe (2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손된 배관(20) 내측면에는 라이너(L)가 삽입된다. 라이너(L)는 배관(20)의 파손부(25)를 통하여 배관(20) 내의 하수, 상수 및 가스 등과 같은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관(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라이너(L)는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P)와 부직포(P)의 외측을 둘러싸는 비닐(C)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두 겹으로 접힌 부직포(P)에 액상의 수지를 함침시킨다.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P)의 외측에 비닐(C)을 덮어 배관(20) 내부에 삽입한 후, 수지를 경화시키면 배관(20) 형상의 내측관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liner L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roken pipe 20. The liner L serves to prevent fluid such as sewage, water, and gas from flowing out of the piping 20 through the broken portion 25 of the piping 20 an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piping 20 . The liner L includes a nonwoven fabric P impregnated with a resin and a vinyl C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P. Specifically, a liquid resin is impregnated into the double-folded nonwoven fabric (P). The inner tube of the pipe 20 is formed by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P impregnated with the resin with the vinyl C and inserting it into the pipe 20 and then hardening the resin.

비닐(C)은 부직포(P)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부직포(P)가 팽창하게 되는 경우 부직포(P)를 둘러싸는 커버가 된다. 즉, 부직포(P)를 둘러싸는 커버로는 비닐(C)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직포(P)의 피복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시공 환경에 따라 초저온의 조건에서도 수지의 경화가 가능할 수 있도록 단열재로 형성된 커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vinyl C covers the nonwoven fabric P when the air is filled in the nonwoven fabric P and the nonwoven fabric P expands. That is, the cover surrounding the nonwoven fabric P is not limited to the vinyl (C),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polypropylene and polystyrene which can be used as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nonwoven fabric P may be used.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use a cover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resin can be cured even at a very low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라이너(L) 및 라이너(L)를 팽창 및 경화시키는데 사용되는 매니폴드 장치(90)를 이용한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unreinforced type water and sewage repairing method using the manifold 90 used for expanding and hardening the liner L and the liner L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에 따른 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3 to 7, there is shown schematically the operation of the unreduced water and sewage repai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배관(20)의 보수를 위한 예비 준비 과정으로서, 배관(20) 내부를 조사하여 파손 여부를 확인하고, 보수할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배관(20)의 내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내시경 또는 카메라가 장착된 로봇을 투입하여 육안으로 파손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내시경 또는 로봇은 맨홀(40a, 40b)을 통하여 투입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배관(20)의 일부를 굴착하여 삽입할 수 있다.First, as a preliminary preparation process for repairing the piping 20, the inside of the piping 20 is irradiate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piping 20 is damaged, and a repair position is determined. As a method of irradiating the interior of the piping 20, a robot equipped with an endoscope or a camera may be inserted to visually confirm a damaged part. The endoscope or the robot may be inserted through the manholes 40a and 40b, and if necessary, a part of the pipe 20 may be inserted and inserted.

배관(20)의 조사 과정에서 배관(20)의 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보수 작업을 위하여 배관(20) 내부를 세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할 배관(20) 내부로 상수 또는 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류관(21)을 차수 장치(60)로 막을 수 있다. 그 다음에 배관(20) 내부에 고압 분사기 등을 이용하여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여 배관(20) 내부를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압 분사기에 의한 세정수의 분사와 함께 내부의 이물질 또는 침전물을 흡입하여 배관(20) 내부를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iping 20 needs to be repaired during the irradiation of the piping 20, the inside of the piping 20 may be cleaned for a repair work. Specifically, the upstream pipe 21 may be blocked by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60 in order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water or sewage into the piping 20 to be operated. Then, the interior of the pipe 20 can be cleaned by spraying high-pressure cleaning water into the pipe 20 using a high-pressure injector or the like. The inside of the pipe 20 can be cleanly cleaned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or sediments together with the spraying of the washing water by the high-pressure injector.

또한, 배관(20)의 보수를 위하여 배관(20) 내부의 작업에 지장을 주는 지장물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에 지장을 주는 지장물이란 분지관(30)의 돌출 부위와 같이 배관(20) 내부로 돌출되어 배관(20) 내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배관(20) 내부에 라이너(도 1의 L 참조)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내면에 균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때, 지장물을 제거하는 작업은 배관(20)의 직경에 따라 작업 방식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직접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배관(20)의 보수에는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 보수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들어 갈 수 없을 정도의 직경이거나, 내부 환경이 위험하여 작업자가 직접 들어갈 수 없는 경우에는 작업 로봇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작업 로봇에는 절삭 공구가 부착되어 배관(20) 내부의 지장물을 모두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obstacles that may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inside of the piping 20 for repairing the piping 20. Here, the obstacle obstructing the work means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ranch pipe 30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pipe 20 to form the concave and convex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20. In order to insert the liner (refer to L in FIG. 1) into the pipe 20, it must be maintained uniformly on the inner surface.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obstacle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pipe 20. That is, the maintenance of the piping 20 having a diameter enough for the operator to directly enter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or, and the diameter can not be entered by the operator, or the internal environment is dangerous. If there is no robot, the work robot can be used. A cutting tool may be attached to the work robot to remove any obstacle inside the pipe 20.

이어서, 배관(20)의 보수를 위한 라이너(L)를 현장에서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외에 기 제조된 라이너(L)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배관(20)의 조사 과정에서 필요한 라이너(L)의 길이나 폭 등이 결정되면, 현장에서 직접 라이너(L)를 맞춤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라이너(L)는 라이너 제조 장치(10)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라이너 제조 장치(10)는 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장에 고정식으로 설치한 후 사용될 수 있다. 라이너(L)는 수지의 가사 시간을 고려하여 배관(20)에 삽입하기 직전에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라이너(L)는 매니폴드(90)에 결속될 수 있다.Then, the liner L for repairing the pipe 20 can be manufactured in the field, and the previously prepared liner L can be supplied. If the length or width of the liner L required in the course of the above-described piping 20 irradiation is determined, the liner L may be direct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tting in the field. At this time, the liner (L)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the liner manufacturing apparatus (10). The liner manufacturing apparatus 10 can be used by being mounted on a moving means such as a vehicle, and can be used after being fixedly installed in the field. The liner L can be manufactured immediately before insertion into the pipe 20 in consideration of the pot life of the resin. The manufactured liner (L) can be bound to the manifold (90).

도 4를 참조하면, 라이너(L)를 배관(20) 내부에 삽입한다. 라이너(L)는 매니폴드(90)에 연결된 견인기(50)에 의해 배관(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9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라이너(L)가 직접 견인기(50)에 고정되어 지하 배관(20) 내부로 견인될 수 있다. 현장에서 미리 제조한 라이너(L)를 견인기(50)에 연결하여 배관(20)에 삽입할 수 있으나, 현장에 라이너 제조 장비(10)가 설치되어 있어 라이너(L)의 제조와 동시에 배관(20)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즉, 라이너(L)의 제조 장치에서 라이너(L)를 제조하여 별도의 회수부(미도시)에 의해 권취하지 않고, 직접 매니폴드(90) 및/또는 견인기(50)에 연결하여 배관(2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liner L is inserted into the pipe 20. The liner L may be inserted into the pipe 20 by the retractor 50 connected to the manifold 90 but the liner L may be inserted directly into the pipe 20 in the state where the manifold 90 is not fastened, Can be fixed to the retractor (50) and pulled into the underground pipe (20). The liner L previously manufactured in the field can be connected to the retractor 50 and inserted into the pipe 20 but the liner manufacturing equipment 10 is installed on the site so that the pipe 20 ). ≪ / RTI > That is, the liner L is manufactured i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iner L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nifold 90 and / or the retractor 50 without being taken up by a separate collecting unit (not shown) ). ≪ / RTI > In this way,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50)는 배관(20) 내부 및 라이너(L)의 이동 상황을 외부에서 모니터할 수 있도록, 카메라모듈(52)을 더 포함하고, 카메라모듈(52)에서 촬상된 영상은 외부의 모니터 장치(71)로 전송될 수 있다.4, the retractor 50 further includes a camera module 52 for monitoring the inside of the pipe 20 and the movement of the liner L from the outside, and the camera module 52 The picked-up im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monitor device 71.

즉, 라이너(L)의 일단이 결합되어 라이너(L)를 배관 내부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견인기(50)를 보수구간 내로 삽입하되, 배관 내부의 라이너(L)의 영상을 기초로 견인기(50)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retractor 50, which is coupled with one end of the liner L and moves the liner 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repair section, and the retractor 50 Can be controlled.

견인기(50)는 와이어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배관(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구동수단 예를 들어 윈치(72)와 연결되어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The retractor 50 is connected to a driving means such as a winch 72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pipe 20 by connecting means such as a wire,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can be controlled.

윈치(72)와 모니터 장치(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치(72)를 제어하는 작업자가 모니터 장치(71)를 확인하면서 제어할 수 있도록, 윈치(72)가 모니터 장치(71)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The winch 72 and the monitor device 71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the fig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nch 72 can be controlled by an operator who controls the winch 72, (72) may be arranged close to the monitor device (71).

도 5를 참조하면, 소정의 배관(20) 위치에 라이너(L)가 삽입되면, 라이너(L)의 양단에 매니폴드(90)를 연결하고, 매니폴드(90)를 통해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라이너(L)를 팽창시킨다. 이때, 라이너(L)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는 라이너(L)를 팽창시켜 라이너(L)를 배관(20) 내부에 밀착시키며, 라이너(L)를 배관(20)과 같은 형상으로 유지시킨다. 라이너(L)에 저온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 상온의 공기를 라이너(L) 내부에 주입시킴으로써, 부직포에 함침된 수지를 1차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때, 라이너(L)의 일단에는 매니폴드(9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5, when the liner L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ipe 20, the manifold 9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iner L, and compressed air is injected through the manifold 90 The liner L is expanded. At this time, the air injected into the liner L expands the liner L to closely contact the liner L inside the pipe 20, and keeps the liner L in the same shape as the pipe 20. When the low temperature curable resin is used for the liner L, the resin impregnated in the nonwoven fabric may be first cured by injecting air at room temperature into the liner L. At this time, the manifold 9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ner L.

라이너(L)의 양단부에 체결된 매니폴드(90)를 통해 라이너(L) 내부로 분배기(2000)에 의해 분배된 유체 예를 들어 압축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분배기(2000)에 의해 분배된 유체가 매니폴드(90)를 통해 라이너(L)로 주입되기 전에 온도, 압력 등을 확인하여 소정 온도 이상, 소정 압력 이상의 유체만 공급될 수 있도록 유체의 상태를 확인하고 유체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체크밸브(2100)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compressed air, distributed by the distributor 2000 into the liner L through the manifold 90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liner L. [ In this process, before the fluid dispensed by the distributor 2000 is injected into the liner L through the manifold 90,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the like are checked. A check valve 2100 may be provided to check the condition and selectively block the supply of fluid.

이어서, 라이너(L)에 포함된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팽창된 라이너(L)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수지의 경화 시간은 라이너(L)의 두께 및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경화를 수행하기까지의 시간은 수지에 함유된 물질의 구성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경화는 100~180?인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매니폴드(90)를 통해 라이너(L)로 고온의 스팀을 주입하는 방식일 수 있다.The expanded liner L may then be maintained for a period of time to cure the resin contained in the liner (L). The curing time of the resin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diameter of the liner (L), and the time until the curing is performed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materials contained in the resin. The cur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0 to 180 ° C, and may be a method of injecting high temperature steam into the liner L through the manifold 90.

라이너(L)의 양측에 구비된 매니폴드(90)를 통해 고온 스팀을 주입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L) 내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유체가 순환하게 되며, 고온의 유체가 라이너(L)를 점진적으로 경화시키게 되며, 소정 시간동안 유체 순환을 반복하여 경화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When the high-temperature steam is injected through the manifold 9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ner L, the fluid circulates in a certain direction in the liner L as shown in FIG. 7, (L) is gradually cured, and the curing operation can be completed by repeating the fluid circul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유체 분배 장치의 개략적인 유체 흐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유체 분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유체 분배 장치의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Hereinafter, a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iring a non-drilled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repairing unreduced water and sewag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chematic fluid flow of the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of FIG. 8,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fluid distribution device of Fig. 8; Fig.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200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챔버, 챔버의 내부로 제1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유체 공급부(2010), 챔버의 내부로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유체 공급부(2020), 제1 유체 또는 상기 제2 유체를 외부로 분배하는 분배부(2040), 챔버 내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2050), 및 복수의 패널(2050)에 응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부(2030)를 포함하고, 분배부(2040)는 이격된 복수의 분배홀을 포함한다.8 and 9, the unshrunk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repairing water and sewag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 first fl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rst fluid into the chamber, A second fluid supply part 2020 for supplying a second fluid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a distribution part 2040 for distributing the first fluid or the second flui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And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2030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concentrated to the plurality of panels 2050 to the outside. The distribution portion 2040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d distribution holes.

챔버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가지며, 도시된 예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챔버의 일면에는 챔버 내부로 제1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유체공급부(2010) 및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유체공급부(20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챔버의 서로 다른 일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유체공급부를 통해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가 챔버 내부로 공급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유체공급부(2010, 2020)는 원통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체는 압축공기이고, 제2 유체는 고온의 스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유체가 고온의 스팀이고, 제2 유체가 압축공기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라이너(L)를 팽창 및 경화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The chamber has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is shown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the illustrated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first fluid supply unit 2010 for supplying the first fluid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and a second fluid supply unit 2020 for supplying the second fluid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hamber and may be provid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chamber . Further, the first fluid or the second fluid may be supplied into the chamber through one fluid supply portion.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fluid supply units 2010 and 2020 are shown in a cylindrical shape, their shapes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e first fluid may be compressed air and the second fluid may be high temperature stea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fluid may be high temperature steam, the second fluid may be compressed air, ) Can be used.

공급된 유체는 챔버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으며, 분배부(2040)의 분배홀이 개방되면 외부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분배부(20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 복수의 분배홀을 포함하며, 각각의 분배홀은 유체이송관(2060)과 연결되어 라이너(L)의 소정 위치와 연결되어 라이너(L)로 해당 유체를 제공할 수 있다.The supplied fluid can be circulated inside the chamber and the flui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distribution hole of the distribution portion 2040 is opened. The dispensing portion 2040 includes a plurality of dispensing holes spaced apart as shown and each dispensing hole is connected to a fluid delivery tube 2060 to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liner L, Can be provided.

제1 유체 공급부(2010) 또는 제2 유체 공급부(2020)는 분배부(2040)와 챔버의 서로 다른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luid supply part 2010 or the second fluid supply part 2020 may b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distribution part 2040 and the chamber.

응축수 배출부(2030)는 챔버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스팀 공급 전에 챔버 내부의 온도는 실온을 유지하는 상태이며,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면 초기 온도 차이에 의해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챔버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응축수는 챔버 내부의 유체 순환 및 내부 온도 상승을 지연시키게 되므로, 응축수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2030 can discharge the condensed condensed water in the chamber to the outsid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s kept at room temperature before the steam supply. When the high temperature steam is supplied, the steam is condensed by the initial temperature difference, and condensed water can be formed inside the chamber. The condensed water thus formed delays the fluid circulation inside the chamber and the rise in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therefore, a process of removing the condensed water is required.

응축수 배출부(2030)는 챔버의 저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응축수 배출부(2030)의 일부는 챔버의 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The condensate discharge portion 2030 is form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and a portion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2030 can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도 10을 참조하면, 챔버의 내부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205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패널(2050)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챔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분배부(2040)가 형성된 챔버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panels 2050 arranged in parallel can be provided inside the chamber. The plurality of panels 20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and alig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chamber in which the distribution portion 2040 is formed, no.

복수의 패널(2050)은 챔버 내부에서 유체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며, 수증기를 응집시켜 챔버 바닥면으로 고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복수의 패널(2050)의 표면을 따라 챔버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부(20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anels 2050 serve to uniformly mix the fluid within the chamber and to coagulate the water vapor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Therefore, the condensed water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along th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anels 205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2030.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챔버의 내부에 순환펌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순환펌프는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챔버 내부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In some other embodiments, a circulation pump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within the chamber, and the circulation pump may circulate the first fluid or the second fluid within the chamber.

또한, 복수의 패널(2050)과 연결되는 구동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모듈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 등에 의해 복수의 패널(2050)의 챔버 내에서의 높낮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압축공기를 순환시킬 때에는 복수의 패널(2050)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고, 스팀을 순환시킬 때에는 복수의 패널(2050)의 높이를 최대화하여, 응축수의 신속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du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anels 2050.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anels 2050 in the chamber may be varied by a driving module, for example, have. That is, when the compressed air is circulated,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anels 2050 is minimized so as not to block the flow of air, and when the steam is circulated,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panels 2050 is maximized, .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200)는, 각 센서 및 개폐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해당 모듈로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2100), 챔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200), 챔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2300), 분배부(2040)의 개폐를 제어하는 분배밸브 개폐모듈(2400), 및 응축수 배출부(2030)의 개폐를 제어하는 응축수 밸브 개폐모듈(25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unshielded fluid distribution device 200 for repairing water and sewag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ler (not shown) for receiving signals from respective sensors and opening / closing modules, A temperature sensor 220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 pressure sensor 2300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a distribution valve open / close module 240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tribution portion 2040, And a condensate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250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densate discharge portion 2030.

분배밸브 개폐모듈(2400)은 분배부(2040)의 개폐를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분배부(2040)의 단부에 전자적으로 개폐되는 전자식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2400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nic valve that is electronically opened and closed at the end of the distribution portion 2040 to electronical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tribution portion 2040.

챔버의 내부 예를 들어 챔버의 내벽 일측에 부착되는 온도센서 (2200)는, 챔버 내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제1 유체 공급부(2010)에서 공급된 제1 유체가 챔버 내로 주입되어 온도센서(22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를 초과할 경우, 분배밸브 개폐모듈(2400)을 개방하여, 제1 유체를 유체이송관(2060)과 연결된 라이너(L)로 제공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220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for example, the inside of the chamber, can continuously detec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nd the first fluid supplied from the first fluid supply unit 2010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200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distribution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2400 may be opened to provide the first fluid to the liner L connected to the fluid transportation pipe 2060.

챔버의 내부 예를 들어 챔버의 내벽 일측에 부착되는 압력센서(2300)는, 챔버 내부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제2 유체 공급부(2020)에서 공급된 제2 유체가 챔버 내로 주입되어 압력센서(2300)에서 감지된 압력이 소정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 분배밸브 개폐모듈(2400)을 개방하여, 제2 유체를 유체이송관(2060)과 연결된 라이너(L)로 제공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230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for example, the chamber, can continuously sense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and the second fluid supplied from the second fluid supply 2020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2300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the distribution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2400 may be opened to provide the second fluid to the liner L connected to the fluid transfer tube 2060. [

응축수 배출부(2030)의 개폐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응축수 밸브 개폐모듈(2500)은, 챔버의 내부에 구비된 응축수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챔버의 내부에 생성된 응축수가 소정 수위 이상 생성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응축수 배출부(2030)를 개방하여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The condensed water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2500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ing portion 2030 has generated condensed water generated inside the chamber by a condensed water detecting sensor (not shown) If it is determine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2030 may be opened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를 이용한 유체 분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2, a fluid distribu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fluid distribution method using a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repairing a non-excavated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유체 분배 장치에 압축공기를 주입한다(S11). 압축공기의 주입 전후에 응축수 밸브를 폐쇄하고, 분배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S12).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챔버 내의 일정 이상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분배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압축공기를 챔버에 주입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First,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luid distribution device (S11). The condensate valve can be closed before and after the injection of compressed air, and the dispense valve can be opened (S12).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process of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chamber may be added with the dispense valve closed to maintain a constant over-pressure in the chamber.

압축공기가 라이너로 분배되고(S13), 라이너가 일정 부피 이상 팽창되면, 압축공기 주입을 중단하고 응축수 밸브 및 분배밸브를 폐쇄한 후(S14), 스팀(수증기)을 챔버에 주입한다(S15).When compressed air is distributed to the liner (S13) and the liner is expanded beyond a certain volume, the injection of compressed air is stopped and the condensate valve and the dispensing valve are closed (S14), and steam (water vapor)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S15) .

온도 센서 등으로 챔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한 후(S16), 기준온도에 미달되면 스팀 주입을 반복할 수 있으며, 기준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분배밸브를 개방하고(S17), 라이너로 스팀을 분배할 수 있다(S20).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is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or the lik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is within the reference temperature (S16). If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not reached, the steam injection can be repeated. When the reference temperature is reached, , The steam can be distributed to the liner (S20).

이 과정과 별개로 또는 동시에 응축수가 생성되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응축수 감지 센서 등에 의해 응축수의 수위가 소정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S18), 응축수 밸브를 개방하여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S19).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ensed water level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S18), the condensed water valve can be opened to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S19).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배관 보수용 라이너 제조 장치 20: 배관
40a, 40b: 맨홀 50: 견인기
60: 차수 장치 90: 매니폴드
2000: 유체 분배 장치 2100: 제어부
2200: 온도센서 2300: 압력센서
2400: 분배밸브 개폐모듈 2500: 응축수 밸브 개폐모듈
10: piping maintenance liner manufacturing apparatus 20: piping
40a, 40b: Manhole 50: Retractor
60: order device 90: manifold
2000: fluid distribution device 2100:
2200: Temperature sensor 2300: Pressure sensor
2400: Discharge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2500: Condensate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Claims (12)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로 제1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유체 공급부;
상기 챔버의 내부로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유체 공급부;
상기 제1 유체 또는 상기 제2 유체를 외부로 분배하는 분배부;
상기 챔버 내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 및
상기 복수의 패널에 의해 응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부는 이격된 복수의 분배홀을 포함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A chamber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 first fl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rst fluid into the chamber;
A second fluid supply unit for supplying a second fluid into the chamber;
A distributor for distributing the first fluid or the second flui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panels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chamber; And
And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agglomerated by the plurality of panels to the outside,
Wherein the distributing sec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d apart distribution h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공급부 및 상기 제2 유체 공급부는 상기 챔버의 동일한 일면에 형성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luid supply and the second fluid supply are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공급부 또는 상기 제2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배부와 상기 챔버의 서로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luid supply part or the second fluid supply part is formed on a different surface of the distribution part and the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의 일부는 상기 챔버의 저면과 연결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rtion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의 개폐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분배밸브 개폐모듈을 더 포함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tribution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tributing s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체 공급부에서 공급된 제1 유체가 상기 챔버 내로 주입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를 초과할 경우, 상기 분배밸브 개폐모듈을 개방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chamber,
Wherein the first fluid supplied from the first fluid supply unit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to open the distribution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체 공급부에서 공급된 제2 유체가 상기 챔버 내로 주입되어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이 소정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분배밸브 개폐모듈을 개방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inside the chamber,
Wherein the second fluid supplied from the second fluid supply unit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and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opens the distribution valve opening /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의 개폐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응축수 밸브 개폐모듈을 더 포함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densate valve opening / closing module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는 응축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생성된 응축수가 소정 수위 이상 생성될 경우, 상기 응축수 배출부를 개방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ndensate detection sensor inside the chamber,
And opens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when condensed water generated inside the chamber is generated over a predetermined water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 순환펌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제1 유체 또는 상기 제2 유체를 상기 챔버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irculation pump inside the chamber,
Wherein the circulation pump circulates the first fluid or the second fluid within the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연결되는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상기 패널이 상기 챔버 내에서의 높낮이가 가변되는,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e module coupled to the panel,
Wherein the panel is adjustable in height in the chamber by the drive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수증기이고, 상기 제2 유체는 압축공기인,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luid is water vapor and the second fluid is compressed air.
KR20120156809A 2012-12-28 2012-12-28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 KR101495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6809A KR101495705B1 (en) 2012-12-28 2012-12-28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6809A KR101495705B1 (en) 2012-12-28 2012-12-28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464A true KR20140092464A (en) 2014-07-24
KR101495705B1 KR101495705B1 (en) 2015-02-25

Family

ID=5173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6809A KR101495705B1 (en) 2012-12-28 2012-12-28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7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27221A (en) * 2022-11-08 2023-03-03 三峡大学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large-diameter pipeline cr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012B1 (en) * 2019-06-07 2019-12-06 (주)삼명이엔씨 nonexcavating curing system of water pipe providing high purified steam alternatively and curing method
KR102043311B1 (en) * 2019-06-07 2019-11-12 (주)삼명이엔씨 nonexcavating curing system of water pipe with alternating steam supply and curing method
KR102053011B1 (en) * 2019-06-07 2019-12-06 (주)삼명이엔씨 nonexcavating curing system of water pipe providing high purified steam
KR102472839B1 (en) * 2020-10-14 2022-12-01 주식회사 티알신소재 coating method for metal pipe interi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611A (en) * 1999-03-01 2000-09-12 Tokyo Gas Co Ltd Water supply device used for reversal sealing method and non excavation resin lining method for existing piping
JP2007245473A (en) * 2006-03-15 2007-09-27 Sekisui Chem Co Ltd Method for reclaiming existing pipe and gas supply apparatus used in reclamation of existing pipe
JP5153701B2 (en) * 2009-03-19 2013-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Fluid distribu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27221A (en) * 2022-11-08 2023-03-03 三峡大学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large-diameter pipeline crack
CN115727221B (en) * 2022-11-08 2024-04-19 三峡大学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cracks of large-diameter pipe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705B1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705B1 (en)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
KR1014742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
KR100761923B1 (en) Non-digging Sewerage Mending Apparatus
KR1015565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pipes with environmentally compatible impervious membrane
US7094308B1 (en) Method for sealing an annular space
KR101125215B1 (en) Non-digging sewerage mend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358587B1 (en) Apparatus for repairing waterworks and sewer by injecting chemical agent and method thereof
KR101935401B1 (en) Pipeline repairing device
CN107672155A (en) A kind of Pneumatic turnover equipment and renovation technique for pipeline rehabilitation
KR101524598B1 (en) Manifold device for reparing conduit in non-excavation manner
KR101265736B1 (en) Structure of non-woven fabric for repairing pipe, manufacturing equipment of liner for repairing pipe and method of repairing pipe by non-excavation
KR101414235B1 (en) Reparing method for conduit using changeable reparing device
KR101541650B1 (en) Duct Repair Method and Duct Repair Device
KR101683260B1 (en) Apparatus for repairing underground pipeline easy to condensate drain and seal and, method for repairing underground pipeline using this same
EP2456926B1 (en) A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unclogging and repairing a clogged drain
KR100977049B1 (en) Method of repairing pipe by non- excavation using low temperature curable resin impregnated in place
CN207327592U (en) A kind of Pneumatic turnover equipment for pipeline rehabilitation
US200702587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airing subterranean structures
KR101005330B1 (en) Impregnating device of liner
KR20110017209A (en) Temporary water cut off system of water supply / drainage duct line
KR102043311B1 (en) nonexcavating curing system of water pipe with alternating steam supply and curing method
KR100922845B1 (en) Trenchless technology with selective flange use lay underground water pipe supply and drainage
KR100817852B1 (en) Construction vehicle for water supply or drain pip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23270B1 (en) A Water Turning Method and Repairing Method for Pipe Lines with Non-Excavation
KR101495707B1 (en) Conduit reparing device having changeable dia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