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614A - 터치 스크린 상에서 풀 스크린 모드의 턴 온 및 오프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상에서 풀 스크린 모드의 턴 온 및 오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614A
KR20140091614A KR1020147017171A KR20147017171A KR20140091614A KR 20140091614 A KR20140091614 A KR 20140091614A KR 1020147017171 A KR1020147017171 A KR 1020147017171A KR 20147017171 A KR20147017171 A KR 20147017171A KR 20140091614 A KR20140091614 A KR 20140091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predetermined
screen mode
rti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949B1 (ko
Inventor
알렉스 닐리 에인즐리
로마 라즈니 샤
Original Assignee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9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Abstract

터치 스크린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 및 오프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다. 몇몇의 측면들에서, 방법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입력이 제1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입력이 제1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제1 소정의 제스처가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상에서 풀 스크린 모드의 턴 온 및 오프{TURNING ON AND OFF FULL SCREEN MODE ON A TOUCHSCREEN}
대상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 내의 터치 스크린들과 관련된다.
터치 스크린들은 현재,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모바일 전화기들, 스마트폰들,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들, 및 내비게이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 내에서 사용된다.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들은 더 이상 물리적인 키보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가상의 키보드가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키들을 누름으로써 태블릿 컴퓨터와 상호작용한다. 사용자들은 또한 예컨대, 그(그녀)의 손가락들 또는 스타일러스(stylus)로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풀 스크린 모드(full screen mode)는 전체 모니터 크기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열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이다. 풀 스크린 모드는 모든 가용한 픽셀을 사용하기 때문에, 풀 스크린 모드는 제한된 스크린 상의 영역(screen real estate)을 갖는, 더 작은 스크린들 상에서의 동작을 더 실용적이게 만든다. 반면에, 툴바(toolbar)들 및 메뉴들이 풀 스크린 모드에서는 숨겨지므로, 사용자들은 툴바들 및 메뉴들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잃는다. 풀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기(exit) 위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툴바들, 메뉴들 또는 탭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터치 스크린을 누르고 그 다음으로 풀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탭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다시 눌러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turn on) 및 오프(off)하기 위한 더 사용자 친숙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혁신적인 측면에서, 개시된 대상 발명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풀 스크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디스플레이(graphical display)가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입력이 제1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입력이 제1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하기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입력이 터치 스크린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영역은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에지(edge)일 수 있다. 소정의 영역은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에지 내의 픽셀들의 소정의 개수의 라인(lin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정의 제스처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을 따라 드래그하기 위한 제스처일 수 있다. 제1 소정의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의 중심 쪽으로의 드래깅(dragging) 제스처일 수 있다. 제1 소정의 제스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상단 에지(top edge)로부터 드래그하는 하향의(downward) 제스처,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하단 에지(bottom edge)로부터 드래그하는 상향의(upward) 제스처,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우측 에지로부터 드래그하는 좌향의 제스처,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좌측 에지로부터 드래그하는 우향의 제스처일 수 있다. 방법은 입력 제스처의 길이(distance)가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입력 제스처의 길이가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하지 않을 때 터치 스크린 상에 어플리케이션의 툴바(toolbar)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입력 제스처의 길이가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할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풀 스크린 모드가 턴 오프된 때 입력이 제2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입력이 제2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입력이 터치 스크린 상의 제2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정의 영역은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의 터치 센서티브 에지(touch sensitive edge)일 수 있다.
일 혁신적인 측면에서, 개시된 대상 발명은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입력이 어플리케이션이 윈도우 스크린 모드(windowed screen mode)에 있을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입력이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는 단계를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입력이 어플리케이션이 풀 스크린 모드에 있을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입력이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는 단계를 위한 코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혁신적인 측면에서, 개시된 대상 발명은 프로세서,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와 커플된 터치 스크린, 및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 및 터치 스크린과 커플되고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풀 스크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입력이 제1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입력이 제1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는 단계를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하기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입력이 터치 스크린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소정의 제스처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을 따라 드래그하기 위한 제스처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입력 제스처의 길이가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입력 제스처의 길이가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할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풀 스크린 모드가 턴 오프된 때 입력이 제2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입력이 제2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할 수 있다.
유리하게, 대상 기술의 측면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두 번의 클릭들 대신에, 한 번의 제스처로 터치 스크린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 및 오프하기 위한 기법들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터치 스크린과의 상호작용, 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는, 더 간편해지고, 더 용이해지고, 더 직관적이게 될 수 있다.
대상 기술의 다양한 구성들은 실례(illustration)의 방식으로 도시 및 설명된다. 인식하게 되겠지만, 대상 기술은 다른 및 상이한 구성들이 될 수 있고 다른 및 상이한 구성들의 세부 사항들, 모든 대상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다른 측면들에서 변경(modification)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사실상 설명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윈도우 스크린 모드에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도 3은 풀 스크린 모드에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기 위한 제스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제스처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제스처를 나타낸다.
도 10은 대상 기술의 몇몇의 구현들과 함께 구현되는 예시 전자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하기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대상 기술의 다양한 구성들의 기재로서 의도되고 대상 기술이 실시될 수 있는 구성들 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들은 여기에 포함되고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세한 설명은 대상 기술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한 특정한 세부 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상 기술은 여기에 기재된 특정한 세부 사항들에 제한되지 않고 이러한 특정한 세부 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몇몇의 예시들에서, 주지의 구조들 및 구성 요소들은 대상 기술의 개념들을 모호하게(obscure)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 내에서 도시된다.
대상 기술에서는 터치 스크린 상의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 및 오프하기 위한 기법들에 대해 지시된다. 일 기법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한다. 터치 스크린이 윈도우 스크린 모드에 있고 사용자 입력이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기 위한 소정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는 턴 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풀 스크린 모드에 있고 사용자 입력이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는 턴 오프될 수 있다. 기법은 풀 스크린 모드의 의도치 않은 종료(unintended exit)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영역에서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법은 또한 풀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오버스크롤(overscroll) 입력과 구별(distinguish)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 제스처의 길이가 소정의 길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예컨대, 웹 브라우저를 통해 또는 전문화된(specialized)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한 여하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예컨대,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전화기, PDA, 스마트폰, 텔레비젼, 모디터, 또는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인식할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전자 디바이스(100)는 버스(104)를 통해 서로 커플된, 프로세서(101), 메모리(102), 및 터치 스크린(10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예컨대, 메모리(102)와 같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내에 저장된 컴퓨터 인스트력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단일한 프로세서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여하한 상업적으로 가용한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31) 및 터치 센서들(1032)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31)는 프로세서(101)로부터의 신호들에 따라 다중-픽셀 그래픽(multiple-pixel graphic)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들(103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31)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31)의 상단 표면(top surface)을 터치할 때 사용자 입력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3)은 예컨대, 정전식 패널, 표면 정전 용량식 패널(surface capacitance panel), 프로젝티드 정전식 패널(projected capacitance panel), 저항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resistive touchscreen panel), 표면 초음파 패널(surface acoustic wave panel), 음향 펄스 인식 패널(acoustic pulse recognition panel), 적외선 패널(infrared panel), 스트레인 게이지 패널(strain gauge panel), 광학 이미징 패널(optical imaging panel), 및 진동 인식 패널(dispersive signal technology panel)과 같은 여하한 상업적으로 가용한 터치 스크린들일 수 있다.
메모리(102)는 데이터 및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메모리(102)는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해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로부터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터치 센서들(1032)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프로그래밍하는 것, 사용자 입력에 따라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 또는 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따라서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루틴(routine)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01)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모드 컨트롤 모듈(1021)에 의해 제어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은 하기에서 도 4, 6 및 8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윈도우 스크린 모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201)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103)을 나타낸다. 도시된 것처럼, 터치 스크린(103)은 그래픽 디스플레이(201)에 의해 완전하게 점유된다. 그래픽 디스플레이(201)는 그래픽 디스플레이(201)의 중심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202)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201)의 하단에서 메뉴 바(203)를 포함할 수 있다. GUI(202)는 툴바(2021) 및 콘텐트 부분(20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일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스프레드시트 어플리케이션, 프리젠테이션 어플리케이션, 게이밍 어플리케이션, 맵핑(mapping)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일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3은 풀 스크린 모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201)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103)을 나타낸다. 도시된 것처럼, 터치 스크린(103)은, 그래픽 디스플레이(201) 대신에, GUI(202)의 콘텐트 부분(2022)에 의해 완전하게 점유된다. GUI(202)의 툴바(2021) 및 메뉴바(203)는 숨겨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기 위한 프로세스(400)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400)는 도 1에서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터치 스크린(103)이 윈도우 스크린 모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201)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단계(4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401)에서, 터치 센서들(1032)은 터치 스크린(103) 상에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401)는 반복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otherwise), 단계(402)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터치 센서들(1032)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사용자 입력이 터치 스크린(103)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영역은, 예컨대, GUI(202)의 상단 에지, 하단 에지, 좌측 에지 또는 우측 에지와 같은, GUI(202)의 터치 센서티브 에지 또는 프레임(fram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영역은, 의도치 않은 풀 스크린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GUI(202)의 상단 에지 내의 픽셀들의 5개의 최상단 라인(topmost line)들로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401)로 돌아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404)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GUI(202)의 소정의 부분을 드래그하기 위한 드래그 제스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방향은 GUI(202)의 중심으로부터 밖으로 향하는(outward)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GUI(202)의 하단 에지를 드래그하는 하향의 제스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GUI(202)의 상단 에지를 드래그하는 상향의 제스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GUI(202)의 좌측 에지를 드래그하는 좌향의 제스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GUI(202)의 우측 에지를 드래그하는 우향의 제스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특정한 에지(예컨대, 상단 에지)로부터만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제스처가 아니면, 프로세스는 단계(401)로 돌아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405)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풀 스크린 모드가 턴 온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프로세서(101)가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고 도 3에 도시된 풀 스크린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루틴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GUI(202)의 에지들, GUI(202)의 툴바(2021) 및 메뉴 바(203)는 숨겨지고, GUI(202)의 콘텐트 부분(2022)은 터치 스크린(103)을 완전하게 점유하도록 확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단계들의 시퀀스를 제한하기 보다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단계(404)는 단계(403) 전에 수행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03)이 풀 스크린 모드일 때,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풀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다음의(subsequent)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프로세스(600)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600)는 도 1에서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터치 스크린(103)이 풀 스크린 모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201)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단계(6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601)에서, 터치 센서들(1032)은 터치 스크린(103) 상에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601)는 반복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602)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터치 센서들(1032)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사용자 입력이 터치 스크린(103)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영역은, 예컨대, 콘텐트 부분(2022)의 상단 에지, 하단 에지, 좌측 에지 또는 우측 에지와 같은, 또한 풀 스크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03)의 상단, 하단, 좌측 또는 우측 에지인, 콘텐트 부분(2022)의 에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영역은, 의도치 않은 풀 스크린 종료를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콘텐트 부분(2022)의 상단 에지 내의 픽셀들의 5개의 최상단 라인들로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터치 스크린(103)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601)로 돌아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604)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콘텐트 부분(2022)의 소정의 에지를 드래그하기 위한 드래그 제스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방향은 콘텐트 부분(2012)의 중심, 또한 풀 스크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03)의 중심의 방향인 안쪽을 향하는 방향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콘텐트 부분(2022)의 하단 에지를 드래그하는 상향의 제스처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콘텐트 부분(2022)의 상단 에지를 드래그하는 하향의 제스처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콘텐트 부분(2022)의 우측 에지를 드래그하는 좌향의 제스처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콘텐트 부분(2022)의 좌측 에지를 드래그하는 우향의 제스처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특정한 에지(예컨대, 하단)로부터만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제스처가 아니면, 프로세스는 단계(601)로 돌아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605)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풀 스크린 모드가 턴 오프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프로세서(101)가 도 3에 도시된 풀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고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스크린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루틴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완전한 GUI(202)는 터치 스크린(103)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되고, 메뉴 바(203)는 터치 스크린(103)의 하단에서 디스플레이된다.
터치 스크린들을 포함하는 몇몇의 전자 디바이스들은, 사용자들이 터치 스크린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항목들의 리스트의 시작 또는 끝을 넘어 스크롤(scroll)하는 것을 허용하는, 오버스크롤 특징을 가진다. 풀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와 유사하게, 항목들의 리스트의 끝을 넘어 스크롤하기 위한 입력은 상향의 드래그 제스처이기 때문에, 풀 스크린 모드의 의도치 않은 종료를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이러한 두 가지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프로세스(800)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800)는 도 1에서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임계 길이를 사용함으로써 풀 스크린 모드의 의도치 않은 종료를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스(80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 스크린(103)이 풀 스크린 모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201)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단계(8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801)에서, 터치 센서들(1032)은 터치 스크린(103) 상에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801)는 반복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802)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터치 센서들(1032)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803)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사용자 입력이 터치 스크린(103)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영역은, 예컨대, 콘텐트 부분(2022)의 상단 에지, 하단 에지, 좌측 에지 또는 우측 에지와 같은, 또한 풀 스크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03)의 상단, 하단, 좌측 또는 우측 에지인, 콘텐트 부분(2022)의 에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영역은, 의도치 않은 풀 스크린 종료를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콘텐트 부분(2022)의 상단 에지 내의 픽셀들의 5개의 최상단 라인들로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터치 스크린(103)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801)로 돌아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804)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콘텐트 부분(2022)의 소정의 부분을 드래그하기 위한 드래그 제스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방향은 콘텐트 부분(2022)의 중심, 또한 풀 스크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03)의 중심의 방향인 안쪽을 향하는 방향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콘텐트 부분(2022)의 하단 에지를 드래그하는 상향의 제스처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콘텐트 부분(2022)의 상단 에지를 드래그하는 하향의 제스처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콘텐트 부분(2022)의 우측 에지를 드래그하는 좌향의 제스처이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제스처는 콘텐트 부분(2022)의 좌측 에지를 드래그하는 우향의 제스처이다.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제스처가 아니면, 프로세스는 단계(801)로 돌아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805)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터치 스크린(103) 상의 사용자 입력의 제스처의 길이가 임계 길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임계 길이는 예컨대, 100 픽셀일 수 있다.
임계 길이를 초과하지 않으면,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사용자 입력이 풀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입력이 아님을 결정할 수 있고, 프로세스는 단계(801)로 돌아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에게 그(그녀)가 드래그 제스처를 계속하면 풀 스크린 모드가 턴 오프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해,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GUI(202)의 숨겨진 툴바(2021)를 터치 스크린(103)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세서(101)를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스크린 제어 모듈(1021)은 디스플레이된 툴바(2021)를 움직이도록(animate) 프로세서(101)를 제어(control to)할 수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툴바(2021)는 오버스크롤 입력의 경로를 따라서 나타난다.
사용자 입력 제스처의 길이가 임계 길이를 초과하면, 단계(806)에서, 스크린 모드 제어 모듈(1021)은 사용자 입력이 풀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입력인지를 결정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풀 스크린 모드를 종료하고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스크린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루틴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10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대상 기술의 몇몇의 구현들과 함께 구현되는 전자 시스템(1000)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0)가 전자 시스템(1000)의 배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 (1000)은 컴퓨터(예컨대, 모바일 전화기, PDA), 또는 여하한 다른 종류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시스템은 다양한 타입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 및 다양한 다른 타입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전자 시스템(1000)은 버스(1005), 프로세싱 유닛(들)(1010), 시스템 메모리(1015), 읽기-전용 메모리(1020), 영구적 저장 디바이스(permanent storage device)(1025), 입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30), 출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35)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40)를 포함한다.
버스(1005)는 모든 시스템, 주변 장치(peripheral) 및 전자 시스템(1000)의 수많은 내부 디바이스들을 통신적으로(communicatively) 연결하는 칩셋 버스들을 일괄적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버스(1005)는 프로세싱 유닛(들)(1010)을 읽기-전용 메모리(1020), 시스템 메모리(1015) 및 영구적 저장 디바이스(1025)와 통신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다양한 메모리 유닛들로부터, 프로세싱 유닛(들)(1010)은 대상 기술의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해 실행할 인스트럭션들 및 처리할 데이터를 가져온다(retrieve). 프로세싱 유닛(들)은 상이한 구현들 내에서 단일한 프로세서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Memory; ROM)(1020)는 전자 시스템의 프로세싱 유닛(들)(1010) 및 다른 모듈들에 의해 요구되는 정적 데이터 및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한다. 반면에, 영구적 저장 디바이스(1025)는 읽기-및-쓰기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전자 시스템(1000)이 꺼진(off) 때에도 인스트럭션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이다. 대상 기술의 몇몇의 구현들은 대용량-저장(mass-storage) 디바이스(예컨대, 자기 또는 광 디스크 및 이에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영구적 저장 디바이스(1025)로서 사용한다.
다른 구현들은 제거 가능한(removable) 저장 디바이스(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및 이에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영구적 저장 디바이스(1025)로서 사용한다. 영구적 저장 디바이스(1025)와 같이, 시스템 메모리(1015)는 읽기-및-쓰기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그러나, 영구적 저장 디바이스(1025)와는 달리, 시스템 메모리(1015)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읽기-및-쓰기 메모리이다. 시스템 메모리(1015)는 실시 시간에서(at runtime) 프로세서가 필요로 하는 일부의 인스트럭션들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몇몇의 구현들에서, 대상 기술의 프로세스들은 시스템 메모리(1015), 영구적 저장 디바이스(1025) 및/또는 읽기-전용 메모리(1020) 내에 저장된다. 예컨대, 다양한 메모리 유닛들은, 몇몇의 구현들에 따른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들 내의 네트워크들을 구성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메모리 유닛들로부터, 프로세싱 유닛(들)(1010)은 몇몇의 구현들의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해 실행할 인스트럭션들 및 처리할 데이터를 가져온다(retrieve).
버스(1005)는 또한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들(1030 및 1035)에 연결한다. 입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30)는 사용자가 정보를 통신하고 전자 시스템에 대한 명령들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의 구현들은 예컨대,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들 양자로서 기능하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도 10에서, 버스(1005)는 또한 전자 시스템(1000)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40)를 통해 네트워크(미도시)와 커플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전자 시스템(1000)은 (예컨대, 지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컴퓨터들의 네트워크의 일부 또는 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전자 시스템(1000)의 여하한 또는 모든 구성요소들은 대상 기술과 함께(in conjunction with)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특징들 및 어플리케이션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참조됨) 상에 기록된 인스트럭션들의 세트로서 구체화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들로서 구현된다. 이러한 인스트럭션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프로세서들의 코어들, 또는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해 실행될 때,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싱 유닛(들)이 인스트럭션들 내에 지시된(indicated) 동작(action)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의 예시들은 콤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들, 플래시 드라이브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칩들, 하드 드라이브들,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ing Read-Only Memory; EPROM)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무선으로 또는 유선 연결들을 통해 전달하는 반송파(carrier wave)들 및 전자 신호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를 위해 메모리로 독출될 수 있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자기 저장 장치(storage)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내에 상주하는 펌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또한, 몇몇의 구현들에서, 복수의 소프트웨어 기술들은 구별되는(distinct) 소프트웨어 기술들이 남아있는(remaining) 더 큰 프로그램의 소-부분들(sub-parts)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의 구현들에서, 복수의 소프트웨어 기술들은 또한 별개의 프로그램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여기에서 설명된 소프트웨어 기술을 함께 구현하는 별개의 프로그램들의 여하한 조합은 대상 기술의 범위에 속한다. 몇몇의 구현들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이 하나 이상의 전자 시스템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설치될 때,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의 동작(operation)들을 실행 및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특정 기계 구현(specific machine implementation)들을 정의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또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서 알려짐)은 컴파일된 또는 해석된(compiled or interpreted) 언어들, 선언적 또는 절차적(declarative or procedural) 언어들을 포함하는 여하한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여질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스탠드 어론(stand alone)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subroutine), 객체 또는 컴퓨팅 환경 내의 사용을 위해 적합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여하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 내의 파일에 대응할 수 있으며 아닐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들 또는 데이터(예컨대,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문서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들)를 수용(hold)하고 있는 파일의 부분, 해당하는(in question) 프로그램 전용의 단일한 파일 또는 복수의 연계된(coordinated) 파일들 내에 저장될 수 있다(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들, 서브 프로그램들, 또는 코드의 부분들을 저장하는 파일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또는 하나의 구역(site) 또는 복수의 구역들에 걸쳐 분산된 곳에 위치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연결된(interconnected) 복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이러한 기능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망(circuitry),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기법들은 하나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products)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들 및 컴퓨터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내에 포함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들로서 패키지될(packaged) 수 있다. 프로세스들 및 논리 흐름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들에 의해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회로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및 특별한 목적의 디바이스들 및 저장 디바이스들이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의 구현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을 기계-판독(machine-readable) 가능 또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 기계-판독 가능 매체들 또는 기계-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로서 참조됨) 내에 저장하는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저장 장치 및 메모리와 같은 전자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몇몇의 예시들은 RAM, ROM, 읽기-전용 콤팩트 디스크(CD-ROM)들, 기록 가능한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recordable; CD-R)들, 재기입 가능한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ReWritable; CD-RW)들, 읽기-전용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들(예컨대, DVD-ROM, 듀얼-레이어(dual-layer) DVD-ROM), 여러 가지의(a variety of) 재기록/재기입 가능한 DVD들(예컨대, DVD-RAM, DVD-RW, DVD+RW 등),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보안 디지털(Secure Digital; SD) 카드들, 미니-SD 카드들, 마이크로-SD 카드들 등), 자기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하드 드라이브들, 읽기-전용 및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Blu-Rayㄾ) 디스크들, 초 집적 광 디스크(ultra density optical disc)들, 여하한 다른 광 또는 자기 매체들, 및 플로피 디스크들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의 세트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컴퓨터 코드의 예시들은, 예컨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되는(produced) 것과 같은 기계 코드, 및 해석기(interpreter)를 사용하는 컴퓨터, 전자 구성요소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고-수준(higher-level)의 코드를 포함하는 파일들을 포함한다.
앞선 주된 논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을 참조하지만, 몇몇의 구현들은 예컨대,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들 또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에 의해 수행된다. 몇몇의 구현들에서, 이러한 집적 회로들은 회로 자체 상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본 명세서 및 본 출원의 여하한 청구범위 내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들 "컴퓨터", "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모든 전자 또는 다른 기술적인 디바이스들을 참조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사람들 또는 사람들의 그룹들을 배제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들을 위해, 용어들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본 출원의 여하한 청구범위 내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는 유형의(tangible) 물리적인 객체들로 전체적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여하한 무선 신호들, 유선의 다운로드 신호들 및 다른 여하한 단속적인 신호들(ephemeral signals)을 배제한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 발명의 구현들은 사용자에 대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갖는 컴퓨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대상 발명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 엔드(back end)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예컨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된 대상 발명의 구현과 상호작용할 수 있음)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 엔드(front end)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이러한 백 엔드, 미들웨어 또는 프론트 엔트 구성요소들의 여하한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여하한 형식 또는 매체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들의 예시들은 지역 네트워크("LAN") 및 광역 네트워크("WAN"), 인터-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및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들(예컨대, 애드 혹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컴퓨팅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들 및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원격에 존재하고(remote from each other)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관계는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갖고 각각의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되는(running on)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by virtue of) 나타난다(arise). 몇몇의 측면들에서, 서버는 데이터(예컨대,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페이지)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송한다(예컨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함께 상호작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목적들을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사용자 상호작용의 결과)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 내의 단계들의 여하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hierarchy)은 예시 접근법들의 설명인 것으로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반하여, 프로세스들 내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은 재배열될 수 있거나 모든 설명된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단계들의 몇몇은 동시에(simultaneously)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상황들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게다가, 전술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분리(separation)는 이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하고, 설명된 프로그램 구성요소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한 소프트웨어 제품 내에 함께 통합되거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제품들 내에 패키지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은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문서에서 정의된 포괄적인 원리들(generic principles)은 다른 측면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본 문서에서 보여지는 측면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표현(language claims)과 일치하는 전체의 범위에 부합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단수의 요소에 대한 참조는 특별하게 그렇게 기재되지 않은 한 "하나 및 오직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이상"으로 의도된다. 특별하게 기재되지 않은 한, 용어 "몇몇의"는 "하나 이상의"를 참조한다. 남성의 대명사(예컨대, 그의)는 여성 및 중성(예컨대, 그녀의 및 그것의)을 포함하고 그 역 또한 같다(vice versa). 제목들(headings) 및 부제목들(subheadings)이 만약에 있다면, 제목들 및 부제목들은 오직 편의를 위해서만 사용되고 대상 기술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측면"과 같은 문구는 이러한 측면이 대상 기술에 대해 필수적이거나 이러한 측면이 대상 기술의 모든 구성들(configurations)에 적용되는 것을 함축하지 않는다. 일 측면과 관련된 개시는 모든 구성들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측면과 같은 문구는 하나 이상의 측면들을 참조할 수 있고 그 역 또한 같다. 예컨대, "구성"과 같은 문구는 이러한 구성이 대상 기술에 필수적이거나 이러한 구성이 대상 기술의 모든 구성들에 적용되는 것을 함축하지 않는다. 일 구성과 관련된 개시는 모든 구성들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 구성과 같은 문구는 하나 이상의 구성들을 참조할 수 있고 그 역 또한 같다.

Claims (20)

  1. 터치 스트린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구현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입력 제스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디스플레이(graphical display)가 풀 스크린 모드(full screen mode)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입력 제스처가 제1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제1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turning off)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구현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구현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상기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에지(edge)인, 컴퓨터-구현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상기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상기 에지 내의 픽셀들의 소정의 개수의 라인(line)들을 포함하는, 컴퓨터-구현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의 제스처는 상기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을 따라 드래그하기 위한 제스처인, 컴퓨터-구현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의 제스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중심 쪽으로의 드래깅(dragging) 제스처인, 컴퓨터-구현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의 제스처는 상기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상단 에지(top edge)로부터 드래그하는 하향의(downward) 제스처, 상기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하단 에지(bottom edge)로부터 드래그하는 상향의(upward) 제스처, 상기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우측 에지로부터 드래그하는 좌향의 제스처, 및 상기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좌측 에지로부터 드래그하는 우향의 제스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컴퓨터-구현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스처의 길이(distance)가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구현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스처의 상기 길이가 상기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툴바(toolbar)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구현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스처의 길이가 상기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할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구현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풀 스크린 모드가 턴 오프된 때 상기 입력 제스처가 제2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제2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turn on)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구현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제2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구현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의 영역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의 터치 센서티브 에지(touch sensitive edge)인, 컴퓨터-구현된 방법.
  14. 터치 스트린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입력 제스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윈도우 스크린 모드에 있을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풀 스크린 모드에 있을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기 위한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6.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
    버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된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버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터치 스크린과 커플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입력 제스처를 수신하는 단계;
    풀 스크린 모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디스플레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입력 제스처가 제1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제1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의 제스처는 상기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을 따라 드래그하기 위한 제스처인, 전자 디바이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입력 제스처의 길이가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제스처의 길이가 상기 소정의 임계 길이를 초과할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오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풀 스크린 모드가 턴 오프된 때 상기 입력 제스처가 제2 소정의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제스처가 상기 제2 소정의 제스처일 때 풀 스크린 모드를 턴 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47017171A 2011-11-30 2012-11-02 터치 스크린 상에서 풀 스크린 모드의 턴 온 및 오프 KR101481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08,466 US8572515B2 (en) 2011-11-30 2011-11-30 Turning on and off full screen mode on a touchscreen
US13/308,466 2011-11-30
PCT/US2012/063418 WO2013081772A1 (en) 2011-11-30 2012-11-02 Turning on and off full screen mode on a touch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614A true KR20140091614A (ko) 2014-07-21
KR101481949B1 KR101481949B1 (ko) 2015-01-12

Family

ID=4846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171A KR101481949B1 (ko) 2011-11-30 2012-11-02 터치 스크린 상에서 풀 스크린 모드의 턴 온 및 오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72515B2 (ko)
EP (1) EP2786230A4 (ko)
KR (1) KR101481949B1 (ko)
CN (1) CN104081318B (ko)
AU (1) AU2012346423B2 (ko)
WO (1) WO2013081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5850B2 (ja) * 2010-09-16 2014-12-0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575615B1 (en) 2011-03-22 2017-02-21 Amazon Technologies, Inc.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US9213460B2 (en) * 2012-01-20 2015-12-15 Cimpress Schweiz Gmbh Visual editing tool buffer region
CN111176516B (zh) * 2012-05-18 2023-10-20 苹果公司 用于操纵用户界面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9075519B2 (en) * 2012-10-11 2015-07-07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displayed work space
US20140195890A1 (en) * 2013-01-09 2014-07-10 Amazon Technologies, Inc. Browser interface for accessing supplemental content associated with content pages
KR102102157B1 (ko) * 2013-03-29 2020-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019947A1 (en) * 2013-07-09 2016-05-18 Google, Inc. Full screen content viewing interface entry
TWM486792U (zh) * 2013-07-23 2014-09-21 Asustek Comp Inc 行動裝置
US8938612B1 (en) * 2013-07-31 2015-01-20 Google Inc. Limited-access state for inadvertent inputs
CN104571794A (zh) * 2013-10-28 2015-04-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571802B (zh) * 2013-10-28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557320B (zh) * 2013-10-31 2020-01-1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Android平台的启动活动的方法和装置
US9588636B1 (en) * 2013-12-17 2017-03-07 Google Inc. Exit full screen mode of a web browser on content-based event
TWI616803B (zh) * 2013-12-27 2018-03-01 宏碁股份有限公司 螢幕畫面的縮放及操作方法、裝置與電腦程式產品
US9658734B2 (en) * 2014-02-17 2017-05-23 Beijing Lenovo Software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3108350B1 (en) 2014-06-24 2022-05-18 Apple Inc. Music now playing user interface
US10120531B2 (en) 2015-09-08 2018-11-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and playing content
CN105739902B (zh) * 2016-02-04 2019-09-20 广州橙行智动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手势识别系统及方法
CN105955657A (zh) * 2016-05-18 2016-09-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6020628B (zh) * 2016-06-12 2019-03-26 浙江慧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标签栏和菜单栏显示状态控制方法
CN106231438A (zh) * 2016-07-28 2016-12-1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菜单呼出方法及装置
KR102607564B1 (ko) * 2016-09-13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키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803979A (zh) * 2017-04-28 2018-11-13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切换显示模式的方法和装置、用于切换显示模式的装置
CN107465808A (zh) * 2017-07-03 2017-12-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定义外壳的方法以及装置
CN112181264A (zh) * 2019-07-03 2021-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势识别方法和装置
CN112181265B (zh) * 2019-07-04 2022-04-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触控信号处理方法、装置及介质
CN111125761A (zh) * 2019-12-23 2020-05-08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基于隐私保护的屏幕显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243A (en) 1990-06-04 1996-12-03 Microsla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imulated keyboards on touch-sensitive displays
JP4758087B2 (ja) 2004-09-27 2011-08-2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090213086A1 (en) * 2006-04-19 2009-08-27 Ji Suk Chae Touch scree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269375B1 (ko) 2006-05-24 2013-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이미지 표시방법
US8296684B2 (en) * 2008-05-23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20090278806A1 (en) * 2008-05-06 2009-11-12 Matias Gonzalo Duarte Extended touch-sensitive control area for electronic device
US8683362B2 (en) * 2008-05-2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EP2320913A4 (en) 2008-08-09 2012-10-03 Univ Iowa Res Found NUKLEINSÄUREAPTAMERE
DE102008054113A1 (de) * 2008-10-31 2010-05-06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Anpassung des Hintergrundbildes auf einem Bildschirm
JP5108747B2 (ja) * 2008-12-26 2012-1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487975B2 (en) * 2009-01-27 2013-07-16 Lifesize Communications, Inc. Conferencing system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s an interface
US8631354B2 (en) * 2009-03-06 2014-01-14 Microsoft Corporation Focal-control user interface
US8566045B2 (en) * 2009-03-16 2013-10-2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20100238123A1 (en) 2009-03-17 2010-09-23 Ozias Orin M Input Device Gesture To Generate Full Screen Change
US20100241958A1 (en) * 2009-03-23 2010-09-23 Ram David Adva Fish Method and system to manage and prioritize windows based on touch strip inputs
KR101729103B1 (ko) * 2010-01-19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TWI495322B (zh) * 2010-01-29 2015-08-01 Htc Corp 訊息顯示方法、行動電話及電腦程式產品
US9990062B2 (en) * 2010-03-26 2018-06-0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WO2012011640A1 (en) * 2010-07-20 2012-01-26 Lg Electronics Inc. Computing device, operating method of the computing device using user interface
KR101749529B1 (ko) * 2010-11-25 201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1772A1 (en) 2013-06-06
KR101481949B1 (ko) 2015-01-12
CN104081318B (zh) 2016-12-21
EP2786230A1 (en) 2014-10-08
US20130135221A1 (en) 2013-05-30
AU2012346423B2 (en) 2015-07-02
EP2786230A4 (en) 2015-11-25
CN104081318A (zh) 2014-10-01
AU2012346423A1 (en) 2014-06-19
US8572515B2 (en)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949B1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풀 스크린 모드의 턴 온 및 오프
US99527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actions
US9026939B2 (en)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input modes for a user interface
US8411060B1 (en) Swipe gesture classification
AU20133133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stackable workspaces
US8451246B1 (en) Swipe gesture classification
US10437425B2 (en) Presenting a menu at a mobile device
US10067628B2 (en) Presenting open windows and tabs
US9459775B2 (en) Post-touchdown user invisible tap target size increase
US10409420B1 (en) Touch interpretation for displayed elements
US9740393B2 (en) Processing a hover event on a touchscreen device
US20150220151A1 (en) Dynamically change between input modes based on user input
US8510675B1 (en) Hiding window borders
US93234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US9335905B1 (en) Content selection feedback
US96067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eview of a digital photo album
US201302652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content display siz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