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384A -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384A
KR20140091384A KR1020130003589A KR20130003589A KR20140091384A KR 20140091384 A KR20140091384 A KR 20140091384A KR 1020130003589 A KR1020130003589 A KR 1020130003589A KR 20130003589 A KR20130003589 A KR 20130003589A KR 20140091384 A KR20140091384 A KR 20140091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unit
dust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건
Original Assignee
한일엔브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엔브이(주) filed Critical 한일엔브이(주)
Priority to KR102013000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1384A/ko
Publication of KR20140091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은 적층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관성 루버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 측면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관성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측면에 위치하고 있고, 원통 형상의 관에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 받고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 필터부 방향으로 배출하는 에어 슛터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부, 상기 필터 청소부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필터 청소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fan), 상기 팬을 통과한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환기부,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로부터 걸러진 후 중력에 의해 하부로 떨어진 이물질을 전달 받으며, 경사지도록 형성된 바닥면을 따라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먼지 여과 집진통을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거른다. 이로 인해 필터 시스템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DUST FILTER SYSTME WITH CONTAINER TYPE}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공간 및 산업설비의 환기구조에 적용하고 있는 여과 장치는 기존의 건식 또는 습식 필터를 구비하고, 먼지 등의 여과 대상 이물질을 필터에 부착함으로써 환기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건식 또는 습식 필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기계식 여과 장치는 사용량에 따라서 필터(여과재)를 정기적으로 교체하거나 보수해야 하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며 교체 및 보수에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존의 건식 또는 습식 필터를 이용하는 종래의 필터 교체형 여과 장치는 모래폭풍이나 황사와 같은 자연재해로 발생하는 다량의 순간적인 이물질을 여과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여과 장치는 기 설치된 장소로부터 이동 설치되거나 재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터를 교체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먼지 필터 시스템을 컨테이너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은 적층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관성 루버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 측면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관성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측면에 위치하고 있고, 원통 형상의 관에 구멍을 갖도록 형성된 에어 슛터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부, 상기 필터 청소부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필터 청소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fan), 상기 팬을 통과한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환기부,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로부터 걸러진 후 중력에 의해 하부로 떨어진 이물질을 전달 받으며, 경사지도록 형성된 바닥면을 따라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먼지 여과 집진통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청소부의 상기 에어 슛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고, 상기 구멍은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 받은 공기를 상기 제2 필터부 방향으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제2 필터부의 상기 관성 필터에 끼인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 상기 컴프레서와 제1 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상기 압축된 공기를 전달 받아 저장하는 에어 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슛터의 한 단부는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에어 탱크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압축된 공기를 전달 받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제2 호스와 상기 에어 슛터의 한 단부를 연결하도록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자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호스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관성 루버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성 루버를 지지하는 제1 루버 지지대 및 제2 루버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 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필터부로부터 상기 제2 필터부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 가이드, 상기 필터 청소부에 인접하는 상기 관성 필터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터부 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되며, 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거르는 먼지 가이드,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를 분리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세퍼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공기 배출구의 직경은 상기 필터 청소부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공기 필터 청소부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에 이르기까지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공기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필터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 필터부의 바닥면은 뚫려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상기 필터 청소부, 상기 환기부, 그리고 상기 먼지 여과 집진통은 서로 연결되도록 위치함으로써 일체형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들어온 오염 기체가 관성 루버 및 관성 필터를 통과 하며 관성 루버를 통과하는 여과 대상 이물질이 배출구로 분리되고, 관성 필터를 통과하는 여과 대상 이물질은 먼지 여과 집진통에 모인 후 배출구로 분리된다. 그리고, 에어 슛터는 압력이 있는 공기를 관성 필터 쪽으로 발산함으로써 관성 필터에 끼어있을 수 있는 먼지를 제거한다. 이로 인해 필터의 교환 없이 반영구적으로 필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 대상 이물질이 필터 자체에 달라붙지 않고 하중으로 인해 배출구로 떨어지게 되므로, 모래바람과 같은 갑작스런 이물질 과다 유입 시에도 여과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1)은 제1 필터부(10), 제1 필터부(10)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필터부(20), 제2 필터부(20)의 측면에 위치하고 에어 슛터(310)를 복수 개 구비하는 필터 청소부(30), 필터 청소부(30)의 측면에 위치하고 한 단면에 공기 배출구(410)를 포함하는 환기부(40), 제1 필터부(10)와 제2 필터부(20)에 유입되고 중력으로 인해 하부로 떨어지는 여과 대상 이물질을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먼지 여과 집진통(50), 그리고 제1 필터부(10) 내지 환기부(40)에 이르는 측면에 위치하고 필터 청소부(30)에 압축된 공기를 전달하는 콤프레서(320) 및 에어탱크(33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컨테이너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을 도 2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1 필터부(10)는 복수 개의 관성 루버(110)를 구비한다.
관성 루버(110)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른다. 루버(louver)는 길고 가는 평판을 수평이나 수직 혹은 격자 모양으로 개구부의 앞면에 설치하여 직사광이나 비를 막고, 공기 중의 모래 및 습기를 차단하여 통풍이나 환기를 목적으로 하며, 공기 조화에서는 외기 흡입구, 배기구 등에 이용되는 장치이다.
관성 루버(110)는 제1 루버 지지대(121)와 제2 루버 지지대(122)에 의해 제1 필터부(10)에 고정되어 위치하고, 제1 필터부(10)는 복수 개의 관성 루버(11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출원번호 10-2011-0034508)를 참조하는 관성 루버(110)는 활(bow)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관성 루버(110)의 측면을 도시한 도 2를 참고로 하면 관성 루버(110)는 끝 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를 갖는 반구 형상을 포함(이하 '루버살'이라 이라 함) 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반구 형상을 갖는 루버살의 볼록한 바깥 쪽 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는 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제1 필터부(10)에 유입된 공기가 돌출부와 루버살 사이로 유입 되도록 관성 루버(110)가 제1 필터부(10)에 위치한다.
이러한 돌출부는 루버살의 한 측면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나 먼지, 그리고 습기 등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그리고, 관성 루버(110)의 루버살은 경사면 안쪽에 움푹 패인 형태를 갖는 여과부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여과부는 돌출부로부터 1차적으로 차단되는 모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습기나 기류 속의 먼지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제1 필터부(10)는 제1 필터부(10)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도록 관성 루버(110)를 적층하여 구비하고 있고, 복수 개의 관성 루버(110)들은 제1 루버 지지대(121) 및 제2 루버 지지대(122)로 인해 적층되어 위치한다.
제1 필터부(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필터부(20)는 복수 개의 관성 필터(210) 및 복수 개의 관성 필터(210)에 대응되는 먼지 가이드(220)를 포함한다.
관성 필터(210) 및 먼지 가이드(220)는 본 출원인의 등록 특허(등록 번호 10-1099016)를 참조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도 3을 참고로 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필터 청소부(30)는 제2 필터부(20)의 측면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에어 슛터(310)를 구비하며,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에어 탱크(330) 및 콤프레서(320)는 제1 필터부(10) 내지 환기부(40)에 이르는 측면에 위치한다.
콤프레서(compressor)(320)는 제1 호스(321)를 통해 에어 탱크(330)와 연결되어 위치한다. 콤프레서(320)는 공기를 압축하고, 제1 호스(321)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에어 탱크(330)로 공급한다.
에어 탱크(air tank)(330)는 제1 호스(321)를 통해 콤프레서(320)로부터 전달 받은 압축된 공기를 저장한다. 이 때, 제1 호스(321)는 유연성 있는 관 또는 호스인 것이 좋다.
그리고, 에어 탱크(33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호스(340)를 구비한다. 제2 호스(340)는 에어 탱크(330)와 에어 슛터(310)를 연결하는 관 또는 호스이다. 이러한 제2 호스(340)는 에어 탱크(330)에 저장되어 있는 공기를 에어 슛터(310)로 전달한다.
제2 호스(340)와 에어 슛터(310)는 밸브(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밸브(미도시)가 열려있도록 제어되는 상태인 경우, 에어 탱크(330)에 저장되어 있는 공기가 제2 호스(340)를 통해 에어 슛터(310)로 전달된다. 반대로, 밸브(미도시)가 닫혀 있도록 제어되는 상태인 경우, 에어 탱크(330)에 저장되어 있는 공기가 에어 슛터(310)로 전달되지 않는다.
밸브(미도시)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밸브(valve)로서,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전자 신호를 전달 받아 개폐된다.
컨트롤러(미도시)는 에어 탱크(330)로부터 에어 슛터(310)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밸브(미도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 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으로, 에어 탱크(330)와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밸브(미도시)의 개폐로 인해, 밸브(미도시)가 위치하는 제2 호스(340) 및 에어 슛터(310)의 연결 통로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에어 탱크(330)에 저장되어 있던 압축된 공기가 제2 호스(340)를 통해 에어 슛터(310)로 전달 되게 된다.
필터 청소부(30)에 위치하는 에어 슛터(310)는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관의 형상을 갖고 있고, 에어 슛터(310)의 한 단부는 필터 청소부(30)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하며, 에어 슛터(310)의 한 단부는 밸브(미도시)를 통해 제2 호스(340)와 연결된다. 또한, 에어 슛터(310)는 원통 형상의 관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311)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 슛터(310)는 제2 호스(340)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전달 받고, 홀(311)을 통해압축된 공기를 제2 필터부(20) 방향으로 배출한다. 홀(311)을 통해 제2 필터부(20) 방향으로 배출된 압축된 공기는 제2 필터부(20) 내부에 위치하는 관성필터(210)에 끼어있는 먼지를 제거한다.
이 때, 홀(31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속도를 갖고 제2 필터부(20)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는 에어 탱크(330)에 저장되어 있던 압축된 공기가 밸브(미도시)가 열림에 따라 에어 슛터(310)를 통과하며 빠른 속도의 공기로 배출한다.
그리고, 환기부(40)는 필터 청소부(30)의 측면에 위치하고 한 단면에 공기 배출구(410)를 포함한다.
환기부(40)는 공기 수집부(4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수집부(420)는 필터 청소부(30)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 배출구(410)까지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공기 배출구(410)는 외부로부터 제1 필터부(10)에 유입되어 제2 필터부(20), 필터 청소부(30) 및 공기 수집부(420)를 통과한 공기를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1) 외부로 배출한다.
이 때, 공기 배출구(410)는 프로펠러 형상을 갖는 팬(fan)(411)을 더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팬(411)은 공기 수집부(420)로부터 공기 배출구(410)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공기 수집부(420)에서 공기 배출구(410)로 이동하는 공기를 최종적으로 필터링 한다.
먼지 여과 집진통(50)은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1)의 하부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필터부(10) 및 제2 필터부(20)의 하부에 걸쳐 위치하여 제1 필터부(10) 및 제2 필터부(20)에 유입되었다가 관성루버(110) 및 관성필터(210)의 작용 및 먼지들의 하중으로 인해 하부로 떨어지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전달 받는다.
먼지 여과 집진통(50)은 제1 필터부(10) 및 제2 필터부(20)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전달 받기 위해, 먼지 여과 집진통(50)의 상부는 뚫려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필터부(10) 및 제2 필터부(20)로부터 전달 받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먼지 여과 집진통(50)은 공기 배출구(410) 방향으로 위치하는 먼지 여과 집진통(50)의 한 단면을 뚫려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먼지 여과 집진통(50)은 두 개의 측면 및, 두 측면을 잇는 하나의 밑면인 3개의 면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이 때 두 개의 측면은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1)의 측면에 평행하도록 이어져 형성되며 하나의 밑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먼지 여과 집진통(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쓰레받기와 비슷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먼지 여과 집진통(50)은 제1 필터부(10) 및 제2 필터부(20)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밑면을 따라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위치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1)의 평면도를 나타낸도 3을 참고로 하여 제1 필터부(10)의 관성 루버(110), 제2 필터부(20) 및 필터 청소부(30)의 에어 슛터(310)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고로 하여 제1 필터부(10)의 관성 루버(110)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 루버 지지대(121) 및 제2 루버 지지대(122)로 인해 제1 필터부(10) 내부에 위치하는 관성 루버(110)는 루버살 및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관성 루버(110)를 위에서 바라보면 도 3과 같이 복수 개의 판이 겹쳐진 것처럼 보이게 된다.
그리고, 제2 필터부(20)는 복수 개의 관성 필터(210), 먼지 가이드(220), 공기 가이드(240) 및 세퍼레이터(23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관성 필터(210)는 '<' 형상을 갖는 구조물로서, 복수의 관성 필터(210)는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함으로써 제2 필터부(20)에 유입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한다.
이러한 관성 필터(210)는 흡착형이 아닌 중력과 관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설치 후 별도의 교체 품목이 없는 반영구적 필터이다.
하나의 먼지 가이드(220)는 복수 개의 관성 필터(210)에 대응하여 관성 필터(210)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2 필터부(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위치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먼지 가이드(220)는 필터 청소부(30)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외부로부터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1)에 유입되는 공기는 제1 필터부(10)로부터 필터 청소부(30) 방향으로 진행하므로, 먼지 가이드(220)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기의 진행을 막는 방향으로 위치한다.
먼지 가이드(220)는 안쪽으로 절곡(折曲)되는 역류 방지턱을 포함하여 형성되는데, 역류 방지턱은 먼지 가이드(220)에 진입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관성 필터(210)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을 갖는 이물질이 제2 필터부(20)의 하부로 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 가이드(240)는 관성 필터(210)의 한 측면에 위치하여 제2 필터부(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시킨다.
세퍼레이터(separator)(230)는 제1 필터부(10)로부터 먼지 가이드(220)에 유입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으로 길게 위치한다. 세퍼레이터(230)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성 필터(210)들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제2 필터부(20)에 유입된 공기를 분리한다.
이러한 세퍼레이터(230)는 제2 필터부(20)에 내부에 수직으로 위치함으로써 제2 필터부(20)를 지지하는 역할도 갖는다.
또한, 복수 개의 에어 슛터(310)는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하나의 먼지가이드(220)와 인접하는 먼지가이드(2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슛터(310)의 밸브(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홀(311)을 통해 압축된 공기를 제2 필터부(20)로 배출함으로써 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관성 필터(210)들에 끼어 있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설계됨으로써, 이물질을 포함하는 외부의 공기가 다량 유입되어도 깨끗한 공기로 필터링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기 필터링에 사용되는 필터들은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구성들이므로, 유지 보수에 비용이 적게 들어간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모래나 먼지, 습기 또는 이물질 등을 포함한 외부의 공기가 제1 필터부(10)에 유입된다. 외부로부터 제1 필터부(10)에 유입된 공기는 관성 루버(110)를 통과하며 이 때,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또는 습기 등의 이물질이 루버살 및 돌출부 사이에 끼게 된다.
동시에, 모래와 같은 하중이 있는 이물질은 중력으로 인해 관성 루버(110)의 하부로 떨어져먼지 여과 집진통(50)으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에 1차적으로 끼게 되는 모래나 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습기 등의 이물질은 관성 루버(110)의 여과부를 통해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필터부(10)에 위치하고, 루버살, 돌출부 및 여과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관성 루버(110)로 인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1차적으로 걸러진다.
제1 필터부(10)에서 1차적으로 걸러진 공기는 제2 필터부(20)로 유입되어 공기 가이드(240)를 지나며 저항이 줄어들게 되며, 저항이 줄어든 공기는 세퍼레이터(230)에 의해 분리된다.
이 때 공기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 중 크기가 큰 이물질은 관성에 의해 먼지 가이드(220)로바로 들어가게 되고, 먼지 가이드(220)에 유입된 크기가 큰 이물질은 먼지 가이드(220)에 형성된 역류 방지턱에 걸리게 된다.
공기 가이드(240)를 지남으로 저항이 줄어들고, 중간 크기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복수의 관성 필터(210)를 지나며 회절이 발생한다. 관성 필터(210)에서 발생한 회절로 인해, 공기로부터 걸러진 중간 크기의 이물질은 먼지 가이드(220)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중간 크기의 이물질은 먼지 가이드(220)로 향하는 일정량의 풍량으로 인해 먼지 가이드(220)로 들어가게 된다.
먼지 가이드(220)에 모인 크기가 큰 이물질 또는 중간 크기의 이물질들은 중력으로 인해 하부, 즉 먼지 여과 집진통(50)으로 떨어지게 된다.
제1 필터부(10) 및 제2 필터부(20)로부터 먼지 여과 집진통(50)으로 유입된 이물질들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먼지 여과 집진통(50)의 바닥면으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에어 슛터(310)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있는 공기를 유입 받고 제2 필터부(20) 방향으로 바람을 분사함으로써 관성 필터(210)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때, 에어 슛터(310)에서 제2 필터부(20)로 배출되는 공기는 속도가 강하기 때문에, 제2 필터부(20)로부터 환기부(40)로 이동하는 걸러진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필터부(10), 제2 필터부(2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깨끗한 공기가 되고, 공기 수집부(420)를 따라 이동하며 모아지며, 팬(411)을 지나 공기 배출구(4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을 포함하는 외부의 공기가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1)을 통과하며 깨끗한 먼지 공기로 걸러지게 되고 관성 루버(110) 및 관성 필터(210)는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필터 시스템 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타입의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 및 탈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10 : 제1 필터부
20 : 제2 필터부 30 : 필터 청소부
40 : 환기부 50 : 먼지 여과 집진통
110 : 관성 루버 210 : 관성 필터
220 : 먼지 가이드 230 : 세퍼레이터
240 : 공기 가이드 310 : 에어 슛터
410 : 공기 배출구 411 : 팬

Claims (8)

  1. 적층되어 위치하는 복수 개의 관성 루버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 측면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관성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측면에 위치하고 있고, 원통 형상의 관에 구멍을 갖도록 형성된 에어 슛터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부,
    상기 필터 청소부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및 상기 필터 청소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fan), 상기 팬을 통과한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환기부,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로부터 걸러진 후 중력에 의해 하부로 떨어진 이물질을 전달 받으며, 경사지도록 형성된 바닥면을 따라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먼지 여과 집진통
    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청소부의 상기 에어 슛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받고, 상기 구멍은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 받은 공기를 상기 제2 필터부 방향으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제2 필터부의 상기 관성 필터에 끼인 먼지를 제거하는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2. 제1항에서,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
    상기 컴프레서와 제1 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상기 압축된 공기를 전달 받아 저장하는 에어 탱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슛터의 한 단부는 제2 호스를 통해 상기 에어 탱크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압축된 공기를 전달 받는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제2 호스와 상기 에어 슛터의 한 단부를 연결하도록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자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호스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관성 루버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관성 루버를 지지하는 제1 루버 지지대 및 제2 루버 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 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필터부로부터 상기 제2 필터부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 가이드,
    상기 필터 청소부에 인접하는 상기 관성 필터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필터부 방향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되며, 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거르는 먼지 가이드,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를 분리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세퍼레이터
    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의 직경은 상기 필터 청소부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공기 필터 청소부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에 이르기까지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공기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제1 필터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 필터부의 바닥면은 뚫려 있도록 형성되는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제1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 상기 필터 청소부, 상기 환기부, 그리고 상기 먼지 여과 집진통은 서로 연결되도록 위치함으로써 일체형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KR1020130003589A 2013-01-11 2013-01-11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KR20140091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89A KR20140091384A (ko) 2013-01-11 2013-01-11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89A KR20140091384A (ko) 2013-01-11 2013-01-11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84A true KR20140091384A (ko) 2014-07-21

Family

ID=5173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589A KR20140091384A (ko) 2013-01-11 2013-01-11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13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35B1 (ko) * 2020-09-25 2021-03-02 한국철도공사 철도 지하역사 외기 정화용 관성필터
KR20210112712A (ko) * 2020-03-06 2021-09-15 엽성식 미세먼지 정화 컨테이너
CN117427445A (zh) * 2022-12-30 2024-01-23 南通汉造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循环除尘的智能空气净化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712A (ko) * 2020-03-06 2021-09-15 엽성식 미세먼지 정화 컨테이너
KR102221335B1 (ko) * 2020-09-25 2021-03-02 한국철도공사 철도 지하역사 외기 정화용 관성필터
CN117427445A (zh) * 2022-12-30 2024-01-23 南通汉造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循环除尘的智能空气净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14697B (zh) 具备除尘功能的空调装置
US7998253B2 (en) Airflow reducing and redirecting arrangement for industrial baghouse
US7479170B1 (en) Modular up-draft pressure pulse bag house
US11420137B2 (en) Effluent processing apparatus for a vehicle air brake charging system
CN104764103A (zh) 除湿器
CN104095590A (zh) 吸尘器
KR20140091384A (ko) 컨테이너형 먼지 필터 시스템
CN218357991U (zh) 一种一体式二级布袋滤筒除尘器
US20110162336A1 (en) Filter for Removing Particles from Gas Flows
CN203987868U (zh) 吸尘器
CN106180076A (zh) 集尘型负压吸尘机
US4297113A (en) Gas filtration apparatus
CN210356350U (zh) 一种用于空调回风除尘的系统
CN205598785U (zh) 低压脉冲袋式除尘器
CN202254147U (zh) 轨道车辆空调机组二次新风进风结构
US20170259199A1 (en) Filter Element
US20140251143A1 (en) Filtration system for a gas turbine air intake and methods
CN205324284U (zh) 集尘型负压吸尘机
DK177786B1 (da) Ventilationsenhed
CN102696284A (zh) 空气过滤器
US7344580B2 (en) Filter unit
CN211659516U (zh) 一种脉冲除尘器
CN204767936U (zh) 过滤除尘装置
CN208574406U (zh) 一种除尘装置
CN110252073A (zh) 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