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301A - 버블발생기 - Google Patents

버블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301A
KR20140091301A KR1020130003400A KR20130003400A KR20140091301A KR 20140091301 A KR20140091301 A KR 20140091301A KR 1020130003400 A KR1020130003400 A KR 1020130003400A KR 20130003400 A KR20130003400 A KR 20130003400A KR 20140091301 A KR20140091301 A KR 2014009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tubular
end portion
rotary shaft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라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라카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라카나
Priority to KR102013000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1301A/ko
Priority to PCT/KR2013/010240 priority patent/WO2014077561A1/ko
Publication of KR2014009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3Diffusers consisting of rigid porous or perforated material
    • B01F23/231231Diffusers consisting of rigid porous or perforated material the outlets bein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 B01F23/231232Diffusers consisting of rigid porous or perforated material the outlets being in the form of perforations in the form of slits or cut-out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22Hollow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체인 관형 기포주입부를 모터의 관형회전자에 관통시키고, 상기 기포주입부에 밀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관형회전체를 모터의 회전자 또는 케이스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갖고서 회전부재를 수중 또는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아 생명체의 부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회전부재를 보호하여 구동부에서의 고장을 방지시킬 수 있고, 더욱이, 회전체와 고정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종래보다 작은 버블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버블발생기{bubble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버블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블크기가 조절가능한 버블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버블은 액체에 존재하는 기체의 주머니, 즉 기포를 뜻한다.
버블 직경이 100 ㎛ 정도인 작은 버블은 마이크로 버블이라고 불리고, 통상 직경의 버블에 비하여 체적 표면적이 크며 액체 중의 체류 시간이 길기 때문에, 기액 계면에서의 물량 수송이나 화학 반응, 물리적 특성,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여러가지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기에서는, 다공질체를 통해 액체에 기체를 불어넣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블발생기로서는, 압축기 등의 기체 공급 장치로부터 물이 흐르는 관에 다공질체를 통해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미세한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이 있다.
또한, 최근 개발된 버블발생기에서는, 버블 표면에 전단력을 가하여 버블을 잘게 나누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이러한 버블발생기로서는, 원추형의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공간의 내벽 원주면의 일부에 그 접선 방향으로 개구된 가압 액체 도입구와, 상기 원추형 공간의 바닥부에 개구된 기체 도입 구멍과, 상기 원추형 공간의 꼭대기부에 개구된 선회 기액 도출 구멍으로 구성된 선회식 버블발생기가 있다.
하지만, 다공질체를 이용한 버블발생기에서는, 다공질체로부터 버블이 잘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버블이 다공질체의 구멍 직경보다 커져, 작은 버블을 발생시킬 수 없는 것이 큰 문제가 되어 왔다.
또한, 다공질체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회전의 영향이 작은 회전축 중심 부근으로 부터 큰 버블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적의 조건에서도 발생하는 버블의 직경은 0.4 ㎜ 정도가 한계였다.
이와 관련하여, 선회식 버블발생기에서는, 버블 표면에 전단력을 가하기 때문에, 작은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체에 선회류를 강제적으로 부여하기 위해, 원추형의 용기 본체에 기체를 가압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커지며, 다공질체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액체 중의 버블의 비율이 낮아진다고 하는 것이 문제로 남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조 외측에 배치된 모터의 축력축에 풀리를 개재하여 구동적으로 회전하는 기체공급관의 토출구를 수조 내에 배치하고 그 토출구에 기체주입구를 유통가능하게 접속시켜 정체되어 있는 수조 내의 물과 회전하고 있는 버블 간의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된 전단력에 의해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방안이 한국등록특허 제10-1157719호에 제안되고 있지만, 회전하고 있는 기체공급관과 기체주입구이 수조 내에 3차원적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수조 내의 물고기에 위협을 제공하고, 수조 밖에 배치된 기체공급관 부위, 풀리, 벨트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회전하고 있는 기체공급관 부위, 풀리, 벨트에 사람이 접촉하면 부상을 당할 수 있어서,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폐쇄적인 공간에 배치될 수 밖에 없고, 비닐, 실, 띠형상부 등이 상기 기체공급관 부위, 풀리, 벨트 등에 감겨지게 되면 버블발생기의 고장을 유발하여, 결국 이용될 수 있는 적용 범위에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버블발생기가 본 발명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117870호에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출원에는 수중에 공급되는 공기가 회전체와 고정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타입의 버블발생장치만 제안되어 있어서, 보다 더 다양한 타입의 버블발생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수중에 공급되는 공기가 고정체와 회전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하거나, 제1고정체, 회전체, 및 제2고정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하거나, 또는 제1고정체, 제1회전체, 제2고정체, 제2회전체 및 제3고정체를 통하게 하는 버블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가진다.
본 발명은, 고정체인 관형 기포주입부를 모터의 관형회전자에 관통시키고, 상기 기포주입부에 밀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관형회전체를 모터의 회전자 또는 케이스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갖고서 회전부재를 수중 또는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아 생명체의 부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회전부재를 보호하여 구동부에서의 고장을 방지시킬 수 있고, 더욱이, 회전체와 고정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종래보다 작은 버블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실시예의 버블발생기 각각을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수조(1)의 수중에는,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기체주입부(2)의 선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의 기단부는 수조(1) 밖에 배치된 기체공급관(5)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체는, 기체주입부(2)에 공급된다. 이 경우, 기체주입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기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수조(1)의 액체에 주입된다.
즉, 상기 기체주입부(2)는 일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의 선단 둘레부에는 기체주입구멍(12)이 일정 패턴으로 복수개 개구되어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의 기단부에는 베이스 또는 수조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된 모터(8)의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관형회전축(3)의 기단부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다.
상기 관형회전축(3)은 수조(10)에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8)는 케이스(81) 내에 내접된 고정자(82), 상기 고정자(8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8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관형회전축(3)의 기단부는 상기 기체주입부(2)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상기 케이스(81)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관형회전축(3)의 선단부는 상기 기체주입부(2)의 선단부에 밀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1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기체주입부(2)에 기체를 공급하면서, 모터(8)를 가동하여 관형회전축(3)을 회전시키면, 이 기체주입부(2)로부터 분출된 기체인 버블이 상기 회전하고 있는 관형회전축(3)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에는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수조(1)의 수중에는,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기체주입부(2)의 선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의 기단부는 수조(1) 밖에 배치된 기체공급관(5)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체는, 기체주입부(2)에 공급된다. 이 경우, 기체주입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기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수조(1)의 액체에 주입된다.
즉, 상기 기체주입부(2)는 일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의 선단 둘레부에는 기체주입구멍(12)이 일정 패턴으로 복수개 개구되어 있다.
상기 기체주입부(2)의 기단부에는 베이스(86) 또는 수조에 구비된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케이스(81)를 구비한 모터(8)의 관형회전자(83)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모터(8)의 케이스(81)에는 상기 기포주입부(2)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밀접하여 외접된 관형회전축(3)의 기단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관형회전축(3)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81)는 상기 기포주입부(2)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2의 버블발생기는 실시예1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에는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장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51)이 형성된 고정관(50)의 기단부가 상기 케이스(8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50)이 상기 관형회전축(3)의 선단부에 밀접하여 외접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3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기체주입부(2)에 기체를 공급하면서, 모터(8)를 가동하여 관형회전축(3)을 회전시키면, 이 기체주입부(2)로부터 분출된 기체인 버블이 상기 회전하고 있는 관형회전축(3)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되고, 상기 절단된 버블이 상기 고정관(50)으로부터 분출된 버블을 상기 회전하는 관형회전축(3)에 의해 다시 한번 재차 절단되어 더욱 작은 버블로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에는 본 제4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제4실시예의 버블발생장치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51)이 형성된 고정관(50)의 기단부가 상기 베이스(86)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50)이 상기 관형회전축(3)에 밀접하여 외접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4의 버블발생기는 실시예3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에는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장치는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모터(8)에 마주하여 제2모터(7)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관형회전자(73)에는 제2관형회전축(9)의 기단부가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는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91)을 갖고서 상기 고정관(50)에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케이스(71)에 기단이 고정된 제2고정관(6)의 선단부는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에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관(6)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
상기 제2모터(7)는, 상기 모터(8)와 같이, 케이스(71) 내에 내접된 고정자(72), 상기 고정자(7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7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5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기체주입부(2)에 기체를 공급하면서, 모터(8)와 제2모터(7)를 가동하여 관형회전축(3)과 제2관형회전축(9)을 회전시키면, 이 기체주입부(2)로부터 분출된 기체인 버블이 상기 회전하고 있는 관형회전축(3)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되고, 상기 절단되어 상기 고정관(50)으로부터 분출된 버블은 상기 회전하는 관형회전축(3)에 의해 다시 한번 재차 절단되어 더욱 작은 버블로 되고, 상기 절단되어 상기 고정관(50)으로부터 분출된 버블은 상기 회전하는 제2관형회전축(9)에 의해 또 다시 한번 재차 절단되어 더 더욱 작은 버블로 되고, 상기 또 다시 한번 재차 절단되어 상기 제2고정관(6)으로부터 분출된 버블은 상기 회전하는 제2관형회전축(9)에 의해 또 다시 한번 재차 절단되어 미세 버블로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에는 제6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제6실시예의 버블발생장치는 제4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모터(8)에 마주하여 제2모터(7)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관형회전자(73)에는 제2관형회전축(9)의 기단부가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는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91)을 갖고서 상기 고정관(50)에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케이스(71)에 기단이 고정된 제2고정관(6)의 선단부는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에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관(6)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
상기 제2모터(7)는, 상기 모터(8)와 같이, 케이스(71) 내에 내접된 고정자(72), 상기 고정자(7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7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6의 버블발생기는 실시예5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7에는 제7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제7실시예의 버블발생장치는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모터(8)에 마주하여 제2모터(7)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7)가 베이스(70)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케이스(71) 내에 내접된 고정자(72), 및 상기 고정자(7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되어 상기 베이스(70)에 고정된 관형회전자(7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케이스(71)에는 제2관형회전축(9)의 기단부가 고정적되어 있고,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는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91)을 갖고서 상기 고정관(50)에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70)에 기단이 고정된 제2고정관(6)의 선단부는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에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관(6)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7의 버블발생기는 실시예5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8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8에는 제8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제8실시예의 버블발생장치는 제4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모터(8)에 마주하여 제2모터(7)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7)는 베이스(70)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케이스(71) 내에 내접된 고정자(72), 및 상기 고정자(7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되어 상기 베이스(70)에 고정된 관형회전자(7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케이스(71)에는 제2관형회전축(9)의 기단부가 고정적되어 있고,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는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91)을 갖고서 상기 고정관(50)에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70)에 기단이 고정된 제2고정관(6)의 선단부는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에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관(6)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8의 버블발생기는 실시예5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버블발생기의 기체공급관(5)에 기체가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버블발생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체공급관(5)에 액체와 기체가 혼합되어 공급될 수도 있다.
이 때에, 액체속에 기체인 버블을 가둔 상태에서 기체주입구멍(12) 및 관통구멍(13, 51, 61, 91)을 통해 분출시키면서, 회전체(관형회전축과 제2관형회전축)에 의해 잘게 쪼개어 버블을 미세화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버블발생기의 기체주입부(2)에 관형회전축(3)이, 관형회전축(3)에 고정관(50)이, 고정관(50)에 제2관형회전축(9)이, 그리고 제2관형회전축(9)에 제2고정관(6)이 밀접하여 외접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버블발생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접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버블발생기가 수조(1)에 수용된 액체에 적용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버블발생기는 세탁기의 드럼에도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 때에, 실시예1과 2에서는 고정관이 드럼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장착되게 되고, 실시예 3 내지 8에서는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장착되게 된다.
1; 수조, 2; 기체주입부, 3; 관형 회전축, 5; 기체공급관, 8; 모터

Claims (9)

  1. 선단부가 수중에 배치되고 선단부 둘레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고정체인 관형 기체주입부(2),
    상기 기체주입부(2)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기체공급관(5), 및
    관형회전축(3)을 구동하는 모터(8)를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모터(8)는 케이스(81) 내에 내접된 고정자(82), 상기 고정자(8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83)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주입부(2)의 기단부에는 상기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상기 관형회전축(3)의 기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관형회전축(3)의 선단부는 상기 기체주입부(2)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51)이 형성된 고정관(50)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관(50)의 기단부가 상기 케이스(8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50)은 상기 관형회전축(3)의 선단부에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8)에 마주하여 배치된 제2모터(7)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는, 케이스(71) 내에 내접된 고정자(72), 및 상기 고정자(7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7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관형회전자(73)에는 제2관형회전축(9)의 기단부가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는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91)을 갖고서 상기 고정관(50)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케이스(71)에 기단이 고정된 제2고정관(6)의 선단부는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관(6)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8)에 마주하여 배치된 제2모터(7)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는 베이스(70)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케이스(71) 내에 내접된 고정자(72), 및 상기 고정자(7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되어 상기 베이스(70)에 고정된 관형회전자(7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케이스(71)에는 제2관형회전축(9)의 기단부가 고정적되어 있고,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는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91)을 갖고서 상기 고정관(50)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70)에 기단이 고정된 제2고정관(6)의 선단부는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관(6)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시.
  5. 선단부가 수중에 배치되고 선단부 둘레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고정체인 관형 기체주입부(2),
    상기 기체주입부(2)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기체공급관(5), 및
    관형회전축(3)을 구동하는 모터(8)를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모터(8)는 케이스(81) 내에 내접된 고정자(82), 상기 고정자(8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83)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주입부(2)의 기단부에는 상기 관형회전자(83)가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81)는 베이스(86)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고,
    기단이 상기 케이스(81)에 고정된 상기 관형회전축(3)의 선단부는 상기 기체주입부(2)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6. 제 5항에 있어서,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51)이 형성된 고정관(50)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관(50)의 기단부가 상기 베이스(86)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관(50)은 상기 관형회전축(3)의 선단부에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8)에 마주하여 배치된 제2모터(7)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는, 케이스(71) 내에 내접된 고정자(72), 및 상기 고정자(7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7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관형회전자(73)에는 제2관형회전축(9)의 기단부가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는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91)을 갖고서 상기 고정관(50)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케이스(71)에 기단이 고정된 제2고정관(6)의 선단부는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관(6)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8)에 마주하여 배치된 제2모터(7)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는 베이스(70)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케이스(71) 내에 내접된 고정자(72), 및 상기 고정자(7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되어 상기 베이스(70)에 고정된 관형회전자(7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모터(7)의 케이스(71)에는 제2관형회전축(9)의 기단부가 고정적되어 있고,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는 둘레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91)을 갖고서 상기 고정관(50)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70)에 기단이 고정된 제2고정관(6)의 선단부는 상기 제2관형회전축(9)의 선단부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관(6)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공급관(5)에는 기체와 액체가 혼합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KR1020130003400A 2012-11-15 2013-01-11 버블발생기 KR20140091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400A KR20140091301A (ko) 2013-01-11 2013-01-11 버블발생기
PCT/KR2013/010240 WO2014077561A1 (ko) 2012-11-15 2013-11-12 버블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400A KR20140091301A (ko) 2013-01-11 2013-01-11 버블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01A true KR20140091301A (ko) 2014-07-21

Family

ID=5173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400A KR20140091301A (ko) 2012-11-15 2013-01-11 버블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13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746A (ko) * 2019-04-19 2020-10-28 (주)선일 엔바이로 수처리 장치
KR20210089289A (ko) * 2020-01-07 2021-07-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질 재료에 기체주입부를 갖는 미세버블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746A (ko) * 2019-04-19 2020-10-28 (주)선일 엔바이로 수처리 장치
KR20210089289A (ko) * 2020-01-07 2021-07-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질 재료에 기체주입부를 갖는 미세버블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4652B2 (ja) 微小気泡発生装置および方法
KR101231689B1 (ko) 기포공급장치
JP200916057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9101250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20140091301A (ko) 버블발생기
JP2011189310A (ja) 液粉混合装置及び液粉混合物の製造方法
JP5770811B2 (ja) 孔付リング及びそれを装着したナノバブル生成装置
KR101410756B1 (ko) 버블발생기
EP4063553A1 (en) Micro-bubble spray head and washing apparatus having same
KR101231690B1 (ko) 버블발생기
JP5523644B1 (ja) 塗布装置
PE20070411A1 (es) Sistema de recirculacion de agua en una maquina para lavar ropa
JP5291312B2 (ja) 酸洗装置及び方法
KR101437513B1 (ko) 버블발생기
KR20130102025A (ko) 버블발생기
KR101459875B1 (ko) 배관 내부 클리닝 장치
KR101811843B1 (ko) 이종 유체의 혼합장치
KR20150057217A (ko) 흡입식 혼합기
KR101583031B1 (ko) 버블발생기
KR20220115669A (ko) 피코버블 발생장치
KR20130128943A (ko) 회전식 미세 기포 발생장치
KR101437514B1 (ko) 수조에 버블을 공급하는 장치
KR101631612B1 (ko) 유체를 액체에 혼입하는 장치
SE1851348A1 (en) Mixer for mixing chemicals into pulp
KR101928050B1 (ko) 직렬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의 습식 장비용 장비 세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