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328A - 진동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328A
KR20140090328A KR1020130001552A KR20130001552A KR20140090328A KR 20140090328 A KR20140090328 A KR 20140090328A KR 1020130001552 A KR1020130001552 A KR 1020130001552A KR 20130001552 A KR20130001552 A KR 20130001552A KR 20140090328 A KR20140090328 A KR 2014009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hamber
mass
hydraulic
chamber portion
ge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362B1 (ko
Inventor
이동환
김영철
김병옥
이안성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0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3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comprising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9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o prevent, counteract or reduce noise emis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매스; 상기 매스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유압챔버부;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1유압챔버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유압챔버부; 상기 제1유압챔버부와 상기 제2유압챔버부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기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라인의 오일 유동에 의해 상기 매스의 진동을 제어하는 댐핑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제1유압챔버부와 제2유압챔버부는 유압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압라인의 오일의 유동에 의하여 힘의 평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어박스와 같은 매스의 진동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 저감장치{Appratus for dissipating vibration energy}
본 발명은 기어박스와 같은 매스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풍력발전기는 블레이드에 의해 바람이 갖는 운동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회전운동은 증속기인 기어박스에 전달되고, 기어박스에서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속도를 증속시킨다. 이러한 기어박스에는 축계에서 지지체(pedestal)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댐퍼 등이 장착된다.
종래 기어박스에 토크 지지체가 설치되어 있는 기어박스와 발전기의 연결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80009호(2010.7.8)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기어박스의 댐핑구조가 미국공개특허 제2012-0076652호(2012.3.29)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어박스에 장착된 댐핑구조는 기어박스의 상하운동을 제진하는데 이는 일정주파수로 가진될 때는 효과가 있으나, 가진원의 주파수가 변동할 때에는 효과적으로 제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어박스의 진동을 광범위한 운전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댐핑구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오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압라인의 오일의 유동에 의하여 힘의 평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매스의 진동을 저지할 수 있는 진동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매스; 상기 매스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유압챔버부;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1유압챔버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유압챔버부; 상기 제1유압챔버부와 상기 제2유압챔버부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기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라인의 오일 유동에 의해 상기 매스의 진동을 제어하는 댐핑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유압챔버부는 상기 매스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유압챔버부는 상기 매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압챔버부와 상기 제2유압챔버부에 의해 상기 매스의 회전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 사이에는 복수개의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댐핑 컨트롤러는, 내부에 형성된 챔버와, 상기 챔버와 연통하고 상기 유압라인과 각각 연결되는 제1유체관 및 제2유체관과, 상기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회전형 유압실린더; 및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마련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를 감싸며 마련되는 권선코일을 포함하는 전자기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유압챔버부 또는 상기 제2유압챔버부는, 상기 유압라인과 연통하는 유압챔버와, 상기 유압챔버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원판과, 상기 원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기어박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유압챔버부; 상기 기어박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1유압챔버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유압챔버부; 상기 제1유압챔버부와 상기 제2유압챔버부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기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라인에 흐르는 오일 유동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의 진동을 제어하는 댐핑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매스; 상기 매스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유압챔버부;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1유압챔버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유압챔버부; 상기 제1유압챔버부와 상기 제2유압챔버부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매스에 토크가 가해질 때 상기 유압라인에 오일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매스의 회전운동을 억제하고, 상기 매스에 상하 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유압라인의 오일 유동에 의해 상기 매스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동 저감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유압챔버부와 제2유압챔버부는 유압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압라인의 오일의 유동에 의하여 힘의 평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어박스와 같은 매스의 진동을 저지한다.
특히, 제1유압챔버부와 제2유압챔버부는 매스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 제1유압챔버부와 제2유압챔버부에 의해 매스의 진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매스와 본체 사이에는 복수개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 매스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나아가, 매스에 토크가 가해질 때에는 유압라인에 오일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매스의 회전운동을 억제하고, 매스에 상하 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에는 유압라인의 오일 유동에 의해 매스의 상하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유압라인의 중간에 설치된 댐핑 컨트롤러에 의해 매스의 상하진동수에 따른 오일의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매스의 주파수가 변동할 때에도 효과적으로 제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댐핑 컨트롤러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기어박스의 회전운동 모델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기어박스의 상하진동 모델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회전형 유압실린더에 발생하는 토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전자기력부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저감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스(1000)와 본체(2000)와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와 유압라인(500)과 댐핑 컨트롤러(6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스(1000)를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기어박스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블레이드에 의해 바람이 갖는 운동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회전운동은 증속기인 기어박스(1000)에 전달되고, 기어박스(1000)에서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속도를 증속시킨다. 이러한 기어박스(1000)의 양측에는 기어박스 암(1100,120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기어박스(1000)는 본체(2000) 내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본체(2000)는 기어박스(1000) 양측에 마련된 기어박스 암(1100,1200)을 각각 둘러싸며 마련되어 있다.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는 기어박스(10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기어박스 암(1100,1200)과 본체(2000)를 연결한다.
특히, 제1유압챔버부(350)는 어느 하나의 기어박스 암(1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2유압챔버부(450)는 나머지 하나의 기어박스 암(12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에 의해 기어박스(1000)의 회전운동이 억제된다.
또한,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는 유압라인(500)으로 연결되어 있어, 유압라인(500)의 오일 유동에 의해 기어박스(1000)의 진동이 억제된다.
유압라인(500)에는 밸브 등을 설치하여, 오일이 통과하는 통로의 면적을 조절하여 감쇠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1유압챔버부(350)는 제1유압챔버(351)와 제1원판(352)과 제1탄성스프링(3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유압챔버(351)는 제1유압챔버부(350) 내에 형성되어 유압라인(500)의 일단과 연통한다.
제1원판(352)은 제1유압챔버(351)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1탄성스프링(353)은 제1원판(352)을 탄성지지한다.
제2유압챔버부(450)는 제2유압챔버(451)와 제2원판(452)과 제2탄성스프링(4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유압챔버(451)는 제2유압챔버부(450) 내에 형성되어 유압라인(500)의 타단과 연통한다.
제2원판(452)은 제2유압챔버(451)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2탄성스프링(453)은 제2원판(452)을 탄성지지한다.
유압라인(500)에는 오일의 유동을 조절하여 기어박스(1000)의 진동을 제어하는 댐핑 컨트롤러(600)가 설치되어 있다.
댐핑 컨트롤러(600)의 상세 구조를 도 2에 도시하였으며, 댐핑 컨트롤러(600)는 회전형 유압실린더(610)와 전자기력부(6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형 유압실린더(6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611)와 제1유체관(612) 및 제2유체관(613)과 플런저(614)와 임펠러(615)를 포함한다.
회전형 유압실린더(610)의 내부에는 챔버(611)가 형성되어 있다.
제1유체관(612) 및 제2유체관(613)은 챔버(611)와 각각 연통하고, 유압라인(500)과 각각 연결된다.
플런저(614)는 챔버(61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원통형이다.
임펠러(615)는 플런저(614)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챔버(611)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임펠러(615)는 일단이 플런저(614)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챔버(611) 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임펠러(615)의 횡단면이 익형으로 플런저(614)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자기력부(6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651)과 마그네트(652)와 권선코일(653)을 포함한다.
회전축(651)은 플런저(614)에 연결되어 회전형 유압실린더(610)의 외측으로 배치되며, 플런저(614)와 함께 회전한다.
마그네트(652)는 회전축(651)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N극, S극을 포함한다.
권선코일(653)은 마그네트(652)의 둘레를 감싸며 마련되어,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여 마그네트(652)가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기어박스(1000)와 본체(2000) 사이에 복수개의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박스 암(1100,1200)과 본체(2000) 사이에 네 개의 스프링(100,200,310,410)이 구비되어 있다.
먼저, 제1유압챔버부(350)가 설치된 기어박스 암(1100)의 상부와 본체(2000)를 연결하며 제1스프링(100)이 설치되어 있다.
제2유압챔버부(450)가 설치된 기어박스 암(1200)의 하부와 본체(2000)를 연결하며 제2스프링(200)이 설치되어 있다.
제3스프링(310)은 제1유압챔버부(350)가 설치된 기어박스 암(1100)의 하부에 설치되되, 제1유압챔버부(350)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4스프링(410)은 제2유압챔버부(450)가 설치된 기어박스 암(1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제2유압챔버부(450)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렇게, 기어박스(1000)가 복수개의 스프링(100,200,310,410)에 의해 본체(2000)에 연결되어 있어, 기어박스(100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회전에 의해 기어박스(1000)에 토크가 발생하고, 이때 회전토크는 기어박스(1000)의 양측에 배치된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에 같은 크기의 부피를 변화시키려는 힘이 발생하지만,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는 유압라인(500)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힘의 평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어박스의 회전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기어박스(1000)의 상하진동에 의해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1유압챔버부(350)에서 발생하는 유체유동은 오일이 유압라인(500)을 통해 회전형 유압실린더(610)를 통과하면서 회전형 유압실린더(610)에 토크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회전형 유압실린더(610)의 토크는 전자기력부(650)의 부하저항에 의해 조절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어박스(1000)가 상부로 움직일 때, 우측에 배치된 제2유압챔버부(450)의 제2유압챔버(451) 부피는 감소하고, 좌측에 배치된 제1유압챔버부(350)의 제1유압챔버 부피는 증가한다. 이때 오일은 유압라인(500)을 통하여 유동을 하게 되는데, 오일의 유동에 의하여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기어박스(1000)가 하부로 움직일 때에도 마찬가지로 똑같은 감쇠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오일의 유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감쇠력은 기어박스(1000)의 상하진동을 저감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저감장치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는 유압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압라인의 오일의 유동에 의하여 힘의 평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어박스(1000)의 진동을 저지한다.
특히,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는 기어박스(100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에 의해 기어박스(1000)의 진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기어박스(1000)와 본체 사이에는 복수개의 스프링(100,200,310,410)이 설치되어 있어, 기어박스(100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나아가, 기어박스(1000)에 토크가 가해질 때에는 유압라인에 오일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기어박스(1000)의 회전운동을 억제하고, 기어박스(1000)에 상하 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에는 유압라인의 오일 유동에 의해 기어박스(1000)의 상하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유압라인의 중간에 설치된 댐핑 컨트롤러에 의해 기어박스(1000)의 상하진동수에 따른 오일의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기어박스(1000)의 주파수가 변동할 때에도 효과적으로 제진할 수 있다.
이하, 블레이드 회전에 의해 기어박스가 토크를 받을 때 본 실시예의 진동 저감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어박스의 회전운동 모델
도 3은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기어박스가 토크를 받을 때, 기어박스에 대한 자유물체도를 도시하였는데, 여기서 기어박스가 받는 토크(T)를 구하면 수학식1과 같다.
Figure pat00001
T : 기어박스가 받는 토크
l : 기어박스 중심에서 제1유압챔버부(350) 또는 제2유압챔버부(450) 중심까지의 거리
수학식 1에서 제1유압챔버부(350) 또는 제2유압챔버부(450)가 받는 힘 F를 구하면 수학식2와 같다.
Figure pat00002
제1유압챔버부(350) 또는 제2유압챔버부(450) 내부의 압력 P는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03
A : 제1원판(352) 또는 제2원판(452)의 단면적
토크T에 의해 각 제1유압챔버부(350), 제2유압챔버부(450)는 압축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제1유압챔버부(350), 제2유압챔버부(450) 내부에 충진된 오일은 비압축성이기 때문에 유체유동은 없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기어박스가 토크를 받더라도 기어박스는 좌우로 회전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기어박스의 상하진동 모델
도 4는 기어박스의 상하진도에 의한 자유물체도를 나타내는데, 이를 식으로 표한하면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pat00004
M : 기어박스의 질량
K(=k+k+k+k) : 스프링 상수
P(t) : 제1유압챔버부(350), 제2유압챔버부(450) 내부의 압력
A(=πR2) : 제1원판(352) 또는 제2원판(452)의 단면적
α(t)P(t) : 가변 감쇠력
F(t) : 기어박스에 작용하는 외력
좌우에 위치한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 사이의 유압라인(500)의 길이를 L이라 하고, 유압라인(500)의 단면적을 a라 할 때, 두 개의 제1유압챔버부(350)와 제2유압챔버부(450) 사이의 유동방정식은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pat00005
hl : 관로유동손실
Hagen의 실험식에 의해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06
μ : 오일의 점성계수
r : 유압라인(500) 관로의 반경
Q(t) : 유압라인(500) 관로 내부 유량
수학식 6을 수학식 5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07
수학식 7에서
Figure pat00008
이고, 이를 수학식 7에 대입한 후 수학식 4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pat00009
회전형 유압실린더에 발생하는 토크 계산
도 5 및 도 6에서 회전형 유압실린더(610)에 발생하는 토크 T(t)는 수학식 9와 같다.
Figure pat00010
T(t) : 유압에 의해 발생된 토크
Rc : 회전형 유압실린더(610)의 유효반경
rc : 회전형 유압실린더(610)의 내부 유로반경
θ(t) : 회전각
수학식 7을 수학식 9에 대입하면 수학식 10과 같다.
Figure pat00011
수학식 10에서 y(t)를θ(t)로 나타내면 수학식 1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12

전자기력부 모델링
도 7에서 자기력부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12 및 수학식 13과 같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이상에서와 같이 수학식 8과 수학식 12,13은 서로 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하저항 Rcoil을 가변함으로써, 기어박스의 상하진동크기 y(t)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기어박스 1100, 1200 : 기어박스 암
2000 : 본체 100 : 제1스프링
200 : 제2스프링 300 : 제1탄성지지부
310 : 제3스프링 350 : 제1유압챔버부
351 : 제1유압챔버 352 : 제1원판
353 : 제1탄성스프링 400 : 제2탄성지지부
410 : 제4스프링 450 : 제2유압챔버부
451 : 제2유압챔버 452 : 제2원판
453 : 제2탄성스프링 500 : 유압라인
600 : 댐핑 컨트롤러 610 : 회전형 유압실린더
611 : 챔버 612 : 제1유체관
613 : 제2유체관 614 : 플런저
615 : 임펠러 650 : 전자기력부
651 : 회전축 652 : 마그네트
653 : 권선코일

Claims (7)

  1. 매스;
    상기 매스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유압챔버부;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1유압챔버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유압챔버부;
    상기 제1유압챔버부와 상기 제2유압챔버부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기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라인의 오일 유동에 의해 상기 매스의 진동을 제어하는 댐핑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진동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압챔버부는 상기 매스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유압챔버부는 상기 매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압챔버부와 상기 제2유압챔버부에 의해 상기 매스의 회전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 사이에는 복수개의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컨트롤러는,
    내부에 형성된 챔버와, 상기 챔버와 연통하고 상기 유압라인과 각각 연결되는 제1유체관 및 제2유체관과, 상기 챔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회전형 유압실린더; 및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마련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둘레를 감싸며 마련되는 권선코일을 포함하는 전자기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압챔버부 또는 상기 제2유압챔버부는,
    상기 유압라인과 연통하는 유압챔버와,
    상기 유압챔버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원판과,
    상기 원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장치.
  6.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기어박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유압챔버부;
    상기 기어박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1유압챔버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유압챔버부;
    상기 제1유압챔버부와 상기 제2유압챔버부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기 유압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라인에 흐르는 오일 유동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의 진동을 제어하는 댐핑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기어박스용 진동 저감장치.
  7. 매스;
    상기 매스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유압챔버부;
    상기 매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1유압챔버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유압챔버부;
    상기 제1유압챔버부와 상기 제2유압챔버부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매스에 토크가 가해질 때 상기 유압라인에 오일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매스의 회전운동을 억제하고,
    상기 매스에 상하 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유압라인의 오일 유동에 의해 상기 매스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저감장치.
KR1020130001552A 2013-01-07 2013-01-07 진동 저감장치 KR10143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552A KR101437362B1 (ko) 2013-01-07 2013-01-07 진동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552A KR101437362B1 (ko) 2013-01-07 2013-01-07 진동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328A true KR20140090328A (ko) 2014-07-17
KR101437362B1 KR101437362B1 (ko) 2014-09-15

Family

ID=5173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552A KR101437362B1 (ko) 2013-01-07 2013-01-07 진동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3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38B1 (ko) * 2019-05-08 2020-01-22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용 능동형 토크암 마운트
KR102068641B1 (ko) * 2019-05-08 2020-01-22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용 축정렬 감시 및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287916A (zh) * 2020-01-20 2020-06-16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风机的调谐碰撞惯容质量阻尼装置
KR20210029571A (ko) 2019-09-06 2021-03-16 한국원자력연구원 캐비닛 패널용 제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0076B (zh) * 2018-06-28 2020-11-24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阻尼器以及具有该阻尼器的承载围护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5936A (en) 1988-07-05 1989-03-28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Wind turbine shutdown system
JP2005248738A (ja) 2004-03-02 2005-09-15 Fuchu Giken:Kk 風力発電装置の運転制御方法
JP2007176400A (ja) 2005-12-28 2007-07-12 Hitachi Ltd 鉄道車両の上下振動制御装置
WO2012073281A1 (en) * 2010-11-30 2012-06-0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Wind turbine generator or tidal current generato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38B1 (ko) * 2019-05-08 2020-01-22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용 능동형 토크암 마운트
KR102068641B1 (ko) * 2019-05-08 2020-01-22 한국기계연구원 풍력발전기용 축정렬 감시 및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29571A (ko) 2019-09-06 2021-03-16 한국원자력연구원 캐비닛 패널용 제진 장치
CN111287916A (zh) * 2020-01-20 2020-06-16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风机的调谐碰撞惯容质量阻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362B1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362B1 (ko) 진동 저감장치
US10451142B2 (en) Outer cup rotary axial eddy current damper
CN102168736B (zh) 发动机磁流变扭振减振器
JP5750280B2 (ja) 構造物の制振装置
US20210047998A1 (en) Damping cardanic suspension for pendulum dampers
US8882091B2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CN109630596B (zh) 一种旋转式阻尼可调的硅油-磁流变扭振减振器
US20140090937A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elastic lag damper for helicopter rotors
EP2857313A1 (en) Hover aircraft rotor comprising a vibration damping device
CN108458036B (zh) 一种减振器
JPH10288238A (ja) 宇宙航行機の配備機構用ダンパ
CN105605146B (zh) 一种机电液耦合式可控惯性和阻尼设备
CN105782339A (zh) 变惯量变阻尼扭转减振器
CN112855826B (zh) 节能自锁式磁流变阻尼器
KR101695789B1 (ko) Mr브레이크를 이용한 가변강성 액추에이터 구동모듈
KR101709994B1 (ko) Mr 유체의 유동 모드와 전단 모드를 이용한 이중 스테이지 mr 마운트
US8042659B1 (en) Active force generation/isolation system employing Magneto Rheological Fluid (MRF)
JP2010220274A (ja) 回転電機の冷媒流量制御装置
KR20140055667A (ko) 진동 감쇠 수단을 갖는 풍력 발전기
JP2017503116A (ja) 波エネルギー変換器
JP5086011B2 (ja) 磁気粘性流体緩衝器
CN107364299B (zh) 自适应车用悬挂
CN207333572U (zh) 用于传动轴系的减震装置
JP6893735B2 (ja) 回転慣性質量ダンパ
JP2017129201A (ja) 流体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