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928A - 순산소 연소시스템 - Google Patents

순산소 연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928A
KR20140089928A KR1020130002000A KR20130002000A KR20140089928A KR 20140089928 A KR20140089928 A KR 20140089928A KR 1020130002000 A KR1020130002000 A KR 1020130002000A KR 20130002000 A KR20130002000 A KR 20130002000A KR 20140089928 A KR20140089928 A KR 20140089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bustion
combustion gas
oxygen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9884B1 (ko
Inventor
김태형
백세현
김영주
박호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00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8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7/00Supplying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other than air, to the fire, e.g. oxygen,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7/00Arrangement of devices for supplying chemicals to f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와 순산소가 반응하여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로 순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와, 상기 연소부에서 배출되며 황산화물이 포함된 연소가스에 물을 분사하여 연소과스와 물을 혼합하고 냉각시켜 응축된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황산화물 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에 의하면, 순산소 연소 반응 후 강한 부식성 물질인 황산화물의 농도를 낮춤으로써 순산소 연소시스템의 설비들이 부식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순산소 연소시스템 {OXY-COMBUSTION SYSTEM}
본 발명은 순산소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을 제거하고 이를 재순환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순산소 연소시스템은 공기 대신 순산소와 석탄과 같은 화석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방식으로, 연소 후에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에 의한 질소산화물이 생성되지 않고 이산화탄소와 황산화물이 포함된 형태로 연소가스가 배출된다.
그런데, 순산소 연소시스템은 순산소를 사용하여 연소하기 때문에 고온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연소가스가 재순환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순산소 연소시스템은 연소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축을 통해 온실가스 처리 및 연소가스 발생량의 혁신적 감소 등으로 환경적, 경제적으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연소가스의 재순환으로 인해 일반적인 공기연소보다 고농도의 황산화물 농축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전체 설비에 심각한 부식을 유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연소시스템에서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식은 석회석과 같은 탈황제의 연속 사용에 따른 다량의 부산물의 생성, 대용량 설비 설치로 인한 고가의 설비비와 운영 유지비 문제, 설비의 복잡성 및 낮은 SO3 제거 효율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0377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순산소 연소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강한 부식성 물질인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연소가스를 재순환하여 연소 시스템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연료와 순산소가 반응하여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로 순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와, 상기 연소부에서 배출되며 황산화물이 포함된 연소가스에 물을 분사하여 연소과스와 물을 혼합하고 냉각시켜 응축된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황산화물 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료와 순산소의 연소 반응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이 포함된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유입된 연소가스에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황산화물질이 포함된 연소가스와 상기 제1분사부에서 분사된 물의 혼합물질이 냉각물질과 열교환되어 황산화물이 포함된 혼합물질이 응축되는 열교환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응축된 황산화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부는 순산소를 냉각물질로 사용하는 제1열교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열교환부는 상기 산소 공급부에서 산소를 공급받아 열교환 한 뒤 가열된 산소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열교환부는 물을 냉각물질로 사용하는 제2열교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부는 유출되는 응축된 황산화물질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측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는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응축된 황산화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은 상기 연소부와 연결되어 연소가스가 유입되고, 상기 연소부에서 유입된 연소가스와 유입된 연소가스가 유출되어 다시 재순환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열교환하여 재순환된 연소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은 상기 가열부에서 배출된 연소가스가 다시 상기 가열부로 재순환되고, 재순환된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부 내에서 상기 가열부로 유입된 연소가스와 열교환한 후 상기 연소부로 유입되는 재순환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재순환관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로 유입되기 전의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부로 재순환 되는 제1재순환관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순환관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에서 배출된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부로 재순환되는 제2재순환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재순환관은 상기 산소 공급부에서 순산소를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재순환관과 연결되는 제1가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2재순환관과 연결되는 제2가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와 연결되며 황산화물 제거부에서 배출된 황산화물이 제거된 연소가스의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이산화탄소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 가스에서 순산소 연소 반응 후 강한 부식성 물질인 황산화물의 농도를 낮춤으로써 순산소 연소시스템의 설비들이 부식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수되는 열을 사용하여 별도의 설비에 의하지 않고 연소에 사용되는 산소를 예열함으로써 연소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가스의 재순환을 통해 연소가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온도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조건에서 연소 시스템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의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시스템의 황산화물 제거부의 간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순산소 연소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을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100)은 연료와 순산소가 반응하여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부(110)와, 상기 연소부(110)로 순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120), 및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황산화물 제거부(2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황산화물 제거부(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는 몸체부(210)(210)와,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211)와, 유입된 연소가스에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부(220)와, 연소가스와 물의 혼합물질이 응축되는 열교환부(230) 및 응축된 황산화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부(211)는 상기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부(11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몸체부(210)로 유입되는 곳으로, 유입되는 황산화물이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상기 유입부(211)는 상기 몸체부(21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분사부(220)는 황산화물이 포함된 연소가스와 물을 혼합되도록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노즐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입부(211)에서 유입된 연소가스의 무게가 공기보다 무거워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21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230)는 상기 몸체부(210) 내에서 고온으로 유입된 황산화물이 포함된 연소가스와 상기 제1분사부(220)에서 분사된 물이 미스트 상태로 혼합된 물질(이하 '황산화물 미스트'라 한다)이 냉각물질과 열교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냉각물질에 따라 산소를 냉각물질로 사용하는 제1열교환부(231)를 구비할 수 있고, 물을 냉각물질로 사용하는 제2열교환부(2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열교환부(231)는 냉각물질을 순산소로 사용하고, 순산소는 상기 산소 공급부(120)에서 공급되어 상기 몸체부(210) 내에서 황산화물 미스트와 열교환함으로써 이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산소 공급부(120)에서 유입된 산소는 상기 제1열교환부(231)를 통과한 뒤 온도가 상승하여 예열된 상태로, 별도의 가열장치에 의하지 않고 연소가스와 산소의 연소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예열된 상태로 상기 연소부(110)로 직접 유입되거나, 상기 가열부(150)를 통해 연소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열교환부(232)는 수냉방식으로, 상기 몸체부(210) 외부의 물공급부(240)에 저장된 물이 상기 몸체부(210) 내부로 유입되어 황산화물 미스트와 열교환되어 이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230)는 일 예로, 열교환 튜브로 구비되어 열교환 튜브를 통해 냉각물질이 상기 몸체부(210) 외부에서 유입되어 내부에서 열교환 한 뒤 다시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열교환 튜브로 구비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수냉, 공냉 등 다양한 방식들로 열교환이 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230)에 의해 열교환된 황산화물 미스트는 냉각되어 응축되고, 응축된 황산화물 미스트는 액체 상태로 상기 몸체부(210) 하단 또는 상기 배출부(212)를 통해 상기 몸체부(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도 2를 참조하면, 이때 상기 배출부(212)는 응축된 상태의 황산화물 미스트가 증발되어 다시 기화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부(212) 내부의 일측에서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분사부(250)는 상기 몸체부(210) 내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노즐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을 참조하면, 배출부(212)에서 배출된 응축된 황산화물은 저장부(260)에 저장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260)는 제1저장조(261)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저장조(261)는 상기 배출부(212)와 연결되며, 또한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부(212) 및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에 수용되는 응축된 황산화물은 상기 배출부(212) 및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제1저장조(261) 사이에 구비된 밸브의 개폐를 통해 응축된 황산화물을 상기 제1저장조(261)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60)는 상기 설정된 범위까지 응축된 황산화물이 배출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작동하여 주기적으로 배출하는 레벨미터(26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1저장조(261)에 응축된 황산화물이 일정량 유입된 경우 상기 레벨미터(262)가 작동되어 제2저장조(263)로 유출되고, 상기 제2저장조(263)로 유출된 응축된 황산화물은 외부로 운반되어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100)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100)은 연료와 순산소가 반응하여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부(110)와, 상기 연소부(110)로 순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120) 및 전술한 황산화물 제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100)은 상기 연소부(110)와 연결되어 연소가스가 유입되고, 유입된 연소가스와 이하 설명할 재순환관(130)을 통해 유입된 재순환되는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열교환하는 가열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100)은 연소가스를 상기 가열부(150)로 재순환시키고, 재순환된 연소가스를 상기 가열부(150) 내에서 상기 연소부(110)에서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된 연소가스와 열교환한 후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되는 재순환관(1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순환관(130)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로 유입되기 전의 연소가스가 재순환되는 제1재순환관(131)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에서 배출된 연소가스가 재순환되는 제2재순환관(13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재순환관(130)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로 유입되기 전 후의 연소가스가 각각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되고 상기 가열부(150)에서 상기 연소부(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연소가스와 열교환한 후 온도가 상승한 상태로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가열부(150)는 상기 제1재순환관(131) 및 상기 제2재순환관(132)이 하나의 가열부(150)를 통과하며 열교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재순환과 및 상기 제2재순환관(132)과 각각 연결되는 제1가열부(151) 및 제2가열부(152)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재순환관(131)과 상기 제2재순환관(132)에서 재순환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상기 가열부(150)는 상기 제1가열부(151)와 상기 제2가열부(152)로 분리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100)은 황산화물 제거부(20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에서 배출된 연소가스의 수분을 응축시켜 회수하고, 수분이 제거된 연소가스에서 고체 입자 생성물을 제거하는 냉각 및 집진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100)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를 통과한 연소가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회수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100)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먼저 연료는 연료 저장조(111)에서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되고, 공기 대신 순산소가 상기 산소 공급부(120)에서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된다.
이때 공급되는 순산소는, 앞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에서 상기 산소 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산소가 열교환하여 온도가 상승한 상태로 상기 연소부(110) 등으로 유입되어 별도의 설비에 의하지 않고 예열된 상태로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산소는 상기 산소 공급부(120)에서 상기 연소부(110)로 직접 순산소가 유입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재순환관(130)과 상기 산소 공급부(120)가 연결되어 재순환관(130)을 통해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된 연소 가스와 혼합된 상태로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200)은 상기 연소부(110)에서 산소와 연료가 연소반응을 일으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터빈(170)을 구동하여 동력을 생산하고, 연소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 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가열부(15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된 연소가스가 상기 집진부(180)를 통과한 뒤 연소가스에 포함된 고체입자들은 제거되고, 상기 제1재순환관(131)을 따라 다시 가열부(150)로 유입된다.
이때, 도 1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부(150)가 상기 제1가열부(151) 및 상기 제2가열부(152)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재순환관(131)로 유입되어 상기 제1가열부(151)로 재순환된 연소가스는 상기 제1가열부(151)에서 상기 연소부(110)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연소가스와 열교환한 뒤 온도가 상승한 상태로 다시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연소가스 중 상기 제1재순환관(131)으로 유입되지 않는 연소 가스는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로 유입되어, 앞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황산화물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냉각 및 집진부(19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및 집진부(190)를 통과한 연소가스는 상기 제2재순환관(132)을 통해 상기 제2가열부(152)로 유입되어 상기 제2가열부(152)로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와 열교환된 뒤 온도가 상승한 상태로 다시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된다.
그런데,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에서 황산화물이 물과 혼합되어 황산화물 미스트 형태로 제거되는 주된 황산화물은 SO3이고 순산소 연소시스템에서 문제되는 주된 황산화물은 SO3이다. 하지만, 소량의 SO2 는 황산화물 미스트 형태로 변환되는 비율이 낮아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에 의해 제거가 용이하지 아니하나, 상기 냉각 및 집진부(190)를 통과하며 응축된 상태로 농도가 감소하여 황산 형태로 배출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2재순환관(132)으로 재순환되는 연소가스는 황산화물이 제거된 상태로 재순환되어 상기 연소부(110)로 유입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산소 연소시스템(100)에서 연소가스가 재순환 되어도 황산화물이 축적되지 않아 시스템에 구비되는 설비의 부식이 방지된다.
또한,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연소가스의 재순환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제1재순환(131)과 및 상기 제2재순환관(132)를 통해 연소가스를 재순환 하는 경우, 제2재순환관(132)에서는 황산화물이 제거된 상태로 연소가스가 재순환 되지만 상기 냉각 및 집진부(190)를 통해 온도가 낮은 상태로 재순환된다.
반면에 상기 제1재순환관(131)을 통해 재순환되는 연소가스는 황산화물이 제거되지는 않았지만 고온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제1재순환(131)과 및 상기 제2재순환관(132)을 통해 재순환되는 연소가스의 양을 조정하여 상호 보완하여 원하는 성능을 구비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를 통과한 연소가스 중 상기 제2재순환관(132)으로 유입되지 않은 연소가스는 상기 이산화탄소 회수부(16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회수부(160)에서는 이산화 탄소를 회수할 뿐만 아니라 압축기를 구비하여 연소가스를 가압하고, 이전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SO3와 SO2를 수분과 반응시켜 황산 형태로 배출하며 연소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던 소량의 질소 산화물 또한 질산 형태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산소 연소 시스템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에 의해 황산화물이 제거되고, 이로 인해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가스의 재순환과 관련하여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200)의 전후에서 재순환 되는 2개관(131, 132)을 통해 독립적으로 연소가스를 재순환하여 연소가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조건에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순산소 연소시스템 110: 연소부
120: 산소 공급부 130: 재순환관
131: 제1재순환관 132: 제2재순환관
150: 가열부 160: 이산화탄소 회수부
170: 가스터빈 180: 집진부
190: 냉각 및 집진부 200: 황산화물 제거부
210: 몸체부 211: 유입부
212: 배출부 220: 제1분사부
230: 열교환부 231: 제1열교환부
232: 제2열교환부 250: 제2분사부
260: 저장부

Claims (14)

  1. 연료와 순산소가 반응하여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로 순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 및
    상기 연소부에서 배출되며 황산화물이 포함된 연소가스에 물을 분사하여 연소 가스와 물을 혼합하고 냉각시켜 응축된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황산화물 제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료와 순산소의 연소 반응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이 포함된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유입된 연소가스에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황산화물질이 포함된 연소가스와 상기 제1분사부에서 분사된 물의 혼합물질이 냉각물질과 열교환되어 황산화물이 포함된 혼합물질이 응축되는 열교환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응축된 황산화물질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순산소를 냉각물질로 사용하는 제1열교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열교환부는 상기 산소 공급부에서 산소를 공급받아 열교환 한 뒤 가열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물을 냉각물질로 사용하는 제2열교환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유출되는 응축된 황산화물질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측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는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응축된 황산화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와 연결되어 연소가스가 유입되고, 상기 연소부에서 유입된 연소가스와 유입된 연소가스가 유출되어 다시 재순환된 연소가스가 내부에서 열교환하여 재순환된 연소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서 배출된 연소가스가 다시 상기 가열부로 재순환되고, 재순환된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부 내에서 상기 가열부로 유입된 연소가스와 열교환한 후 상기 연소부로 유입되는 재순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관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로 유입되기 전의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부로 재순환 되는 제1재순환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관은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에서 배출된 연소가스가 상기 가열부로 재순환되는 제2재순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관은 상기 산소 공급부에서 순산소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재순환관과 연결되는 제1가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2재순환관과 연결되는 제2가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물 제거부와 연결되며 황산화물 제거부에서 배출된 황산화물이 제거된 연소가스의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이산화탄소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산소 연소시스템.
KR1020130002000A 2013-01-08 2013-01-08 순산소 연소시스템 KR101439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000A KR101439884B1 (ko) 2013-01-08 2013-01-08 순산소 연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000A KR101439884B1 (ko) 2013-01-08 2013-01-08 순산소 연소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928A true KR20140089928A (ko) 2014-07-16
KR101439884B1 KR101439884B1 (ko) 2014-09-12

Family

ID=5173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000A KR101439884B1 (ko) 2013-01-08 2013-01-08 순산소 연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8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194A (ko) * 2017-06-01 2018-12-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배가스 내 잠열의 회수와 대기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배가스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압 순산소 연소 발전 시스템
KR20190069189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배가스 처리 및 잠열 회수가 가능한 가압 순산소 연소 시스템
WO2019245175A1 (ko) * 2018-06-19 2019-12-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촤를 이용한 가압순산소 오염물질 포집 시스템
KR20200043079A (ko) 2018-10-17 2020-04-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압 순산소 연소 회분에서의 인 회수 시스템
KR102105036B1 (ko) 2018-11-05 2020-04-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순산소 연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산소 연소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142B1 (ko) * 2016-12-08 2018-03-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싸이클론 열교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543B1 (ko) 2003-11-18 2005-12-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각 폐열 재생 산소부화 시스템
KR101129409B1 (ko) 2009-09-30 2012-03-27 한국전력공사 공기와 순산소 겸용 미분탄 연소 보일러 시스템
JP2011158297A (ja) 2010-01-29 2011-08-18 Toyota Motor Corp 硫黄成分検出装置
JP2011220545A (ja) 2010-04-05 2011-11-04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vironmental & Chemical Engineering Co Ltd Sox含有燃焼排ガスの熱交換方法、及びsox含有燃焼排ガスの熱交換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194A (ko) * 2017-06-01 2018-12-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배가스 내 잠열의 회수와 대기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배가스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압 순산소 연소 발전 시스템
KR20190069189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배가스 처리 및 잠열 회수가 가능한 가압 순산소 연소 시스템
WO2019245175A1 (ko) * 2018-06-19 2019-12-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촤를 이용한 가압순산소 오염물질 포집 시스템
KR20200043079A (ko) 2018-10-17 2020-04-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압 순산소 연소 회분에서의 인 회수 시스템
KR102105036B1 (ko) 2018-11-05 2020-04-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농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순산소 연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산소 연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884B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884B1 (ko) 순산소 연소시스템
CN101670231B (zh) 钙法脱硫转温差结晶氨法脱硫的装置与工艺
EP2636870B1 (en) Preparation of exhaust gas from a gas turbine for exhaust gas recirculation
CN103143247B (zh) 二氧化碳捕集与催化循环利用的制备方法
CN101575653A (zh) 分离二氧化碳改善高炉煤气质能的方法和装置
US20130175004A1 (en) Gas treatment system with a heat exchanger for reduction of chiller energy consumption
CN103582518B (zh) 二氧化碳捕集系统
CN110141927B (zh) 一种基于余热利用的高炉冲渣蒸汽消白系统及方法
CN103058435A (zh) 一种循环处理锅炉热烟气和脱硫废水的方法
CN105727723A (zh) 用于湿式氨法脱硫的三循环脱硫方法及烟气脱硫塔或系统
CN101569820A (zh) 综合利用烧结工艺环冷机热废气的烟气脱硫工艺
CN112973423A (zh) 一种矿业还原炉尾气急冷-喷淋一体化塔装置
CN205182484U (zh) 一种高效节能脱硫脱硝除尘系统
CN210826085U (zh) 一种高炉煤气催化脱硫装置
CN205760545U (zh) 用于湿式氨法脱硫的三循环烟气脱硫塔或系统
JP2011230047A (ja) 排煙脱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酸素燃焼装置と方法
CN110523251A (zh) 一种烧结烟气循环联合臭氧预氧化的脱硫脱硝系统及方法
CN101772373A (zh) 处理含co2的废气和分离co2的系统和方法
US201400800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n industrial waste gas comprising co2
SK7174Y1 (sk) Spôsob spätného získavania konvertorového plynu a zariadenie na uskutočňovanie tohto spôsobu
CN105381695A (zh) 一种高效节能脱硫脱硝除尘系统
CN212408683U (zh) 一种用于垃圾焚烧炉的可切换式尿素-浓缩液喷入系统
CN205965463U (zh) 烟气处理装置
US7785552B2 (en)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sulfur oxides in flue gas from coal or oil-fired boilers
CN109772136A (zh) 低温除尘脱硫脱硝一体化系统及脱硫脱硝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