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870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870A
KR20140089870A KR1020130001828A KR20130001828A KR20140089870A KR 20140089870 A KR20140089870 A KR 20140089870A KR 1020130001828 A KR1020130001828 A KR 1020130001828A KR 20130001828 A KR20130001828 A KR 20130001828A KR 20140089870 A KR20140089870 A KR 2014008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user interface
input
typ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인원
양창모
제갈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870A/ko
Publication of KR2014008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입력 조작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입력 조작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림자 종류 중 대응되는 그림자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오브젝트에 확인한 그림자 종류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PDA, 태블릿 등)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 내의 오브젝트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피득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해당 전자 기기의 각종 동작 상태나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확인하면서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 핸드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개인용 네비게이션 기기, 휴대용 게임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소지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휴대 단말기는 그 제한된 크기로 인하여 상하좌우 이동을 조작받기 위한 사방향 버튼 등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즉, 터치스크린)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널리 제공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전자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때의 터치 입력 방식에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 방식과, 호버링(hovering)과 같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 방식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터치 입력 방식은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입력 방식을 적용한 종래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 2010-0001601호(명칭;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발명자; 구자훈 외 1명, 출원인; 엘지전자주식회사, 공개일; 2010년 01월 06일)가 있다. 상기 국내공개특허 제 2010-0001601호는 입력 매체(손가락 또는 터치 패드 상의 터치 입력 인식이 가능한 모든 물체)의 근접 터치를 감지하여 근접 터치에 해당하는 이미지 객체의 세부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 내의 오브젝트들(아이콘, 위젯, 기타 GUI요소 등)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조작의 종류, 예를 들어, 누름(press), 길게 누름(long press), 호버링, 핀치(pinch; 두 손가락을 화면 위에 터치한 상태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일정거리 움직이는 제스처), 플릭(flick;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터치스크린의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어느 한쪽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터치를 떼는 동작) 등을 인식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효과음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일명 '햅틱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입력 등에 대응한 피드백으로서, 진동 효과를 발생하는 기능도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른 피드백 방식에 대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보다 명확한 인식이 가능하며, 조작시에 보다 즐거움을 주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 및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보다 명확한 인식이 가능하며, 조작시에 보다 즐거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입력 조작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조작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림자 종류 중 대응되는 그림자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에 상기 확인한 그림자 종류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조작의 종류는 누름(press), 길게 누름(long press), 호버링(hovering), 핀치(pinch), 플릭(fl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그림자 종류는 그림자 효과의 음영, 그림자 효과의 유무, 그림자 효과의 발생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 자체의 화면상 편집과 관련한 동작 가능 상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상 편집과 관련한 동작 가능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림자 종류 중 대응되는 그림자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에 상기 확인한 그림자 종류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의 미리 설정된 부위의 입력 상태와 관련하여 다수의 기능들을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림자 종류 중 대응되는 그림자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에 상기 확인한 그림자 종류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은 용자 입력에 따른 피드백시에 시각적으로 보다 명확히 사용자에게 동작 상태를 알려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심미적으로 보다 뛰어나며, 조작시에 보다 즐거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의 흐름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시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명칭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휴대 단말기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모듈(120)은 이동 통신 기능을 위한 무선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데, 안테나와,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와이파이(Wi-Fi) 다이렉트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 인터넷 등과 연결되거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간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휴대 단말기(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 단말기(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기(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기(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으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동작 상태 및 메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전자펜과 같은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90)는 통상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해당 휴대 단말기의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각종 동작 상태나, 메뉴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며, 터치스크린 구조와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표시부(19-)와 연계된 터치스크린 컨트롤로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터치 또는 전자펜에 의한 터치를 통해 터치, 드래그, 플릭, 멀티 터치 등 각종 터치스크린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값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또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예, 휴대 단말기(100)의 회전, 휴대 단말기(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170)은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171)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175)는 다양한 컨텐츠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및 관련 컨텐츠와, 동작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기(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프로그램이 추가로 더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각 기능부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부들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에는 충전용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는 전원부 등을 비롯하여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기능부들이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거나,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어, PDA나, MP3 플레이어 등일 수도 있으며, 물론, 이 경우에, 상기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모듈(120) 등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의 흐름도로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200단계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특정 오브젝트와 관련된 입력 조작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러한 입력 조작이 있을 경우에 202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202단계에서는, 입력 조작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림자 종류(속성, 패턴) 중 대응되는 그림자 종류를 확인한다.
이후, 204단계에서는, 해당 오브젝트에 상기 확인한 그림자 종류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터페이스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입력(input) 동작들(Press, Hovering, Long-press, Pinch, Flick)을 오브젝트의 그림자의 종류를 달리하여 구분하며 의미를 부여한다.
즉, 인터페이스 내 오브젝트(아이콘, 위젯, 기타 GUI요소)에 흔히 사용되는 그림자 효과를 특정 기능(task)에 매핑하여 그림자의 속성을 통해 현재 화면이 어떤 기능인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인 화면에서 '편집(edit)' 등의 특정 동작이 실행되면, 기능 버튼이 생성 되거나 화면 내에 가이드가 표시 되는데 각각의 오브젝트의 그림자 속성을 변경하여 이동이나 삭제 등의 특정 태스크(task)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여, 직관적으로 해당 기능을 실행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림자에 동적 요소를 통해 특정 기능을 제공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도, 인터페이스 내 오브젝트에 단순히 심미성, 화면 내의 공간 및 구조를 쉽게 인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오브젝트에 그림자 효과를 적용하는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순한 심미적인 효과를 위한 그림자 효과 제공과는 달리, 화면 내 오브젝트의 상태, 상황 및 특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그림자 종류를 달리하여 그림자 효과를 실시간 동적으로 가변되게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시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들로서,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태스크에 대한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는데, 예를 들어, 누름(Press) 입력을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그림자 효과와 피드백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도 3의 (a)에는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오브젝트의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이때 미리 설정된, 일명 '대기 상태'의 그림자 효과가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누름 입력을 조작하게 되면, 이러한 입력 조작을 확인하여, 누름 입력 상태의 그림자 효과(도 3의 (b)에서는 그림자 없음)를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사한 태스크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그림자의 속성을 활용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호버링과 누름(Press) 입력을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그림자 효과와 피드백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도 4의 (a)에는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오브젝트의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이때 미리 설정된, 일명 '대기 상태'의 그림자 효과가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호버링 입력을 조작하게 되면, 이러한 입력 조작을 확인하여, 호버링 입력 상태의 그림자 효과로서, 예를 들어, '대기 상태'의 그림자 효과보다는 보다 엷은 색상이나 음영을 가지는 그림자 효과를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직접 터치인 누름 입력을 조작하게 되면, 이러한 입력 조작을 확인하여, 누름 입력 상태의 그림자 효과(도 4의 (c)에서는 그림자 없음)를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일반적인 누름(press) 입력과, 길게 누름(long press)을 구분하여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그림자 효과와 피드백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도 5의 (a)에는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오브젝트의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이때 미리 설정된, 일명 '대기 상태'의 그림자 효과가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누름 입력을 조작하게 되면, 이러한 입력 조작을 확인하여, 누름 입력 상태의 그림자 효과(도 5의 (b)에서는 그림자 없음)를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누름 입력을 계속 지속하여, 길게 누름 입력이 확인되면, 이후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게 누름 입력 상태의 그림자 효과로서,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다수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별도의 그림자를 발생하는 그림자 효과를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 자체의 화면상 편집과 관련한 시각적 표현을 나타내기 위한 용도로 그림자 속성을 활용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해당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 가능 상태를 나타내가 위한 용도로서 별도의 그림자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 화면, 즉 대기 상태에서의 오브젝트의 그림자 효과는 화면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편집 모드로 진입 시) 해당 오브젝트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임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그림자 형상이 오브젝트의 상, 하, 좌, 우 네 방향으로 넓게 퍼지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그림자를 통해 편집 모드를 구분하는 실제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된 특정 버튼의 위치 및 기능을 텍스트나 부가 정보 없이 사용자에게 인지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그림자 속성을 활용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된 특정 기능들로서는 편집(edit), 리프레시(refresh), 스크랩(scrap), 삭제(delete)가 있을 수 있으며, 도 7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련된 기능들이 해당 오브젝트의 4 모서리 부위를 터치 입력할 경우에 수행되는 것으로 미리 구현될 수 있다. 그럴 경우에, 해당 오브젝트는 현재 4 모서리 부위의 터치 입력시 관련 기능이 수행됨을 나타내기 위하여, 오브젝트의 4 모서리 부분에 각각 별도의 그림자를 발생하는 그림자 효과를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측 모서리 예를 들어, 리프레시(refresh) 기능이 설정된 모서리를 터치 입력할 경우에 리프레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해당 오브젝트와 관련된 특정 기능들을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방식을 통해, 종래의 화면 내 특정 태스크에 대해 알림 문구나 부가 정보를 통해서만 확인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심미성을 주 목적으로 하는 오브젝트에 활용되고 있는 그림자 요소에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관련된 기능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서는 다수 종류의 입력 조작과 또한, 다수의 종류의 그림자 종류, 그림자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설명한 예들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입력 조작과, 다양한 종류의 그림자 종류 및 그림자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도 4 내지 도 8과 관련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입력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외에도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전자펜의 입력 조작시에도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칩, 장치 또는 집적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3D TV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7)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입력 조작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조작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림자 종류 중 대응되는 그림자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에 상기 확인한 그림자 종류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조작의 종류는 누름(press), 길게 누름(long press), 호버링(hovering), 핀치(pinch), 플릭(fl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림자 종류는 그림자 효과의 음영, 그림자 효과의 유무, 그림자 효과의 발생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 자체의 화면상 편집과 관련한 동작 가능 상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상 편집과 관련한 동작 가능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림자 종류 중 대응되는 그림자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에 상기 확인한 그림자 종류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의 미리 설정된 부위의 입력 상태와 관련하여 다수의 기능들을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그림자 종류 중 대응되는 그림자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오브젝트에 상기 확인한 그림자 종류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면 스크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
  7. 제6항의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30001828A 2013-01-07 2013-01-07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89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28A KR20140089870A (ko) 2013-01-07 2013-01-07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28A KR20140089870A (ko) 2013-01-07 2013-01-07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70A true KR20140089870A (ko) 2014-07-16

Family

ID=5173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828A KR20140089870A (ko) 2013-01-07 2013-01-07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8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8139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58098B1 (ko)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레이아웃 방법 및 장치
US201403517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5405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nged shortcut icon corresponding to a status thereof
KR102064836B1 (ko)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40081423A (ko) 키 입력 방법, 키 입력 방법이 적용된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20140042544A (ko)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KR20140076261A (ko)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KR10214557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40281962A1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89976A (ko) 라이브 박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6617B1 (ko) 터치키 동작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86815B1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10114496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31325B2 (en) Mobile device having parallax scroll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258944A1 (en) Mobile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pre-action on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23325A (ko) 색상 채우기 효과 적용 방법 및 장치
KR102146832B1 (ko)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2928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26110A (ko)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10248263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878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7867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3901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