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665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665A
KR20140088665A KR1020130000446A KR20130000446A KR20140088665A KR 20140088665 A KR20140088665 A KR 20140088665A KR 1020130000446 A KR1020130000446 A KR 1020130000446A KR 20130000446 A KR20130000446 A KR 20130000446A KR 20140088665 A KR20140088665 A KR 20140088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ighting device
illuminat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638B1 (ko
Inventor
신소봉
송용철
Original Assignee
메를로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를로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를로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6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그 주변의 조명기기 중 조명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기기를 탐색 후 탐색된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등을 직접 원격 조절 후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조명기기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상 영역 내에 위치한 조명기기에 인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한 상기 조명기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여부를 통해 상기 조명기기의 응답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조명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모듈의 인지 요청 신호를 수신 후 상기 응답신호 전송을 위해 그 광원의 조도 또는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Searching system for lighting equipment using mobile communication unit and adjusting method for function of lighting equipment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그 주변의 조명기기 중 조명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기기를 탐색 후 탐색된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등을 직접 원격 조절 후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기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어두운 환경을 조명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명기기는 가로등, 천정등, 벽등과 같이 실외 또는 실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타입 및 데스크등과 같이 그 사용자가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비고정 타입으로 크게 구분된다. 또한 조명기기는 그 기능 및 용도에 따라 실내·외를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에서부터 무드등과 같은 비교적 낮은 조도의 부조명 그리고 주방, 현관, 베란다 등의 특정 공간만을 조명하는 소형의 조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명기기는 통상 각각의 전등이 개별적으로 스위칭 수단과 연결되어 온/오프 제어되거나 다수의 전등의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되어 온/오프 제어된다.
또한 최근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을 이용한 조명기기의 사용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LED 조명기기가 지닌 우수한 제어성능,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광 변화효율, 긴 수명, 적은 소비전력, 높은 휘도 등에 따른 것이다. 즉 LED는 광전변환 효율이 높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적고, 열적 및 방전적 발광이 아니기 때문에 예열시간이 불필요하여 점등 및 소등 속도가 빠르며, 안정적인 직류 점등 방식의 채택으로 전력 소모가 적다. 이에 더하여 LED는 인체의 시신경 피로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조명 효과를 낼 수 있는 동시에 작은 광원을 사용함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LED 조명기기를 포함하여 여러 조명기기들의 성능이 계속 향상되는 동시에 감성 조명 장치(조명의 색온도와 밝기를 사람의 심리 상태에 알맞게 변화시키는 장치를 일컬음) 등 기능성 조명기기의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에 따라, 조명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도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에 맞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조명기기의 제어 기술 및 사용자의 조명 사용 환경에 따라 조명 환경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제어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전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점등 및 소등하는 기술, 다수 전등의 조도를 일정한 레벨로 설정하여 디밍(dimming)을 조절하는 기술,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전등의 색온도 또는 색상을 조절하는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 조명기기의 디지털 제어기술들의 경우, 조명기기의 조명 범위 내에 위치하여 그 조명 기능을 이용하는 실제 사용자를 위한 것이기 보다는 조명기기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사용자 중심의 기술에 더 가깝다. 즉, 패밀리 레스토랑이나 패스트 푸드점 등 요식업을 예로 들면, 매장 내의 조명기기에 대한 제어는 해당 매장을 방문하여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조명기기의 조도나 색상 등을 직접 조절할 수 있는 것에 맞춰져 있기 보다는 해당 매장을 운영하는 사용자가 일괄적 또는 부분적으로 조명기기의 조도 및 색상 등을 조절하는 것에 더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조명기기의 조명 범위 내에 위치하여 그 조명 기능을 이용하는 실제 사용자가 자신의 상황 또는 주변 상황들을 고려해 해당 조명기기의 조도나 색상 등 조명 기능을 다양하게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조명기기 제어기술이 매우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6201(2012.10.22), “엘이디 조명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0677356(2007.01.26),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 배경 조명 조절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조명기기의 조명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조명기기의 조도나 색상 등을 다양하게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그 주변의 조명기기 중 조명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기기를 탐색 후 탐색된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등을 직접 원격 조절 후 이렇게 자신이 직접 조절한 조명 환경 내에서 해당 조명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은,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촬상 영역 내에 위치한 전자기기를 포함한 주변 전자기기에 인지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해당 전자기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인지 요청 신호를 수신 후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조명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기기의 응답신호는 조명의 조도 변경, 색상 변경, 점등/소등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도 변경 및 색상 변경은 인체의 안구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후 상기 통신모듈의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해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조명기기가 하나인 경우에만 해당 조명기기의 선택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여 선택된 조명기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하는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은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및 기타 광원의 조명 환경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조명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조명기기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상 영역 내에 위치한 조명기기에 인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한 상기 조명기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여부를 통해 상기 조명기기의 응답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조명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모듈의 인지 요청 신호를 수신 후 상기 응답신호 전송을 위해 그 광원의 조도 또는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모듈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입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상기 카메라 영상데이터와 이후의 상기 카메라 영상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조도 또는 색상 변화의 발생 영역과 상기 조명기기 영역 간 대응 여부를 통해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은 응답신호를 전송한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및 기타 광원의 조명 환경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조명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조명기기의 영상데이터가 획득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그 영상데이터가 획득 중인 조명기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지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한 해당 조명기기로부터의 응답신호 수신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조명기기로부터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조명기기를 원격 제어 가능한 조명기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한 해당 조명기기로부터의 응답신호 수신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조명기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지 요청 신호 수신에 따라 그 광원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경하거나 점등/소등을 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상기 카메라 영상데이터와 이후의 상기 카메라 영상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조도 또는 색상 변화의 발생 영역과 상기 조명기기 영역 간 대응 여부를 확인 후 대응 시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기기가 그 광원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경하는 것은 인체의 안구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 의해 그 영상데이터가 획득 중인 조명기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지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실행된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입력부가 표시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기기로부터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조명기기를 원격 제어 가능한 조명기기로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및 기타 광원의 조명 환경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후 이를 해당 조명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기기의 조명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조명기기의 조도나 색상 등을 다양하게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그 주변의 조명기기 중 조명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기기를 탐색 후 탐색된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등을 직접 원격 조절 후 이렇게 자신이 직접 조절한 조명 환경 내에서 해당 조명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 탐색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 탐색 시스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화면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 탐색 시스템의 카메라를 통한 조명기기 탐색 과정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은, 카메라(120) 및 카메라(120)의 촬상 영역 내에 위치한 전자기기를 포함한 주변 전자기기에 인지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해당 전자기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미도시)이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기(110),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인지 요청 신호를 수신 후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전송하는 조명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조명기기(150)의 응답신호는 조명의 조도 변경, 색상 변경, 점등/소등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이때 조명기기(150)의 조도 변경 및 색상 변경은 인체의 안구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및 통신 기능이 있는 테블릿 PC 또는 노트북 PC 등 휴대가 가능한 동시에 컴퓨팅 기능이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조명기기(150)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그 광원의 조도, 색상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그 주변의 조명기기(150) 중 조명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기기(150)를 탐색 후 탐색된 조명기기(150)의 조도, 색상 등을 직접 원격 조절 후 이렇게 자신이 직접 조절한 조명 환경 내에서 해당 조명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 탐색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 탐색 시스템(100: 이하 “조명기기 탐색 시스템”이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카메라(120), 통신모듈(130),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140), 조명기기(150), 광원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및 통신 기능이 있는 테블릿 PC 또는 노트북 PC 등 휴대가 가능한 동시에 컴퓨팅 기능이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도 언급한바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스마트폰을 예로 한다.
카메라(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장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10) 주변에 위치한 조명기기(150)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통신모듈(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설치되어 카메라(120)의 촬상 영역 내에 위치한 조명기기(150)에 인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한 조명기기(150)의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14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설치되어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여부를 통해 조명기기(150)의 응답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140)은 카메라(1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카메라 영상데이터와 이후의 카메라 영상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한 후, 카메라(12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의 발생 영역과 조명기기 영역 간 대응 여부를 통해 해당 조명기기(15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140)은 응답신호를 전송한 조명기기(150)의 조도, 색상 및 기타 광원의 조명 환경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제어신호를 통신모듈(130)을 통해 해당 조명기기(150)에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140)은 통신모듈(130)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14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1)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입력부(112)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조명기기 탐색 시스템(100)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표시 화면 일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1)에 카메라(120)를 통해 실시간 획득되는 조명기기(150)의 영상데이터가 출력되고, 이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화면(111)에 영상데이터 획득 중인 조명기기(150)에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입력부(112)가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조명기기(150)는 그 광원(152)을 통해 주변을 조명하는 장치이며, 이때 조명기기(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통신모듈(130)과 영상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및 각종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151)를 포함한다. 또한 조명기기(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해 전송되고 그 통신부(151)를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그 광원(152)의 조도, 색상 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컴퓨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 조명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명기기(150)는 광원 제어부(160)를 포함하며, 이러한 광원 제어부(160)는 통신부(151)에 수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한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152)의 조도 또는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광원(152)에 출력한다.
그리고 조명기기(150)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간의 데이터 및 각종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과 같은 직접 연결 가능한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별도의 중간매개 장치를 통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등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이 이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설치되는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후 통신모듈(130)의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해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조명기기(150)가 하나인 경우에만 해당 조명기기(150)의 선택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1)에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1)에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가 표시되는 과정에서, 통신모듈(130)의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해 하나의 조명기기(150)가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화면(111)의 조명기기(150) 주변 영역에 박스형의 외곽선을 형성시켜 해당 조명기기(150)로부터 응답신호가 전송되었고, 이에 따라 해당 조명기기(150)의 조도, 색상 등 조명 기능 제어를 위한 환경 조성이 이루어졌음을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 역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조명기기(150)의 조도, 색상 및 기타 광원의 조명 환경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후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통신모듈(130)을 통해 해당 조명기기(150)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그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140) 및 통신모듈(130)을 통해 전송되는 인지 요청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조명기기 목록을 저장부에 사전 저장한 형태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조명기기(150)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인지 요청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조명기기(150)를 저장부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시키면서 조명기기 목록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따른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이 적용되고, 따라서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 하였음을 밝혀 둔다.
먼저, 단계(S11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카메라(120)를 통해 조명기기(150)의 영상데이터가 획득된다.
이어서, 단계(S120)에서 카메라(120)에 의해 그 영상데이터가 획득 중인 조명기기(150)에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인지 요청 신호가 전송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조명기기(150)에 인지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설치되어 실행된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1)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입력부(112)가 표시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해 상기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한 해당 조명기기(150)로부터의 응답신호 수신 여부가 판단되는데, 이는 조명기기(150)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인지 요청 신호 수신에 따라 그 광원(152)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경하거나 점등/소등을 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단계(S13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카메라(12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어서, 단계(S1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카메라(1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카메라 영상데이터와 이후의 상기 카메라 영상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조도 또는 색상 변화의 발생 영역과 조명기기 영역 간 대응 여부를 확인하며, 이어서 단계(S15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단계(S140)에서 조도 또는 색상 변화의 발생 영역과 조명기기 영역이 대응 시 해당 조명기기(15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S130)을 통해 조명기기(150)가 그 광원(152)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경하는 것은 인체의 안구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과정인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응답신호를 전송한 조명기기(150)의 조도, 색상 및 기타 광원의 조명 환경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후 이를 해당 조명기기(150)에 전송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으로서, 즉, 단계(S16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조명기기(150)에 조명기기(150)의 광원(152)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이어서, 단계(S170)에서 조명기기(150)의 통신부(151)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단계(S18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한 조명기기(150)의 원격제어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은, 조명기기의 조명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조명기기의 조도나 색상 등을 다양하게 직접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즉,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그 주변의 조명기기 중 조명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기기를 탐색 후 탐색된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등을 직접 원격 조절 후 이렇게 자신이 직접 조절한 조명 환경 내에서 해당 조명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조명기기 탐색 시스템 110 : 이동통신 단말기
111 : 디스플레이 화면 112 : 입력부
120 : 카메라 130 : 통신모듈
140 :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 150 : 조명기기
151 : 통신부 152 : 광원
160 : 광원 제어부

Claims (15)

  1.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촬상 영역 내에 위치한 전자기기를 포함한 주변 전자기기에 인지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해당 전자기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인지 요청 신호를 수신 후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조명기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의 응답신호는 조명의 조도 변경, 색상 변경, 점등/소등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변경 및 색상 변경은 인체의 안구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후 상기 통신모듈의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해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조명기기가 하나인 경우에만 해당 조명기기의 선택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여 선택된 조명기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하는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은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및 기타 광원의 조명 환경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조명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6.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조명기기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상 영역 내에 위치한 조명기기에 인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한 상기 조명기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여부를 통해 상기 조명기기의 응답신호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
    상기 조명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모듈의 인지 요청 신호를 수신 후 상기 응답신호 전송을 위해 그 광원의 조도 또는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모듈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입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상기 카메라 영상데이터와 이후의 상기 카메라 영상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조도 또는 색상 변화의 발생 영역과 상기 조명기기 영역 간 대응 여부를 통해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은 응답신호를 전송한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및 기타 광원의 조명 환경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조명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조명기기의 영상데이터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그 영상데이터가 획득 중인 조명기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지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한 해당 조명기기로부터의 응답신호 수신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조명기기로부터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조명기기를 원격 제어 가능한 조명기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인지 요청 신호에 대한 해당 조명기기로부터의 응답신호 수신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조명기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지 요청 신호 수신에 따라 그 광원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경하거나 점등/소등을 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조도 또는 색상 변화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상기 카메라 영상데이터와 이후의 상기 카메라 영상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조도 또는 색상 변화의 발생 영역과 상기 조명기기 영역 간 대응 여부를 확인 후 대응 시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가 그 광원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경하는 것은 인체의 안구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그 영상데이터가 획득 중인 조명기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지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실행된 조명기기 탐색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인지 요청 신호 전송을 위한 입력부가 표시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로부터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조명기기를 원격 제어 가능한 조명기기로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조명기기의 조도, 색상 및 기타 광원의 조명 환경 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 후 이를 해당 조명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KR1020130000446A 2013-01-03 2013-01-03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KR101426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446A KR101426638B1 (ko) 2013-01-03 2013-01-03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446A KR101426638B1 (ko) 2013-01-03 2013-01-03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665A true KR20140088665A (ko) 2014-07-11
KR101426638B1 KR101426638B1 (ko) 2014-08-06

Family

ID=5173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446A KR101426638B1 (ko) 2013-01-03 2013-01-03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6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0275A (zh) * 2014-12-17 2015-04-22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现场照明装置的方法、设备及系统
KR20160009441A (ko) * 2014-07-16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디바이스 및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WO2016085110A1 (ko) * 2014-11-28 201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장치 등록방법
CN105682324A (zh) * 2016-02-24 2016-06-15 浙江生辉照明有限公司 调光数据上报方法、智能照明设备和网关
CN106713760A (zh) * 2017-01-03 2017-05-24 生迪智慧科技有限公司 终端、led灯的控制显示系统和方法
US11210147B2 (en) 2016-02-03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pplication-related interoperation,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528B1 (ko) * 2002-08-27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조명기기 운용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41A (ko) * 2014-07-16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디바이스 및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WO2016085110A1 (ko) * 2014-11-28 201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장치 등록방법
KR20160064797A (ko) * 2014-11-28 201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장치 등록방법
US9980354B2 (en) 2014-11-28 2018-05-22 Lg Electronics Inc.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lighting device
CN104540275A (zh) * 2014-12-17 2015-04-22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现场照明装置的方法、设备及系统
US11210147B2 (en) 2016-02-03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pplication-related interoperation, and method therefor
CN105682324A (zh) * 2016-02-24 2016-06-15 浙江生辉照明有限公司 调光数据上报方法、智能照明设备和网关
CN105682324B (zh) * 2016-02-24 2019-07-26 浙江生辉照明有限公司 调光数据上报方法、智能照明设备和网关
CN106713760A (zh) * 2017-01-03 2017-05-24 生迪智慧科技有限公司 终端、led灯的控制显示系统和方法
WO2018126875A1 (en) * 2017-01-03 2018-07-12 Sengled Co., Ltd. Terminal, led light bulb controlling and display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674580B2 (en) 2017-01-03 2020-06-02 Sengled Co., Ltd. Terminal, LED light bulb controlling and display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638B1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6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기능 조명기기의 탐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기의 조명 기능 조절 방법
KR101527328B1 (ko)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U2663206C2 (ru) Управление освещением с помощью мобильного вычис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RU2645306C2 (ru) Управление источниками света через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CA2973852C (en) 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3001299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디밍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방법
JP6979353B2 (ja) 照明制御装置及び方法
CN106658926B (zh) 灯具控制方法及装置
US11602026B2 (en) System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able and controllable under cabinet lighting fixtures
WO2022237159A1 (zh) 照度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4219850A (zh) 发光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1056898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30116417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055746B (zh) 利用智能手机控制环境照明的方法及其系统
KR101841014B1 (ko) 동글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홈 조명 시스템
US20150138433A1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nd Illumination Control Method
JP201319138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793398A (zh) 一种智能照明远程控制系统
KR101988433B1 (ko) 바이오리듬 제공 앱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성 조명제어 시스템
KR101835424B1 (ko) 조명 제어 방법 및 조명기기
JP2020064730A (ja) Led照明システム
JP2015230895A (ja) 照明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端末
KR101656938B1 (ko)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663370B1 (ko) 조명 제어 어플리케이션
CN205299194U (zh) 一种多功能照明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