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509A -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 Google Patents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509A
KR20140088509A KR1020140075481A KR20140075481A KR20140088509A KR 20140088509 A KR20140088509 A KR 20140088509A KR 1020140075481 A KR1020140075481 A KR 1020140075481A KR 20140075481 A KR20140075481 A KR 20140075481A KR 20140088509 A KR20140088509 A KR 20140088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knowledge
electronic
book
b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승환
Original Assignee
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승환 filed Critical 지승환
Priority to KR102014007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509A/ko
Publication of KR20140088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Abstract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서버가 학습자의 학습 목표를 수집한 다음,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인 지식 단위들의 관계성을 정의한 구조인 지식 체계로부터 상기 제공받은 학습 목표에 해당하는 학습 경로를 획득하고, 상기 지식 체계와 동일한 주제에 대한 다수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목차 각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식 체계에 속하는 다수의 지식 단위들 가운데 대응되는 것을 판정함으로써 맵핑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을 선정하여 추천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METHOD OF RECOMENDING BOOKS IN ELECTRONIC FORM BASED ON STUDY PLAN}
본 발명은 각 학습자별 학습목표나 선행학습 수준, 학습 태도, 성향에 따라 학습 플랜을 생성하고, 이에 기반하여 해당 학습 플랜에 따른 학습시 필요한 전자서적을 추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서관이나 서점 등지에서 서적을 고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한가지는 제목을 아는 경우이다. 베스트 셀러이거나 추천도서이거나, 적어도 인구에 회자되어 그 제목을 미리 하는 경우 구매자는 제목을 이용하여 검색을 하게 된다.
소설이나 수필 등의 경우 대체로 이러한 패턴을 통해 검색과 구매가 이뤄진다.
다른 한가지는 키워드 입력을 통해 필요로 하는 서적을 찾는 경우이다.
특히, 정보를 얻기 위한 서적의 경우에 키워드 입력을 통해 원하는 서적을 찾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키워드 입력을 통한 검색 결과로부터 원하는 서적을 찾는 것은 의외로 쉽지 않은 일이다.
구매자는 검색결과로 반환된 서적들의 간략한 리뷰와 소개말, 목차 정도의 극히 제한된 정보만을 가지고서 서적을 골라야 하는데, 그 서적이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 가운데 빠진 내용은 없는지, 빠진 내용이 있다면 그 빠진 내용은 또 어느 서적에서 보충해야 하는지는 전적으로 구매자가 조사하고 판단해야 할 몫이다.
이러한 번거로움은 고전적 형태의 서적은 물론, 이북과 같은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검색과 구매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37601호 "맞춤형 학습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75065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학원 관리 및 교재 주문 시스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과 분석이 용이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특징을 살려, 학습자의 학습 목표에 맞는 학습 플랜을 생성한 다음, 생성된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단말기(20)와 연결되는 서버(10)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10)가 학습자 단말기(20)로부터 학습자의 학습 목표를 제공받는 제 110 단계;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인 지식 단위들의 관계성을 정의한 구조인 지식 체계로부터 상기 제공받은 학습 목표에 해당하는 학습 경로를 획득하는 제 120 단계;
상기 획득된 학습 경로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이 순서대로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진 학습 플랜을 생성하는 제 130 단계; 및
상기 지식 체계와 동일한 주제에 대한 다수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각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식 체계에 속하는 다수의 지식 단위들 가운데 대응되는 것을 판정함으로써 맵핑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선정하는 제 140 단계;
학습자 단말기(20)에 의해 상기 전자적 형태의 서적(1) 목록 가운데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학습자 단말기(20)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대한 구매 또는 대여를 위한 전자서적 서버(30)의 링크를 제공하는 제 150 단계; 및
상기 전자서적 서버(30)에서 상기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대한 구매 또는 대여가 이루어지면, 상기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대한 정보 및 구매 또는 대여조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제 16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학습자는 수많은 전자적 형태의 서적 가운데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플랜을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전자적 형태의 서적을 구입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에 의할 때 키워드만으로 검색함으로써 잘못된 키워드의 입력으로 인해 원하는 서적을 놓치거나, 또는 자신에게 필요한 서적이 맞는지를 서적을 실제로 구입하기 이전에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할 때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된다.
한편, 학습자들의 서적 구매시에 학습자의 학습 목표나, 선행학습 수준, 학습 태도나 성향 등에 따라서 학습 플랜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들을 추천하여 구매 또는 대여로 이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구매 또는 대여를 위한 포털이라는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의 동력이 될 수 있다.
도 1은 서버, 전자서적 서버와 학습자 단말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다수의 지식 단위들이 상호 간 관계성에 따라 그래프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지식 체계를 이루는 모습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지식 체계의 생성을 위하여 다수의 지식 단위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며,
도 4는 사용자의 관심사나 학습 수준, 학습 목표에 따라 지식 체계상의 경로 일부를 추출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5는 다수의 전자적 서적들을 지식체계에 맵핑한 결과를 예시하는 도표이며,
도 6은 사용자의 관심사나 학습 수준, 학습 목표에 따라 지식 체계상의 경로 일부를 추출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한 모습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7은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을 추천한 모습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학습자 단말기(20)와 연결된다.
이때,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망일 수 있으며, 학습자 단말기(20)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재생하여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 단말기(20)의 형태는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타블렛과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요소일 수도 있으며, 또는 디지털 교과서 등 근 미래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재생하기 위한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서적 서버(30)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을 저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 또는 학습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 이러한 전자서적 서버(30)는 전자서적의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전자도서관 또는 인터넷 서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전자서적 서버(30)에 접속하여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구입하거나 또는 대여할 수 있다.
서버(10)는 지식체계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전자서적 서버(30)로부터 이북 등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입수하여 분석하는 주체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학습자 단말기(20)로부터 학습자의 관심사나 학습 수준 등의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버(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서버(30)에 접속하여 전자서적을 대여하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은 이와 같은 서버(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적 서적의 통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로 한다.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란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소정의 순서, 목차에 따라서 결합되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되거나 플래쉬 메모리나 DVD 등의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복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학습자 단말기(20)에서 재생될 수 있는데, 전자적 형태의 서버(1)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학습자 단말기(20)에 다운로드 되거나 로컬에 저장된 상태에서 재생될 수 있다. 즉, 전자적 형태의 서버(1)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일부는 경우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호스팅하는 별도의 서버(30)에 연결된 온라인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다수의 학습 컨텐츠가 분리 불가능한 형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다. 분리불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는 것은 설령 매 페이지 단위로 저장된 파일들을 이용하여 저작되어도 최종적으로는 전체로서 인코딩된다거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학습 컨텐츠의 일부만을 분리하여 유통, 복제할 수 없도록 DRM과 같은 기술적 수단이 강구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기존의 이북(E-book)을 포함할 뿐 아니라 상기와 같은 정의를 만족한다면 이북의 진화된 다른 형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도 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지식 체계"란 주제별로 해당 주제에 관한 다수의 지식 단위들의 관계성을 정의한 구조이다. 각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은 그 관계성에 따라 그래프 구조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는 "JAVA 프로그래밍"을 주제로 하는 지식 체계를 예시한다.
도 2에 예시된 지식 체계는 다수의 지식 단위가 노드(node)가 되고, 각 노드를 잇는 에지(edge)는 에지 양측 노드 상호간의 관계성을 나타낸다.
도 2에 예시된 바에 의할 때, 아래에서부터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Java 기초문법", "JSP 기초지식",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 "Java 문법 초급", "Database 초급", "MVC 패턴", "Servlet"와 같은 명칭을 갖는 지식 단위들이 노드를 형성하고 있다.
지식 단위들 상호간의 관계성은 선후관계, 포함관계, 등가관계로 구분된다.
선후관계란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를 학습하기 위하여, 다른 지식 단위에 대한 선행학습이 필요한 경우와 같이 임의의 두 지식 단위간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선행하는 관계를 말한다.
도 2의 예에 의할 때, "JSP 기초지식"은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에 앞서 선행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는 관계에 있고, 또한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은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에 선행하는 관계에 있다.
이들을 잇는 에지에는 "base"라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선후관계를 의미한다.
한편, "Java 웹 프로그래밍 고급"은 "Framework"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포함관계에 있으며,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에 대한 선행학습이 필요한 선후관계로 이어져 있다.
이들을 잇는 에지에는 "part"라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포함관계를 의미한다.
등가관계는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지식 단위가 서로 대체가능한 관계인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과 "Java 스크립트 기본"는 대동소이한 내용과 난이도를 가지는 학습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까닭에 서로 대체가능한 관계에 있는 등가관계일 수 있다.
지식 체계는 이와 같이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지식 단위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그래프 구조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식 체계는 각 주제별(예컨대, "Java 프로그래밍", "고 1 수학", "C언어", "세계사" 등)로 미리 작성되며, 해당 주제에 대해 새로운 저작물이나 커리큘럼이 만들어질 때마다 이를 반영하여 보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지식 체계는 지식 단위를 나타내는 노드와 이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에지 이외에 학습 경로 인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학습 경로 인자는 지식 체계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노드로서(즉, 그래프 구조에서 자식 노드만을 가지며, 부모 노드를 가지지 않는다.),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해당 노드에 이르는 학습 경로의 적어도 일부의 성격을 정의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그래프 구조의 최상위 노드에는 "고급 개발자", "아키텍트", "중급개발자"와 같이 표시된 노드가 존재하며, 그래프 구조의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해당 노드-즉, 학습 경로 인자에 이르는 지식 단위들의 경로는 각각 "고급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학습해야할 학습 플랜, "아키텍트"가 되기 위해 학습해야 할 학습 플랜, "중급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학습해야할 학습 플랜이 된다.
이때, 학습 경로 인자가 상기 경로의 전부가 아닌 일부를 정의하는 경우, 상기 경로의 일부에 해당하는 지식 단위들이 학습 플랜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학습 경로 인자는 내용상 여러 가지의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예컨대, 학습 목표, 학습 활동, 자격증 취득 등의 여러가지로 나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그래프 구조의 최상위 노드에는 "고급 개발자", "아키텍트", "중급개발자", "JSP프로그래머"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학습 목표"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즉, 해당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식 체계의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상기 학습 경로 인자에 이르는 경로의 각 지식 단위를 학습해야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그래프 구조의 최상위 노드에 "게시판", "방명록", "채팅"이라 표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학습 활동"에 해당한다.
모든 학습자가 반드시 고급개발자나 아키텍트가 되기 위하여 자바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것은 아니며, 어떤 학습자는 단순히 자바를 이용하여 게시판을 코딩하거나, 방명록을 코딩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지식 체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학습 활동"이 표시될 수 있으며, 지식 체계상에서 해당 학습활동에 이르는 경로는 각각 자바를 이용하여 "게시판"이나 "방명록", "채팅창"을 제작하기 위해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들을 포함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그래프 구조의 최상위 노드에 "SCJP", "OCP"와 같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자격증"에 해당한다.
지식 체계상에서 해당 "자격증"에 이르는 경로는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들을 설명한다.
"지식 단위"란 지식 체계의 노드에 해당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로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소주제에 해당한다.
예컨대, 지식 체계의 주제가 "Java 프로그래밍"인 경우, 해당 주제에 대해서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Java 기초문법", "JSP 기초지식",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 "Java 문법 초급"과 같은 소주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지식 단위는 해당 주제와 관련한 상당수의 저작을 통해 빈번하게,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예컨대, 초심자를 위한 대부분의 자바 프로그래밍 서적에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또는 "Java 기초문법"에 해당하는 단원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지식 체계상에서 하나의 노드를 차지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고 1 수학"을 주제로 하는 대다수의 서적에 "통계", "미적분"과 같은 단원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고 1 수학" 지식 체계에서 하나의 지식 단위로서 노드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지식 체계의 생성을 위하여 다수의 지식 단위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도표이다.
특정 주제를 기준으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에 대해 "명칭"을 부여하고, "내용요약"을 기술한 다음, "키워드", "레벨", "타입"을 설정함으로써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식 단위가 생성된다.
지식 단위의 명칭과 키워드는 해당 주제와 관련한 서적(이 경우 고전적 형태의 서적을 포함한다.)의 목차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내용은 서적의 해당 단원의 내용을 요약함으로써 기술될 수 있다.
레벨은 학습자의 학습수준에 맞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부가될 수 있는 정보이며, 타입은 학습자의 학습 목표에 적합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부가될 수 있는 정보에 해당한다.
한편, "학습 단위"란 각각의 개별 지식 단위에 포함되는 학습 컨텐츠의 기본 단위이다. 이러한 학습 단위는 해당 주제와 관련한 저작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
예컨대, 초심자를 위한 대부분의 자바 프로그래밍 서적에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에 해당하는 단원이 존재하더라도, 각 서적마다 해당 단원의 설명이나 예문, 퀴즈 등은 모두 상이하다.
즉, 학습 단위란 지식 단위에 포함되는 학습 컨텐츠로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저작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지식 체계에서 노드의 위치를 차지하지 못한다.
한편, "맵핑"이란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를 다수개의 지식 단위로 구분하고, 각 지식 단위에 대해 기 생성된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 가운데 대응하는 것을 각각 선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학습 컨텐츠"라는 용어가 사용되나, 이는 일반적인 용어로서 학습을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텍스트나 이미지 기타 멀티미디어의 형태로 제작된 데이터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지식 단위나 학습 단위와 같은 "단위"에 해당하는 층위의 용어로 사용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을 상기와 같이 개념 정의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사용자의 관심사나 학습 수준, 학습 목표에 따라 지식 체계상의 경로 일부를 추출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전체 과정의 일부에 해당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먼저,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지식 단위를 생성하고, 생성된 지식 단위들의 관계성을 정립함으로써 지식 체계를 구축한다.
이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가능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을 기 구축된 지식 체계에 맵핑한다.
그 다음으로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의 관심사, 학습수준, 학습목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식체계를 이용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추천한다.
학습자는 추천된 다수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 가운데 자신에게 필요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통합된 형태로 열람함으로써 학습에 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은 도 4의 (d) 및 (e)에서 학습자를 위한 학습 플랜을 생성하고,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을 선정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다수의 전자적 서적들을 지식체계에 맵핑한 결과를 예시하는 도표이며, 도 6은 사용자의 관심사나 학습 수준, 학습 목표에 따라 지식 체계상의 경로 일부를 추출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한 모습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7은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을 추천한 모습을 예시하는 참고도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서버(10)에 접속한 다음 자신의 학습 목표와 선행학습 수준, 학습 태도 또는 성향 등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등의 경로를 통해 수집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서버(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기(20)로부터 학습자의 학습 목표를 제공받는다(S110). 이때, 선행학습 수준이나 학습태도, 성향과 같은 정보를 더 제공받을 수 있다.
학습 목표란 학습자가 학습을 하고자 하는 이유로서 예를 들면 "Java 고급개발자", "SCJP 자격증 취득", "Java로 게시판 코딩"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선행학습 수준이란 학습 목표와 관련하여 학습자가 어느 정도의 학습이 되어있는가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 수준이라는 등, 학습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학습자의 LMS를 통한 그간의 학습 경과 정보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학습 태도나 성향은 종래기술에 의할 때,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학습 컨텐츠의 생성을 위해 수집하는 정보의 하나로서 학습자가 이해력이 좋으나 산만하다거나, 성실하나 이해력이 낮다는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지루하지 않게 구성된 학습컨텐츠가, 후자의 경우 반복학습과 복습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서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식 체계로부터 상기 학습 목표에 해당하는 학습 경로를 획득한다(S120).
지식 체계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식 단위가 노드가 되고, 각 지식 단위간 관계성(이 있는 경우에)을 에지로 하는 그래프 구조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때 지식 체계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노드(즉, 부모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노드)로서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해당 노드에 이르는 학습 경로의 성격을 정의하는 노드인 학습 경로 인자를 가질 수 있다.
서버(10)는 제공받은 학습 목표에 대응하는 학습 경로 인자를 선정한다.
예컨대, 학습자가 "Java 고급개발자"를 학습목표로 입력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그래프 좌측 상단의 학습 경로 인자인 "고급개발자" 노드를,
학습자가 "SCJP 자격증 취득"을 학습목표로 입력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그래프 중앙의 학습 경로 인자인 "SJCP" 노드를 선정한다.
한편, 서버(10)는 이와 같이 학습 경로 인자가 선정되면, 그래프의 최하단에서부터 상기 학습 경로 인자에 이르는 경로를 판단한다.
판단된 경로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을 순서대로 연결함으로써 학습플랜이 생성된다(S130).
도 2에 도시된 그래프 구조에서 선정된 학습 경로 인자가 "중급개발자"인 경우, 역으로 그래프 연산을 수행하여 최하단 노드까지의 경로(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찾으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Java 문법초급" -> "MVC패턴" -> "JSP 기초지식" -> "Database 초급" -> "JSP 웹 프로그래밍 초급" -> "JSP 웹 프로그래밍 중급" ->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과 같은 경로가 얻어진다. 이는 곧 학습 플랜이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학습 플랜은 학습자 단말기(20)로 제공되어, 도 6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학습자에 대한 학습 플랜이 생성되면, 서버(10)는 상기 지식 체계에 대하여 미리 매칭된 다수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 가운데 상기 생성된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것들을 선정한다(S140).
서버(10)는 각 지식 단위별로 학습 플랜에 부합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을 선정하되, 각 지식 단위별로 어떤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 더 부합하는지를 수치화하여 판정할 수도 있다.
이때, 기 제공받은 학습자의 선행학습 수준, 학습 태도, 성향이 부합정도의 판정에 고려될 수 있다. 즉, 이들 정보가 부합정도를 판정하는 알고리즘에 변수로 더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식 체계에 미리 매칭된 다수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 가운데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것들이 선정되면, 서버(10)는 그 목록을 학습자 단말기(20)로 제공하여,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서버(10)는 각 전자적 형태의 서적(1) 목록의 각 항목이 상기 학습 플랜에 속하는 각 지식 단위와 부합하는지 여부 또는 부합정도를 학습자 단말기(20)로 더 제공하여 도 7의 우측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학습자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자신의 학습 플랜을 보면서, 또한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적 서적들의 목록 항목 각각과 학습 플랜에 속하는 지식 단위 각각의 부합여부, 부합정도를 보면서 어떤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구입해야 할지(또는 대여해야 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도 7에는 두 권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추천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다수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 추천될 수도 있다.
이때,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 선정되어 추천되는 경우, 학습자는 이들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모두 구입(또는 대여)할 것인지, 아니면 하나만을 구입(또는 대여)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이와 같은 판단을 돕기 위하여 서버(10)는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 선정되어 그 목록을 학습자 단말기(20)로 제공하는 경우, 학습 플랜에 속하는 지식 단위 각각에 대하여 상기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의 중복 여부 또는 중복 정도를 더 제공하여,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학습자 단말기(20) 화면상에 학습 플랜과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록이 표시되면, 학습자는 각 지식 단위별로 어느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 더 부합하는지, 그리고 전체 학습 플랜을 커버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어떤 것인지, 만일 한 권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 만으로 전제 학습 플랜이 커버되지 않는다면 보조적으로 어떤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 더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 단말기(20) 화면상에 표시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록 가운데 구입 또는 대여하기로 결정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선택하면, 서버(10)는 학습자 단말기(20)로 상기 선택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대한 구매 또는 대여를 위한 전자서적 서버(30)의 링크를 제공한다(S150).
이에 따라, 학습자 단말기(20)는 상기 제공받은 링크를 따라 전자서적 서버(30)가 제공하는 구매 또는 대여를 위한 네트워크 상의 위치(예컨대, 웹 페이지)로 이동하여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대한 구매 또는 대여절차를 진행한다.
한편, 서버(10)는 상기 제공한 상기 전자서적 서버(30)의 링크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상의 위치에서 상기 선택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대한 구매 또는 대여가 이루어지면, 상기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대한 정보 및 구매 또는 대여조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S160).
즉, 어떤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 어느 전자서적 서버(30)에서 얼마에, 몇권이나 판매되었는지와 같은 정보를 수집한다.
서버(10)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구입 또는 대여를 위한 포털(Portal)로 역할 할 수 있다.
즉, 지식 체계에 매칭된 다수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의 목록을 구비하고 있다가, 소정의 학습 목표에 따른 학습시 어떤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 필요한지 궁금해하는 학습자들에게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적절한 학습 플랜을 제공함은 물론,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의 목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이를 선택하면 비로소 해당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판매하거나 대여하는 전자서적 서버(30)로 이동하여 구매 또는 대여를 위한 소정의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서버(10)를 통해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대한 구매 또는 대여가 이루어지면, 서버(10)는 각 전자서적 서버(30)들로 미리 계약된 바에 따라 판매의 알선, 광고의 대행에 따른 대가를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전자 도서관이나 인터넷 서점 등에서 키워드로 검색하여 서적을 구입하는 경우와 달리, 자신의 학습 목표에 대한 학습 플랜과 이에 부합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을 쉽게 검색하여 구입, 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지식체계를 구축하고 기 구축된 지식체계에 전자적 형태의 서적들을 맵핑하는 과정을 부연한다.
서버(10)는 기 수집된 특정 주제와 관련한 저작물들의 목차로부터 지식 단위를 생성한다. 이때, 특정 주제와 관련한 저작물에는 이북과 같은 전자적 형태의 서적은 물론, 고전적 형태의 서적도 포함된다.
한편, 특정 주제와 관련된 저작물의 수집은 작업자에 의해 행해지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
전자적 형태의 서적인 경우 목차 데이터를 인출하여 파싱한 다음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할 수 있을 것이며, 고전적 형태의 서적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목차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 다음 텍스트로 재차 변환하면 이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지식 단위의 생성시 해당 저작물의 목차(또는 소목차) 자체를 지식 단위의 명칭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서적의 목차나 내용에 대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해당 서적의 분류(예컨대, "Java 프로그래밍", "Java 문법"), 난이도(예컨대, "기초", "초급", "중급"), 유형(예컨대, "교과서", "자격증", "실전")을 각각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필요하다면 서버(10)에 의해 생성된 지식 단위를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더욱 정밀하고 정확해지도록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서버(10)는 각 주제와 관련하여 기 수집된 저작물들의 목차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지식 단위들 간 관계성을 판정한다.
즉, 기 수집된 저작물들의 목차로부터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가 다른 하나의 지식 단위에 선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가 다른 하나의 지식 단위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니면,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가 다른 하나의 지식 단위와 동치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결과 지식 단위들 간의 관계성이 판정된다.
이후, 서버(1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지식 단위를 노드로 하고, 상기 지식 단위들 간 관계성을 에지로 하는 그래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그래프 구조가 지식 체계에 해당함은 이미 살펴본 바와 같다.
한편,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식 체계는 지식 체계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노드로서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해당 노드에 이르는 학습 경로의 성격을 정의하는 노드인 학습 경로 인자를 더 가지는데, 서버(1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그래프 구조의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나머지 각 노드에 이르는 경로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의 공통점을 분석한다.
예컨대, 특정 경로에 해당하는 지식 단위들이 모두 "자격증"에 관한 것이라면, 해당 경로의 최상위 노드(이때, 최상위 노드는 특정 경로 상의 최상위 노드일 뿐, 그래프의 최상위 구조가 아닐 수 있다.)의 위에 새로운 노드를 생성하여 "자격증"이라는 명칭/속성을 갖는 학습 경로 인자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 의할 때, "SCJP", "OCP"와 같은 노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특정 경로에 해당하는 지식 단위들이 "Java 웹 프로그래밍"에 관한 것으로,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난이도가 가장 낮은 수준에서부터 점차 높아져 중급에 이르는 경우, 해당 경로의 최상위 노드의 위에 새로운 노드를 생성하여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이라는 명칭/속성을 갖는 학습 경로 인자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 의할 때, 그래프의 중간쯤에 "중급 개발자"라 표시된 노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지식 체계가 정립된다.
*이러한 지식 체계의 정립과정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반복적으로 행하여 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지식 체계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독서 또는 학습이 행해져야 하는 성격의 학습 컨텐츠들에 대해서 정립될 수 있는 것으로, 학습순서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소설, 수필과 같은 서적류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지식 체계는 주로 학습과 관련된 학습 컨텐츠들에 대하여 정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식 체계가 정립되면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입수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분석하여 지식 단위를 추출하고, 상기 정립된 지식 체계에 맵핑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10)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를 판독하고 상기 목차의 각 항목마다 키워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서버(10)는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기 정립된 지식 체계에 속하는 다수의 지식 단위들 가운데 상기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항목 가운데 대응되는 것을 판정함으로써 맵핑한다.
도 5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맵핑이 이루어진 결과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우측에 1, 2, 3, 4, 5, 6, 7, 8과 같이 메겨진 순번은 각각 "Java 프로그래밍" 주제에 관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우측의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JSP 기초지식",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 등은 기 정립된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을 의미한다.
한편, 도 5의 우측 순번의 아래쪽에 O 또는 ▲로 표시된 부분은, 각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항목이 각 지식 단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이다.
O으로 표시된 부분은 지식 체계의 특정 지식 단위에 정확하게 맵핑이 됨을 의미하며, ▲로 표시된 부분은 알고리즘에 의해 맵핑한 결과 맵핑은 이루어졌으나 정확도가 일정값 미만으로 낮은 경우를 의미한다.
아무런 표시가 없는 부분은 맵핑이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5의 예에 의할 때, 1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JSP 기초지식", "JSP 웹 프로그래밍 초급", "JSP 웹 프로그래밍 중급"까지 맵핑이 이루어졌으나,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 "Java 웹 프로그래밍 고급"에는 맵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2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JSP 기초지식"의 일부에 대해 맵핑이 이루어졌으며, 1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맵핑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 "Java 웹 프로그래밍 고급"에 맵핑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에 대한 맵핑이 이루어지면, 서버(10)는 각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를 맵핑된 지식 단위가 순차 연결된 형태로 재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1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는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 "JSP 기초지식" -> "JSP 웹 프로그래밍 초급" -> "JSP 웹 프로그래밍 중급"으로 이루어짐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으며,
2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는 "JSP 기초지식" ->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 -> "Java 웹 프로그래밍 고급"으로 이루어짐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맵핑결과는 상기 S140 단계에서 선정된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선정시에 활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전자적 형태의 매체를 이용한 학습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 : 전자적 형태의 서적
10 : 서버
20 : 학습자 단말기
30 : 전자서적 서버

Claims (5)

  1.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 목표를 입력받는 제 110 단계;
    지식 체계 - 이때, 상기 지식 체계는 각 주제별로 해당 주제에 관련된 다수의 지식 단위들의 관계를 정의한 데이터를 의미함 - 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학습 목표에 대응하는 학습 경로 - 이때, 상기 학습 경로는 상기 지식 체계 상의 인접한 둘 이상의 지식 단위들에 의하여 구성되는 경로를 의미함 - 를 획득하는 제 120 단계;
    상기 획득된 학습 경로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하는 제 130 단계; 및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각 항목에 대해, 상기 지식 체계에 맵핑한 맵핑 결과 - 이때, 맵핑이란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각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 가운데 대응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을 의미함 - 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선정하는 제 14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에서, 학습자의 선행학습 수준, 학습 태도, 성향 가운데 하나 이상을 더 입력받으며,
    상기 제 140 단계에서, 상기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 선정시 상기 제공받은 학습자의 선행학습 수준, 학습 태도, 성향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3.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 목표를 입력받는 제 110 단계;
    지식 체계 - 이때, 상기 지식 체계는 각 주제별로 해당 주제에 관련된 다수의 지식 단위들의 관계를 정의한 데이터를 의미함 - 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학습 목표에 대응하는 학습 경로 - 이때, 상기 학습 경로는 상기 지식 체계 상의 인접한 둘 이상의 지식 단위들에 의하여 구성되는 경로임 - 를 획득하는 제 120 단계;
    상기 획득된 학습 경로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을 순서대로 연결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하는 제 130 단계; 및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각 항목에 대해, 상기 지식 체계에 맵핑한 맵핑 결과 - 이때, 맵핑이란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각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 가운데 대응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을 의미함 - 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선정하는 제 14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20 단계에서, 상기 학습 목표에 해당하는 학습 경로 인자 - 이때, 학습 경로 인자란 상기 지식 체계상의 경로의 적어도 일부의 성격을 정의하는 데이터임 - 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지식 체계로부터 학습 경로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40 단계에서,
    선정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각 항목이 상기 학습 플랜에 속하는 각 지식 단위와 부합하는지 여부 또는 부합정도를 더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0 단계에서,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선정하는 경우,
    선정된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각 항목이 상호 중복되는지 여부 또는 중복 정도를 더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KR1020140075481A 2014-06-20 2014-06-20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KR20140088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481A KR20140088509A (ko) 2014-06-20 2014-06-20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481A KR20140088509A (ko) 2014-06-20 2014-06-20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594A Division KR101521331B1 (ko) 2012-08-06 2012-08-06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509A true KR20140088509A (ko) 2014-07-10

Family

ID=5173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481A KR20140088509A (ko) 2014-06-20 2014-06-20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5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9843A (zh) * 2020-07-21 2020-11-17 江苏海洋大学 一种基于概念图构建的智能学习诊断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9843A (zh) * 2020-07-21 2020-11-17 江苏海洋大学 一种基于概念图构建的智能学习诊断方法
CN111949843B (zh) * 2020-07-21 2023-11-03 江苏海洋大学 一种基于概念图构建的智能学习诊断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lašnja-Milićević et al. Enhancing e-learning systems with personalized recommendation based on collaborative tagging techniques
Klašnja-Milićević et al. Social tagging strategy for enhancing e-learning experience
US117153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creation of personalized job or career training curricula
Rawat et al. Knowledge mapping of computer applications in education using CiteSpace
US10475139B2 (en) Job recall services in online education platforms
US20120156667A1 (en) Structure and adaptive apparatus for online educational learning through trusted mass collaboration
WO2015026607A1 (en) Automated course deconstruction into learning units in digital education platforms
Chen et al. Exploring learner attitudes toward web-based recommendation learning service system for interdisciplinary applications
Basaraba The emergence of creative and digital place-making: A scoping review across disciplines
KR101521331B1 (ko)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Cavus Retracted: The application of a multi‐attribute decision‐making algorithm to learning management systems evaluation
Morales-Vargas et al. Website quality evaluation: a model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assessment instruments based on key quality factors
Miller Collecting library resources for video game design students: An information behavior study
KR101397754B1 (ko) 전자적 서적의 통합 제공방법
Lee Designing art museum E-learning resources for children: content analysis from education perspectives
Zervas et al. A study on the use of a metadata schema for characterizing school education STEM lessons plans by STEM teachers
KR20170075329A (ko) 지식구조 및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복합 전자책 학습서비스 시스템
KR101521330B1 (ko)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KR20140088509A (ko)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Yürüm et al. Predictive Video Analytics in Online Cours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Lalisan et al. Research and capstone project electronic repository
Taylor The information search behavior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Sampson et al. Open access to science education resources and learning designs in Europe
Oduwobi et al.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s to users in a recommender system
Hu et al. Personalized book recommendation to young readers: Two online prototypes and a preliminary user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