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330B1 -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330B1
KR101521330B1 KR1020120085593A KR20120085593A KR101521330B1 KR 101521330 B1 KR101521330 B1 KR 101521330B1 KR 1020120085593 A KR1020120085593 A KR 1020120085593A KR 20120085593 A KR20120085593 A KR 20120085593A KR 101521330 B1 KR101521330 B1 KR 10152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wledge
units
unit
contents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513A (ko
Inventor
지승환
Original Assignee
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승환 filed Critical 지승환
Priority to KR102012008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330B1/ko
Priority to PCT/KR2013/007041 priority patent/WO2014025174A1/ko
Publication of KR2014001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인 지식 단위들을 생성하고 또 이들 지식 단위들 간의 관계성을 판정함으로써 지식 체계를 정립할 수 있다. 이후, 전자적 형태의 서적들을 분석함으로써 기 정립된 지식 체계에 맵핑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관한 다수의 서적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METHOD OF MANAGING BOOKS IN ELECTRONIC FORM BY MAPPING ONTO KNOWLEGE HIERARCHY}
본 발명은 전자적 형태의 서적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주제별로 지식체계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지식체계에 이북 기타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을 맵핑하여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습자별 학습 성취도나 관심사, 성향에 따른 맞춤형 학습 컨텐츠의 제공은 이러닝(E-learning) 기술분야의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할 때, 이와 같은 맞춤형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서, 또는 학습 외의 공간에서 학습자의 관심사나 학습수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또 각각의 학습 컨텐츠마다 난이도나 주제 등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부여한 다음,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모델들은 기본적으로 학습 컨텐츠들이 기본단위(예를 들어, 웹 페이지 단위, 페이지 단위, 1회 강의 분량 등)로 쪼개져서 관리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병합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이와 같은 종래 모델은 학습 컨텐츠가 웹 페이지, 1회 강의 분량 단위로 구분되는 웹 기반의 이-러닝 기술분야에 최적화된 것인데,
이러한 종래 모델의 가장 문제점 가운데 하나는 다수의 학습 컨텐츠의 기본 단위들이 분리될 수 없는 형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이북과 같은 서적의 경우, 저작재산권이나 동일성유지권, 판권 등의 법적, 현실적 이유에서 이를 각 기본단위별로 분리하여 저장, 관리하기 어려워 애시당초 적용될 여지가 없다는 것이다.
전자적 매체를 이용한 학습기술은 종래 웹 베이스의 이-러닝 기술에서부터 점차 이북 또는 그 진화된 형태인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는 형태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와 같은 기존의 접근 방식은 근 미래에 예상되는 이북이나 디지털 교과서를 통한 학습 환경에서 학습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학습자별로 최적화된 학습 플랜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 한가지의 문제점은 학습자의 관심사나 학습수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맞춤형 학습 컨텐츠의 최적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해당 주제, 과목에 전문성을 가진 강사가 만든 커리큘럼에 비해서 우수한 결과를 낳을 것이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37601호 "맞춤형 학습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75065호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학원 관리 및 교재 주문 시스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생성된 지식체계에 다수의 단위 학습 컨텐츠들이 분리불가능한 형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이북 등의 전자석 서적들을 맵핑하는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식 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서버(10)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주제별로 지식 단위를 생성하는 제 110 단계;
생성된 각 지식 단위간 관계성을 판정함으로써 지식 체계를 정립하는 제 120 단계;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분석하여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인 지식 단위들을 추출하는 제 130 단계;
상기 분석된 지식 단위들을 각 주제별로 해당 주제에 관한 다수의 지식 단위들의 관계성을 정의한 구조인 지식 체계에 맵핑하는 제 140 단계; 및
맵핑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를 다수의 상기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가 순차 연결된 형태로 재구성하여 저장하는 제 15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미리 생성된 지식체계에 다수의 단위 학습 컨텐츠들이 분리불가능한 형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이북 등의 전자석 서적을 맵핑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수준이나 관심사, 목표에 부합하는 학습플랜을 제시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해당 지식체계에서 제시된 학습플랜이 차지하는 경로에 부합하는 전자적 서적을 판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학습 컨텐츠들을 재구성하여 학습자별 맞춤형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 플랜을 도출한 다음 기 최적화된 지식 체계에 부합하는 전자서적을 판정함으로써, 임의로 커리큘럼을 재구성함으로써 학습 컨텐츠로서의 일관성이나 흐름이 깨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서버, 전자서적 서버와 학습자 단말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다수의 지식 단위들이 상호 간 관계성에 따라 그래프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지식 체계를 이루는 모습을 예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지식 체계의 생성을 위하여 다수의 지식 단위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도표이며,
도 4는 사용자의 관심사나 학습 수준, 학습 목표에 따라 지식 체계상의 경로 일부를 추출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며,
도 5는 다수의 전자적 서적들을 지식체계에 맵핑한 결과를 예시하는 도표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학습자 단말기(20)와 연결된다.
이때,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망일 수 있으며, 학습자 단말기(20)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재생하여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 단말기(20)의 형태는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타블렛과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요소일 수도 있으며, 또는 디지털 교과서 등 근 미래에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재생하기 위한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서적 서버(30)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을 저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 또는 학습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 이러한 전자서적 서버(30)는 전자서적의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전자도서관 또는 인터넷 서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서버(10)는 지식체계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전자서적 서버(30)로부터 이북 등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입수하여 분석하는 주체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학습자 단말기(20)로부터 학습자의 관심사나 학습 수준 등의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은 이와 같은 서버(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로 한다.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이란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소정의 순서, 목차에 따라서 결합되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되거나 플래쉬 메모리나 DVD 등의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복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학습자 단말기(20)에서 재생될 수 있는데, 전자적 형태의 서버(1)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학습자 단말기(20)에 다운로드 되거나 로컬에 저장된 상태에서 재생될 수 있다. 즉, 전자적 형태의 서버(1)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일부는 경우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호스팅하는 별도의 서버(30)에 연결된 온라인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다수의 학습 컨텐츠가 분리 불가능한 형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다. 분리불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는 것은 설령 매 페이지 단위로 저장된 파일들을 이용하여 저작되어도 최종적으로는 전체로서 인코딩된다거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학습 컨텐츠의 일부만을 분리하여 유통, 복제할 수 없도록 DRM과 같은 기술적 수단이 강구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기존의 이북(E-book)을 포함할 뿐 아니라 상기와 같은 정의를 만족한다면 이북의 진화된 다른 형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도 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지식 체계"란 주제별로 해당 주제에 관한 다수의 지식 단위들의 관계성을 정의한 구조이다. 각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은 그 관계성에 따라 그래프 구조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는 "JAVA 프로그래밍"을 주제로 하는 지식 체계를 예시한다.
도 2에 예시된 지식 체계는 다수의 지식 단위가 노드(node)가 되고, 각 노드를 잇는 에지(edge)는 에지 양측 노드 상호간의 관계성을 나타낸다.
도 2에 예시된 바에 의할 때, 아래에서부터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Java 기초문법", "JSP 기초지식",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 "Java 문법 초급", "Database 초급", "MVC 패턴", "Servlet"와 같은 명칭을 갖는 지식 단위들이 노드를 형성하고 있다.
지식 단위들 상호간의 관계성은 선후관계, 포함관계, 등가관계로 구분된다.
선후관계란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를 학습하기 위하여, 다른 지식 단위에 대한 선행학습이 필요한 경우와 같이 임의의 두 지식 단위간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선행하는 관계를 말한다.
도 2의 예에 의할 때, "JSP 기초지식"은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에 앞서 선행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는 관계에 있고, 또한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은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에 선행하는 관계에 있다.
이들을 잇는 에지에는 "base"라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선후관계를 의미한다.
한편, "Java 웹 프로그래밍 고급"은 "Framework"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포함관계에 있으며,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에 대한 선행학습이 필요한 선후관계로 이어져 있다.
이들을 잇는 에지에는 "part"라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포함관계를 의미한다.
등가관계는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지식 단위가 서로 대체가능한 관계인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과 "Java 스크립트 기본"는 대동소이한 내용과 난이도를 가지는 학습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까닭에 서로 대체가능한 관계에 있는 등가관계일 수 있다.
지식 체계는 이와 같이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지식 단위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그래프 구조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식 체계는 각 주제별(예컨대, "Java 프로그래밍", "고 1 수학", "C언어", "세계사" 등)로 미리 작성되며, 해당 주제에 대해 새로운 저작물이나 커리큘럼이 만들어질 때마다 이를 반영하여 보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지식 체계는 지식 단위를 나타내는 노드와 이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에지 이외에 학습 경로 인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학습 경로 인자는 지식 체계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노드로서(즉, 그래프 구조에서 자식 노드만을 가지며, 부모 노드를 가지지 않는다.),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해당 노드에 이르는 학습 경로의 적어도 일부의 성격을 정의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그래프 구조의 최상위 노드에는 "고급 개발자", "아키텍트", "중급개발자"와 같이 표시된 노드가 존재하며, 그래프 구조의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해당 노드-즉, 학습 경로 인자에 이르는 지식 단위들의 경로는 각각 "고급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학습해야할 학습 플랜, "아키텍트"가 되기 위해 학습해야 할 학습 플랜, "중급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학습해야할 학습 플랜이 된다.
이때, 학습 경로 인자가 상기 경로의 전부가 아닌 일부를 정의하는 경우, 상기 경로의 일부에 해당하는 지식 단위들이 학습 플랜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학습 경로 인자는 내용상 여러 가지의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예컨대, 학습 목표, 학습 활동, 자격증 취득 등의 여러가지로 나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그래프 구조의 최상위 노드에는 "고급 개발자", "아키텍트", "중급개발자", "JSP프로그래머"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학습 목표"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즉, 해당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식 체계의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상기 학습 경로 인자에 이르는 경로의 각 지식 단위를 학습해야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그래프 구조의 최상위 노드에 "게시판", "방명록", "채팅"이라 표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학습 활동"에 해당한다.
모든 학습자가 반드시 고급개발자나 아키텍트가 되기 위하여 자바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것은 아니며, 어떤 학습자는 단순히 자바를 이용하여 게시판을 코딩하거나, 방명록을 코딩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지식 체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학습 활동"이 표시될 수 있으며, 지식 체계상에서 해당 학습활동에 이르는 경로는 각각 자바를 이용하여 "게시판"이나 "방명록", "채팅창"을 제작하기 위해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들을 포함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그래프 구조의 최상위 노드에 "SCJP", "OCP"와 같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자격증"에 해당한다.
지식 체계상에서 해당 "자격증"에 이르는 경로는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들을 설명한다.
"지식 단위"란 지식 체계의 노드에 해당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로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소주제에 해당한다.
예컨대, 지식 체계의 주제가 "Java 프로그래밍"인 경우, 해당 주제에 대해서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Java 기초문법", "JSP 기초지식",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 "Java 문법 초급"과 같은 소주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지식 단위는 해당 주제와 관련한 상당수의 저작을 통해 빈번하게,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예컨대, 초심자를 위한 대부분의 자바 프로그래밍 서적에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또는 "Java 기초문법"에 해당하는 단원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지식 체계상에서 하나의 노드를 차지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고 1 수학"을 주제로 하는 대다수의 서적에 "통계", "미적분"과 같은 단원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고 1 수학" 지식 체계에서 하나의 지식 단위로서 노드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지식 체계의 생성을 위하여 다수의 지식 단위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도표이다.
특정 주제를 기준으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에 대해 "명칭"을 부여하고, "내용요약"을 기술한 다음, "키워드", "레벨", "타입"을 설정함으로써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식 단위가 생성된다.
지식 단위의 명칭과 키워드는 해당 주제와 관련한 서적(이 경우 고전적 형태의 서적을 포함한다.)의 목차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내용은 서적의 해당 단원의 내용을 요약함으로써 기술될 수 있다.
레벨은 학습자의 학습수준에 맞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부가될 수 있는 정보이며, 타입은 학습자의 학습 목표에 적합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부가될 수 있는 정보에 해당한다.
한편, "학습 단위"란 각각의 개별 지식 단위에 포함되는 학습 컨텐츠의 기본 단위이다. 이러한 학습 단위는 해당 주제와 관련한 저작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
예컨대, 초심자를 위한 대부분의 자바 프로그래밍 서적에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에 해당하는 단원이 존재하더라도, 각 서적마다 해당 단원의 설명이나 예문, 퀴즈 등은 모두 상이하다.
즉, 학습 단위란 지식 단위에 포함되는 학습 컨텐츠로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저작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지식 체계에서 노드의 위치를 차지하지 못한다.
한편, "맵핑"이란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를 다수개의 지식 단위로 구분하고, 각 지식 단위에 대해 기 생성된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 가운데 대응하는 것을 각각 선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학습 컨텐츠"라는 용어가 사용되나, 이는 일반적인 용어로서 학습을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텍스트나 이미지 기타 멀티미디어의 형태로 제작된 데이터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지식 단위나 학습 단위와 같은 "단위"에 해당하는 층위의 용어로 사용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을 상기와 같이 개념 정의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사용자의 관심사나 학습 수준, 학습 목표에 따라 지식 체계상의 경로 일부를 추출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전체 과정의 일부에 해당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먼저,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지식 단위를 생성하고, 생성된 지식 단위들의 관계성을 정립함으로써 지식 체계를 구축한다.
이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가능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을 기 구축된 지식 체계에 맵핑한다.
그 다음으로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의 관심사, 학습수준, 학습목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식체계를 이용하여 학습 플랜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플랜에 부합하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추천한다.
학습자는 추천된 다수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 가운데 자신에게 필요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통합된 형태로 열람함으로써 학습에 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은 도 4의 (a) 및 (b)에서 지식 체계를 생성하고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을 이에 맵핑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도 5는 다수의 전자적 서적들을 지식체계에 맵핑한 결과를 예시하는 도표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수집된 특정 주제와 관련한 저작물들의 목차로부터 지식 단위를 생성한다(S110).
이때, 특정 주제와 관련한 저작물에는 이북과 같은 전자적 형태의 서적은 물론, 고전적 형태의 서적도 포함된다.
한편, 특정 주제와 관련된 저작물의 수집은 작업자에 의해 행해지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
전자적 형태의 서적인 경우 목차 데이터를 인출하여 파싱한 다음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할 수 있을 것이며, 고전적 형태의 서적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목차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 다음 텍스트로 재차 변환하면 이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지식 단위의 생성시 해당 저작물의 목차(또는 소목차) 자체를 지식 단위의 명칭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서적의 목차나 내용에 대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해당 서적의 분류(예컨대, "Java 프로그래밍", "Java 문법"), 난이도(예컨대, "기초", "초급", "중급"), 유형(예컨대, "교과서", "자격증", "실전")을 각각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필요하다면 서버(10)에 의해 생성된 지식 단위를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더욱 정밀하고 정확해지도록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서버(10)는 각 주제와 관련하여 기 수집된 저작물들의 목차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지식 단위들 간 관계성을 판정한다(S120).
즉, 기 수집된 저작물들의 목차로부터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가 다른 하나의 지식 단위에 선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가 다른 하나의 지식 단위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니면,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가 다른 하나의 지식 단위와 동치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결과 지식 단위들 간의 관계성이 판정된다.
이후, 서버(1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지식 단위를 노드로 하고, 상기 지식 단위들 간 관계성을 에지로 하는 그래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그래프 구조가 지식 체계에 해당함은 이미 살펴본 바와 같다.
한편,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식 체계는 지식 체계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노드로서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해당 노드에 이르는 학습 경로의 성격을 정의하는 노드인 학습 경로 인자를 더 가지는데, 서버(1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그래프 구조의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나머지 각 노드에 이르는 경로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의 공통점을 분석한다.
예컨대, 특정 경로에 해당하는 지식 단위들이 모두 "자격증"에 관한 것이라면, 해당 경로의 최상위 노드(이때, 최상위 노드는 특정 경로 상의 최상위 노드일 뿐, 그래프의 최상위 구조가 아닐 수 있다.)의 위에 새로운 노드를 생성하여 "자격증"이라는 명칭/속성을 갖는 학습 경로 인자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 의할 때, "SCJP", "OCP"와 같은 노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특정 경로에 해당하는 지식 단위들이 "Java 웹 프로그래밍"에 관한 것으로,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난이도가 가장 낮은 수준에서부터 점차 높아져 중급에 이르는 경우, 해당 경로의 최상위 노드의 위에 새로운 노드를 생성하여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이라는 명칭/속성을 갖는 학습 경로 인자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 의할 때, 그래프의 중간쯤에 "중급 개발자"라 표시된 노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지식 체계가 정립된다.
이러한 지식 체계의 정립과정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반복적으로 행하여 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지식 체계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독서 또는 학습이 행해져야 하는 성격의 학습 컨텐츠들에 대해서 정립될 수 있는 것으로, 학습순서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소설, 수필과 같은 서적류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지식 체계는 주로 학습과 관련된 학습 컨텐츠들에 대하여 정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식 체계가 정립되면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입수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분석하여 지식 단위를 추출(S130)하고, 상기 정립된 지식 체계에 맵핑한다(S140).
이를 위하여 서버(10)는 상기 S130 단계에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를 판독하고 상기 목차의 각 항목마다 키워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서버(10)는 상기 S140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기 정립된 지식 체계에 속하는 다수의 지식 단위들 가운데 상기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항목 가운데 대응되는 것을 판정함으로써 맵핑한다.
도 5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맵핑이 이루어진 결과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우측에 1, 2, 3, 4, 5, 6, 7, 8과 같이 메겨진 순번은 각각 "Java 프로그래밍" 주제에 관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우측의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JSP 기초지식", "Java 웹 프로그래밍 초급" 등은 기 정립된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들을 의미한다.
한편, 도 5의 우측 순번의 아래쪽에 O 또는 ▲로 표시된 부분은, 각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항목이 각 지식 단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이다.
O으로 표시된 부분은 지식 체계의 특정 지식 단위에 정확하게 맵핑이 됨을 의미하며, ▲로 표시된 부분은 알고리즘에 의해 맵핑한 결과 맵핑은 이루어졌으나 정확도가 일정값 미만으로 낮은 경우를 의미한다.
아무런 표시가 없는 부분은 맵핑이 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5의 예에 의할 때, 1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JSP 기초지식", "JSP 웹 프로그래밍 초급", "JSP 웹 프로그래밍 중급"까지 맵핑이 이루어졌으나,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 "Java 웹 프로그래밍 고급"에는 맵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2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은 "JSP 기초지식"의 일부에 대해 맵핑이 이루어졌으며, 1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맵핑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 "Java 웹 프로그래밍 고급"에 맵핑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전자적 형태의 서적(1)들에 대한 맵핑이 이루어지면, 서버(10)는 각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를 맵핑된 지식 단위가 순차 연결된 형태로 재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S150).
즉, 1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는 "Java 웹 프로그래밍 기초" -> "JSP 기초지식" -> "JSP 웹 프로그래밍 초급" -> "JSP 웹 프로그래밍 중급"으로 이루어짐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으며,
2번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는 "JSP 기초지식" -> "Java 웹 프로그래밍 중급" -> "Java 웹 프로그래밍 고급"으로 이루어짐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전자적 형태의 매체를 이용한 학습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 : 전자적 형태의 서적
10 : 서버
20 : 학습자 단말기
30 : 전자서적 서버

Claims (8)

  1.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분석하여 지식 단위 - 이때, 상기 지식 단위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구성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를 의미함 - 들을 추출하는 단계;
    전자적 형태의 서적(1)으로부터 추출된 지식 단위들을 지식 체계 - 이때, 상기 지식 체계는 각 주제별로 해당 주제에 관련된 다수의 지식 단위들의 관계를 정의한 데이터를 의미함 - 에 맵핑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전자적 형태의 서적(1)에 대한 맵핑 결과 - 이때, 맵핑이란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각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 가운데 대응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을 의미함 - 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단위 추출 단계 이전에, 각 주제별로 지식 단위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생성된 각 지식 단위간 관계를 판정함으로써 지식 체계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단위 정의 단계에서, 각 주제와 관련하여 기 수집된 저작물들의 목차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해당 주제와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인 지식 단위들을 정의하고,
    상기 지식 체계 생성 단계에서, 각 주제와 관련하여 기 수집된 저작물들의 목차로부터 상기 생성된 지식 단위들 간 관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체계 생성 단계에서, 기 수집된 저작물들의 목차로부터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가 다른 하나의 지식 단위에 선행하는지 여부,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가 다른 하나의 지식 단위를 포함하는지 여부, 또는 어느 하나의 지식 단위가 다른 하나의 지식 단위와 동치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양 지식 단위간 관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체계 생성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지식 단위를 노드로 하고, 상기 지식 단위들 간 관계성을 에지로 하는 그래프 구조를 생성함으로써 지식 체계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체계 생성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그래프 구조의 최상위 노드에 최하위 노드에서부터 해당 노드에 이르는 경로의 적어도 일부의 성격을 정의하는 학습 경로 인자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7.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분석하여 지식 단위 - 이때, 상기 지식 단위는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을 구성하는 학습 컨텐츠의 단위를 의미함 - 들을 추출하는 단계;
    전자적 형태의 서적(1)으로부터 추출된 지식 단위들을 지식 체계 - 이때, 상기 지식 체계는 각 주제별로 해당 주제에 관련된 다수의 지식 단위들의 관계를 정의한 데이터를 의미함 - 에 맵핑하는 단계; 및
    맵핑 결과 - 이때, 맵핑이란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각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식 체계에 속하는 지식 단위 가운데 대응하는 것을 선정하는 것을 의미함 - 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항목 가운데 상기 지식 체계의 지식 단위와 맵핑된 목차 항목들을, 상기 지식 체계상의 지식 단위의 순서에 따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단위 추출 단계에서,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로부터 상기 목차의 각 항목마다 키워드를 추출하며,
    상기 지식 체계 맵핑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지식 체계 상의 경로 가운데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지식 단위들에 대하여 상기 전자적 형태의 서적(1)의 목차 항목 각각의 대응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KR1020120085593A 2012-08-06 2012-08-06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KR10152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93A KR101521330B1 (ko) 2012-08-06 2012-08-06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PCT/KR2013/007041 WO2014025174A1 (ko) 2012-08-06 2013-08-05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93A KR101521330B1 (ko) 2012-08-06 2012-08-06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480A Division KR20140088508A (ko) 2014-06-20 2014-06-20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513A KR20140019513A (ko) 2014-02-17
KR101521330B1 true KR101521330B1 (ko) 2015-05-20

Family

ID=5006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593A KR101521330B1 (ko) 2012-08-06 2012-08-06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1330B1 (ko)
WO (1) WO20140251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15A1 (ko) * 2017-09-29 2019-04-04 (주)자이네스 교육 플랫폼을 위한 교과목 지식체계도 구조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299B1 (ko) * 2021-07-08 2021-12-31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교재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626A (ja) * 2002-10-24 2004-05-20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文書分類支援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15736A (ja) * 2004-01-27 2005-08-11 Trc Library Service Inc 図書検索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データのデータ構造、該データ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図書検索システムの構築方法
KR20120073866A (ko) * 2010-12-27 2012-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적의 목차와 색인을 이용한 시맨틱 지식구조 기반 정보검색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626A (ja) * 2002-10-24 2004-05-20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文書分類支援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15736A (ja) * 2004-01-27 2005-08-11 Trc Library Service Inc 図書検索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データのデータ構造、該データ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図書検索システムの構築方法
KR20120073866A (ko) * 2010-12-27 2012-07-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서적의 목차와 색인을 이용한 시맨틱 지식구조 기반 정보검색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M 고도화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 시맨틱 웹 연구(2006.09)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M 고도화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 시맨틱 웹 연구(2006.0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15A1 (ko) * 2017-09-29 2019-04-04 (주)자이네스 교육 플랫폼을 위한 교과목 지식체계도 구조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5174A1 (ko) 2014-02-13
KR20140019513A (ko) 201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728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training program
Kaya et al. Integrating an online compiler and a plagiarism detection tool into the Moodle distance education system for easy assessment of programming assignments
Hall The ICT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A guide for students and professionals
CN104903930A (zh) 用于创建、递送、使用以及利用集成的教学和学习的方法和系统
Rößling et al. Merging interactive visualizations with hypertextbooks and course management
Alston et al. Uncovering “threshold concepts” in Web development: an instructor perspective
Alhajri et al. Integrating learning style in the design of educational interfaces
Kostolányová et al. Individualisation and personalisation of education-modern trend of eLearning
KR101521331B1 (ko) 학습플랜을 이용한 전자서적 추천방법
KR101521330B1 (ko)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Isaias et al. Towards learning and instruction in Web 3.0: Advances in cognitive and educational psychology
Kostolányová Adaptation of personalized education in e-learning environment
Kostolányová et al. Adaptation of teaching process based on a students individual learning needs
KR101397754B1 (ko) 전자적 서적의 통합 제공방법
KR20170075329A (ko) 지식구조 및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복합 전자책 학습서비스 시스템
Deligiannis et al.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Activity eBooks for Learning to Read: The iRead Case.
KR20140088508A (ko)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Wagner et al. Gala: An Open-Access Platform for Interactive Learning With Sustainability Case Studies
KR101417340B1 (ko) Lms에서의 툴의 동적 호출방법
Lazarinis et al. Measuring the conformance of hypermedia assessment tools to QTI
Bratić et al. Role of interactive presentation platform ASQ in delivering web design course
Boot et al. Stratification, elaboration and formalisation of design documents: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CA3113403A1 (en) Ai creation verification device
Purbohadi Designing Interactive E-Learning Architecture: Leveraging SCORM Standards
KR20140071294A (ko) 전자적 서적의 통합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21

Effective date: 20150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52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21

Effective date: 2015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