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164A - 피디엔 접속을 확립하고 또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피디엔 접속을 확립하고 또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164A
KR20140088164A KR1020147013727A KR20147013727A KR20140088164A KR 20140088164 A KR20140088164 A KR 20140088164A KR 1020147013727 A KR1020147013727 A KR 1020147013727A KR 20147013727 A KR20147013727 A KR 20147013727A KR 20140088164 A KR20140088164 A KR 2014008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data network
device identifier
packet
user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512B1 (ko
Inventor
디난드 로엘란드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4008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3GPP 엑세스망(6)의 게이트웨이 노드(12)를 통한 사용자 장비(2)와 3GPP 코어망(4) 간의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고 및/또는 사용하는 방법이 기술되고, 방법은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또는 적어도 동일 IP 어드레스와 관련되는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2)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 또는 비-3GPP 액세스망(6)의 게이트웨이 노드(12)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장치 식별자는 MAC 어드레스일 수 있다.

Description

피디엔 접속을 확립하고 또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d Using PDN Connections}
본 발명은 비-3GPP(또는 등가) 액세스망을 통해 3GPP(또는 등가)에 이동단말기가 접속하는 방안에 관련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3GPP 액세스망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서 3GPP 코어망으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고 또한 사용함에 있어 특정 사용을 찾고, 또한 특히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간에 구분을 위한 특정 사용을 찾는 것이다. 방법은 유무선 통합방식(Fixed Mobile Convergence)에서 특정 사용을 찾는 것이다.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3GPP)는 미래의 코어망 아키텍처로서 시스템 아키텍처 에볼루션(System Architecture Evolution:SAE)와 롱 텀 에볼루션(LTE) 이동 전기통신 표준을 개발해왔다. SAE 아키텍처의 주 요소는 이볼브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이다(EPC; "Architecture enhancements for non-3GPP Accesses," 3GPP TS 23.402를 보라). LTE/SAE 망은 사용자와 제어평면을 지원하는 망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전기통신에서 진행중인 경향은, 유무선 통합방식으로 알려진 고정망과 이동망의 통합이다. IP-기반 기술을 사용하는 망들의 발전 경향은 고정망과 이동망에 대해 공통적이고, 이는 통합을 쉽게 만들어준다. FMC를 통해, 이동망 및 고정망 운영자들은 그들의 망 자원은 한층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자본과 운영 비용(CAPEX 및 OPEX)의 감소를 이끈다. 예컨대, 사용자가 그의 가정 내에서 밀티미이어 전화(Mutimedia Telephony:MMTel)와 같은 IP-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무선 액세스망보다는 고정 액세스망의 광대역 접속을 사용하는 것이 한층 효율적이다.
상주 망(Residential network)들은 FMC의 성공에 중요한데, 이들은 통상적이 사용자들에 의해 가장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고정망 액세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주 망을 통해 이볼브드 패킷 코어(EPC)에 이동전화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용어 사용자 장비(UE)는 여기에서 용어 이동단말기 또는 이동전화, 또는 단지 단말기 또는 장치 대신에 사용된다. 용어 U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문서에서 친숙하고, 그리고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장비의 일종으로서 부르고자 하는 것이다; 예컨대 제한없이, 이동 전기통신장치, 휴대용 컴퓨터장치들 및 데스크탑 또는 설비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과 그리고 여기에서 기술한 발명적 기술을 위해, 용어는 3GPP 표준을 지원하는 장치들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3GPP는 이동 2G/3G/LTE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TS 23.402)를 규정한다. 후자는 고정망일 수 있다. BBF(BroadBand Forum, 고정 액세스를 위한 표준화 기구; http://www.broadband-forum.org/ 참조)는 고정망에 대한 아키텍처를 규정한다. 이들 두 기구들 간에 FMC에 대해 진행중인 공동 작업 아이템이 있다(3GPP TR 23.839, 지금 TS 223.139로 이동중이고, 또한 BBF WT 203]. 많은 UE들은 다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FMC 경향을 처리하는데, 한 인터페이스는 2G/3G/LTE 액세스 접속하는 것이고 그리고 고정망에 접속하는 WiFi 인터페이스이다.
유무선 통합방식(FMC)에 대해 진행중인 다수의 작업 아이템들이 있다. FMC에서, 일반적으로 이중-무선 UE들을 추정할 수 있다. UE는 3GPP 액세스(예컨대, LTE)를 위한 한 무선인터페이스와 고정액세스(예컨대, WiFi)를 위한 한 무선인터페이스를 가진다. "Study on Support BBF Access Interworking"(BBAI)는 3GPP(이동망에 대한 표준화 기구)와 BBF(고정망에 대한 표준화 기구) 간에 상호연동을 커버한다[3GPP TR 23.839, TS 23.139, BBF WT 203].
추가적이 표준화 행위들이 WiFi 연합체에서 진행중이다. WiFi 연합체에서, 한 집중 영역은 (공용)핫스팟(hotspots)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기술한 상주 망 이외에, 핫스팟은 FMC의 성공에 핵심이 되고 있고, 또한 SaMOG(Study on S2a mobility based on GTP & WLAN access to EPC; 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23852.htm에서 3GPP TR23.852를 보라)로 부르는 작업 아이템이 3GPP에 있다. SaMOG는 S2a에 특정하지, BBF에 특정하지는 않다.
3GPP UE는 비-3GPP 액세스망에 연관될 수 있고 또한 S2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패킷 데이터망(PDN)들에 접속할 수 있다[3GPP TS 23.402]. S2 인터페이스는 세 가지 유형들:S2a, S2b 및 S2c이 있다. 후자 두 개는 비-3GPP 액세스망에 오버레이되고 또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S2a는 비-3GPP 액세스망에서 노드들에 영향을 주는 보다 융합적인 해결책이다. S2a에서, 비-3GPP 액세스망은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져; 따라서 비-3GPP 액세스망은 TNAN(Trusted Non-3GPP Access Network)로 표시된다. TNAN은 UE들에 대한 무선기술로서 무선 LAN(WLAN)을 사용하고, TNAN는 TWAN(Trusted WLAN Access Network)로서 표시된다. TWAN을 통한 S2a는 3GPP에서 현재 표준화되고 있다[3GPP TS 23.402의 16장].
첨부도면 1은 아키텍처 개요를 제공하는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TNAN(6)를 통해 3GPP 영역(4)에 접속하는 UE(2)를 도시한다. TNAN(6)는 상주 게이트웨이(RG)(8)와, 액세스 노드(10)와 TNAN S2a 피어(TNSP)(12)로 표시되는 게이트웨이 노드를 포함한다. 3GPP 영역(4)은 하나 이상의 PDN 게이트웨이(PGW)(14)를 포함한다. TNAN가 TWAN(6)인 경우에, TWAN(6)에서 게이트웨이 노드는 TWAN 액세스 게이트웨이(TWAG)(12)로서 표시된다.
S2a에서, TNAN 또는 TWAN(6) 내 TNSP 또는 TWAG(12)(예컨대, BBF 보더망 게이트웨이(BNG))와 3GPP PGW(14) RKSDP 각 PDN 접속에 대해 GPRS 터널링(tunnelling) 프로토콜(GTP) 또는 프록시 이동 IP(PMIP)가 있다. 각 PDN 접속은 3GPP PGW(14)에서 정착된다. UE는 각 PDN 접속에 대해 하나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그리고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은 PGW이다. 비슷하게, UE(2)와 TNSP 또는 TWAG(12) 간에 상이한 UE들과 PDN 접속들로부터 트래픽을 분리하기 위하여 지점-대-지점 링크가 제공된다.
지점-대-지점 링크는 두 개의 네트워킹 노드들 간에 논리적인 직접 접속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간주될 수 있다. 지점-대-지점 링크를 통해 노드(A)에서 노드(B)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들은 노드(C)를 통과하지 않게 된다. "지점-대-지점(point-to-point) 링크"는 논리적 개념이고 또한 여러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UE(2)와 TNSP 또는 TWAG(12) 간의 망은 일반적으로 이더넷 기반일 수 있다. UE(2)와 TNSP(12) 사이의 노드들은 L2(이터넷)를 통해 TNSP(12) 향해 포워딩하도록 된다. 트래픽이 L3(IP)를 통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라 하더라도, TNSP(12)S는 L2를 통해 UE(2)에 대한 다운스트림 트래픽을 유니캐스트(uncast)로서 전송한다. 보다 중요하게, UE(2)가 단지 하나의 디폴트 PDN 접속을 가진다면 UE(20)에 대해 영향이 없다.
이러한 구현은 UE(2)와 현존하는 TNAN 또는 TWAN 기반시설(특히 TANA 또는 TWAN이 BBF에 의해 규정될 때)에 한정된 영향을 부여한다. TNSP 또는 TWAG(12)는 UE(2)에 할당되었던 PDN 접속 IP 어드레스와 결합된 UE MAC(Media Access Control)를 기반으로 상이한 PDN 접속들을 구별할 수 있다.
UE(2)와 TNSP(12) 간에 지점-대-지점 링크를 구형하기 위한 다른 방식들이 있다. 예컨대 L3 터널(예컨대 IPsec 또는 IP-in-IP), L2 터널(예컨대 L2TP) 등이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UE(2) 또는 TNAN 기반시설에 큰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본 출원은 상기에서 기술한 아키텍처와 관련된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특히, 하나 이상의 PGW의 세트가 상이한 PDN 접속들에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예컨대 각각이 그 자신의 어드레싱 방법을 가지는, 두 개의 폐(closed) 기업 망들에 각각 관련되는 두 개의 PDN 접속들이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각 PDN은 상이한 PGW로 서버되고, 그리고 각 PGW는 상이한 운영자들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3GPP 영역(들)과 UE들은 소정의 문제도 없이 이러한 중첩(overlap)을 처리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TNSP 또는 TWAG가 혼돈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고; 정확한 GTP/PMIP 터널에 대해 업스트립 트래픽을 더 이상 맵핑할 수 없게 된다.
실제 전개(deployment)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점들의 가능성은 적고; 대부분의 UE들은 단일 PDN 접속을 사용하고, 그리고 상이한 PDN들의 IP 어드레싱 방법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중첩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해결책이 없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그리고 본 출원은 이러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요구성을 인식하였다.
UE가 비-3GPP 액세스망을 통해 3GPP 코어망에 액세스할 때 중첩하는 또는 충돌하는 어드레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두 개의 시나리오가 있다. 양 시나리오에서, 이중-무선 UE를 추정할 수 있는데; UE는 3GPP 액세스(예컨대, LTE)를 위한 한 무선 인터페이스와, 비-3GPP 액세스(예컨대, WiFi)를 위한 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첫 번째 시나리오가 첨부도면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 UE(2)는 처음에 3GPP 액세스(16)에 접속하고, 그리고 이미 3GPP 액세스(16)에서 중첩하는 어드레스들을 가지거나, 또는 비-3GPP 액세스(6)에서 이미 할당된 어드레스와 중첩하는 어드레스를 3GPP 액세스(16)에서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3GPP 액세스에서 중첩하는 어드레스들은 아무런 문제를 보이지 않고; 디자인에 의한 3GPP는 이러한 상황을 허용한다. 그러나, UE가 비-3GPP 액세스(6)로 핸드오버를 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첫 번째 시나리오로서 간주할 수 있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UE(2)는 비-3GPP 액세스(6)에서 정착하고 그리고 새로운 PDN 접속을 개방한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이 PDN 접속에 대한 새로운 어드레스는 현존하는 어드레스와 중첩한다.
본 출원은 상기에서 확인한 문제를 처리할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특히 (a) 소정의 상황들에서 S2a의 전개에 제한을 주지 않는 경향이 있고; 및/또는 (b) 상이한 PDN들로부터 오는 다운링크 IP 멀티캐스트들을 UE가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인식하였다.
BBF 망 또는 영역과 같은 비-3GPP 액세스망을 통해 이볼브드 패킷 코어와 같은 3GPP 코어망에 이동단말기 또는 UE를 접속하는 것에 관련되는 방법이 제안된다. 방법은, 유무선 통합방식에서 사용을 찾는데, 이동단말기 또는 UE가 고정된 상주 망을 통해, 예컨대 WiFi를 사용하여 3GPP 코어망에 접속한다.
UE는 비-3GPP 액세스망에서 정착할 수 있고 또한 3GPP 코어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PDN들에 접속할 수 있다. 각 PDN 접속은 3GPP 코어망(PDN 게이트웨이 또는 PGW와 같은)에서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정착할 수 있고, 또한 비-3GPP 액세스망(TNSP 또는 TWAG 또는 보더 케이트웨이 노드 또는 BGW; BBF가 비-3GPP 액세스망인 경우에, BGW는 BNG일 수 있다)에서 게이트웨이 노드에 정착할 수 있다. 비-3GPP 액세스망에서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BNG)와 3GPP 코어망에서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PGW) 간에 이와 같은 PDN 접속에 대해 개별적인 터널이 확립된다.
여기에서,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간을 구분하기 위해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각 데이터 패킷망 접속, 또는 적어도 동일 IP 어드레스와 관련되는 다수의 각 데이터 패킷망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들이 사용되는, 비-3GPP 액세스망 내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해 사용자 장비와 3GPP 간에 다수의 데이터 패킷망 접속들을 확립하거나 및/또는 사용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이거나, 또는 비-3GPP 액세스망 내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예컨대, 장치 식별자는 MAC 어드레스일 수 있고, 아래 설명은 이와 같은 경우에 집중되지만, 아래의 설명은 다른 유형의 장치 식별자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확히 한다.
간략히, 비-3GPP 액세스망에서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BNG)는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BNG)로 부를 수 있고, 그리고 3GPP 코어망에서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PGW)는 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PGW)로 부를 수 있다.
UE는 각 PDN 접속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이와 관련해, PDN 접속은 예컨대 하나의 IPv4 어드레스 및/또는 하나의 IPv6 프레픽스(prefix)로 표현되는, UE와 PDN 간에 관계로 간주할 수 있다.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은 3GPP 코어망 내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PGW)이다. PDN은 액세스 포인트 명칭(Access Point Name:APN)에 의해 식별되고, 그리고 PDN은 PGW를 통해 액세스된다. 이 점에 있어서, 용어 "IP 어드레스"는 IPv4 어드레스와 IPv6 프레픽스 둘 다를 커버한다.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또는 비-3GPP 액세스망을 통해 UE와 3GPP 코어망 간에 PDN 접속을 확립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및/또는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방법은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거나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또는 적어도 동일한 IP 어드레스와 관련되는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또는 비-3GPP 액세스망을 통해 UE와 3GPP 코어망 간의 PDN 접속을 확립하는데 사용하는 및/또는 사용하는 장치가 제안된다. 장치는,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해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또는 적어도 동일한 IP 어드레스와 관련되는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도록 배열된다.
PDN 접속과 관련된, 상기에서 언급한 IP 어드레스는 전형적으로 UE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일 수 있고(예컨대, 3GPP 코어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 의해 할당); 따라서, 이후부터 UE IP 어드레스로서 부른다.
각 PDN 접속에 대해, 비-3GPP 액세스망에서의 게이트웨이 노드와 3GPP 코어망에서의 게이트웨이 노드 간에 터널이 있을 있고, 또한 UE와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 간에 지점-대-지점 접속이 있을 수 있다. 지점-대-지점 접속을 통해 전송된 메시지들은 소오스와 착신 장치(UE 또는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의 각 MAC 어드레스들을 포함하는 유형일 수 있다.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MAC 어드레스는 UE와 관련된 MAC 어드레스일 수 있거나, 또는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MAC 어드레스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TNSP 또는 TWAG(12)는 UE(2)에 할당되었던 PDN 접속 IP 어드레스와 결합된 UE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상이한 PDN ㅓㅂ속들을 구분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앞서 고려한 시스템에서, UE에 대한 상이한 PDN 접속들의 구분은 실제로 IP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하도록, UE에 대해 고정 MAC 어드레스를 상정하고; 이는 각 PDN 접속에 할당된 상이한 IP 어드레스에 의존한다. 여기서 제안하는 것은, UE에 대한 다양한 PDN 접속들에 할당되는 상이한 IP 어드레스들의 필요성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제거시키는 것인데, 구분이 (UE(2)의 또는 TNSP/TWAG(12)의 또는 둘 다의)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PDN 접속들 간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이한 IP 어드레스들과 조합하여 상이한 MAC 어드레스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상이한 IP 어드레스들이 상이한 각 PDN 접속들과 관련되게 되고, 이에 따라 특정 PDN 접속들에 대해 상이한 MAC 어드레스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예에서, UE(2)는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초기 또는 제1PDN 접속은 UE에 대해 실제 또는 미리 할당된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할 수 있는 한편, 후속 PDN 접속들은 UE에 의해 생성되는 MAC 어드레스들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이들 MAC 어드레스들은 전세계적으로 고유할 필요가 없다. 업스트림에서, TNSP 또는 TWAG(12)는 각 MAC 어드레스를 상이한 GTP/PMIP로 맵핑할 수 있는데, 이는 IP 어드레스 충돌의 문제를 해결한다. 다운스트림에서, TNSP 또는 TWAG(12)는 각 터널을 상이한 MAC 어드레스로 맵핑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PDN들로부터의 다운링크 IP 멀티캐스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UE(2)가 착신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이들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에서, TNSP 또는 TWAG(12)는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새로운 해결책은 해결책의 전개에 어떠한 제한도 가하지 않는다. 비록 UE 또는 TNSP/TWAG에 부수적인 영향이 있다는 결론이 난다 하더라도, 이는 많은 시나리오들에서 제공되는 장점들에 의해 더 부각되는 것을 여길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하였듯이, 방법은,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거나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UE와 3GPP 간에 비-3GPP 액세스망을 통한 다수의 PDN 접속들의 각 PDN 접속에 대해, 또는 적어도 동일 UE IP 어드레스와 관련되는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FMF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UE와 비-3GPP 액세스망의 특정 게이트웨이 노드를 수반하는 다수의 PDN 접속들과 관련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단계는 UE와 비-3GPP 액세스망 둘 다에서 수행된다.
UE에서 발생하는 것에 관한 콘텍스트에서,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단계는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것(예컨대, 생성 또는 선택을 통해)을 포함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다수의 PDN접속들 간에 구분이 가능해진다.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이 결정은 PDN 접속이 확립되기 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UE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확립되게 되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각각에 대해:(a) 다수의 다른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한 사용자 장비에 대해 결정된 장치 식별자와는 상이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b) 요청에 단계(a)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해,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라는 요청을 전송하는 것과; 그리고 (c)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UE에서 발생하는 것에 대한 콘텍스트에서,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단계는 상이한 장치 식별자들(예컨대, MAC 어드레스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는 실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분단계는, PDN 접속들이 확립되었을 때 또한 UE가 이들 PDN 접속들을 통해 통신할 때 수행된다.
UE와 3-GPP 액세스망에서 발생하는 것에 대한 콘텍스트에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가 비-3GPP 액세스망과 UE에서 각각 발생하는 경우에,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FMF 사용하는 단계는, PDN 접속들을 확립할 때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들을 PDN 접속들과 관련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UE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전송되게 되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d) 어느 패킷 데이터망 접속이 사용되게 되는가를 결정하는 것과; (e) 단계(d)에서 결정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적절한 장치 식별자를 선택하는 것과; 및 (f) 단계(e)에서 선택된 장치 식별자를 패킷에, 패킷의 소오스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로서 포함시키고, 그리고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UE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수신된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g) 그 내부에 패킷의 착신지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로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것과; (h) 단계(g)에서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i) 단계(h)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를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비-3GPP 액세스망에서 발생하는 것에 대한 콘텍스트에서,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단계는,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FMF 결정하는 것(예컨대, 생성 또는 선택을 통해)을 포함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다수의 PDN 접속들을 나중에 구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이 결정은 PDN 접속이 확립되기 전에 이루어진다.
다시 비-3GPP 액세스망에서 발생하는 것에 대한 콘텍스트에서,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단계는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는 실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분단계는, PDN 접속들이 확립되고 또한 비-3GPP 액세스망을 통해 이들 PDN 접속들로 통신이 이루어질 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확립되게 되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각각에 대해:(A)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여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그리고 다수의 다른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한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결정된 장치 식별자와는 상이한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는 것과; (B) 요청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는 것과; 그리고 (C) 단계(B)에서 확립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과 장치 식별자를 관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ㅇ르 통해 전송되게 되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D) 패킷을 수신하고: (E)(i) 만일 사용자 장비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면, 패킷에 포함된 장치 식별자를 기반으로 적절한 터널을 결정하거나; (E)(ii) 만일 터널을 통해 3GPP 코어망으로부터 패킷이 수신된다면, 패킷을 수신시켰던 터널을 기반으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F)(i) (E)(i)의 경우에, 단계(E)(i)에서 결정된 터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거나; 또는 (F)(ii) (E)(ii)의 경우에, 단계(E)(ii)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에 적절한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터널 셋업 절차의 일부로서 또는 개별적으로,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BNG)는 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PGW)로 메시지(예컨대, PDN 접속요청)를 전송한다.
PDN 접속요청은 3GPP 코어망에 의해 수용된다. 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PGW)는 UE에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그리고 응답메시지에서 이를 비-3GPP 게으트웨이 노드(예컨대, BNG)로 전송한다.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BNG)는 터널 셋업 절차를 완료하고 그리고 UE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전송한다. 할당된 IP 어드레스는 트리거 응답 메시지(triggering response message)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터널 셋업을 위한 트리거가 명확한 트리거 메시지 보다는 인증인 경우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는 라우터 광고(router advertisement)(IPv6)에서 또는 DHCP(IPv4)에 의해 UE로 반송될 수 있다.
비-3GPP 액세스망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그리고 3GPP 코어망에서 수행되는 방법들은 3GPP 코어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비-3GPP 액세스망은 광대역 포럼(BBF) 망일 수 있다.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는 BBF망의 보더망 게이트웨이 노드일 수 있다.
3GPP 게이트웨이 노드는 3GPP 코어망의 PDN 게이트웨이 노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와 같은 노드에서(및 단계들에서 수행을 위한 수단 또는 장치들 또는 프로세서 또는 송신기/수신기) 수행되는 단계들과 그리고 UE에서(및 단계들에서 수행을 위한 수단 또는 장치들 또는 프로세서 또는 송신기/수신기) 수행되는 단계들로 시작한다.
또한,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해 사용자 장비와 3GPP 코어망 간의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확립할 때 사용하고 및/또는 사용하는 장치가 기술되고, 장치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해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또는 동일한 IP 어드레스와 관련되는 다수의 각 데이터 패킷망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배열되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이거나, 또는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된 장치 식별자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가 기술되고, 확립되게 되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 장비는:(a) 다수의 다른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한 사용자 장비에 대해 결정된 장치 식별자와 상이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식별자를 결정하고; (b) 요청에 단계(a)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를 요청의 소오스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로서 포함하여,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그리고 (c)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가 기술되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전송되게 되는 다수의 데이터 패킥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 장비는:(d) 어느 패킷 데이터망 접속이 사용되게 되는지를 결정하고; (e) 단계(d)에서 결정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적절한 장치 식별자를 선택하고; 그리고 (f) 단계(e)에서 선택된 장치 식별자를 패킷에 패킷의 소오스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로서 포함하고, 그리고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가 기술되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수신된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 장비는: (g) 그 안에 패킷의 착신지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로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h) 단계(g)에서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i) 단계(h)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를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결정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비-3GPP 액세스망에서 사용을 위한 게이트웨이 노드가 기술되고, 게이트웨이 노드는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확립되게 되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각각에 대해 게이트웨이 노드는:(A)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다수의 다른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한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결정된 장치 식별자와 상이한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B) 요청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고; 그리고 (C) 단계(B)에서 확립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과 장치 식별자를 관련시키도록 배열된다.
또한 비-3GPP 액세스망에서 사용을 위한 게이트웨이 노드가 기술되고, 게이트웨이 노드는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전송되게 도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게이트웨이 노드는: (D) 패킷을 수신하고; (E)(i) 만일 사용자 장비로부터 패킷이 수신된다면, 패킷에 포함된 장치 식별자를 기반으로 사용되게 되는 적절한 터널을 결정하거나; 또는 (E)(ii) 만일 패킷이 터널을 통해 3GPP 코어망으로부터 수신된다면, 패킷을 수신하였던 터널을 기반으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그리고 (F)(i) 단계(E)(i)의 경우에, 단계(E)(i)에서 결정된 터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거나; 또는 (F)(ii) 단계(E)(ii)의 경우에, 단계(E)(ii)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에 적절한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패킷을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여기에서 제안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장치를 제어하거나, 또는 장치 내에 적재되어 장치가 여기에서 제안한 장치가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제안된다. 프로그램은 반송매체 상에서 반송된다. 반송매체는 저장매체일 수 있다. 반송매체는 전송매체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 의해 프로그램되는 장치 또한 생각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매체이다.
기술한 실시예들의 수정안과 다른 변형안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도면에 제시된 지침을 통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여기에서 기술한 특정 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그리고 수정안들과 변형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비록 특정 용어들을 여기에서 사용하였지만, 이들은 일반적이고 또한 설명적인 의미이지 제한의 목적은 아니다.
도 1은, UE와 TNSP 사이에는 지점-대-지점 링크들이 제공되고, TNSP와 PGW 사이에는 터널들이 제공되는 아키텍처 개요를 제공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3GPP 액세스에서 비-3GPP 액세스로 세 개의 PDN 접속들을 UE가 핸드오버하는 개략도이고,
도 3은 여기에서 기술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여기에서 기술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5는 WiFi를 통해 초기 PDN 접속에 정착하는 UE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6은 WiFi를 통해 추가적인 PDN 접속에 정착하는 UE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7은 여기에서 기술한 기술이 구현되는 노드의 개략도이고,
도 8은 개별적인 3GPP와 비-3GPP 액세스망들을 가지는 아키텍처의 개략도이고,
도 9는 비-3GPP 액세스망이 3GPP 액세스망에 통합되는 다른 아키텍처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비-3GPP 액세스망이 3GPP 액세스망에 통합되는 다른 아키텍처의 개락도.
앞서 요약하였듯이, 비-3GPP 액세스망을 통한 UE와 3GPP 코어망 간의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는(확립 및/또는 사용을 통해) 방법이 제안된다. 방법은 다수의 PDN들을 구분하기 위해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또는 적어도 동일 UE IP 어드레스와 관련되는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UE와 비-3GPP 액세스망의 특정 게이트웨이 노드를 수반하는 다수의 PDN 접속들과 관련해 고려할 수 있다.
UE MAC 어드레스들이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이 주어진다.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MAC 어드레스들이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한 기반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한 비슷한 방법도 가능하고; 이 대체적이 방법의 동작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개략도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더 자세히 기술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간략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아래에서 명확히 하듯이, MAC 어드레스 이외의 다른 장치 식별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3의 개략적인 흐름도에 UE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각 단계들 (a) 내지 (i)를 수행하기 위해, UE의 대응하는 부분들 또는 요소들 또는 프로세서들 또는 송신기/수신기(P-a 내지 P-i)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해 UE와 3GPP 코어망 사이에서 확립되게 되는 다수의 PDN들 각각에 대해, 다음의 단계들이 UE에서 수행된다:
(a) 다수의 다른 PDN 접속에 대해 결정된 UE MAC 어드레스와 상이한 UE MAC 어드레스가 결정된다.
(b) PDN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요청이, 단계(a)에서 결정된 UE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비-3GPP 액세스망의 케이트웨이 노드로 전송된다. MAC 어드레스는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MAC 어드레스는 요청에 소오스 MAC 어드레스로서 포함될 수 있다. 몇몇 다른 프로토콜(확장가능한 인증 프로토콜(EAP), 또는 몇몇 새로운 프로토콜과 같은)이 MAC 어드레스를 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더라도, 요청은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DHCP)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c) PDN 접속이 확립된다.
다수의 PDN 접속들이 다수의 PDN 접속을 통해 전송되게 되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확립되면, 다음 단계들이 UE에서 수행된다:
(d) 어느 PDN 접속이 사용되게 되는지를 결정한다.
(e) 단계(d)에서 결정된 PDN 접속에 적절한 MAC 어드레스를 선택한다.
(f) 단계(e)에서 선택된 MAC 어드레스를, 소오스 MAC 어드레스로서 패킷에 포함하고, 그리고 PDN 접속을 통해 패킷을 전송한다.
다수의 PDN 접속을 통해 수신한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다음의 단계들이 UE에서 수행된다:
(g) 그 내부에 MAC 어드레스를 착신지 MAC 어드레스로 포함하는, 패킷을(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h) 단계(g)에서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MAC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i) 단계(h)에서 결정된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PDN 접속을 결정한다.
도 3의 개략적인 흐름도에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각 단계들 (A) 내지 (F)를 수행하기 위해,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의 대응하는 부분들 또는 요소들 또는 프로세서들 또는 송신기/수신기(P-A 내지 P-F)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해 UE와 3GPP 코어망 간에 확립되게 되는 다수의 PDN 접속들 각각에 대해, 다음의 단계들이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수행된다:
(A) 단계(b)에서 UE가 전송한 요청을 수신한다. (다르게는, PDN 접속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의 MAC 어드레스인 경우에, 단계(A)에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요청이 수신되고 그리고 다수의 다른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한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결정된 장치 식별자와 다른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가 결정된다.)
(B) 요청된 PDN 접속이 확립된다. PDN 접속은 게이트웨이 노드와 3GPP 코어망의 게이트웨이 노드 간의 터널(예컨대, GTP 또는 PMIP)와, 그리고 게이트웨이 노드와 UE 간의 접속을 포함한다. 이는, 비-3GPP 액세스망과 3GPP 코어망 간의 PDN 접속을 위한 터널을 확립하고 또한 터널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기 위해 3GPP 코어망과의 통신을 수반한다(3GPP 코어망은 IP 어드레스 할당에 책임이 있다). 터널은 UE와 PDN 간의 PDN 접속과 관련된다.
(C) MAC 어드레스가 PDN 접속과 관련된다.
다수의 PDN 접속을 통해 전송되게 되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다수의 PDN 접속들이 확립되면, 다음의 단계들이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수행된다:
(D) 패킷을 수신한다.
(E)(i) 만일 UE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면, 패킷 내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사용하게 될 적절한 터널을 결정하거나; 또는
(E)(ii) 만일 터널을 통해 3GPP 코어망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면, 패킷들을 수신하였던 터널을 기반으로 MAC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F)(i) 상기 (E)(i)의 경우에, 단계(E)(i)에서 결정된 터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거나; 또는
(F)(ii) 상기 (E)(ii)의 경우에, 단계(E)(ii)에서 결정된 MAC 어드레스에 적절한 접속을 통해 UE로 패킷을 전송한다.
한 예에서, UE(2)는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초기 또는 제1PDN 접속은 UE에 대해 실제 또는 미리-할당된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할 수 있는 한편, 후속 PDN 접속들은 UE가 생성한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이들 MAC 어드레스들은 전세계적으로 고유할 필요가 없다. 업스트림에서, TNSP 또는 TWAG(12)는 각 MAC 어드레스를 상이한 GTP/PMIP 터널로 맴핑할 수 있다. 다운스트림에서, TNSP 또는 TWAG(12)는 각 터널을 상이한 MAC 어드레스로 맵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TNSP 또는 TWAG(12)는 대신에, 각 PDN 접속에 대해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UE(2)에 대한 초기 PND 접속의 셋업을 위한 흐름도의 예이다. 이 PDN 접속은 WiFi를 통해 라우트되고(RG 8/10 은 WiFi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LTE 액세스로부터 핸드오버된다.
단계 2 내지 11은 WiFi에 대한 정착과 UE(2)의 인증에 관련된다. 이 예에서, 인증은 UE(2)와 액세스 포인드(A/P)(8/10) 간에 IEEE 802.1X로 수행된다(다른 수단도 가능함). 3GPP에 규정되어 있듯이, UE(2)와 HSS 간의 종점-대-종점(end-to-end) 인증 프로토콜은 EAP이다. 이 특정예에서, 인증 시그날링은 TNAN내 AAA 서버를 통해 중계된다.
단계 13 내지 20들은 PDN 접속의 실제 셋업에 관련된다. 이 예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EAP 또는 IEEE 802.11u와 같은 다른 수신들도 가능하지만) UE(2)와 TNSP(12)간에 DHCP가 사용된다. DHCP는 UE(2)가 어느 PDN과 접속하도록 요청받는지를 나타내는, APN(Access Point Name) 열(string)을 반송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14와 15에서, TNSP(12)는 인증의 일부로서 AAA에 저장되었던 UE 프로파일을 문의한다. UE 프로파일은 예컨대, 이 UE(2)가 첨부할 권리를 가지는 APN의 리스트와, 그리고 단계(16)에서 접촉할 필요가 있는 각 APN에 대한 PGW(14)를 포함한다.
UE가 WiFi에 첨부되면(attach), PDN 접속을 위한 IP 어드레스(IP@로 요약)를 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새로운 첨부이거나, 또는 핸드오버 첨부일 수 있다. 핸드오버는 HO로 요약한다. HO 시나리오에서, UE는 LTE/3G에서 WiFi로 HO를 수행한다. 망이 새로운 첨부와 HO 첨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HO 경우에서만) UE는 DHCP 요청에서 그의 LTE/3G IP@(도 5의 DHCP 요청메시지(13)에서 "UE IP@(HO)"로 표시)를 전송한다. 만일 모든 것이 잘된다면, DHCP 응답이 동일 어드레스로 리턴하게 되어, UE는 이 PDN 접속에 대해 그의 현존하는 어드레스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로부터 초기/핸드오버 첨부를 추정하면, 추가적인 PDN 접속에 첨부는, UE(2)가 이 PDN 접속을 위해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사용할 때와 매우 유사하다. 이는 도 6의 흐름도에서 설명된다.
단계 2 내지 11에서, 이 UE(2)는 이미 초기 첨부에 대한 IEEE 802.11 관련 셋업을 가져, 이미 인증되었기 때문에, 만일 동일 UE(2)가 지금 추가적인 첨부를 한다면 몇몇 최적화가 가능할 수 DT다
각각의 추가적인 PDN 접속을 위해, UE(2)는 상이한 MAC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UE(2)는 MAC 어드레스들의 세트로 미리 구성될 수 있지만; 그러나 해결책의 전개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보다 난조가 생기지 않는 해결책은 가상 MAC 어드레스들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새로운 가상 MAC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또한 검증하는 것은 가상기계장치(예컨대, VMware)에서 사용되는 보편적인 기술이다. S2a를 통한 UE 첨부의 콘텍스트 내에, 전세계적으로 고유한 MAC 어드레스가 필요하지 않다. UE(2)와 TSNP(12) 간에 지점-대-지점 링크가 있기 때문에, UE(2)는 단지, MAC 어드레스가 이 지점-대-지점 링크에 대해서만 고유하게 되도록 할 필요만 있다. 제1PDN 접속에 대해, UE(2)는 단순히 WiFi 인터페이스의 (전세계적으로 고유한) MAC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제1첨부의 일부로서, UE(2)는 지점-대-지점 링크의 TNSP(12) 측의 MAC 어드레스를 학습한다. 이 정보를 기반으로, UE(2)는 새로운 가상 MAC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다.
MAC 어드레스의 생성 또는 선택은 전형적으로 단계 2 전에 발생할 수 있고; UE(2)로부터의 모든 시그날링은 새로운 MAC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UE(2)로/로부터 모든 시그날링은 이더넷 기반이기 때문에(도 1과 관련된 문장을 참조), 이는, 모든 신호들은 소오스와 착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5에서 UE(2)로/로부터 모든 시그날링은 MAC@1을 사용하고 그리고 도 6에서 UE(2)로/로부터 모든 시그날링은 MAC@2를 사용한다. 단지 예외는, MAC@2와 관련된 PDN 접속으로부터 관련된 PDN 접속을 구분하기 위하여 MAC@1을 사용하는 도 6의 시그날링(21)이다.
예컨대, 전형적으로 48-비트 MAC 어드레스는 24-비트 조직적으로 고유한 식별자(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OUI)에 24-비트 망 인터페이스 제어기(Network Interface Controller:NIC)를 더한 것으로 구성된다. OUI비트들은 WiFI 인터페이스의 제조자에 대해 고유하다. 제조자는 장비의 이 특정 부분에 대해 NIC 비트들을 할당한다. NIC 비트들은 OUI의 범위 내에서 고유하다. 고유한 MAC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S2a UE에 대해, 새로운 MAC 어드레스가 이 지점-대-지점 링크 상의 다른 공지된 MAC 어드레스와 상이하도록 UE는 OUI를 취하고 또한 새로운 NIC를 무작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5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세한 기술은 도 3과 4를 참조하여 기술한 것과 같은 개략적인 설명에 밀접하게 대응하고 또한 맞는다. 특히, 이들 예들에서,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해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UE의 MAC 어드레스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하였듯이, 다수의 PDN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해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의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대안으로서,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한 상이한 MAC 어드레스가 다수의 각 PDN 접속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또는 선택될 수 있다). 이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PDN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의 MAC 어드레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예시적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1) 사용자 장비(예컨대, UE)는 예컨대 새로운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새로운 PDN 접속을 요청하고; (2)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TWAG)는 새로운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3)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TWAG)는 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PGW)에 터널을 설정하고; 그리고 (4)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예컨대, TWAG)는 사용자 장비(예컨대, UE)에 요청을 인정하고 그리고 인정(acknowledge)에 새로운 장치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그래서, 만일 UE가 단지 하나의 MAC 어드레스와, 그리고 PDN 접속 당 하나의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를 가진다면, 구분은 마찬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UE에서 부터 3GPP 코어망을 향하는) 업링크 트랙픽에 있어서,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와 함께 지점-대-지점 링크를 따라 전송되는 패킷에 대해, UE는 PDN 접속에 적절한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한 착신 MAC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수신하면,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는 이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터널들을 구분할 수 있다.
(3GPP 코어망에서 UE로) 다운링크 방향에서,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는, 패킷을 수신하였던 터널에 적절한 UE와 함께 지점-대-지점을 따라 전송된 패킷에 대해 소오스 MAC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UE가 패킷을 수신하면, UE는 이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구분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술한 기술은 S2a 해결책에 제한을 끼치지 않게 된다. 특히, UE가 비-3GPP 엑세스(예컨대, WiFi 무선 인터페이스) 측에서 충돌(clashing) IP 어드레스를 가질 수 있게 된다-3GPP가 LTE 무선 인터페이스 측을 지원하는 것처럼. 또한, UE가 상이한 PDN 접속들로부터의 IP 멀티캐스트들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요소들의 하나 이상의 동작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프로세싱 유닛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고, 프로세싱 유닛 또는 유닛들은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제공될 수 있다. 설명한 여러 요소들의 기능은 실제로 단일 요소로 수행도리 수 있다. 단일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다수 요소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연산) 프로그램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인터넷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다운로드가능한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동작 프로그램 자체를 커버하는 것으로, 또는 캐리어 상의 기록으로, 또는 신호로, 또는 소정의 다른 형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7은 여기에서 기술한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노드(1)의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기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노드(1)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저장기(30)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방법의 수행 동안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기(20)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방법의 수행 동안에, 프로그램 단계들은 프로그램 저장기(30)로부터 페치되고 그리고 중앙처리유닛(CPU)(10)에 의해 실행되며, 필요에 따라 데이터 저장기(20)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한다. 여기서 기술한 것과 같은 방법의 실행으로부터 기인하는 출력 정보는 데이터 저장기(20)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40)에 전송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는 필요에 따라 다른 노드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40)는 CPU(10)에서 사용을 위해, 다른 노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첨부 시그날링도는 교환된 일련의 메시지들과 다양한 노드들에 의해 실행된 방법 단계들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이들 메시지들을 교환하거나 도는 이들 방법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외에도, 완전성을 위해, 노드(A)에서 노드(B)로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되는 소정의 메시지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A)의 단계뿐만 아니라 메시지를 수신하는 노드(B)의 단계와, 그리고 이들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노드(A 및 B)들에서의 수단을 암시적으로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일이 없이,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 다양한 수정안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예컨대, 비록 상기 실시예들은 3GPP 코어망의 일부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하더라도, 여기에서 설명한 기술은 같은 기능적 요소들을 가지는, 3GPP 코어망의 후임과 같은, 같은 망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예컨대, 용어 UE는 소정의 장치를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용어 MAC 어드레스는 소정의 한 특정 표준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장치 또는 장치에 관련되는 망 인터페이스에 대한 소정 유형의(고유한) 식별자를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따라서, 용어 "장치 식별자"를 "MAC 어드레스" 대신에 사용할 수 있고, 여기서 장치 식별자는 장치에 대한(또는 관련된) 식별자 또는 장치에(또는 관련된) 망 인터페이스에 대한(또는 관련된) 식별자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PDN 접속들 구분하기 위하여 MAC D어드레스 대신에 가상 로컬영역 망(VLAN) ID들을 사용할 수 있고, 모든 PDN 접속은 고유한 VLAN ID가 할당되고; MAC 헤더는 "1Q"헤더(네트워킹 표준 IEEE 802.1Q로 부름)로 혹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VLAN ID는 장치에 관련되는 망 인터페이스의 식별자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거나, 또한 장치에 대한(즉, 장치에 관련되는) 식별자처럼 간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설명은, BBF와 같은 비-3GPP 액세스 망에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되고, 소정의 비-3GPP 액세스망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용어 3GPP 와 BBF와 상기 설명과 첨부도면에서 사용된 관련 용어들은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설명한 기술은 SaMOG의 콘텍스트에서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특히 여기세어 설명한 비-3GPP 액세스망은 WiFi 연합체에 의해 규정되는 액세스를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3GPP 코어망과 개별적인 비-3GPP 액세스망을 가지는 아키텍처로 시작한 FMC작업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3GPP 무선 액세스망에 WiFi를 통합시키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도 9와 10에 도시된 아키텍처가 되게 된다.
도 9의 아키텍처에서, AG 또는 액세스 게이트웨이는 3GPP RAN 내측에 있다. 도 8에서처럼, AP와 AG 사이에 지점-대-지점 링크가 있다. (망 노드들은 일반적으로 기능 엔티티들로서 간주될 수 있어서, 이들은 분할되거나 또는 함께 위치할 수 있다-예컨대, PGW와 SGW는 함께 위치할 수 있고, 이볼브드 노드 B(eNB)와 AG는 함께 위치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10의 아키텍처에서, AG는 3GPP 코너 내측에 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AP와 AG 사이에 지점-대-지점 링크가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기술은 도 9와 10의 아키텍처에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는 것이 중요하고, 따라서 용어 "비-3GPP 액세스망"은 이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즉 개별적인 비-3GPP 액세스망과 그리고 어떤 의미로는 3GPP 액세스망의 일부로 간주되거나 또는 이에 효율적으로 통합된 비-3GPP 액세스망 둘 다를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3GPP 액세스는 eNB에 의헤 제공되는 3GPP 액세스를 우회한다. 마찬가지로, 여기에서 사용한 용어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는 도 10의 아키텍처를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 또는 "비-3GPP 게이트웨이 노드"는 적절하다면 단순히 "게이트웨이 노드"로 대치할 수 있고, 그리고 "비-3GPP 액세스망"은 적절하다면 단순히 "액세스망"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5와 6은 msc-발생기 툴을 사용하여 생성되었다(msc는 Message Sequence Chart를 나타내고; http://sourceforge.net/projects/msc-generator를 참조하라).이들 도면들 중 어떠한 부분도 무시할 수 없는 경우, msc 소오스코드는 다음과 같다:
도 5:
msc=Dinand {
background.color=white;
UE [label="\bUE"],
RGW [label="\bRG\n\sWLAN AP\n802.1X authenticator\n"],
BNG [label="\bTNSP"],
AAA [label="\bAAA\n\-relay"],
PDN [label="\bPDN-GW"],
HSS [label="\bHSS server"];
++:Local attach and access authentication []{
UE<->RGW: Setup 802.11 association;
UE--RGW: 802.1X controlled port blocked;
RGW->UE: EAP-REQ/Ident;
UE->RGW: EAP-RSP/Ident\n\-UE Identifier (NAI);
RGW->AAA->HSS: Diameter/Radius (EAP-RSP/Ident)\n\-UE Identifier (NAI);
block UE<->RGW-AAA-HSS: EAP messages [];
HSS->AAA-RGW: Diameter/Radius (EAP-Success);
AAA--AAA: Store NAI and MAC@;
RGW->UE: EAP-Success;
RGW<->UE: EAPOL-Key (4-way handshake);
UE--RGW: 802.1X controlled port unblocked;
};
++: IP session setup for first PDN connection [] {
UE->RGW-BNG: DHCP Request\n\-UE IP@ (HO), APN="first";
BNG->AAA: Get UE Context\n\-MAC@;
AAA->BNG: UE Context Ack;
BNG->PDN: Create Bearer Request\n\-NAI, APN="first";
PDN--PDN: Allocate/HO IP@;
PDN<->HSS: Update PDN GW Address;
BNG<-PDN: Create Bearer Response\n\-UE IP@;
UE<-RGW-BNG: DHCP Ack\n\-UE IP@;
};
pipe BNG--PDN:GTP/PMIP tunnel [number=no]{
UE->RGW-BNG-PDN-> [strong, number=yes]: \prUser data packet;
};
}
도 6:
msc=Dinand {
background.color=white;
UE [label="\bUE"],
RGW [label="\bRG\n\sWLAN AP\n802.1X authenticator\n"],
BNG [label="\bTNSP"],
AAA [label="\bAAA\n\-relay"],
PDN [label="\bPDN-GW"],
HSS [label="\bHSS server"];
++:Local attach and access authentication []{
UE<->RGW: Setup 802.11 association;
UE--RGW: 802.1X controlled port blocked;
RGW->UE: EAP-REQ/Ident;
UE->RGW: EAP-RSP/Ident\n\-UE Identifier (NAI);
RGW->AAA->HSS: Diameter/Radius (EAP-RSP/Ident)\n\-UE Identifier (NAI);
block UE<->RGW-AAA-HSS: EAP messages [];
HSS->AAA-RGW: Diameter/Radius (EAP-Success);
AAA--AAA: Store NAI and MAC@;
RGW->UE: EAP-Success;
RGW<->UE: EAPOL-Key (4-way handshake);
UE--RGW: 802.1X controlled port unblocked;
};
++: IP session setup for additional PDN connection [] {
UE->RGW-BNG: DHCP Request\n\-UE IP@ (HO), APN="second";
BNG->AAA: Get UE Context\n\-MAC@;
AAA->BNG: UE Context Ack;
BNG->PDN: Create Bearer Request\n\-NAI, APN="second";
PDN--PDN: Allocate/HO IP@;
PDN<->HSS: Update PDN GW Address;
BNG<-PDN: Create Bearer Response\n\-UE IP@;
UE<-RGW-BNG: DHCP Ack\n\-UE IP@;
};
pipe BNG--PDN:GTP/PMIP tunnel [number=no]{
UE->RGW-BNG-PDN-> [strong, number=yes]: \plMAC@1 for first PDN connection\n\prUser data packet;
};
pipe BNG--PDN:GTP/PMIP tunnel [number=no]{
UE->RGW-BNG-PDN-> [strong, number=yes]: \plMAC@2 for second PDN connection\n\prUser data packet;
};
}

Claims (24)

  1.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해 사용자 장비와 3GPP 코어망 간에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고 및/또는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또는 적어도 동일 IP 어드레스와 관련되는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 또는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와 3GPP 코어망의 케이트웨이 노드 간에 터널이 있고, 또한 사용자 장비와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인 노드 간에 지점-대-지점 링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대-지점 링크는 L2 도는 이더넷 접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와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 간에 전송되는 메시지들은 지점-대-지점 접속의 소오스와 착신 장치들의 각 장치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유형이고, 소오스와 착신 장치들 각각은 사용자 장비와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이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망 접속과 관련된 IP 어드레스는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2항에 따를 때, 패킷 데이터망 접속과 관련된 IP 어드레스는 3GPP 코어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 할당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는,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나중에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는, 상이한 장치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는,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확립할 때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장치 식별자들과 관련시키고, 이렇게 함으로써 나중에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간에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에서, 확립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에 대해:
    (a) 다수의 다른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한 사용자 장비에 대해 결정된 장치 식별자와는 상이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와;
    (b) 단계(a)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해,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c) 패킷 데이터망접속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에서,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전송되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들 각각에 대해:
    (d) 어느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사용하여 하는지 결정하는 단계와;
    (e) 단계(d)에서 결정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적절한 장치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와;
    (f) 단계(e)에서 선택된 장치 식별자를 패킷에 포함하고, 그리고 패킷을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에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수신한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g) 그 안에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h) 단계(g)에서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와;
    (i) 단계(h)에서 결정한 장치 식별자를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확립하게 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각각에 대해:
    (A)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다수의 다른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한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결정된 장치 식별자와 상이한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와;
    (B) 요청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와;
    (C) 단계(B)에서 확립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과 장치 식별자를 관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전송되게 되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D)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E)(i) 만일 사용자 장비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면, 패킷에 포함된 장치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하게 될 적절한 터널을 결정하는 단계와;
    (E)(ii) 만일 터널을 통해 3GPP 코어망으로부터 패킷이 수신된다면, 패킷을 수신하였던 터널을 기반으로 하여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와;
    (F)(i) (E)(i)의 경우에, 단계(E)(i)에서 결정된 터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와;
    (F)(ii) (E)(ii)의 경우에, 단계(E)(ii)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에 적절한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 식별자는 장치 또는 망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 식별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또는 가상 로컬영역 망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해 사용자 장비와 3GPP 코어망 간에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는데 사용하고 및/또는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치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또는 이러한 구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또는 적어도 동일 IP 어드레스와 관련되는 다수의 각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해 상이한 장치 식별자를 사용하도록 배열되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을 구분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 또는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있어서, 확립하게 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 장비는:
    (a) 다수의 다른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한 사용자 장비에 대해 결정된 장치 식별자와는 상이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b) 단계(a)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해, 비-3GPP 액세스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c) 패킷 데이터망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19. 제17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있어서,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전송되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 장비는:
    (d) 어느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사용하여 하는지 결정하고;
    (e) 단계(d)에서 결정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적절한 장치 식별자를 선택하고;
    (f) 단계(e)에서 선택된 장치 식별자를 패킷에 포함하고, 그리고 패킷을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20. 제17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있어서,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수신한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 장비는:
    (g) 그 안에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h) 단계(g)에서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i) 단계(h)에서 결정한 장치 식별자를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비.
  21. 비-3GPP 액세스망에서 사용을 위한 게이트웨이 노드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노드는 제17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확립하게 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들 각각에 대해:
    (A)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다수의 다른 패킷 데이터망 접속에 대한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결정된 장치 식별자와 상이한 게이트웨이 노드와 관련된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B) 요청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확립하고;
    (C) 단계(B)에서 확립된 패킷 데이터망 접속과 장치 식별자를 관련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노드.
  22. 비-3GPP 액세스망에서 사용을 위한 게이트웨이 노드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노드는 제17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다수의 패킷 데이터망 접속을 통해 전송되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 각각에 대해:
    (D) 패킷을 수신하고;
    (E)(i) 만일 사용자 장비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면, 패킷에 포함된 장치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하게 될 적절한 터널을 결정하고;
    (E)(ii) 만일 터널을 통해 3GPP 코어망으로부터 패킷이 수신된다면, 패킷을 수신하였던 터널을 기반으로 하여 장치 식별자를 결정하고;
    (F)(i) (E)(i)의 경우에, 단계(E)(i)에서 결정된 터널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고;
    (F)(ii) (E)(ii)의 경우에, 단계(E)(ii)에서 결정된 장치 식별자에 적절한 접속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패킷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노드.
  23.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24. 제23항에 따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매체.
KR1020147013727A 2011-11-04 2012-11-01 피디엔 접속을 확립하고 또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06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5758P 2011-11-04 2011-11-04
US61/555,758 2011-11-04
PCT/EP2012/071658 WO2013064595A1 (en) 2011-11-04 2012-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d using pdn conne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164A true KR20140088164A (ko) 2014-07-09
KR102006512B1 KR102006512B1 (ko) 2019-08-01

Family

ID=4717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727A KR102006512B1 (ko) 2011-11-04 2012-11-01 피디엔 접속을 확립하고 또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497786B2 (ko)
EP (1) EP2777356B1 (ko)
JP (2) JP5993022B2 (ko)
KR (1) KR102006512B1 (ko)
CN (2) CN110519863A (ko)
ES (1) ES2749643T3 (ko)
IN (1) IN2014DN03415A (ko)
WO (1) WO20130645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487A (ko) * 2016-02-18 2017-08-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코어 망 서비스 이용방법과 이를 위한 통합 제어장치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512B1 (ko) * 2011-11-04 2019-08-01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피디엔 접속을 확립하고 또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853117B1 (en) * 2012-05-21 2018-03-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obile station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nd methods therei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451643B2 (en) * 2012-09-14 2016-09-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le IP interface control protocol
US10638526B2 (en) * 2012-09-24 2020-04-28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of control protocol for trusted WLAN (TWAN) offload
CN103781073B (zh) * 2012-10-26 2018-10-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用户固网的接入方法及系统
KR102109704B1 (ko) * 2012-12-13 2020-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트래픽의 전달 방법 및 장치
CN104854576B (zh) * 2013-01-03 2018-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网络的系统和方法
US11102689B2 (en) * 2013-01-03 2021-08-24 Apple Inc. Packet data connec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O2015005900A1 (en) * 2013-07-08 2015-01-15 Nokia Siemens Networks Oy Establishment of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via relay user equipment
CN104283858B (zh) * 2013-07-09 2018-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用户终端接入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50163704A1 (en) * 2013-12-11 2015-06-11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from cellular to wlan in integrated network
WO2015165250A1 (zh) * 2014-04-30 2015-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接入通信网络的方法、装置及通信系统
US9560525B2 (en) 2014-06-18 2017-01-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authent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US9787691B2 (en) * 2014-06-20 2017-10-10 Cisco Technology, Inc. Classification of unauthenticated IP users in a layer-2 broadband aggregation network and optimization of session management in a broadband network gateway
CN104168311A (zh) * 2014-07-31 2014-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方法、装置和系统
JPWO2016056154A1 (ja) * 2014-10-07 2017-07-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レー無線端末、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これらの方法
JP6631065B2 (ja) * 2014-11-25 2020-01-15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路切替装置、通信路切替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06838B1 (ko) * 2015-04-22 2019-08-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서비스 할당 방법 및 장치
JP7035163B2 (ja) * 2017-07-20 2022-03-14 ホアウェ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ネットワーク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および装置
US11050746B2 (en) * 2019-01-29 2021-06-29 Cisco Technology, Inc. Media access control (MAC) address anonymization based on allocations by network controller ele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196A (ko) * 2003-07-09 2005-01-17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이동 단말기, 제어 장치, 홈 에이전트 및 패킷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67863B (zh) * 2003-06-17 2010-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外部网络接入的控制方法
US8094709B2 (en) 2006-02-01 2012-01-10 Nec Corporation Equalizer and equalization method
CN101267588B (zh) * 2007-03-12 2010-12-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通信系统中释放网际协议连接承载的方法、系统及装置
WO2008127662A1 (en) * 2007-04-12 2008-10-23 Marvell World Trade Ltd. Packet data network connectivity domain selection and bearer setup
CN101442745B (zh) * 2007-11-22 201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iMAX网络和3GPP网络融合的方法与系统
CN101919299B (zh) * 2007-12-27 2015-06-24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到一个apn(接入点名称)的多个pdn(分组数据网络)连接性
EP2075959A1 (en) * 2007-12-27 2009-07-01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md method for concurently accessing multiple wireless networks (WLAN/WPAN)
CN101222768B (zh) * 2008-01-31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获得接入点名称的方法和分组域系统
CN102123493B (zh) * 2008-03-26 2014-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分组数据网络连接的注册方法及装置
US8638749B2 (en) * 2008-06-06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work handoff
US8654716B2 (en) * 2008-11-14 2014-02-1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name binding for multiple packet data network access
WO2010076043A1 (en) * 2009-01-05 2010-07-08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and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KR101384697B1 (ko) * 2009-02-03 2014-04-14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통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엔티티
EP2589208A1 (en) * 2010-06-29 2013-05-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legate gateways and proxy for target hosts in large layer 2 and address resolution with duplicated internet protocol addresses
US9232472B2 (en) * 2010-12-23 2016-01-05 Stmicroelectronics, Inc. Multiple MAC addresses in a device
KR102006512B1 (ko) * 2011-11-04 2019-08-01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피디엔 접속을 확립하고 또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196A (ko) * 2003-07-09 2005-01-17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이동 단말기, 제어 장치, 홈 에이전트 및 패킷 통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08452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487A (ko) * 2016-02-18 2017-08-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코어 망 서비스 이용방법과 이를 위한 통합 제어장치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4267A (ja) 2015-02-05
JP2017017724A (ja) 2017-01-19
JP6268241B2 (ja) 2018-01-24
ES2749643T3 (es) 2020-03-23
WO2013064595A1 (en) 2013-05-10
US20140071969A1 (en) 2014-03-13
EP2777356A1 (en) 2014-09-17
US9907100B2 (en) 2018-02-27
CN104081863A (zh) 2014-10-01
KR102006512B1 (ko) 2019-08-01
EP2777356B1 (en) 2019-07-24
US9497786B2 (en) 2016-11-15
US20170027007A1 (en) 2017-01-26
IN2014DN03415A (ko) 2015-06-26
JP5993022B2 (ja) 2016-09-14
CN110519863A (zh)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512B1 (ko) 피디엔 접속을 확립하고 또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39263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tting up a packet data network (PDN) connection
US9717019B2 (en) Data flow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US98439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DN connection
US20140071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DN Connections
US98723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d using PDN connections
CN113194511A (zh) 用于系统间移动性的服务网关扩展
EP2702785B1 (en) Local access point name for use in accessing packet data networks
CN103313344A (zh) 融合的核心网及其接入方法
JP5872066B2 (ja) 非3gppによってコアネットワークにアクセス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2016020506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Network Address, WLAN and UE
US201400262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web authentication
KR101537765B1 (ko) 테더링 데이터 처리방법 및 장치
WO2016184653A1 (en) Wireless access gate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