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994A -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994A
KR20140087994A KR1020130124650A KR20130124650A KR20140087994A KR 20140087994 A KR20140087994 A KR 20140087994A KR 1020130124650 A KR1020130124650 A KR 1020130124650A KR 20130124650 A KR20130124650 A KR 20130124650A KR 20140087994 A KR20140087994 A KR 20140087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ells
battery
value
externa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정
한연수
Original Assignee
(주)마루엠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루엠씨에스 filed Critical (주)마루엠씨에스
Priority to JP201652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7500835A/ja
Priority to US15/029,461 priority patent/US20160266210A1/en
Priority to CN201380080227.5A priority patent/CN105683770A/zh
Priority to EP13895726.1A priority patent/EP3059599A1/en
Priority to PCT/KR2013/009622 priority patent/WO2015056830A1/ko
Publication of KR2014008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2Compensating for temperature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장치의 배터리의 다수의 셀 각각의 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배터리의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특성값으로부터 평가대상값을 산출하고, 상기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선택하고, 상기 평가대상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POWER MONITORING SYSTEM FOR BATTERY OF ELECTRO-MECHANICAL APPARATUS}
본 발명은 다수의 셀로 이루어지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력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동장치용 배터리는 2차 전지의 일종으로서,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삽입되고 전해액이 충진된 다수의 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차를 비롯한 전동카트나 전동지게차 등의 전동장치에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장치용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전해액에 침지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에 의한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방전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전해액을 황산화하는 충전을 반복하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동장치용 배터리는 전동장치의 주동력원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전동장치의 가동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전동장치의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배터리의 성능 및 예상 수명 등을 주기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기능상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전동장치용 배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특성상 온도에 따른 전기에너지의 방전량이 큰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17.8도인 경우에는 25도인 경우에 비하여 방전량이 50%로 감소하고, 측정되는 전압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2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게 되나 배터리의 수명은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온도 특성으로 한국과 같이 사계절을 갖고 있거나, 온도의 변화가 많은 곳에서는 외기 온도나 배터리 온도를 고려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골프장용 카트의 경우 영하로 떨어지는 날씨에는 배터리의 전압만 측정하여 불량이라 판단하게 되면, 영상의 날씨에서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폐기될 우려가 있다.
한국의 골프장에서는 한 겨울에 18홀을 주행하지 못 하는 배터리도, 한 겨울을 넘기면 일반적으로 그 다음 해 가을까지 더 사용하고 있다.
표1은 만충전이 되어 있는 동일한 배터리(280AH/5HR)를 동일 부하(56A)로 방전했을 때 온도에 따른 Cell 전압 및 방전량(용량)의 상관관계 도표이다.
표1과 같이 외부 온도에 따라 방전 초기전압(open V)의 편차는 0.01~0.04V 정도이지만, 부하가 걸렸을 때(방전 때)는 최고 0.13V까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방전 시의 최고전압과 최저전압, 또는 최저전압과 최고전압의 편차 등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되면,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배터리의 판단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정된 셀의 전압과 외부 온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불량 여부와 열화 정도를 온도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장치의 배터리의 다수의 셀 각각의 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배터리의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특성값으로부터 평가대상값을 산출하고, 상기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선택하고, 상기 평가대상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수의 상기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다수의 상기 기준값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성값은,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전압 또는 전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값은, 상기 외부 온도에 따른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방전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대상값은,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최저전압, 최고전압, 최저전압과 최고전압의 편차(ripple), 방전전류, 방전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대상값이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기 최저전압인 경우, 상기 기준값은 상기 외부 온도에 따라 점점 낮아지도록 설정된 기준전압이며, 상기 최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상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최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미만이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가대상값이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기 편차인 경우, 상기 기준값은 상기 외부 온도에 따라 점점 커지도록 설정된 기준편차이며, 상기 편차가 상기 기준편차 이하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편차가 상기 기준편차보다 크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대상값이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기 방전량인 경우, 상기 기준값은 상기 외부 온도에 따라 점점 작아지도록 설정된 기준량이며, 상기 방전량이 상기 기준량 이상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방전량이 상기 기준량 미만이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기온변화가 심한 환경에서도 외부 온도를 고려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보다 세밀하게 모니터링 가능하게 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의 평가대상값 및 기준값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외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외부 온도에 따라 전동장치(150)의 배터리(152)의 상태를 판단하여 배터리(152)를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전력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중앙처리부(102), 측정부(104), 온도감지부(106) 및 저장부(108)를 포함한다.
전동장치(150)는, 제1 내지 제n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152)를 포함하는데, 제1 내지 제n셀은 서로 직렬 연결되며,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양극(+) 및 음극(-)의 특성값은 전력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측정부(104)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양극(+) 및 음극(-)의 특성값은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04)는,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실시간 전압(방전전압) 또는 실시간 전류(방전전류, 부하전류)를 특성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04)는, 측정된 특성값을 중앙처리부(102)에 전달하고, 중앙처리부(102)는 측정부(104)로부터 전달받은 특성값으로부터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평가대상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평가대상값은,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방전 중 최저전압, 방전 중 최고전압, 방전 중 최저전압과 최고전압의 편차(ripple), 방전전류, 방전량(용량: capacity)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측정부(104)는, 측정된 특성값을 처리 가능한 범위의 전압 값으로 변환하여 중앙처리부(102)로 전달할 수 있으며, 중앙처리부(102)는 전달받은 아날로그 형태의 특성값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평가대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06)는, 전동장치(150)의 배터리(152) 주변에 배치되어 외부 온도를 감지하여 중앙처리부(102)로 전달하는데, 전력모니터링 시스템(100)과 배터리(152)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온도 편차가 크지 않을 경우, 온도감지부(106)는 전력모니터링 시스템(1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감지부(106)는, 서미스터(thermistor)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온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처리부(102)는, 온도감지부(106)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값을 산출된 평가대상값과 비교하여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상태를 판단한다.
저장부(108)는, 다수의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다수의 기준값을 룩업테이블(lookup table)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중앙처리부(102)에 전달한다.
여기서, 기준값은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정상상태 또는 비정상상태의 판단기준이 되는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외부 온도에 따른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방전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대상값이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최저전압인 경우, 기준값은 외부 온도에 따라 점점 낮아지도록 설정된 기준전압일 수 있으며, 최저전압이 기준전압 이상이면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을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최저전압이 기준전압 미만이면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을 비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대상값이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최저전압과 최고전압의 편차인 경우, 기준값은 외부 온도에 따라 점점 커지도록 설정된 기준편차일 수 있으며, 최저전압과 최고전압의 편차가 기준편차 이하이면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을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최저전압과 최고전압의 편차가 기준편차보다 크면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을 비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평가대상값이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방전량(용량)인 경우, 기준값은 외부 온도에 따라 점점 작아지도록 설정된 기준량일 수 있으며, 방전량이 기준량 이상이면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을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방전량이 기준량 미만이면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을 비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102)는,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정상상태 또는 비정상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저장부(108)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상태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차고지 등의 배터리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처리부는, 상태정보에 따라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중에서 비정상상태의 셀을 교체할 수 있으며, 추출된 비정상상태의 셀을 재생처리 하거나 폐기처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이 최저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의 평가대상값 및 기준값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전동장치(150)의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특성값을 측정하고, 특성값으로부터 평가대상값으로 산출하는데, 특성값은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이 방전하는 동안의 다수의 실시간 전압일 수 있으며, 평가대상값은 측정된 다수의 실시간 전압 중 가장 작은 값인 최저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6셀의 최저전압은 각각 약 11.07V, 약 11.35V, 약 11.32V, 약 8.20V, 약 11.12V, 약 11.34V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6셀의 정상상태 또는 비정상상태를 판단하는 기준값인 기준전압은,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사양(specification)과 방전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온도감지부(106)가 감지한 외부 온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외부 온도가 약 25도, 약 0도, 약 -18도인 경우, 기준전압은 각각 10V, 9V, 8V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온도가 약 25도 또는 약 0도인 경우에는, 기준전압인 10V 또는 9V이상의 최저전압을 갖는 제1 내지 제3셀, 제5셀, 제6셀을 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기준전압인 10V 또는 9V미만의 최저전압을 갖는 제4셀을 비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온도가 약 -18도인 경우에는, 제1 내지 제6셀 모두가 기준전압인 8V이상의 최저전압을 가지므로, 제1 내지 제6셀을 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낮은 외부 온도에서 산출된 제4셀의 최저전압에 대하여 외부 온도에 따라 보상된 상대적으로 낮은 기준전압을 적용함으로써, 제4셀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감지부(106)는, 배터리(152)의 외부 온도를 감지하고(st10), 감지된 외부 온도를 중앙처리부(102)로 전달한다.
중앙처리부(102)는, 온도감지부(106)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선택하는데(st12), 저장부(108)에 저장된 다수의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다수의 기준값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기준값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측정부(104)는,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특성값을 측정하고(st14), 측정된 특성값을 중앙처리부(102)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측정부(104)는,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실시간 전압 또는 실시간 전류를 특성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처리부(102)는, 특성값으로부터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평가대상값을 산출한다(st16).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102)는,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최저전압, 최고전압, 최저전압과 최고전압의 편차(ripple), 방전전류, 방전량(용량: capac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평가대상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102)는, 산출된 평가대상값과 외부 온도에 대응되도록 선택된 기준값을 비교하고(st18), 비교결과에 따라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상태를 판단한다(st20).
이후, 중앙처리부(102)는,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각각의 정상상태 또는 비정상상태에 대한 상태정보에 따라 해당 셀을 조치한다(st22).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102)는, 배터리(152)의 제1 내지 제n셀 중에서 비정상상태의 셀을 교체할 수 있으며, 추출된 비정상상태의 셀을 재생처리하거나 폐기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온도에 따른 배터리 전압의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된 전압과 온도의 상관관계를 대입하여 온도에 따른 배터리의 불량 여부와 열화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 중 최저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 상태를 판단할 때도, 이러한 온도에 대한 전압의 상관관계를 대입하여 배터리 상태에 대해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의 전압 편차를 이용하여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지만 배터리마다 전동장치의 사용 중 최저 전압에 따라서 상태에 대한 체크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온도에 대한 방전량(용량)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외부 온도에 따라 전동장치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100: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102: 중앙처리부
104: 측정부 106: 온도감지부
108: 저장부 150: 전동장치
152: 배터리

Claims (8)

  1. 전동장치의 배터리의 다수의 셀 각각의 특성값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배터리의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특성값으로부터 평가대상값을 산출하고, 상기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기준값을 선택하고, 상기 평가대상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
    를 포함하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다수의 상기 기준값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값은,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전압 또는 전류인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외부 온도에 따른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방전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대상값은,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최저전압, 최고전압, 최저전압과 최고전압의 편차(ripple), 방전전류, 방전량 중 적어도 하나인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대상값이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기 최저전압인 경우, 상기 기준값은 상기 외부 온도에 따라 점점 낮아지도록 설정된 기준전압이며, 상기 최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이상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최저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미만이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대상값이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기 편차인 경우, 상기 기준값은 상기 외부 온도에 따라 점점 커지도록 설정된 기준편차이며, 상기 편차가 상기 기준편차 이하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편차가 상기 기준편차보다 크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대상값이 상기 다수의 셀 각각의 상기 방전량인 경우, 상기 기준값은 상기 외부 온도에 따라 점점 작아지도록 설정된 기준량이며, 상기 방전량이 상기 기준량 이상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방전량이 상기 기준량 미만이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는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30124650A 2012-12-31 2013-10-18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87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24088A JP2017500835A (ja) 2013-10-18 2013-10-28 電動装置用バッテリーの電力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5/029,461 US20160266210A1 (en) 2013-10-18 2013-10-28 Power monitoring system for battery of transmission
CN201380080227.5A CN105683770A (zh) 2013-10-18 2013-10-28 用于电动装置的电池的电力监视系统
EP13895726.1A EP3059599A1 (en) 2013-10-18 2013-10-28 Power monitoring system for battery of transmission
PCT/KR2013/009622 WO2015056830A1 (ko) 2013-10-18 2013-10-28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431 2012-12-31
KR20120158431 2012-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994A true KR20140087994A (ko) 2014-07-09

Family

ID=5173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650A KR20140087994A (ko) 2012-12-31 2013-10-18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79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028A (ko) * 2015-11-30 2017-06-09 한국전지연구조합 전기화학 시스템의 성능 평가 방법
KR20170064027A (ko) * 2015-11-30 2017-06-09 한국전지연구조합 전기화학 시스템의 성능 평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028A (ko) * 2015-11-30 2017-06-09 한국전지연구조합 전기화학 시스템의 성능 평가 방법
KR20170064027A (ko) * 2015-11-30 2017-06-09 한국전지연구조합 전기화학 시스템의 성능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44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battery state of charge
CN105467324B (zh) 电池劣化判定装置、电池劣化判定方法以及电池组
CN108291941B (zh) 用于检测由于未知放电电流导致的电池单元故障的装置和方法
US9476947B2 (en) Method for ascertaining operating parameters of a battery,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US9476946B2 (en) SOC determination by evaluation of effects invoked by dimensional changes of battery cells
US9660299B2 (en) Strain measurement based battery testing
US9018907B2 (en) Method for precise power prediction for battery packs
US8395356B2 (en) Electric facility operating according to galvanic principles, such as a lithium-ion cell, comprising a control for the operating conditions
CN108604711B (zh) 借助于占空控制的有效电池平衡的方法和系统
US10873201B2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lithium iron phosphate cell from over-voltage using the same
JP6565446B2 (ja) 電池劣化判定装置,電池劣化判定方法及び車両
WO2008072436A1 (ja) 二次電池の劣化判定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電源
JP7280161B2 (ja) 電池状態推定装置
CN111175664B (zh) 确定电池的老化状态的方法以及控制器和交通工具
CN107852013A (zh) 监测和平衡串联布置的锂硫电池中的容量
US11486932B2 (en) Method for managing a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left to rest
CN110462916B (zh) 蓄电元件管理装置以及蓄电元件管理方法
US9891287B2 (en) Temperature-compensated state of charge estimation for rechargeable batteries
KR101547004B1 (ko) 배터리 잔존 수명 추정 장치 및 방법
JP2016128824A (ja) 電池寿命事前検知方法、電池システム、及び電池コントローラ
CN106997026B (zh) 用于确定铅酸蓄电池的剩余电容量的方法和装置
JP2017500835A (ja) 電動装置用バッテリーの電力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6494431B2 (ja) 蓄電デバイスの劣化診断装置
KR20140087994A (ko) 전동장치용 배터리의 전력모니터링 시스템
US1151558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corresponding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corresponding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