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073A -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using an escalator - Google Patents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using an esca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073A
KR20140087073A KR1020120151360A KR20120151360A KR20140087073A KR 20140087073 A KR20140087073 A KR 20140087073A KR 1020120151360 A KR1020120151360 A KR 1020120151360A KR 20120151360 A KR20120151360 A KR 20120151360A KR 20140087073 A KR20140087073 A KR 20140087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time
mobile terminal
electronic ta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순철
Original Assignee
지유포스트 주식회사
양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유포스트 주식회사, 양순철 filed Critical 지유포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7073A/en
Publication of KR2014008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0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A system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the use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bile terminal reading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scalator stored in a first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entrance of the escalator when a user puts the mobile terminal close to the first electronic tag, detecting a time at which the user gets on the escalator, which corresponds to a time at which the mobile terminal senses the first electronic tag, detecting a time at which the user gets off the escalator, which corresponds to a time at which the mobile terminal senses a second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exit of the escalator, when the user puts the mobile terminal close to the second electronic tag, and transmitting the get-on time information, the get-off time information, and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calculating a time during which the user actually uses the escalator from the get-on time information and the get-off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comparing the actual usage time with a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lator, and providing a benefit for the user when the actual usage time is determined to exceed the standard usage time.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using an escalat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올바른 이용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에스컬레이터에 탑승 시에 걷지 않고 정지하도록 유도하여, 이에 대한 혜택을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rrect use of an esca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guiding a user using an escalator to stop without walking when boarding the escalator, .

현재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및 이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시 "한줄서기" 문화가 고착화 됨으로 인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에서 주로 한쪽(예를 들어, 오른쪽)만을 이용하고 있으며, 다른 한쪽(예를 들어, 왼쪽)에 대해서는 이동하는 사람을 위해서 비워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에, 에스컬레이터의 한쪽(오른쪽)에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지속적인 고장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고장을 해소하기 위해 매년 막대한 예산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이동 중에 걷거나 뜀으로 인해 인명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The installation and use of escalators is now common. However, since the user who uses the escalator mainly uses one side (e.g., the right side) of the escalator and the other side (e.g., the left side) It is mostly empty for a person. In such a case, a large load is applied to one side (right side) of the escalator, causing a continuous failure of the escalator, and a huge budget is spent each year in order to solve such a trouble.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erson accident may occur due to walking or leap while moving the escala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중에 걷거나 뛰지 않고, 정지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이용자에게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좌측 및 우측을 모두 이용하도록 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중에는 걷거나 뛰지 않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with an escalator in a case where an escalator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user does not walk or run while using the escalator using the escalator, And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by using an escalator to prevent walking or running while using the escalator.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은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제1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제1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승차 시각을 검출하고, 상기 이용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2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하고, 상기 승차 시각과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전송된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실제이용시간이 상기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approaches a mobile terminal to a first electronic tag provided at an entrance side of an escalator,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lator is read and the escalator tim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first electronic tag is sensed is detected, The escalator detecting means detects the escape time of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senses the second electronic tag,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escape time, the escape time,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n actual usage time of the user from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omparing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ctual usage time And a server for providing the benefit to the user if the actual usage time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상기 제1 전자태그 및 상기 제2 전자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QR코드(Quick Response Code) 태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electronic tag and the second electronic tag include at least one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 and a Quick Response Code (QR) tag.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검출된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상기 엘스컬레이터의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calculates the actual use time of the elskalator from the detected riding time and the getting off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actual use time together with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do.

상기 서버는, 상기 혜택으로서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순번의 추첨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상기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er provides the goods according to any one of a method of providing a point where a commodity can be exchanged as a benefit or a lottery by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and a lottery of the use order of the escalator .

상기 이용자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제3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계단의 계단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제3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계단에 대한 계단이용시각을 검출하고, 상기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계단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계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ird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middle area of the stair,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stairw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air stored in the third electronic tag, The server detects the step use time of the step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tag is detected and transmits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step use time, And provides benefits to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user.

상기 서버는 상기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erver transmits benefit information on the provision of the benefi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의 일 실시예는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승차 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2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실제이용시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실제이용시간이 상기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by using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user approaches a mobile terminal to a first electronic tag provided at an entrance side of an escalator, Reading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lator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and detecting the time of departure of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senses the first electronic tag;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second electronic tag provided at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aborts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second electronic tag is sensed is detected ; Calculating the actual usage time of the user's escalator from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actual usage time; And the server compares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ctual usage time and provides the benefit to the user when the actual usage time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

상기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혜택으로서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순번의 추첨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상기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providing the benefit may include providing a point where a commodity can be exchanged as the benefit or a lottery based on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and lottery using the escalator, .

상기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계단의 계단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계단에 대한 계단이용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계단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계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scal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ird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middle area of the stair, Rea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cting a step use time of the step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senses the third electronic tag; Transmitt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step use time; And providing the server with a benefit for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scalator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benef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vision of the benefits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승차 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승차 시각의 정보와 함께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2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실제이용시간이상기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by using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user approaches a mobile terminal to a first electronic tag provided at an entrance side of an escalator, Reading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lator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and detecting the time of departure of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senses the first electronic tag;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iding time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second electronic tag provided at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aborts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second electronic tag is sensed is detected ;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getting off time to a server; And the server calculates an actual use time of the escalator of the user from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information, compares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ctual usage time, And providing the benefit to the us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usage time is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상기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혜택으로서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순번의 추첨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상기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providing the benefit may include providing a point where a commodity can be exchanged as the benefit or a lottery based on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and lottery using the escalator, .

상기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계단의 계단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계단에 대한 계단이용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계단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계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scal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ird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middle area of the stair, Rea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cting a step use time of the step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senses the third electronic tag; Transmitt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step use time; And providing the server with a benefit for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scalator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benef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vision of the benefits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자들로 하여금,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중에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걷거나 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및 우측을 모두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those who use the escalator to minimize the walking or jumping in the escalator during use of the escalator, thereby guiding the user to use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scalator.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및 우측을 모두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both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escalato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failure of the escalator.

또한, 에스컬레이터 이동 중에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 내에서 걷거나 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타인과의 충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user from walking or jumping in the escalator during the movement of the escal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human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collision with another pers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는 모바일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benefit providing system using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tag provided at one side of an entrance and an exit of an escalator.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tag provided in an intermediate region of a step.
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FIG. 5 is a flowchart of an exemplary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escalator.
FIG. 6 is a flow chart of still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the use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enefi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제1 전자태그(100), 제2 전자태그(110), 제3 전자태그(120), 모바일 단말기(200), 서버(300)로 구성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benefit providing system using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first electronic tag 100, a second electronic tag 110, a third electronic tag 120, A terminal 200, and a server 300.

제1 전자태그(100), 제2 전자태그(110) 및 제3 전자태그(120)는 각각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 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능을 수행하는 태그이다. 제1 전자태그(100), 제2 전자태그(110) 및 제3 전자태그(120)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QR코드(Quick Response Code) 태그 등의 전자 태그를 포함한다. Each of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the second electronic tag 110 and the third electronic tag 120 stores data in a tag in which a semiconductor chip is embedded and has a function of reading and writing data in a no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and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tag as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the second electronic tag 110 and the third electronic tag 120 And includes an electronic tag.

제1 전자태그(100)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고, 제2 전자태그(110)는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및 출구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 (A)는 구동 방향이 위로 향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100)를 예시한 것이고, 도 2 (B)는 구동 방향이 위로 향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110)를 예시한 것이다.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is provid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escalator and the second electronic tag 110 is provided at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2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tag provided at one side of an entrance and an exit of an escalator. Fig. 2 (A) shows a first electronic tag 100 provided on the entrance side of an escalator with its driving direction facing upward, Fig. 2 (B) shows a first electronic tag 100 provided on an outlet side of an escalator The second electronic tag 110 is exemplified.

한편, 제3 전자태그(120)는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electronic tag 120 is provid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step.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tag provided in an intermediate region of a step.

이러한, 제1 전자태그(100) 및 제2 전자태그(110) 내에는 각 전자 태그가 부착된 에스컬레이터 고유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제3 전자태그(120) 내에는 전자태그가 부착된 각 계단 고유의 계단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In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and the second electronic tag 110,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escalator to which each electronic tag is attached is stored. In addition, in the third electronic tag 120,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each step to which the electronic tag is attached is stored.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100)에 모바일 단말기(200)를 접근시키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1 전자태그(100)에 저장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제1 전자태그(100)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 승차 시각을 검출한다.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provid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escalator, the mobile terminal 200 read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 The escalator riding tim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is sensed is detected.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200)는 전자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에스컬레이터의 승차 시각을 검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rea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and performing a function for detecting the time of riding the escalator.

도 4는 모바일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도시한 참조도로서, 도 4(A)는 모바일 단말기 내에 탑재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 및 승차시각을 검출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 된 화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4(B)는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을 확대한 참조도이다. FIG. 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FIG. 4 (A) shows an escalator application for detecting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iding time among various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FIG. 4B is an enlarged reference view of the escalator application. FIG.

모바일 단말기(200)가 제1 전자태그(100)에 접근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구동하여, 제1 전자태그(100)에 저장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인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태그(100)로부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시각을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 승차 시각으로서 검출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200 approaches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the escalator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starts to read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Further, the escalator application detects the time at which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first electronic tag 100 as the escalator ride time of the user.

에스컬레이터에 승차한 후에 정지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구동만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도달하게 되면, 이용자는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110)에 모바일 단말기(200)를 접근시킨다.When the escalator reaches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only by driving the escalator in a stopped state after boarding the escalator,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second electronic tag 110 provided at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그러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전자태그(110)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한다.Then, the mobile terminal 200 detects the time of departure of the user's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second electronic tag 110 is sensed using the escalator application.

그 후, 모바일 단말기(200)는 검출된 승차시각 및 하차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200)와 서버(300)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20)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Then,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together with the detected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server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wired / wireless network. In order to transmit data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the mobile terminal 20 includes interface means (Not shown).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검출된 승차시각 및 하차시각에 대한 정보 자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승차 시각 및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이용자의 엘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은 하차 시각으로부터 승차 시각의 차를 구함으로써,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산출된 실제이용시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Also, the mobile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detected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to the server 300, but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actual use time of the user's elskalator from the information of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 have. The escalator application can calculate the actual time of use by obt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departure from the time of departure. Then,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together with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actual usage time.

한편, 계단을 이용하는 자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전자태그(120)에 모바일 단말기(200)를 접근시키면, 모바일 단말기(200)는 제3 전자태그(120)에 저장되어 있는 계단의 계단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제3 전자태그(120)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계단에 대한 계단이용시각을 검출한다.Meanwhile,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approaches the third electronic tag 120 provid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self-stair step using the stairs, the mobile terminal 200 moves the staircase stored in the third electronic tag 120 Reads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cts a step use time of the step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third electronic tag 120 is sensed.

그 후, 모바일 단말기(200)는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계단 식별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Then,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step use time.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승차 시각 및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한다. 서버(300)는 하차 시각으로부터 승차 시각의 차를 구함으로써,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한 경우에는,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 자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server 300 calculates the actual usage time of the user's escalator from the information of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server 300 calculates the actual use time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ding times from the getting-off time. Meanwhile, when the actual usage time is calculat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the server 3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actual usage time of the escalator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itself.

그 후, 서버(300)는 전송된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한다. 표준이용시간이 의미하는 것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서 출구 측까지의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자가 에스컬레이터에 승차한 후에 정지한 상태(걷거나 뛰지 않은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하차 시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준이용시간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중에 실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시간정보이다. Thereafter, the server 300 compares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ctual usage time. The standard usage time means time required for driving the escalator from the entrance side to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That is, the time required for the person using the escalator to get off the escalator when the escalator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escalator is stopped after the person gets on the escalator (the state where the person is walking or not). Therefore, the standard usage time is time information which is a reference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user who uses the escalator actually moves while using the escalator.

에스켈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서버(300)의 소정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다. 다음의 표 1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에 대한 테이블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Information on the standard use time of the escalator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database (not shown) of the server 300 in advance. Table 1 below shows table information on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stored in the server.

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Escalator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표준이용시간 [초]Standard usage time [sec] 서울역 에스컬레이터 1 (00001)Seoul Station Escalator 1 (00001) 1515 서울역 에스컬레이터 2 (00002)Seoul Station Escalator 2 (00002) 2020 서울역 에스컬레이터 3 (00003)Seoul Station Escalator 3 (00003) 1717 종각역 에스컬레이터 1 (00004)Jonggak Station Escalator 1 (00004) 1515 종각역 에스컬레이터 2 (00005)Jonggak Station Escalator 2 (00005) 1313 종각역 에스컬레이터 3 (00006)Jonggak Station Escalator 3 (00006) 1818 ........ ........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역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에스컬레이터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표준이용시간에 대한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As shown in Table 1, information on each standard usage time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escalator provided in each station is illustrated.

따라서,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예를 들어, 서울역 에스컬레이터 3에 해당하는 식별정보 [00003])를 수신하면, 수신된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표준이용시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17[초])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그 후, 서버(300)는 산출 또는 수신된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예를 들어, 19[초])과 추출된 표준이용시간(예를 들어, 17[초])를 비교하여, 실제이용시간이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면, 해당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 이용자는 실제로 해당 에스컬레이터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였다고 판단한다. Accordingly, when the server 300 receive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00003] corresponding to the escalator 3 in Seoul st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e server 300 transmit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e.g., 17 seconds)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Thereafter, the server 300 compares the actual usage time (for example, 19 seconds) of the escalator calculated or received with the extracted standard usage time (for example, 17 seconds) The user using the escalator judges that the escalator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escalator is actually stopped on the escalator.

서버(300)는 실제이용시간이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이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혜택을 제공한다.The server 300 provides a benefit to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usage time is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To this end, the server 30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and provides benefit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한편,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계단 식별정보 및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계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이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혜택을 제공한다. 이용자가 계단 이용과 에스컬레이터 이용은 혼용하는 경우에는, 서버(300)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시 혜택과 계단 이용시의 혜택을 누적하여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rver 300 receives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ep use tim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e server 300 provides a benefit to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is end, the server 30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and provides benefit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uses the stairs together with the use of the escalator, the server 300 cumulatively provides benefits when using the escalator and benefits when using the escalator.

혜택 제공 방식으로서, 서버(300)는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의 이용 횟수에 누적하여 제공한다. 또한, 서버(300)는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또는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의 이용 순번의 추첨 등에 따라 상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혜택 제공 조건을 만족하는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의 이용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이용 횟수의 누적에 따른 번호 추첨을 통해, 당첨된 이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순번을 카운팅하여, 이러한 순번 중에서 추첨을 통해 당첨된 이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As a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the server 300 accumulates the points where goods can be exchanged at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and the stairs. In addition, the server 300 may provide a product according to a lottery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and the staircase, or a lottery of the use order of the escalator and the staircas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and the stairs satisfying the condition for providing the benef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the product can be provided to the winning user through a number draw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It is also possible to count the order of users using a particular escalator and the stairs, and to provide the merchandise to the user who has won the lottery among these numbers.

서버(300)는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서버(300)는 혜택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er (300) transmits the benef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benefit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 server 300 may transmit the benefi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FIG. 5 is a flowchart of an exemplary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escalator.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모바일 단말기는 제1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제1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승차 시각을 검출한다(제400 단계).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first electronic tag provid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escalator,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lator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and, at the time when the first electronic tag is detected The escalator time is detected (step 400).

모바일 단말기가 제1 전자태그에 접근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구동하여, 제1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인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은 제1 전자태그로부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시각을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 승차 시각으로서 검출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the first electronic tag, the escalator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automatically driven to read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Further, the escalator application detects the time at which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first electronic tag as the escalator ride time of the user.

제400 단계 후에,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모바일 단말기는 제2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한다(제402 단계). 에스컬레이터에 승차한 후에 정지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구동만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도달한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모바일 단말기는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한다.After step 400,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second electronic tag provided on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time of departur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second electronic tag is sensed step). When the user who has reached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only by driving the escalator while approaching the escalator and then stops,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to the second electronic tag provided on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the mobile terminal uses the escalator application 2 Detects the time of getting off of the user's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tag is detected.

제402 단계 후에, 모바일 단말기는 승차 시각 및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실제이용시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제404 단계). 모바일 단말기의 에스컬레이터 어플리케이션은 하차 시각으로부터 승차 시각의 차를 구함으로써,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한다. 그러면, 모바일 단말기는 산출된 실제이용시간에 대한 정보와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After step 402, the mobile terminal calculates the actual usage time of the user's escalator from the information of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and transmit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the calculated actual usage time to the server ). The escalator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lculates the actual time of use by obtaining the difference of the time of departure from the time of departure. Then,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alculated actual usage time and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제404 단계 후에, 서버는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하여, 실제이용시간이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한다(제406 단계).After step 404, the server compares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ctual usage time, and provides the benefit to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usage time is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operation 406).

서버는 전송된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한다. 전술한 표 1과 같이, 에스켈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서버의 소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예를 들어, 서울역 에스컬레이터 3에 해당하는 식별정보 [00003])를 수신하면, 수신된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표준이용시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17[초])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그 후,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예를 들어, 19[초])과 추출된 표준이용시간(예를 들어, 17[초])를 비교하여, 실제이용시간이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면, 해당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 이용자는 실제로 해당 에스컬레이터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였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서버는 실제이용시간이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해, 서버는 이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혜택을 제공한다.The server compares the actual usage time with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1, the information on the standard use time of the escalator is stored in advance in a predetermined database of the server. 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server receive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00003] corresponding to the escalator 3 in Seoul st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server obtain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e.g., 17 seconds)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Then, the server compares the actual usage time (for example, 19 seconds) of the escalator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extracted standard usage time (for example, 17 seconds) If it is longer than the usage time, the user using the escalator judges that the escalator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escalator is actually stopped. Accordingly, when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actual usage time is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the server provides the benefit to the user. To this end, the server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es a benefi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o.

혜택 제공 방식으로서, 서버는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에스컬레이터 의 이용 횟수에 누적하여 제공한다. 또한, 서버는 에스컬레이터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순번의 추첨 등에 따라 상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혜택 제공 조건을 만족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이용 횟수의 누적에 따른 번호 추첨을 통해, 당첨된 이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순번을 카운팅하여, 이러한 순번 중에서 추첨을 통해 당첨된 이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As a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the server accumulates points that can be exchanged for products in the number of times the escalator is used. In addition, the server may provide a commodity according to a lottery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or a lottery in the order of use of the escalator.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for providing benefit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number, a prize can be provided to the winning user through a number draw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It is also possible to count the order of users who use a particular escalator, and to provide a product to the user who has won the lottery from among these numbers.

제406 단계 후에, 서버는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제408 단계). 서버는 혜택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After operation 406, the server transmits the benef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benefit to the mobile terminal (operation 408). The server sends the benefi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한편, 제400 단계 전에 또는 제408 단계 후에, 다음의 각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용자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모바일 단말기는 제3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계단의 계단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제3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계단에 대한 계단이용시각을 검출한다. 그 후, 모바일 단말기는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계단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계단 식별정보 및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계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버는 이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혜택을 제공한다. 혜택 제공 방식으로서, 서버는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계단의 이용 횟수에 누적하여 제공하거나, 계단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또는 계단의 이용 순번의 추첨 등에 따라 상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 후, 서버는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 서버는 혜택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before the step 400 or after the step 408, each of the following processes may be performe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ird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middle area of the stair,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stai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air stored in the third electronic tag, and when the third electronic tag is detected And detects a stair using time for the corresponding stair. 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step use time information. Thereafter, when the server receives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ep use tim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server provides a benefit to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is end, the server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and provides benefit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s a method of providing a benefit, the server may provide a point where a point where a commodity can be exchanged is cumulatively provided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stairs, or a lottery or a lot of stairs i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stairs. After that, the server sends benefi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benefit. The server sends the benefi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FIG. 6 is a flow chart of still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the use of an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모바일 단말기는 제1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제1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의 승차 시각을 검출한다(제500 단계). 제500 단계는 제40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first electronic tag provid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escalator,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lator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and, at the time when the first electronic tag is detected The escalator time of the corresponding user is detected (operation 500). Since operation 500 is the same as operation 400,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제500 단계 후에, 모바일 단말기는 승차 시각의 정보와 함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제502 단계). 제502 단계는 상기 제404 단계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fter operation 500,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riding time to the server (operation 502). Since operation 502 is similar to operation 404,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제502 단계 후에,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모바일 단말기는 제2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한다(제504 단계). 제504 단계는 상기 제402 단계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fter step 502,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to the second electronic tag provided on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time of departure of the user's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second electronic tag is sensed Step 504). Step 504 is similar to that of step 402,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504 단계 후에, 모바일 단말기는 하차 시각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제506 단계). 제506 단계는 상기 제404 단계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fter operation 504,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getting-off time to the server (operation 506). Step 506 is similar to step 404,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506 단계 후에, 서버는 승차 시각 및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이용자의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하여, 실제이용시간이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한다(제508 단계). 서버는 전송된 하차 시각으로부터 승차 시각의 차를 구함으로써,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한다. 그 후, 서버는 전송된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표준이용시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서버는 산출된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과 추출된 표준이용시간를 비교하여, 실제이용시간이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면, 해당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 이용자는 실제로 해당 에스컬레이터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였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서버는 실제이용시간이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한다. 혜택 제공 방식은 상기 제406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fter step 506, the server calculates the actual usage time of the user's escalator from the information of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compares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ctual usage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age time is longer than the usage time, the benefit for the user is provided (Step 508). The server calculates the actual time of use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departure from the transferred departure time. Then, the server extracts information on the standard usage tim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The server compares the actual usage time of the calculated escalator with the extracted standard usage time. If the actual usage time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the user using the escalator judges that the escalator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user actually uses the escalator. Accordingly, the server provides a benefit to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usage time is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The method of providing benefits is the same as that of step 406,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508 단계 후에, 서버는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제510 단계). 서버는 혜택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After operation 508, the server transmits the benef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benefit to the mobile terminal (operation 510). The server sends the benefi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한편, 제500 단계 전에 또는 제510 단계 후에, 다음의 각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용자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모바일 단말기는 제3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계단의 계단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제3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계단에 대한 계단이용시각을 검출한다. 그 후, 모바일 단말기는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계단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계단 식별정보 및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계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버는 이용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혜택을 제공한다. 혜택 제공 방식으로서, 서버는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계단의 이용 횟수에 누적하여 제공하거나, 계단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또는 계단의 이용 순번의 추첨 등에 따라 상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 후, 서버는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 서버는 혜택 정보를 문자 메시지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before the step 500 or after the step 510, each of the following processes may be performe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ird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middle area of the stair,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stai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air stored in the third electronic tag, and when the third electronic tag is detected And detects a stair using time for the corresponding stair. 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step use time information. Thereafter, when the server receives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ep use tim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server provides a benefit to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is end, the server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and provides benefit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s a method of providing a benefit, the server may provide a point where a point where a commodity can be exchanged is cumulatively provided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stairs, or a lottery or a lot of stairs i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stairs. After that, the server sends benefi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benefit. The server sends the benefi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 발명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method inven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 instructions / programs.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code / instructions /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a magnetic tape,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a CD-ROM, a DVD, .

이러한 본원 발명인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enef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escalator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제1 전자태그
110: 제2 전자태그
120: 제3 전자태그
200: 모바일 단말기
300: 서버
100: first electronic tag
110: second electronic tag
120: Third electronic tag
200: mobile terminal
300: server

Claims (16)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제1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제1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승차 시각을 검출하고, 상기 이용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2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하고, 상기 승차 시각과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전송된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실제이용시간이 상기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first electronic tag provided on the entrance side of the escalator,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lator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is read, and at the time when the first electronic tag is detecte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second electronic tag provided at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second electronic tag A mobile terminal for detecting a departure time of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time of departure and departure, and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alculating an actual usage time of the user's escalator from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comparing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ctual usage time And a server for providing a benefit to the user when the actual usage time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태그 및 상기 제2 전자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QR코드(Quick Response Code) 태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nic tag and the second electronic tag include at least one of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and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tag. Benefit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검출된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상기 엘스컬레이터의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calculates the actual use time of the elskalator from the detected riding time and the getting off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actual use time together with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Benefit System for Using Escala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혜택으로서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순번의 추첨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상기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er
Wherein the merchandise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y one of a method of providing a point where the merchandise can be exchanged as the benefit, a lottery by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and a lottery of the use order of the escalator Benefit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제3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계단의 계단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제3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계단에 대한 계단이용시각을 검출하고, 상기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계단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계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ird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middle area of the stair,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stairw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air stored in the third electronic tag, Detecting a step use tim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tep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tag is detected, transmitting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step use time,
Wherein the server provides a benefit to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er transmits benefit information according to provision of the benefits to the mobile terminal.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승차 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2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실제이용시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실제이용시간이 상기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lator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first electronic tag provid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escalator, 1) detecting the riding time of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tag is sense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second electronic tag provided at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aborts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second electronic tag is sensed is detected ;
Calculating the actual usage time of the user's escalator from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the actual usage time; And
The server compares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ctual usage time, and if the actual usage time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providing the benefit to the user Wherein the escalator is used to provide a benef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태그 및 상기 제2 전자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QR코드(Quick Response Code) 태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electronic tag and the second electronic tag include at least one of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and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tag. How to benefit fro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혜택으로서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순번의 추첨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상기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providing the benefit comprises:
Wherein the merchandise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y one of a method of providing a point where the merchandise can be exchanged as the benefit, a lottery by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and a lottery of the use order of the escalator How to provide benefit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계단의 계단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계단에 대한 계단이용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계단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계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ird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middle area of the stair,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stai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air stored in the third electronic tag, Detecting a step use tim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tep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third electronic tag is sensed;
Transmitt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step use tim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server providing a benefit to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혜택의 제공에 따른 혜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server transmitting the benef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benefits to the mobile terminal.
이용자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전자태그에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승차 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승차 시각의 정보와 함께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2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하차 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하차 시각의 정보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실제이용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표준이용시간과 상기 실제이용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실제이용시간이상기 표준이용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lator stored in the first electronic tag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first electronic tag provid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escalator, 1) detecting the riding time of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tag is sensed;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iding time information to the server;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second electronic tag provided at the exit side of the escalator, the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aborts the escalator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second electronic tag is sensed is detected ;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getting off time to a server; And
The server compares the standard usage time of the escalator corresponding to the escal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ctual usage time by calculating the actual usage time of the user's escalator from the riding time and the getting-off tim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benefit to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age time is longer than the standard usage ti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태그 및 상기 제2 전자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QR코드(Quick Response Code) 태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electronic tag and the second electronic tag include at least one of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and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tag. How to benefit fro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혜택으로서 상품 교환이 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횟수의 누적에 따른 추첨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용 순번의 추첨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상기 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providing the benefit comprises:
Wherein the merchandise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y one of a method of providing a point where the merchandise can be exchanged as the benefit, a lottery by accumula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scalator, and a lottery of the use order of the escalator How to provide benefi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가 계단의 중간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3 전자태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접근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전자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계단의 계단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전자태그를 감지한 시각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계단에 대한 계단이용시각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계단이용시각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계단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계단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ird electronic tag provided in the middle area of the stair, the mobile terminal reads the stai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air stored in the third electronic tag, Detecting a step use tim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tep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third electronic tag is sensed;
Transmitt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step use time; And
And providing said server with benefits for said user corresponding to said step identification information. ≪ RTI ID = 0.0 > 31. < / RTI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가 혜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에 따른 혜택 제공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server transmitting benefi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 RTI ID = 0.0 > 21. < / RTI >
KR1020120151360A 2012-12-21 2012-12-21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using an escalator KR201400870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360A KR20140087073A (en) 2012-12-21 2012-12-21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using an esca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360A KR20140087073A (en) 2012-12-21 2012-12-21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using an esca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073A true KR20140087073A (en) 2014-07-09

Family

ID=5173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360A KR20140087073A (en) 2012-12-21 2012-12-21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using an esca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707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10B1 (en) * 2017-08-04 2018-08-02 주식회사 와이랩스 Method for providing everyday life type health management serivce using beac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10B1 (en) * 2017-08-04 2018-08-02 주식회사 와이랩스 Method for providing everyday life type health management serivce using beac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79478B (en) The storage medium of lift facility, system operation methods and its embodied on computer readable
CN107851349B (en) Sequence of floors to be evacuated in a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US10494223B2 (en)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of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JP6191288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20120037458A1 (en) Location-dependent management of persons
US1075088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objectively confirming customer self-scanning of products in a retail store
CN110203782A (en) Method for blocking and filter false automatic elevator calls
CN107848732A (en) The destination call regis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vator
US9752882B2 (en) Transportation system
JP6464068B2 (en) Point system, point determination method
KR20140087073A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according to using an escalator
KR20150039232A (en) System for accumulating mileage by walking and method thereof
JP6817898B2 (en) Escalator step walking suppression system and escalator step walking suppression method
JP6417292B2 (en) Group management elevator equipment
JP2017201452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visit management server, visit confirmation system, and program
JP2019218160A (en) Scheduling system of elevator
JP2016088390A (en) Information provision equipment,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JP71399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JPWO2020166169A1 (en) Benefit issuing devices, methods, and programs
Elhamshary et al. Activity recognition of railway passengers by fusion of low-power sensors in mobile phones
JP2008276703A (en) Moving object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oving object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WO2019188928A1 (en) Monitor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JP2021165194A (en) Passenger conveyor, user movement monitoring device of passenger conveyor, and user movement monitoring program of passenger conveyor
JP74444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380153B1 (en)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