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045A -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반지속적 스케줄링 수용 - Google Patents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반지속적 스케줄링 수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045A
KR20140087045A KR1020147014563A KR20147014563A KR20140087045A KR 20140087045 A KR20140087045 A KR 20140087045A KR 1020147014563 A KR1020147014563 A KR 1020147014563A KR 20147014563 A KR20147014563 A KR 20147014563A KR 20140087045 A KR20140087045 A KR 20140087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itial transmission
retransmission
transmission signal
network element
sub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612B1 (ko
Inventor
다카시 스즈키
지준 카이
Original Assignee
블랙베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베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베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8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6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되는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른다. 방법은,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며, 제2 재전송 패턴은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반지속적 스케줄링 수용{ACCOMMODAT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RESTRICTED SUBFRAME PATTERNS}
본 발명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반지속적 스케줄링 수용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진보된 네트워크 액세스 기기가 도입되었다. 이 네트워크 액세스 기기는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등 기기의 개선인 시스템 및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보된 네트워크 액세스 기기는 LTE(long-term evolution)와 같이 발전하는 무선 통신 표준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 진보된 네트워크 액세스 기기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노드 B(eN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진보된 네트워크 액세스 기기는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또는 대응하는 무선 통신 표준에 따라 액세스 노드로서 동작 가능한 유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컴포넌트는 여기에서 eNB로서 지칭될 것이지만, 이러한 컴포넌트가 반드시 eNB인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는 또한 여기에서 액세스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다.
LTE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즈 8(Rel-8 또는 R8), 릴리즈 9(Rel-9 또는 R9), 및 릴리즈 10(Rel-10 또는 R10), 그리고 가능하면 릴리즈 10 이상의 릴리즈에도 대응한다고 할 수 있으며, LTE-A(LTE-Advanced)는 릴리즈 10 그리고 가능하면 릴리즈 10 이상의 릴리즈에도 대응한다고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LTE-A 시스템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지만, 개념은 다른 무선 시스템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여기에서 사용될 때, 용어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대안으로서 "UE")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액세스 노드와 통신하는 기기를 지칭한다. UE는 어떤 경우에 이동 전화, PDA, 핸드헬드 또는 랩톱 컴퓨터, 및 통신 능력을 갖는 유사 디바이스와 같은 이동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UE는 디바이스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 또는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와 같은 UE의 연관된 분리가능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러한 UE는 이러한 모듈 없이 그 디바이스 자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용어 "UE"는 데스크톱 컴퓨터, 셋톱 박스, 또는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와 같이 유사한 능력을 갖지만 수송 가능한 것은 아닌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용어 "UE"는 또한 사용자에 대한 통신 세션을 종료시킬 수 있는 임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용어 "사용자 기기", "UE",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UA", "사용자 디바이스" 및 "이동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같은 뜻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되는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른다. 방법은,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며, 제2 재전송 패턴은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다음의 간략한 설명, 및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며,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폐쇄 가입자 그룹 HetNet 배치의 도면이다.
도 2는 피코 HetNet 배치의 도면이다.
도 3은 ABS(almost blank subframe)의 예의 도면이다.
도 4는 시스템 정보의 변경의 통지의 도면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기회, nB 파라미터, 및 제한된 서브프레임의 도면이다.
도 6은 서브프레임 패턴 및 VoLTE SPS 전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1/8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된 SPS 재전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1/8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된 2 SPS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1/10 서브프레임 패턴 및 VoLTE 트래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VoLTE 특유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요소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12는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의 시스템 및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사용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여러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서 및 관련 컴포넌트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노드에서의 전송 기기는 셀이라 불리는 지리적 영역 전반에 걸쳐 신호를 전송한다. eNB와 같은, 한 유형의 액세스 노드가 매크로 셀과 연관될 수 있다. 저전력 노드(예를 들어, 펨토 셀, 릴레이, 또는 피코 셀)와 같은, 다른 유형의 액세스 노드가 저전력 셀과 연관될 수 있다.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HetNet)는 매크로 셀 및 저전력 셀을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어, HetNet는 높은 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는 매크로 셀들의 시스템 및 감소된 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는 피코 셀과 릴레이 노드와 같은 저전력 셀들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저전력 셀은 아마도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하며 매크로 셀의 상부에 중첩될 수 있다. 저전력 셀은, 매크로 셀을 오프로딩(offload)하고, 커버리지를 개선하고,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성능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3GPP는 LTE-A(릴리즈 10)에서 성능 향상 가능자로서 HetNet 배치를 연구하였다. HetNet 배치에서, ICIC(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는 매크로 셀 및 저전력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막을 수 있다. 시간 도메인 기반의 자원 공유 또는 조정이 eICIC(enhanced ICIC)로서 채택되어 왔다. 3GPP TS 36.300에 기재된 바와 같이, eICIC가 이용되는 배치 시나리오는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펨토 셀로도 지칭됨) 시나리오 및 피코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CSG 시나리오에서, 비멤버(non-member) 사용자가 CSG 셀에 가까이 있을 때 우세(dominant) 간섭 조건이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비멤버 CSG 셀로부터의 다운링크 전송에 의해 심하게 간섭될 수 있다. 매크로 셀의 PDCCH에 대한 간섭은 UE와 매크로 셀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둘 다에 대해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셀 측정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에 사용될 수 있는, 매크로 셀 및 이웃 셀 둘 다로부터의 기타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기준 신호도 또한, 비멤버 CSG 셀로부터의 다운링크 전송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배치 및 전략에 따라, 셀간 간섭으로부터의 문제를 겪는 사용자를 다른 E-UTRA(Evolved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반송파 또는 또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로 돌리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 도메인 ICIC는 이러한 비멤버 UE가 동일 주파수 층 상에서 매크로 셀에 의해 서빙되는 것이 유지될 수 있게 해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응하는 매크로 셀의 서브프레임을 간섭으로부터 보호하도록 CSG 셀이 ABS(Almost Blank Subframe)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간섭이 완화될 수 있다. ABS는 일부 물리적 채널 상에서 감소된 활동(아마도 어떠한 전송도 포함하지 않음) 및/또는 감소된 전송 전력을 갖는 서브프레임이다. 비멤버 UE는 서빙 매크로 셀에 대한 무선 자원 관리(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radio link monitoring) 및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측정에 대하여 보호된 자원을 이용하도록 시그널링될 수 있으며, UE가 CSG 셀로부터의 강한 간섭 하에 매크로 셀에 의해 계속 서빙될 수 있게 해준다.
CSG 시나리오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CSG의 멤버가 아닌 UE(110)가 CSG 셀(1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으므로, CSG 셀(120)로부터의 신호는 매크로 셀(130)로부터 UE(110)로 보내진 신호와 간섭할 수 있다.
피코 시나리오에서, 예를 들어 매크로 셀로부터 피코 셀로 트래픽 오프로딩을 위해, 서빙 피코 셀의 에지에서 서빙되는 피코 사용자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 ICIC가 이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PDCCH는 매크로 셀로부터의 다운링크 전송에 의해 심하게 간섭받을 수 있다. 또한, 셀 측정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에 사용될 수 있는, 피코 셀 및 이웃 피코 셀 둘 다로부터의 기타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기준 신호도 또한, 매크로 셀로부터의 다운링크 전송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시간 도메인 ICIC는 이러한 UE가 동일 주파수 층 상에서 피코 셀에 의해 서빙되는 것이 유지될 수 있게 해주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대응하는 피코 셀의 서브프레임을 간섭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매크로 셀이 ABS를 이용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피코 셀에 의해 서빙되는 UE는 서빙 피코 셀에 대한 RRM, RLM, 및 CSI 측정에 대하여 보호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피코 시나리오의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피코 셀(220)의 커버리지 영역의 에지에 있는 UE(210)는, 매크로 셀(230)로부터의 신호가 피코 셀(220)로부터 UE(110)로 보내진 신호와 간섭할 수 있을 정도로, 매크로 셀(230)에 충분히 가까이 있을 수 있다.
시간 도메인 ICIC에 대하여, 상이한 셀들에 걸친 서브프레임 이용은 ABS의 패턴의 백홀 시그널링 또는 구성을 통해 시간상 조정될 수 있다. 공격자(aggressor) 셀에서의 ABS는 강한 셀간 간섭을 받는 피해자(victim) 셀에서의 서브프레임의 자원을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ABS 패턴은 공격자 셀이 ABS를 전송하는 동안인 서브프레임("제한된" 서브프레임 또는 "보호되는" 서브프레임이라 지칭됨)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제한된 서브프레임은 공격자 셀로부터의 간섭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어야 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피해자 셀로부터의 전송을 측정할 기회를 제공한다.
서빙 eNB는 제한된 서브프레임 동안 필요한 제어 채널 및 물리적 신호 뿐만 아니라 시스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UE를 향한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보장할 수 있다. UE로 하여금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한 측정을 제한하게 하도록, ABS에 기초한 패턴이 UE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들 제한은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일 수 있다. 측정된 셀의 유형(서빙 또는 이웃 셀) 및 측정 유형(예를 들어, RRM 또는 RLM)에 따라 상이한 패턴들이 존재한다.
피코 시나리오에 대한 ABS 패턴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매크로 eNB(310)(공격자)는 피코 eNB(320)(피해자)에 ABS 패턴을 구성하여 전달한다. 피코 셀의 에지에서 피코 eNB(320)에 의해 서빙되는 UE를 보호하도록, 매크로 eNB(310)는 ABS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지 않는다. 피코 eNB(320)는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다양한 UE에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도록 ABS 패턴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코 eNB(320)는, 제1 UE가 셀 중심에 있을 때와 같이, ABS 패턴에 관계없이 제1 UE에 그리고 제1 UE로부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피코 eNB(320)는, 제2 UE가 셀 에지 근방에 있을 때와 같이, ABS 패턴에 의해 표시된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만 제2 UE에 그리고 제2 UE로부터의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매크로 층 서브프레임(340)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일어나는 피코 층 서브프레임(330)은 이들 매크로 층 서브프레임(340)에 맞춰 정렬된다고 할 수 있다. 매크로 eNB(310)가 활성인 서브프레임(340)에서, 피코 eNB(320)는 서브프레임(330)에서 과도한 범위 확장 없이 이들 UE만 스케줄링한다. ABS eNB 서브프레임(360)에 맞춰 정렬되는 피코 층 서브프레임(350) 동안에는, 피코 eNB(320)는 또한 큰 범위 확장 오프셋을 갖는 UE를 스케줄링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 UE가 매크로 층(310)으로부터의 너무 많은 간섭으로 인해 스케줄링될 수 없었을 것이다.
피코 셀 eNB는 매크로 셀 eNB로부터 수신된 ABS 패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3가지 상이한 측정 자원 제한으로 셀의 에지에 있는 UE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제한은 일차 셀, 즉 PCell(이 경우에는 서빙 피코 셀)에 대한 RRM 측정 및 RLM에 대한 것이다. 구성된다면, UE는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만 PCell의 RLM을 측정 및 수행한다. 제2 제한은 일차 주파수 상의 이웃 셀의 RRM 측정에 대한 것이다. 구성된다면, UE는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만 이웃 셀을 측정한다. 제한은 또한 선택적으로 타겟 이웃 셀을 포함한다. 제3 제한은 PCell의 채널 상태 추정에 대한 것이다. 구성된다면, UE는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만 CSI 및 CQI/PMI/RI를 추정한다.
3GPP TS 36.331의 버전 10.3.0에서 RRC 프로토콜에서의 측정 제한에 대한 서브프레임 패턴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문단의 끝에 Text Box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의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에서, 패턴은 40 서브프레임의 반복이고, TDD에서 패턴은 구성에 따라 20, 60 및 70 서브프레임의 반복이다.
RRC 사양(3GPP TS 36.331)의 버전 10.3.0의 섹션 5.2.1.3 내지 5.2.1.5는, 시스템 정보의 변경 및/또는 ETWS(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메시지 또는 CMAS(Commercial Mobile Alert Service) 메시지의 도달을 UE에 통지하는데 어떻게 페이징이 사용되는지를 설명한다. 3GPP TS 36.331의 이들 섹션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문단의 끝에 Text Box 2로서 재현된다. 시스템 정보의 변경이 발생할 경우, UE는 수정 주기(modification period) 동안 적어도 modificationPeriodCoeff 회 판독하기를 시도하고, ETWS 및 CMS 통지에 대해서는, UE는 매 defaultPagingCycle마다 적어도 한 번 판독하기를 시도한다.
페이징 프레임 및 페이징 기회(paging occasion)는 3GPP TS 36.304의 버전 10.3.0의 섹션 7.1 및 7.2에 정의되어 있다. 이들 섹션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문단의 끝에 Text Box 3으로서 재현된다. 페이징 프레임 및 페이징 기회는 UE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에 의존한다. 유휴 모드에서, UE는 페이징 프레임에서 특정 페이징 기회를 모니터한다. UE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페이징 기회는 UE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해야 하는 자원 블록 할당을 포함할 것이다. 유휴 모드에서, UE는 디폴트 페이징 사이클마다(또는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마다)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기회를 체크하여야 한다.
접속 모드에서, UE는 또한 시스템 정보 변경에 대하여 또는 ETWS/CMAS 통지에 대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들 통지는 모든 UE에 대하여 공통이므로, UE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판독할 수 있다. 페이징 프레임의 밀도는 파라미터 nB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네트워크가 비지(busy)할수록, 더 많은 페이징이 발생하여야 하고 nB의 값이 더 높아질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B가 T/4로 설정되는 경우, 매 4번째 무선 프레임(510)이 페이징 기회(520)를 포함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B가 4T로 설정되는 경우, 모든 무선 프레임(510)은 4개의 페이징 기회(520)를 포함한다. 도 5c는 제한된 서브프레임(530)에 맞춰 정렬되는 페이징 기회(520a) 및 제한된 서브프레임에 맞춰 정렬되지 않은 페이징 기회(520b)를 도시한다.
페이징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3GPP TS 36.331의 버전 10.3.0에 명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문단의 끝에 Text Box 4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RRC 프로토콜에 의해 시그널링된다. PCCH Config는 디폴트 페이징 사이클 및 nB를 포함한다. BCCH Config는 수정 주기 계수를 포함한다.
접속 모드의 DRX 동작은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사양, 3GPP TS 36.321의 버전 10.3.0의 섹션 5.7에 정의되어 있다 이 섹션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문단의 끝에 Text Box 5로서 재현된다. UE는 온-지속기간(on-duration) 주기를 포함한 활성 시간에 PDCCH를 모니터한다. 온-지속기간 주기의 시작은 DRX 시작 오프셋 및 DRX 사이클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DRX 시작 오프셋의 목적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처리될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이다. UE는, 3GPP TS 36.321의 섹션 5.5에 기재된 페이징 채널 수신과 같은 기타 요건에 따라, PDCCH를 모니터해야 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의 예에서 측정 자원 제한에 대한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은, 8개의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의 제한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1/8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으로도 지칭됨). 1/8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은 통상의 서브프레임 패턴이고,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와 연관된 최소한의 왕복(round trip) 시간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은, 8 비트 서브프레임 패턴이 5번 반복되는, 40 비트 스트링(FD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8개의 서브프레임의 제1 서브프레임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으로서 구성되는 경우,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은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 10000000"일 수 있다. 이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은 또한, 위치 0에 있는 서브프레임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이므로, RSFP 0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semi-persistent scheduling)과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 간의 정렬에 관한 것이다. VoLTE(Voice over LTE)는 SPS 자원에 의존할 수 있는 서비스의 예이다. 도 6은 SPS 자원 및 1/8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도시한다. 어둡게 음영처리된 사각형은 초기 전송을 나타내고(예를 들어, 위치 0, 20, 40에서의 서브프레임), 밝게 음영처리된 사각형은 가능한 재전송을 나타내고(예를 들어, 위치 8, 16, 28, 36에서의 서브프레임), 중간 밝기로 음영처리된 사각형은 1/8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 보호되는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위치 0, 8, 16, 24, 32, 40에 있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초기 전송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 초기 전송(서브프레임 위치 0) 다음에 대응하는 재전송(서브프레임 위치 8, 16)이 뒤따를 수 있다. 제2 데이터 전송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 서브프레임(20)에서의 제2 데이터 전송 다음에 대응하는 재전송(서브프레임 위치 28, 36)이 뒤따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 패턴은 초기 전송(서브프레임 위치 0)에 맞춰 정렬된 보호되는 서브프레임 및 대응하는 재전송 기회(서브프레임 위치 8, 16)를 제공한다. 그러나, 1/8 패턴은 제2 데이터 전송(서브프레임 위치 20)에 대응하는 보호되는 서브프레임을 제공하지도 않고 대응하는 재전송(서브프레임 위치 28, 36)도 제공하지 않는다. 구성된 전송에 대하여 다운링크 SPS를 사용할 때 요구되는 PDCCH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HARQ 정보의 재전송 및 변경(예를 들어, 변조 및 코딩)은 PDCCH 전송을 요구할 수 있으며, PDCCH 전송은 보호되어야 한다. 적절한 보호 없이는, 음성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1/8 서브프레임 패턴은 모든 구성된 SPS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보호를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VoLTE 트래픽에 정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잠재적인 오정렬을 고려하여, 본 개시는 SPS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 간의 관계에 대처한다. 1/8 서브프레임 패턴을 사용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먼저 기재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서브프레임 패턴을 사용한 실시예가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에게 명백하여야 한다.
구성된 SPS 전송을 사용할 때 PDCCH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의 구성된 SPS 전송이 타당한 간섭을 가지고 자원 블록에 eNB 스케줄러에 의해 배치되는 경우, 초기 전송의 일부는 서브프레임 패턴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채 남을 수 있다. PDCCH를 요구하는 재전송을 보호하기 위해, eNB는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재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어두운 음영으로 하이라이트된 서브프레임(20)에서의 초기 전송이 보호되지 않는다.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 eNB는 보호되는 서브프레임(32)에서 재전송한다. eNB가 HARQ 정보를 재구성해야 할 때(예를 들어, 변조 및 코딩), eNB는 서브프레임 패턴에 의해 보호되는 서브프레임에서 SPS를 활성화 또는 재활성화할 수 있다. SPS가 해제될(released) 때, 마찬가지의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서, eNB는,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할 것이므로, SPS를 활성화, 재활성화, 또는 해제하기 위해 서브프레임 0, 40 및 80(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하도록 재전송 서브프레임을 수정하기를 시작하면, 그 결과 제1 및 제2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e unit)에 대해 상이한 횟수의 재전송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음성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제1 PDU, 제3 PDU, ...(제1 PDU 세트)에 대하여, 3 재전송 기회가 이용 가능하며, 제2 PDU, 제4 PDU, ...(제2 PDU 세트)에 대하여, 재전송에 대한 한 번의 기회만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eNB는 둘 다의 PDU 세트에 대하여 보수(conservative) 변조 및 코딩을 적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2 PDU 세트에만 더 로버스트(robust)한 변조 및 코딩이 적용될 수 있다(이들 PDU는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된 재전송에 대하여 더 적은 기회를 가질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SPS 전송을 1/8 서브프레임 패턴에 보다 잘 정렬하기 위해 20 ms 대신에 40 ms SPS 간격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무선 인터페이스 지연 버짓(budget)에서 20ms만큼 레이턴시(latency)를 증가시킨다. 미래에 더 진보된 코딩 및 디코딩의 적응은 현재 이용가능한 코딩 및 디코딩, 예를 들어 적응형 멀티레이트(AMR; adaptive multi-rate)보다 더 긴 프로세싱 시간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인터페이스 지연 버짓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40ms SPS 간격의 2 세트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SPS 간격 간의 오프셋은 24 서브프레임이다. 이 예에서, 1/8 서브프레임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서브프레임 24, 40, 64 및 80에서 아웃라인 박스에 강조된 바와 같이, 매 다른 초기 전송 사이에 4 서브프레임 레이턴시가 존재한다. 또한, 제2 재전송(예를 들어, 서브프레임(40)에서 SPS 2)과 다음 새로운 전송(예를 들어, 서브프레임(40)에서 SPS 1) 간의 가능한 충돌이 존재한다. 제2 재전송과의 가능한 충돌을 피하기 위해, 재전송 횟수는 1로 제한될 수 있다.
도 9는 VoLTE 트래픽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1/10 서브프레임 패턴에 기초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모든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은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한다. 그러나, 제2 재전송(서브프레임(20)에서 SPS retx)이 다음 새로운 전송(서브프레임(20)에서 SPS initial)과 충돌한다. 현행 MAC 사양(3GPP TS 36.321)에 따르면, 충돌의 경우, 재전송은 처리되지만, 구성된 새로운 전송은 처리되지 않는다. UE는 충돌의 경우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SPS 재전송 및 새로운 전송을 둘 다 처리할 수 있다. 카테고리 6 UE 또는 그 이상의 카테고리 UE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적어도 4개의 전송 블록을 처리할 수 있기에 복수의 전송 블록의 이러한 병렬 처리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재전송 및 새로운 전송 둘 다를 가능하게 하도록 예시적인 서브프레임(20)에서 병렬 수신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재전송 횟수는 1로 제한될 수 있다. 이 제한은 보호되는 서브프레임 동안의 간섭이 낮고 한 번의 재전송이 성공적인 디코딩에 충분한 시나리오에서 수락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LTE 특유의 서브프레임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브프레임 패턴은 SPS 구성된 전송에 정렬하도록 이루어진다. FDD의 경우에, 서브프레임 패턴은 여전히 40 비트 서브프레임 패턴일 수 있지만, 8 비트 반복 스트링에 기초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40 비트 서브프레임 패턴은 제한된 서브프레임이 잠재적인 전송 및 재전송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예는 "10000000 10000000 10001000 00001000 00001000"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사용한다.
다운링크 SPS에서, PDCCH는 SPS 재전송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된다. HetNet 환경에서, 재전송에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패턴으로 인해 제한되며, 그 결과 VoLTE 트래픽이 특정 서브프레임에 집중될 수 있다. HetNet 환경에서 VoLTE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PDCCH가 재전송에 사용되지 않을 때, 다운링크 HARQ 방식이 비동기 적응형(asynchronous adaptive)에서 동기 비적응형(synchronous non-adaptive)으로 변경될 수 있다. 주파수 의존 페이딩에 대처하기 위하여, 재전송에 대한 주파수 호핑 및 리던던시 버전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시나리오에서, 다운링크 재전송에서 PDCCH가 없으므로, 변조 및 코딩 방식 그리고 자원 블록 할당은 초기 전송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일부 HARQ 프로세스는 어느 HARQ 프로세스가 이 재전송에 사용되는지 UE가 알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 목적을 위해 예약될 수 있다(업링크 경우와 마찬가지로). 리던던시 버전(RV; redundancy version) 인덱스는 재전송 또는 서브프레임의 인덱스에 의존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UE는 수신된 전송 블록을 디코딩하도록 대응하는 RV를 어떻게 유도할지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여, 부가의 실시예가 기재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이 초기 전송 또는 재전송에 대한 서브프레임에 맞춰 정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UE는 상이한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제2 PDU 세트에 제2(더 로버스트함) 변조 및 코딩을 적용할 수 있다. UE가 그리 해야 함을 표시하도록, RRC 시그널링(3GPP TS 36.331)에서의 SPS Configuration은 아래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제2 HARQ 정보의 활성화가 제2 활성화로서 PDCCH를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제2 활성화는 3GPP TS 36.213의 섹션 9.2에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 기재되는 개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그 섹션에 대해 행해질 수 있는 수정의 예가 아래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UE MAC 제2 활성화 거동은 아래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대안으로서, 40 ms SPS 간격 솔루션이 아래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PS 구성 ASN.1 정의에서 구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이제, 재확립(reestablishment)시에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를 처리하는 것에 대한 쟁점에 관하여 추가적인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RRC 접속 재확립의 초기화시, UE는 PCell(measSubframePatternPCell) 및 CSI 추정(csi-SubframePatternConfig)에 대한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해제하지만, UE는 유지한다(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 재확립을 처리하는 타겟 eNB는 UE에 적용가능하다면 RRCConnectionReestablishment 메시지에 의해 measSubframePatternPCellSubframePatternConfig를 구성할 수 있다. 재확립 후에, eNB는 또한 재구성이 요구되는 경우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의해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를 재구성할 수 있다. 반면에, 핸드오버의 경우, 타겟 eNB는 하나의 재구성 메시지(핸드오버 커맨드)에 의해 모든 3개의 서브프레임 패턴을 재구성할 수 있다.
재확립에서의 병렬 메시지 전송의 아이디어는 이전에 설명되었고, Rel-8/9 UE는 재확립 동안 병렬 메시지 수신을 지원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 동의되었다. Rel-10 거동은 명시되지 않았다. Rel-10에서 병렬 전송이 지원된다면,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는 RRCConnectionReestablishment 메시지와 동시에 보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재구성이 요구되고 eNB가 동시에 재확립 및 재구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가 재구성되기 전에 재확립 메시지의 프로세싱 지연이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의 재구성이 더 지연될 수 있다. Rel-10 거동의 미래 사양에 관계없이,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의 늦은 재구성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네트워크는 2개의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UE가 주파수 층 f1에 대하여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로 구성되었고 그 다음 주파수 f2로 핸드오버되어 무선 링크 장애를 경험한다고 가정하자. 재확립시에, UE는 f1 상의 셀을 선택하고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를 적용하도록 재시작한다. 현행 절차는 후속 측정 재구성 전에 재확립시 유지된 측정 자원 제한이 적용되게 할 수 있다. 유지된 측정 제한은 UE 모빌리티로 인해 부적절할 수 있다.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는 실제 서브프레임 패턴(measSubframePatternNeigh) 및 서브프레임 패턴이 적용되는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의 리스트(measSubframeCellList)를 포함한다. 따라서,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가 원래 타겟 셀과 동일한, 의도하지 않은 타겟 셀로 부적적할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PCI 혼동).
타겟 eNB가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를 재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식별하는 경우, 타겟 eNB는 측정 재구성을 수행할 것이다. 그러나, 불량한 무선 조건 또는 타겟 eNB의 높은 로딩으로 인해, 측정 재구성이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UE의 층 3 필터가 이벤트 평가에 대한 적절한 층 3 측정을 안정화하고 생성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최악의 경우 시나리오에, 잘못된 이벤트가 트리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잘못된 핸드오버의 우려를 없애거나 HetNet 배치 시나리오에서 모빌리티 처리를 개선하기 위하여, UE는, UE가 타겟 일차 주파수에 대하여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로 구성되었다면, 재확립시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를 해제한다. 재확립 후에, 동일한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가 타겟 셀에 적용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measSubframeCellList가 타겟 셀에서 상이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는 드물 수 있다.
상기 기재된 개념은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순화된 네트워크 요소가 도 11에 관련하여 나타나 있다. 도 11에서, 네트워크 요소(3110)는 프로세서(3120) 및 통신 서브시스템(3130)을 포함하며, 프로세서(3120)와 통신 서브시스템(3130)은 협력하여 상기 기재된 방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는 UE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디바이스가 도 12에 관련하여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UE(3200)는 통상적으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갖는 양방향 무선 통신 디바이스이다. UE(320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제공되는 정확한 기능에 따라, UE는 예로서 데이터 메시징 디바이스, 양방향 페이저, 무선 이메일 디바이스, 데이터 메시징 능력을 갖는 셀룰러 전화, 무선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무선 디바이스, 이동 디바이스, 또는 데이터 통신 디바이스라 지칭될 수 있다.
UE(3200)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UE(3200)는 수신기(3212) 및 송신기(3214)를 포함하는 통신 서브시스템(3211)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안테나 요소(3216 및 3218), 국부 발진기(LO)(3213),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3220)와 같은 프로세싱 모듈과 같은 관련 컴포넌트를 통합할 수 있다. 통신 분야에서의 숙련자에게 명백하듯이, 통신 서브시스템(3211)의 특정 설계는 디바이스가 동작하고자 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네트워크 액세스 요건은 또한 네트워크(3219)의 유형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일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액세스는 UE(3200)의 가입자 또는 사용자와 연관된다. UE는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기 위해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또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필요로 할 수 있다. SIM/RUIM 인터페이스(3244)는 보통 SIM/RUIM 카드가 삽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카드 슬롯과 유사하다. SIM/RUIM 카드는 메모리를 가지며, 많은 핵심 구성(3251), 식별정보 및 가입자 관련 정보와 같은 기타 정보(3253)를 보유할 수 있다.
요구되는 네트워크 등록 또는 활성화 절차가 완료되었을 때, UE(3200)는 네트워크(3219)를 통해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3219)는 UE와 통신하는 복수의 기지국들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3216)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3219)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수신기(3212)에 입력되며, 수신기(3212)는 신호 증폭, 주파수 하향 변환, 필터링, 채널 선택 등과 같은 일반적인 수신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A/D 변환은 DSP(3220)에서 수행될 복조 및 디코딩과 같은 보다 복잡한 통신 기능을 가능하게 해준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전송될 신호는 DSP(3220)에 의해 예를 들어 변조 및 인코딩을 포함하여 처리되고, 디지털 대 아날로그(D/A) 변환, 주파수 상향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안테나(3218)를 경유하여 통신 네트워크(3219)를 통한 전송을 위해 송신기(3214)로 입력된다. DSP(3220)는 통신 신호를 처리할 뿐만 아니라, 수신기 및 송신기 제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3212) 및 송신기(3214)에서 통신 신호에 적용된 이득은 DSP(3220)에서 구현되는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UE(3200)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238)를 포함한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은 통신 서브시스템(3211)을 통해 수행된다. 프로세서(3238)는 또한, 디스플레이(3222), 플래시 메모리(322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3226), 보조 입력/출력(I/O) 서브시스템(3228), 시리얼 포트(3230), 하나 이상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3232), 스피커(3234), 마이크로폰(3236),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과 같은 기타 통신 서브시스템(3240) 및 전반적으로 3242로 지정된 임의의 기타 디바이스 서브시스템과 같은 부가의 디바이스 서브시스템과 상호작용한다. 시리얼 포트(3230)는 USB 포트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서브시스템 중의 일부는 통신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에, 기타 서브시스템은 "상주형" 또는 온디바이스(on-devic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키보드(3232) 및 디스플레이(3222)와 같은 일부 서브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텍스트 메시지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통신 관련 기능 그리고 계산기 또는 작업 리스트와 같은 디바이스 상주형 기능 둘 다에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3238)에 의해 사용되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플래시 메모리(3224)와 같은 영구적인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대신에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유사한 저장 요소(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운영 체제, 특정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들의 일부가 RAM(3226)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임시로 로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수신된 통신 신호는 또한 RAM(3226)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3224)는 컴퓨터 프로그램(3258) 및 프로그램 데이터 저장장치(3250, 3252, 3254, 3256) 둘 다에 대한 상이한 영역들로 분리될 수 있다. 이들 상이한 저장 유형은 각각의 프로그램이 각자의 데이터 저장 요건에 대하여 플래시 메모리(3224)의 일부를 할당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프로세서(3238)는 그의 운영 체제 기능에 더하여 UE 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데이터 및 음성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기본 동작을 제어하는 미리 결정된 애플리케이션 세트가 보통 제조 동안 UE(3200) 상에 설치될 것이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나중에 또는 동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유형(tangible)이거나 또는 광(예를 들어, CD, DVD 등), 자기(예를 들어, 테이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기타 메모리와 같은 일시적(transitory)/비일시적 매체일 수 있다.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달력 이벤트, 음성 메일, 약속 및 작업 항목(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과 같은 UE의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 항목들을 조직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개인 정보 관리자(PIM;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물론, PIM 데이터 항목의 저장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메모리 저장공간이 UE 상에 이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PIM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네트워크(3219)를 통해 데이터 항목을 보내고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부가의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네트워크(3219), 보조 I/O 서브시스템(3228), 시리얼 포트(3230),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3240) 또는 임의의 기타 적합한 서브시스템(3242)을 통해 UE(3200)로 로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3238)에 의한 실행을 위해 RAM(3226) 또는 비휘발성 저장소(도시되지 않음)에 사용자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설치에 있어서의 이러한 융통성은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증가시키고, 강화된 온디바이스 기능, 통신 관련 기능, 또는 둘 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전자 상거래 기능 및 기타 이러한 금융 거래가 UE(320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텍스트 메시지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된 신호는 통신 서브시스템(3211)에 의해 처리되고 프로세서(3238)에 입력될 것이며, 프로세서(3238)는 디스플레이(3222) 또는 대안으로서 보조 I/O 디바이스(3228)에의 출력을 위해 수신된 신호를 더 처리할 수 있다.
UE(3200)의 사용자는 또한, 디스플레이(3222) 및 가능하면 보조 I/O 디바이스(3228)와 함께, 예를 들어 무엇보다도 완전 영숫자 키보드 또는 전화번호형 키패드일 수 있는 키보드(3232)를 사용하여 이메일 메시지와 같은 데이터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러한 구성된 항목은 통신 서브시스템(3211)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음성 통신의 경우, UE(3200)의 전반적인 동작은, 수신된 신호가 통상적으로 스피커(3234)로 출력될 것이고 전송을 위한 신호가 마이크로폰(3236)에 의해 발생될 것임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음성 메시지 녹음 서브시스템과 같은 대안의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시스템이 또한 UE(32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 출력이 주로 스피커(3234)를 통해 일반적으로 달성되지만, 디스플레이(3222)도 또한 예를 들어 발신측의 신원, 음성 통화의 지속시간, 또는 기타 음성 통화 관련 정보의 표시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서의 시리얼 포트(3230)는 보통 PDA형 UE에서 구현될 것이며, 사용자의 데스크톱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와의 동기화가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는 선택적인 디바이스 컴포넌트이다. 이러한 포트(3230)는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호도를 설정할 수 있게 할 것이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정보 또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UE(3200)에 제공함으로써 UE(3200)의 능력을 확장할 것이다. 대안의 다운로드 경로는 예를 들어 직접적이고 따라서 신뢰성있고 신뢰할 수 있는 접속을 통해 디바이스에 암호화 키를 로딩하는데 사용됨으로써 보안 디바이스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알 수 있듯이, 시리얼 포트(3230)는 모뎀으로서 동작하도록 UE를 컴퓨터에 접속하는데 더 사용될 수 있다.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과 같은 기타 통신 서브시스템(3240)은 UE(3200)와, 반드시 유사한 디바이스일 필요는 없는 다른 시스템이나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부가의 선택적인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서브시스템(3240)은 유사 가능형 시스템 및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제공하도록 적외선 디바이스 및 관련 회로와 컴포넌트 또는 블루투스(BluetoothTM)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시스템(3240)은 WiFi 또는 WiMAX와 같은 비셀룰러 통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E 및 상기 기재된 기타 컴포넌트들은 상기 기재된 동작들과 관련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싱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여기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싱 컴포넌트(3310)를 포함하는 시스템(3300)의 예를 예시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3310)는 도 11의 프로세서(3120) 및/또는 도 12의 프로세서(3238)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프로세서(3310)(중앙 프로세서 유닛 또는 CPU라 지칭될 수 있음) 이외에도, 시스템(3300)은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3320),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3330), 판독 전용 메모리(ROM)(3340), 이차 저장장치(3350) 및 입력/출력(I/O) 디바이스(3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는 버스(337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이들 컴포넌트들 중의 일부는 서로 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와 함께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단일 물리적 엔티티에 또는 하나보다 많은 수의 물리적 엔티티에 위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310)에 의해 취해진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된 임의의 동작들은 프로세서(3310) 단독으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3380)와 같이 도면에 도시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와 함께 프로세서(3310)에 의해 취해질 수 있다. DSP(3380)가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DSP(3380)는 프로세서(3310)로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310)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3320), RAM(3330), ROM(3340), 또는 이차 저장장치(3350)(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다양한 디스크 기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음)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명령어,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하나의 CPU(3310)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을 수 있지만, 명령어는 동시에, 연속으로, 또는 아니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3310)는 하나 이상의 CPU 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3320)는 모뎀, 모뎀 뱅크, 이더넷 디바이스, USB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시리얼 인터페이스, 토큰 링 디바이스,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디바이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디바이스, CDMA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트랜시버 디바이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무선 트랜시버 디바이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무선 트랜시버 디바이스,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트랜시버 디바이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다른 잘 알려진 디바이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3320)는 프로세서(3310)가 인터넷이나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와 또는 프로세서(3310)가 정보를 받을 수 있거나 프로세서(3310)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3320)는 또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컴포넌트(3325)를 포함할 수 있다.
RAM(3330)는, 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어쩌면 프로세서(331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ROM(3340)는 통상적으로 이차 저장장치(3350)의 메모리 용량보다 더 작은 메모리 용량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ROM(3340)는, 명령어 및 어쩌면 명령어의 실행 동안 판독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RAM(3330) 및 ROM(3340) 둘 다에의 액세스는 이차 저장장치(3350)보다 통상적으로 더 빠르다. 이차 저장장치(3350)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테이프 드라이브로 구성되며, RAM(3330)이 모든 작업 데이터를 보유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 오버플로우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로서 또는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에 사용될 수 있다. 이차 저장장치(3350)는, 프로그램이 실행에 선택될 때, RAM(3330)으로 로딩되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O 디바이스(336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키패드, 스위치, 다이얼, 마우스, 트랙볼, 음성 인식기, 카드 리더, 페이퍼 테이프 리더, 프린터, 비디오 모니터, 또는 다른 잘 알려진 입력/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3325)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3320)의 컴포넌트인 것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I/O 디바이스(3360)의 컴포넌트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되는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른다.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며,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요소는,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가, 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되는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른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며,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초기 전송 및 제2 초기 전송은 매 40 서브프레임에 발생한다.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8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하며,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8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한다.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 및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요소는,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가,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1 초기 전송 및 제2 초기 전송은 매 40 서브프레임에 발생한다.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8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하며,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8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한다.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 및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초기 전송은 매 20 서브프레임에 발생한다.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초기 전송신호의 10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한다. 상기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에 맞춰 정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요소는,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가,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방식 하에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초기 전송은 매 20 서브프레임에 발생한다.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초기 전송신호의 10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한다. 상기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1/10 패턴으로 발생하는 제한된 서브프레임에 맞춰 정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상기 UE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른다. 방법은, 상기 UE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며,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UE가 제공된다. UE는, UE가 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른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UE가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고,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버레이(overlay)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무선 이종 네트워크에서 언더레이(underlay)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상기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 요소의 전송 전력이 감소될 서브프레임을 표시하는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상기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값을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상기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표시된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에서 상기 값을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든 목적을 위해 다음은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3GPP TS 36.213 버전 10.3.0, 3GPP TS 36.300 버전 10.5.0, 3GPP TS 36.304 버전 10.3.0, 3GPP TS 36.321 버전 10.3.0, 및 3GPP TS 36.331 버전 10.3.0.
본 개시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구현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여기에 예시되고 기재된 예의 설계 및 구현을 비롯하여, 아래에 예시된 예시적인 구현, 도면, 및 기술에 한정되어서는 안 되고, 그의 전범위의 등가물과 함께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관련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개시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현재 공지되어 있든 현존하든 임의의 수의 기술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실시예는 LTE 무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에 관련하여 여기에 기재되어 있지만, 다른 무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에 대하여 채택될 수 있다.
이 쓰여진 기재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가 본 출원의 기술의 구성요소에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대안의 구성요소를 갖는 실시예를 형성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기술의 의도한 범위는 여기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과 상이하지 않은 다른 구조, 시스템 또는 방법을 포함하고, 여기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로부터 비실질적인 차이를 갖는 다른 구조, 시스템 또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여러 실시예들이 제공되었지만,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수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예는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여기에서 주어진 상세사항에 한정되지 않고자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구성요소 또는 컴포넌트가 또다른 시스템에서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특정 특징이 생략되거나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분리되거나 별개인 것으로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재되고 설명된 기술, 시스템, 서브시스템, 및 방법은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시스템, 모듈, 기술, 또는 방법과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된 기타 항목들은, 전기적으로든 기계적으로든 아니면 달리, 어떠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또는 중간 컴포넌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변경, 교체, 및 대안의 다른 예들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여기에 개시된 진정한 의미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Claims (34)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semi-persistent scheduling)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transmission)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되는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름 - ; 및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며,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함 -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 내의 스케줄러에 의해,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을 상기 제한된 서브프레임에 정렬하도록,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한된 서브프레임은 1/8 패턴으로 발생하고, 초기 전송은 매 2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고, 상기 제1 재전송 패턴의 재전송은 매 8 서브프레임에 발생하며 제한된 서브프레임과 일치하고,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보다 12개 서브프레임 늦게 발생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한된 서브프레임은 1/8 패턴으로 발생하고, 제1 초기 전송신호 세트 및 제2 초기 전송신호 세트는 각각 매 4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며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 세트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 세트 사이에 24 서브프레임 오프셋되고, 재전송은 매 8 서브프레임에 발생하며 제한된 서브프레임과 일치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 횟수는 1로 제한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한된 서브프레임은 1/8 패턴으로 발생하지 않고,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에 맞춰 정렬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초기 전송은 매 2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고, 재전송은 초기 재전송 또는 이전의 재전송의 8 서브프레임 후에 발생하고, 제한된 서브프레임은 초기 전송 또는 재전송에 맞춰 정렬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SPS를 활성화하거나, 재활성화하거나, 또는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의 재전송을 위한 기회를 더 많이 갖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사용하는 것보다,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의 재전송을 위한 기회를 더 적게 갖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더 로버스트한(robust)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재전송에 사용되지 않을 때, 동기 비적응형(synchronous non-adaptive) 다운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서 피해자(victim) 노드인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피해자 노드는,
    피코 셀;
    펨토 셀;
    매크로 셀; 또는
    릴레이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1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에 있어서,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가,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되는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르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며,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 내의 스케줄러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을 상기 제한된 서브프레임에 정렬하도록,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을 조정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한된 서브프레임은 1/8 패턴으로 발생하고, 초기 전송은 매 2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고, 제1 재전송 패턴의 재전송은 매 8 서브프레임에 발생하며 제한된 서브프레임과 일치하고,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보다 12 서브프레임 늦게 발생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한된 서브프레임은 1/8 패턴으로 발생하고, 제1 초기 전송신호 세트 및 제2 초기 전송신호 세트는 각각 매 4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며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 세트와 제2 초기 전송신호 세트 사이에 24 서브프레임 오프셋되고, 재전송은 매 8 서브프레임에 발생하며 제한된 서브프레임과 일치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 횟수는 1로 제한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한된 서브프레임은 1/8 패턴으로 발생하지 않고,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에 맞춰 정렬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초기 전송은 매 2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고, 재전송은 초기 재전송 또는 이전의 재전송의 8 서브프레임 후에 발생하고, 제한된 서브프레임은 초기 전송 또는 재전송에 맞춰 정렬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SPS를 활성화하거나, 재활성화하거나, 또는 해제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의 재전송을 위한 기회를 더 많이 갖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사용하는 것보다,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의 재전송을 위한 기회를 더 적게 갖는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더 로버스트한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사용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재전송에 사용되지 않을 때, 동기 비적응형 다운링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방식을 사용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23.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이종 네트워크에서 피해자 노드인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피해자 노드는,
    피코 셀;
    펨토 셀;
    매크로 셀; 또는
    릴레이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25.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1 초기 전송 및 제2 초기 전송은 매 4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고,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8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하며,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8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하고,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 및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2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가,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요소가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제1 초기 전송 및 제2 초기 전송은 매 4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고,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8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하며,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8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하고,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 및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에 맞춰 정렬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2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방식 하에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초기 전송은 매 2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고,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초기 전송신호의 10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하고,
    상기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에 맞춰 정렬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의 횟수는 1로 제한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에 있어서,
    시간 도메인 측정 자원 제한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요소가,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방식 하에 초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초기 전송은 매 20 서브프레임에 발생하고,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상기 초기 전송신호의 10 서브프레임 후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하고,
    상기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한된 서브프레임에 맞춰 정렬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의 횟수는 1로 제한되는 것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요소.
  3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UE에 의해,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름 - ; 및
    상기 UE에 의해,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며,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함 -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기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32. 사용자 기기(UE)에 있어서,
    UE가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방식 하에 제1 초기 전송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1 재전송 패턴을 따르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UE가 SPS 방식 하에 제2 초기 전송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재전송은 제2 재전송 패턴을 따르고,
    상기 제2 재전송 패턴은 상기 제2 초기 전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재전송이 제한된 서브프레임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하는 것인, 사용자 기기.
  33. 오버레이(overlay)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무선 이종 네트워크에서 언더레이(underlay)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 요소의 전송 전력이 감소될 서브프레임을 표시하는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값을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표시된 서브프레임 중의 하나에서 상기 값을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무선 이종 네트워크에서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패킷이 잘못 수신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다음의 표시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 패킷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는 무선 이종 네트워크에서 언더레이 네트워크 요소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147014563A 2011-11-04 2012-10-31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반지속적 스케줄링 수용 KR101596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6123P 2011-11-04 2011-11-04
US61/556,123 2011-11-04
US13/545,696 2012-07-10
US13/545,696 US8976764B2 (en) 2011-11-04 2012-07-10 Accommodat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restricted subframe patterns
PCT/US2012/062808 WO2013067017A1 (en) 2011-11-04 2012-10-31 Accommodat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restricted subframe patter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045A true KR20140087045A (ko) 2014-07-08
KR101596612B1 KR101596612B1 (ko) 2016-02-22

Family

ID=4819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563A KR101596612B1 (ko) 2011-11-04 2012-10-31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반지속적 스케줄링 수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76764B2 (ko)
EP (1) EP2774327B1 (ko)
KR (1) KR101596612B1 (ko)
CN (1) CN104040956B (ko)
CA (1) CA2854539C (ko)
HK (1) HK1200615A1 (ko)
TW (1) TWI467983B (ko)
WO (1) WO2013067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2371B2 (en) * 2007-12-21 2014-03-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3688476B (zh) 2011-05-03 2017-02-15 三星电子株式会社 接收多媒体广播组播服务和处理半永久调度的方法和装置
US9204316B2 (en) * 2011-09-30 2015-12-01 Blackberry Limited Enhancement and improvement for hetnet deployments
US8885509B2 (en) 2011-11-04 2014-11-11 Blackberry Limited Pag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restricted subframe patterns
US8964672B2 (en) * 2011-11-04 2015-02-24 Blackberry Limited Pag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WO2013122434A1 (ko) * 2012-02-19 201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확인응답 전송 방법 및 장치
US9485062B2 (en) * 2012-03-16 2016-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redundant transmissions in a wireless network
US9426714B2 (en) * 2012-03-30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in view of time varying interference
KR102065698B1 (ko) * 2012-07-09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rx 동작을 따르는 상향링크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578675B2 (en) 2012-07-11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765970B (zh) 2012-07-17 2018-04-20 太阳专利信托公司 终端装置和缓冲区划分方法
US9531507B2 (en) * 2012-08-03 2016-12-2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Enhanced TDD UL HARQ timeline for UL-DL coexistence scenario
WO2014074036A1 (en) * 2012-11-09 2014-05-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resource allocation
WO2014073133A1 (ja) * 2012-11-09 2014-05-1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リソース設定方法、基地局、無線リソース設定システム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6484857B2 (ja) * 2013-03-14 2019-03-2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9655148B2 (en) * 2013-05-09 2017-05-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KR101664876B1 (ko) * 2013-05-14 2016-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제어를 위한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US9893829B2 (en) * 2013-08-22 2018-0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measurement
WO2015047145A1 (en) * 2013-09-27 2015-04-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scheduling
CN106068618B (zh) * 2014-03-07 2020-02-1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小区间干扰协调的方法和布置
US10524282B2 (en) * 2014-03-19 2019-12-31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assignment content and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7409381B (zh) * 2014-11-07 2022-03-22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通过指示数据传输的终止点来辅助第一载波上的数据传输的方法
US10091117B2 (en) * 2015-07-24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Code block segmentation and rate matching for multiple transport block transmissions
EP3343994B1 (en) * 2015-09-25 2020-08-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7078501A1 (ko) * 2015-11-05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713332B (zh) * 2016-03-21 202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异构网络中小区测量方法及用户设备、基站
CN109076570B (zh) * 2016-05-1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数据传输方法、用户设备及网络设备
CN107509246B (zh) * 2016-06-14 2020-06-23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半静态调度方法及基站
EP3273633B1 (en) * 2016-06-28 2021-05-05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uplink transmission
EP3280085B1 (en) * 2016-08-05 2020-09-23 HTC Corporation Device for handling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round-trip time timer in a discontinuous reception
US10819475B2 (en) * 2016-08-12 2020-10-2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US9948481B1 (en) * 2016-10-07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voice and video enhancements
US10966235B2 (en) * 2016-11-04 2021-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sub-subframe operation
US10349432B2 (en) * 2016-12-22 2019-07-09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low-latency communications
KR102339902B1 (ko) * 2017-05-02 2021-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245498B2 (en) * 2017-05-12 2022-02-08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9728884B (zh) * 2017-10-27 2021-07-2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集群数据传输方法及设备
WO2019140681A1 (en) * 2018-01-22 2019-07-25 Zte Corporation Configuring multiple transmissions
CN110690949B (zh) * 2018-07-05 2022-04-01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信息配置的方法和设备
US11382068B2 (en) * 2019-04-04 2022-07-05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broadcast or multicast
EP3955675A1 (en) * 2019-04-11 2022-02-16 Ntt Docomo, Inc. Base station device and use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2103A1 (en) * 2007-10-06 2009-04-0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ordinated scheduling method to avoid multiplexing of control and data for power limited users in the LTE reverse link
US20100182939A1 (en) * 2008-09-19 2010-07-22 Nokia Corporation Configuration of multi-periodicity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time division duplex operation in a packet-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1519516A (ja) * 2008-11-13 2011-07-0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半持続的スケジューリングの非活性化を指示する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2915B1 (en) * 1998-06-12 2011-12-06 Ericsson Ab Common power control channel in a CDMA system and a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uch a channel
US7149526B2 (en) 2000-08-02 2006-12-12 Atc Technologies, Llc Coordinated satellite-terrestrial frequency reuse
JP3394528B2 (ja) * 2001-03-19 2003-04-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ケット伝送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伝送方法
US20030118123A1 (en) * 2001-12-21 2003-06-26 Hudson John E.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in the presence of noise
DE60217097T2 (de) 2002-08-13 2007-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Hybrides automatisches Wiederholungsaufforderungsprotokoll
US7408913B2 (en) 2003-05-12 2008-08-0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real time hybrid ARQ
KR100921458B1 (ko) 2005-10-31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TW200807946A (en) * 2006-05-01 2008-02-01 Ntt Docomo Inc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W201538014A (zh) 2007-02-05 2015-10-01 Interdigital Tech Corp 高訴下鏈共享頻道呼叫
US8072963B2 (en) 2007-02-14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from DRX timing de-synchronization in LTE—ACTIVE
US8019331B2 (en) 2007-02-26 2011-09-13 Kineto Wireless, Inc. Femtocell integration into the macro network
JP2008278496A (ja) 2007-05-07 2008-11-13 Asustek Compute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AC−ehsプロトコルエンティティーのリセットを改善する方法及び装置
EP2026491A1 (en) 2007-08-13 2009-02-18 Panasonic Corporation Soft-buffer management of a re-transmission protocol for uni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s
WO2009053930A2 (en) * 2007-10-23 2009-04-30 Nokia Corporation Improved re-transmission capability in semi-persistent transmission
US8600413B2 (en) 2007-10-30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paging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401668B (zh) 2007-12-17 2016-12-28 Tcl通讯科技控股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
JP4376291B2 (ja) * 2008-03-21 2009-12-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基地局装置
CN101572945B (zh) 2008-04-29 2011-08-2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信道质量指示的发送资源确定方法与装置
US8230291B2 (en) * 2008-08-04 2012-07-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Dynamic overwriting of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ssociations for down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US8144712B2 (en) 2008-08-07 2012-03-27 Motorola Mobility, Inc. Scheduling grant information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66804A1 (en) * 2008-09-17 2010-03-24 Panasonic Corporation Deactivation of semi-persistent resource alloc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2217404B (zh) 2008-09-19 2015-06-10 黑莓有限公司 半持久性调度激活/重配置信令的检测时间
US9294219B2 (en) * 2008-09-30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0053339A2 (ko) * 2008-11-10 2010-05-14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의 harq 수행방법, 서브프레임 할당 방법 및 장치
GB0903517D0 (en) * 2009-03-03 2009-04-08 Vodafone Plc L2 transparent relay
US20110116454A1 (en) * 2009-05-04 2011-05-19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575065B1 (ko) 2009-06-17 201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캐리어 시스템에서 단말 선택 기반의 초기접속 방법 및 장치
US9184899B2 (en) * 2009-10-14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ssociation set for uplink ACK/NACK in time division duplex system
WO2011059521A1 (en) 2009-11-13 2011-05-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paging monitoring conflicts in multimode wireless equipment
US20110250919A1 (en) * 2010-04-13 2011-10-13 Qualcomm Incorporated Cqi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634364B2 (en) * 2010-04-20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grants in heterogeneous networks
US8868743B2 (en) 2010-04-30 2014-10-21 Sharp Kabushiki Kaisha Modified access classe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vices during emergencies
US9571229B2 (en) * 2010-08-20 2017-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ation of receiver settings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8743723B2 (en) 2010-11-05 2014-06-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pplying almost blank subframe (ABS) patterns
US9485749B2 (en) 2010-11-10 2016-11-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dle state interference miti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2169949A1 (en) 2011-06-06 2012-12-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e signal quality measurements on a subset of radio resource elements
KR101405978B1 (ko) 2011-07-01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측정 방법 및 단말
US8811341B2 (en) 2011-08-12 2014-08-19 Blackberry Limited Releasing time domain measurement restrictions
US8755316B2 (en) 2011-08-15 2014-06-17 Broadcom Corporation Coordination of DRX and eICIC
US8843139B2 (en) 2011-09-26 2014-09-2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mall cell discovery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2103A1 (en) * 2007-10-06 2009-04-0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ordinated scheduling method to avoid multiplexing of control and data for power limited users in the LTE reverse link
US20100182939A1 (en) * 2008-09-19 2010-07-22 Nokia Corporation Configuration of multi-periodicity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time division duplex operation in a packet-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1519516A (ja) * 2008-11-13 2011-07-0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半持続的スケジューリングの非活性化を指示する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4573A1 (en) 2013-05-09
WO2013067017A1 (en) 2013-05-10
TW201325157A (zh) 2013-06-16
TWI467983B (zh) 2015-01-01
CN104040956A (zh) 2014-09-10
KR101596612B1 (ko) 2016-02-22
US8976764B2 (en) 2015-03-10
CA2854539A1 (en) 2013-05-10
CA2854539C (en) 2016-08-09
EP2774327B1 (en) 2018-08-22
EP2774327A4 (en) 2015-10-07
EP2774327A1 (en) 2014-09-10
HK1200615A1 (en) 2015-08-07
CN104040956B (zh)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612B1 (ko)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반지속적 스케줄링 수용
KR101620249B1 (ko) 제한된 서브프레임 패턴을 사용한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EP2777339B1 (en) Discontinuous reception (drx) in heterogeneous networks
EP29369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er 3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EP29366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EP29367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ed serving cell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EP29368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