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866A - 다양한 성과측정 분석이 가능한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성과측정 분석이 가능한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866A
KR20140085866A KR1020120155669A KR20120155669A KR20140085866A KR 20140085866 A KR20140085866 A KR 20140085866A KR 1020120155669 A KR1020120155669 A KR 1020120155669A KR 20120155669 A KR20120155669 A KR 20120155669A KR 20140085866 A KR20140085866 A KR 20140085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result
event
view
key performance
event 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석
이용혁
손숙영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5866A/ko
Publication of KR2014008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03Data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은, 특정 업무에 대하여, 작업시작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할당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고, 수집한 이벤트 로그에 기초하여, 특정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 모델을 생성한다. 그리고, 프로세스 모델에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이벤트 타입의 설정과 작업 간의 관계 등을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보다 신뢰도가 높으면서 합리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성과측정 분석이 가능한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tus for process mining capable of analyzing various performance metrics}
본 발명은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로운 이벤트 타입의 설정, 작업 관계나 핵심성과지표의 반영 등을 통해 다양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스 마이닝(process mining)은 정보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로그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는 연구로, 프로세스 도출(discover), 모니터링(monitoring), 개선(improvement)을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의 프로세스에 적용 가능하다.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일어나는 업무처리기록을 바탕으로 유용한 정보를 발견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 마이닝을 통해 발견된 정보를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스 마이닝이 적용되는 분야와 시장 규모는 인터넷 및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데이터의 증가에 따라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500329호에는, 워크플로우 시스템의 운영 과정에서 축적된 워크플로우 로그 데이터에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프로세스 또는 업무의 과거 수행 결과를 평가하고, 분석 및 진단하는 워크플로우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서버 ID, 프로세스 인스턴스 식별자, 긴급도를 나타내는 플래그, 아이템 처리시의 암호 체크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코멘트 개수, 첨부 개수, 프로세스 인스턴스에 대한 설명, 오전/오후를 기준으로 하는 시작 시점, 요일을 기준으로 하는 시작 시점, 시간대별을 기준으로 하는 시작시점, 프로세스 인스턴스 생성자 ID, 프로세스 인스턴스 생성자 이름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프로세스나 업무를 분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의 경우, 이벤트 타입을 시작과 종료 두 가지로만 표현하고 있어, 보다 사실적이며 다양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의 경우, 성과 측정시 로그 기반의 단편적인 성과 측정만 이루어지고, 작업 간의 관계를 고려하거나 핵심성과지표를 이용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새로운 이벤트 타입을 설정하거나 작업 간의 관계나 핵심성과지표 등과 같은 새로운 요소를 반영하여 다양한 분석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보다 사실적이고 정확한 성과측정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이벤트 타입의 설정이나 작업 간의 관계 및 핵심성과지표 등과 같은 새로운 요소를 반영을 통해 신뢰도가 높고 합리적인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은, 특정 업무에 대하여, 작업시작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할당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이벤트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스 모델에서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 마이닝 방법은,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한 성과측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핵심성과지표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장치는, 특정 업무에 대하여, 작업시작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할당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는 이벤트 로그 수집부, 상기 수집한 이벤트 로그에 기초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모델링부, 및 상기 프로세스 모델에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프로세스 분석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이벤트 타입의 설정과 작업 간의 관계나 핵심성과지표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보다 신뢰도가 높으면서 합리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즈니스 분야나 군사 분야 등에 적용하여, 보다 사실적이며 정확한 성과 측정 결과 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직원 업무 평가나 업무 개선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할당 이벤트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4는 프로세서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성과측정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프로세스 관점과 케이스 관점의 핵심성과지표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작업 관점과 작업자 관점의 핵심성과지표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a 및 도 8b는 핵심성과지표를 이용한 성과측정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 마이닝은 업무를 지원하는 다양한 정보시스템에 기록된 이벤트 로그를 분석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자동으로 도출하는 것을 지원하며, 프로세스 마이닝은 이벤트 로그와 프로세스 모델 간에 발견(discovery), 순응도(conformance), 확장(enhancement)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발견은 이벤트 로그에서 프로세스 모델의 자동 발견을 지원하고, 순응도는 이벤트 로그와 프로세스 모델간 일치 정도를 분석한다. 그리고, 확장은 발견된 프로세스 모델을 시간 정보 등을 통해서 확장시키는 것이다.
프로세스 마이닝은 이와 같은 세 가지 유형의 마이닝과 독립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관점의 분석을 지원할 수 있다.
첫째, 통제 흐름(control-flow) 관점으로, Petri-net이나 BPMN 등의 표기법으로 표시되는 업무 활동들의 순서 발견과 분석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조직(organizational) 관점으로, 업무 전달에 기반을 둔 업무 수행 주체들(직원, 팀, 부서 등) 사이의 사회 관계망(social network) 분석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세째, 시간(time) 관점으로, 수행된 업무 사례들의 평균 수행 시간, 특정 활동들 사이의 평균 수행 시간 등에 관한 분석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네째, 성과(performance) 관점으로, 병목지점(bottleneck) 분석 기법을 제공하여, 성과에 영향을 주는 사례들에 대한 심층 분석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데이터(data) 관점으로, 개별 수행 사례들의 데이터와 연관된 분석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불만처리 프로세스를 지연시키는 고객들의 유행을 찾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장치의 블럭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프로세스 마이닝 장치(100)는 이벤트 로그 수집부(110), 프로세스 모델링부(120), 및 프로세스 분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벤트 로그 수집부(110)는 정보시스템 등에 기록된 특정 업무에 대한 이벤트 로그를 수집한다. 이벤트 로그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이벤트 로그에는 작업시작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할당 이벤트가 포함된다.
프로세스 모델링부(120)는 이벤트 로그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이벤트 로그를 전달받아, 전처리 과정 및 분석 과정 등을 거쳐, 특정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 모델을 도출한다. 프로세스 모델링부(120)는 프로세스 모델 도출시, 단위 프로세스들 사이의 연결 경로를 발생 확률 등에 따라 재구성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 모델 분석부(130)는 프로세서 모델에서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등을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로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새로운 이벤트 타입의 이용과 작업 간의 관계나 핵심성과지표 등을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벤트 로그 수집부(110)는 특정 업무에 대하여, 작업시작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할당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를 수집한다(S200).
비즈니스 프로세스상의 업무는 기업 내부의 정보시스템인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CM(Supply Chain Management), Workflow 등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들 정보시스템에는 모든 트랜잭션(transaction)을 이벤트 로그 형식으로 기록한다. 따라서, 이벤트 로그 수집부(120)는 이러한 정보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 이벤트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이벤트 로그에는 프로세스 인스턴트(instance), 업무(activity), 업무의 수행자(performer), 업무의 타입, 업무 수행시간 등이 기록된다. 이때, 작업시작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는 할당(assgined) 유형의 할당 이벤트를 새로 추가하여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다.
프로세스 모델링부(120)는 이벤트 로그 수집부(110)가 수집한 이벤트 로그를 전달받아, 프로세스 모델의 분석을 위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분석 과정을 통해 이벤트 로그가 수집된 특정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 모델을 생성한다(S205).
프로세스 모델부(120)는 프로세스 모델을 생성할 때, 단위 프로세스들 사이의 상호 관계나 단위 프로세스들 사이의 연결 상태에 확률 등을 고려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
프로세스 분석부(130)는 프로세스 모델에서 작업 간의 관계나 사용자가 설정한 핵심성과지표 등을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한다(S215). 핵심성과지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가능하며, 이를 위해 핵심성과지표의 설정을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스 분석부(13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분석 결과를 다양한 형태의 차트나 그래프 등으로 출력한다(S22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새로운 이벤트 타입의 이용하고, 작업 간의 관계나 핵심성과지표를 반영하여 보다 사실적이고 정확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다양한 형태의 차트나 그래프 등으로 출력함으로써, 성과 측정 결과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에서 사용하는 할당 이벤트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일반적인 프로세스 마이닝의 경우, 이벤트 타입(event type)을 시작(start)과 종료(complete) 두 가지로만 표현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에서는 할당(assgined) 유형의 이벤트 타입을 추가하여, 작업대기 시간, 작업소요 시간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일한 업무 A는 할당, 시작, 종료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세 가지 상태 모두가 존재할 수도 있고, 세 가지 상태 중 일부만 존재할 수도 있다. 이때, 할당은 작업시작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하고, 시작은 작업이 시작됨을 의미하며, 종료는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동일한 업무 A에서, 할당 A(Assinged A)와 시작 A(Start A)의 시간의 차이는 작업대기 시간(waiting time)으로 정의하고, 시작 A(Start A)와 종료 A(Complete A)의 시간 차이는 작업 시간(working time)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할당 A(Assigned A)와 종료 A(Complete A)의 시간 차이는 작업소요 시간 (sojourn time)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소요 시간은 작업대기 시간과 작업시간의 합과 같다.
작업 B가 선행되어 완료된 후 작업 A가 수행되는 경우, 종료 B(Complete B)와 할당 A(Assigned A)의 시간 차이는 전이 시간(transition time)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할당 유형의 이벤트 타입을 추가하여, 작업대기 시간, 작업소요 시간, 전이 시간 등과 같은 더 많은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에서는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의 경우, 작업 간의 관계를 고려한 성과 측정 방법 등이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에서는 작업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성과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프로세스 모델의 일 예이며, 다음의 [표 1]의 도 3에 도시한 프로세스 모델을 기반으로 작성된 작업 관계도이다.

A

B

C

D

E

F

A

0

1

1

0

0

0

B

0

0

0

1

0

0

C

0

0

0

1

0

0

D

0

0

0

0

0

0

E

0

0

0

0

0

1

F

0

0

0

0

0

0
[표 1]에서 A, B, C, D, E는 작업을 의미하며, 각 숫자 값은 작업 관계의 유무를 의미한다. 즉, 가장 왼쪽의 작업자 열을 기준으로 기준작업이 수행된 후에 해당하는 열의 작업이 수행된 경우 1, 관계가 없는 경우 0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가장 왼쪽의 작업자 열의 A를 기준으로 0, 1, 1, 0, 0, 0 은, 작업 A 다음에 작업 B, 작업 C가 수행됨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의 경우, 성과 측정 시에 로그 기반의 단편적인 성과 측정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성과측정 방법은 로그를 기반으로 가공하여 도출되는 프로세스 모델과 종종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경우가 나타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에서는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한다.
다음의 [표 2]를 참조할 때, 작업 간의 관계를 고려하는 경우와 고려하지 않는 경우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분석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로그: A - B - C - D

작업

타임스탬프

A

2012/07/01 10:00:00

B

2012/07/01 11:00:00

C

2012/07/01 12:00:00

D

2012/07/01 12:30:00
도 3에 도시한 프로세스 모델에서 작업 간의 관계를 고려하는 경우, B의 작업시간 A-B의 시간차이로 계산된다. 즉, B가 완료되기까지 한 시간이 소요된다. C의 작업시간은 작업 간의 관계를 고려하므로 A-C의 시간차이로 계산된다. 즉, C가 완료되기까지 두 시간이 걸린다.
작업 간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로그에 기반하여 작업시간이 산출된다. B의 작업시간 A-B의 시간차이로 계산된다. 즉, B가 완료되기까지 한 시간이 걸린다. C의 작업시간은 로그만을 고려하므로 B-C의 시간차이로 계산된다. 즉, C가 완료되기까지 한 시간이 걸린다.
이와 같이, 작업 간의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더 정확한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프로세스 모델 분석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도 5는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성과측정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하여, 다양한 종류의 차트와 그래프로 성과 측정 결과 등이 표현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차트와 그래프를 이용하여, 성과 측정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시각적 정보 전달이 가능하므로, 분석 결과의 파악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에서는 핵심성과지표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는 조직의 목표 달성의 정도를 계량하는 지표이며, 목표의 달성 및 성공 여부의 평가 지표로 활용된다. 핵심성과지표의 분석을 위해서는 해당 회사나 기관은 당사의 목표치를 성과측정의 결과와 비교하여 검토하는 성과 분석 후 비교 분석이 필요하였다. KPI 대비 성과측정은 성과측정 단계에서 사용자가 핵심성과지표를 설정하여, 성과 측정과 핵심성과지표를 이용한 성과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핵심성과지표와 성과측정은 시간과 빈도를 단위로 한다. 또한, 프로세스 관점, 케이스(case) 관점, 작업 관점, 작업자 관점 등으로 핵심성과지표의 정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에서는 미리 핵심성과지표를 정의하여 성과측정 및 평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별 소요되는 평균 시간의 성과 측정을 하는 경우, 핵심성과지표를 9시간으로 설정하면, 9시간 이하의 시간이 걸리는 작업은 일처리가 매끄럽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9시간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작업은 전체적인 업무 흐름의 지연을 야기하고 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도 6은 프로세스 관점과 케이스 관점의 핵심성과지표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관점에서 핵심성과지표(KPI)는, (1)목표 기간, (2)목표 시간, (3)투입 작업 수, (4)투입 작업 인원 등이다. 여기서, 목표기간은 전체 프로세스의 시작부터 끝까지 걸리는 목표 기간을 의미하며, 목표 시간은 프로세스의 종료 시각을 의미하고, 투입 작업 수는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목표 작업 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투입 작업 인원은 프로세스에 투입되는 총 인원 수를 의미한다.
케이스 관점에서 핵심성과지표(KPI)는 (1)Case별 작업 수, (2)Case별 인원 수, (3)Case별 작업시간, (4) Case별 수행횟수 등이다. 여기서, Case별 작업 수는 케이스마다 수행된 작업의 수를 의미하며, Case별 인원 수는 케이스마다 작업을 수행한 인원 수를 의미하고, Case별 작업시간은 케이스마다 작업이 소요된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Case별 수행횟수는 케이스마다 작업이 수행된 횟수를 의미한다.
도 7은 작업 관점과 작업자 관점의 핵심성과지표를 설정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관점의 KPI는 (1)작업시간, (2)작업인원, (3) 수행횟수 등이다. 여기서, 작업시간은 각 작업별로 소요된 시간을 의미하여, 작업 인원은 각 작업을 수행한 인원 수를 의미하고, 수행횟수는 작업별 수행된 횟수를 의미한다.
작업자 관점의 KPI는, (1)작업시간, (2)수행작업 개수, (3)작업별 수행횟수 등이다. 여기서, 작업시간은 각 인원별로 작업을 수행한 시간을 의미하고, 수행작업 개수는 각 인원별로 수행한 작업의 개수를 의미하며, 작업별 수행횟수는 각 인원마다 수행한 작업의 수행한 횟수를 의미한다.
도 8a 및 도 8b는 핵심성과지표를 이용한 성과측정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핵심성과지표 값을 기준으로 성과측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성과측정 화면을 통해, 어떤 작업이나 작업자가 사용자가 설정한 핵심성과지표를 달성하였는지 혹은 미달성하였는지 여부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차트나 그래프로 성과측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클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이벤트 로그 수집부 120 : 프로세스 모델링부
130 : 프로세스 분석부

Claims (11)

  1. 특정 업무에 대하여, 작업시작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할당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이벤트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업무에 대한 프로세스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스 모델에서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한 성과측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핵심성과지표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성과지표는, 프로세스 관점, 케이스 관점, 작업 관점, 작업자 관점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성과지표의 설정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6. 특정 업무에 대하여, 작업시작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할당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는 이벤트 로그 수집부;
    상기 수집한 이벤트 로그에 기초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모델링부; 및
    상기 프로세스 모델에서 작업 간의 관계를 반영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프로세스 분석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분석부는,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한 성과측정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분석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핵심성과지표를 반영한 분석 결과를 더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성과지표는, 프로세스 관점, 케이스 관점, 작업 관점, 작업자 관점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로그 수집부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CM(Supply Chain Management), Workflow 정보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된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마이닝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155669A 2012-12-28 2012-12-28 다양한 성과측정 분석이 가능한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85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669A KR20140085866A (ko) 2012-12-28 2012-12-28 다양한 성과측정 분석이 가능한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669A KR20140085866A (ko) 2012-12-28 2012-12-28 다양한 성과측정 분석이 가능한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866A true KR20140085866A (ko) 2014-07-08

Family

ID=5173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669A KR20140085866A (ko) 2012-12-28 2012-12-28 다양한 성과측정 분석이 가능한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58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9346A (zh) * 2017-08-21 2018-02-23 安徽理工大学 一种挖掘业务过程隐变迁的新方法
KR20190071571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퍼즐데이터 표준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프로세스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90123942A (ko) 2018-04-25 2019-11-0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 조선 해양 공정 프로세스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00028201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퍼즐데이터 프로세스 마이닝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9346A (zh) * 2017-08-21 2018-02-23 安徽理工大学 一种挖掘业务过程隐变迁的新方法
KR20190071571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퍼즐데이터 표준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프로세스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90123942A (ko) 2018-04-25 2019-11-0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 조선 해양 공정 프로세스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00028201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퍼즐데이터 프로세스 마이닝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5476B2 (en) Evaluating business components in an enterprise
US99282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to dynamically improve efficiency and visualization of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s
Curbera et al. Business provenance–a technology to increase traceability of end-to-end operations
EP1617362A2 (en) System for measuring, controlling, and validating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TWI403964B (zh) Project management system
US11210075B2 (en) Software automation deployment and performance tracking
JP2011008669A (ja) タスク管理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支援システム
Monteiro et al. Defining a catalog of indicators to support process performance analysis
US2014004670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technology assets
KR101660892B1 (ko)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한 프로세스 모델 도출 방법 및 장치
KR20140085866A (ko) 다양한 성과측정 분석이 가능한 프로세스 마이닝 방법 및 그 장치
Hodijah et al. Applying TOGAF for e-government implementation based on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methodology towards good government governance
JP679057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0198194A (ja) セキュリティ管理支援システム
Colombo et al. The use of a meta-model to support multi-project process measurement
Tawakkal et al. Implementing heuristic miner for information system audit based on DSS01 COBIT5 (Case study: CV Narnia distribution)
Hyun et al. The implications of big data analytics orientation upon deployment
Quesada-López et al. Characterization of software testing practices: A replicated survey in Costa Rica
KR100841610B1 (ko) 활동 원가에 기초한 원가 계산 방법 및 원가 계산 장치
US20070118522A1 (en) Flexible hierarchy of grouping qualifications
Arcilla et al. Sales force automation for decision support
US202303682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structions associated with one or more data transfers
Lu et al. An Information Systems Design Product Theory for Integrated Requirements, Test and Defect Management Systems
Saito Digital TwinCity: a holistic approach towards comparative analysis of business processes
Kangwantrakool et al. R3P2: A Performance Model For Readiness Review Process Improvement In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Level 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