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704A -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704A
KR20140085704A KR1020120154483A KR20120154483A KR20140085704A KR 20140085704 A KR20140085704 A KR 20140085704A KR 1020120154483 A KR1020120154483 A KR 1020120154483A KR 20120154483 A KR20120154483 A KR 20120154483A KR 20140085704 A KR20140085704 A KR 20140085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unit
modular
building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9443B1 (ko
Inventor
정미영
조봉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4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2001/3561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adding living space above exis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은 모듈러 유닛과 연결된 모듈러 유닛 연결부 및 일측은 상기 모듈러 연결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기설치 건축물과 연결되는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듈러 유닛 연결부 또는 상기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시공오차를 줄이기 위해 일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조체에 의하면, 기설치 건축물의 철거없이 모듈러 유닛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수평 증축 및 수직 증축이 가능하여 리모델링시 공사 비용 및 시간을 감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시공 방법 {CONNECTING STRUCTURE AND REMODE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듈러 유닛과 기존 기설치 건축물을 연결하는 연결 구조체와, 이를 이용하여 모듈러 유닛과 기설치 건축물을 연결하여 증축하는 리모델링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의 리모델링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기본 골조를 제외한 전면 철거 후 공사하는 방식으로, 재건축 비용에 근접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며, 리모델링시 발생하는 다량의 건축 폐기물에 의해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9911호 (2010.02.03 공고)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설치 건축물을 철거하지 않고, 모듈러 공법을 기설치 건축물에 접합하여 최소한의 비용과 최단기간에 리모델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은 모듈러 유닛과 연결된 모듈러 유닛 연결부 및 일측은 상기 모듈러 연결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기설치 건축물과 연결되는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듈러 유닛 연결부 또는 상기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시공오차를 줄이기 위해 일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 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모듈러 유닛 연결부는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수평 부재를 연결하여 모듈러 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모듈러 유닛 연결부는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연결하도록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듈러 유닛 연결부와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를 연결하도록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2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는 일측에 기설치 건축물을 연결하도록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3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홀은 시공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관통홀이 각각의 축방향의 장공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듈러 유닛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와, 기설치 건축물의 일측에 전술한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 설치하고, 모듈러 유닛에 전술한 모듈러 유닛 연결부를 설치하는 연결 준비 단계 및,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와 모듈러 유닛 연결부를 연결하여 기설치 건축물과 모듈러 유닛 건축물을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모델링 건축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단계는 모듈러 유닛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기설치 건축물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다수개의 모듈러 유닛이 먼저 적층 된 뒤, 기설치 건축물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준비 단계는 모듈러 유닛에 상기 연결구조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 패널을 모듈러 유닛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바닥 패널의 타측에 모듈러 유닛 연결부를 설치하는 바닥 패널 확장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치 건축물과 모듈러 유닛을 연결하여 기설치 건축물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증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치 건축물의 철거 없이 연결구조체를 이용하여 기건축물의 수평 증축 및 수직 증축이 가능하여 리모델링시 공사 비용 및 시간을 감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건축물의 전면 철거 없이 연결구조체를 이용하여 리모델링이 가능하여 다량의 건축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는 모듈러 건축물이 설치되기 전의 기설치 건축물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조체가 구비된 리모델링 건축물의 사시도.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단위 모듈러 유닛의 간략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연결 구조체의 분해도.
도 3(b)는 도 3(a)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조체의 단면도.
도 6은 바닥 패널과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조체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델링 건축물의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간략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모델링 건축물의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간략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모델링 건축물의 시공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간략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델링 건축물의 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시공 방법의 기술적 특징을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연결구조체(130)는 일측은 모듈러 유닛(110)과 연결된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와 일측은 상기 모듈러 연결부(131)와 연결되고, 타측은 기설치 건축물과 연결되는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모듈러 유닛 연결부 또는 상기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시공오차를 줄이기 위해 일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모듈러 유닛(110)은 공장에서 미리 수평부재(111a)와 수직부재(111b)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부재(111a)와 수직부재(111b) 사이에 벽체 부재(112)가 구비된 3차원적인 상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111a)는 상자형 유닛의 구조를 형성하는 수평보에 해당하고, 상기 수직부재(111b)는 상기 수평보와 결합하는 수직기둥에 해당된다.
그런데, 모듈러 유닛(110)을 이용한 모듈러 공법은 공장에서 제작/ 조립된 모듈러 유닛(110)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건설하는 방법으로, 모듈러 유닛(110)에 들어가는 전기 및 기계 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설치 등 주택 내부에 구비되는 설비의 90퍼센트 이상이 공장에서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 유닛(110)을 이용한 주택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되므로 공사기간이 줄어들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자체 중량에 비해 단면 성능과, 내화 능력이 강하고 내구성, 내식성, 내진성이 우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리고, 기설치 건축물(120)은 수평 또는 수직 증축등의 리모델링의 대상이 되는 건축물로서,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의 거주 목적의 건축물이 이에 해당될 수 있고, 아파트의 수평 중축을 예를 들 때, 상기 기건축물은 모듈러 유닛(110)과 연결되어 수평 증축 및 수직 증축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조체(130)는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와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는 일측이 모듈러 유닛(110)과 연결되고 타측은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와 연결된다. 그리고, 기설치 건축물(120)은 일측이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와 연결되고 타측은 기설치 건축물(120)과 연결된다.
그런데,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는 x축 방향에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110)을 서로 연결한다.
이때,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는 접촉하는 모듈러 유닛(110)을 서로 연결하고, 또한 상하로 적층된 모듈러 유닛(110)에서 접촉하는 상기 수직부재(111b) 사이에서 체결수단(10)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133a)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110)의 각각의 모서리에, 각각의 모듈러 유닛(110)을 연결하도록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가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133)을 통해 볼트/너트 또는 앵커와 같은 체결수단(10)이 삽입되면 수평방향에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110)은 서로 연결된다.
동시에, 상기 체결수단(10)이 모듈러 유닛(110)의 수직부재(111b)와 상단에 적층된 모듈러 유닛(110)의 수직부재(111b)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수평방향에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110) 2개와 상부에서 적층된 모듈러 유닛(110) 2개 등, 총 4개의 모듈러 유닛(11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수평부재(111a) 및 수직부재(111b)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로, 상기 체결수단(10)은 사용자의 편의상 상기 수평부재(111a) 또는 수직부재(111b)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홈으로 체결수단(10)을 삽입하여 상기 수직부재(111b)와 상기 수평부재(111a)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유닛 연결부는 접촉하는 모듈러 유닛을 서로 연결하고, 동시에 상하로 적층된 모듈러 유닛(110)에서 적층된 수직부재(111b) 사이에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는 접촉하는 모듈러 유닛(110)을 서로 연결하고, 동시에 상하로 적층된 모듈러 유닛(110)에서 접촉하는 상기 수평부재(111a) 사이에 체결수단(10)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133a)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는 적층된 모듈러 유닛(110)의 수직부재(111b)가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1관통홀(133a)은 상기 수직부재(111b)가 적층되는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하로 적층된 상기 수평부재(111a)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체결수단(10)이 상기 관통홀에 체결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3 및 도 4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체결수단이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5 및 도 6과 같이 체결수단이 상기 관통홀에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홀(133a)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모듈러 유닛(110)과 기설치 건축물(120)의 x축 방향의 시공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홀이 x축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설치 건축물(120)과 모듈러 유닛(110) 건출물이 상기 연결구조체(130)에 의해 연결된 후에 시공오차가 발생한 경우 모듈러 유닛(110)을 이동시켜 시공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모듈러 유닛(110)이 x축 방향에서 발생된 오차를 감소하는 방향, 즉 모듈러 유닛(110)이 x축 방향을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관통홀(133a)이 x축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에 형성된 제1관통홀(133a)과 접촉하는 모듈러 유닛(110)의 수직부재(111b) 또는 상기 수직부재(111b)에도 상기 체결수단(10)이 체결될 수 있도록 개구(133a')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와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는 서로 체결수단(10)에 의해 연결되도록 각각 제2관통홀(133c,133c')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2관통홀(133c,133c')은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와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에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133c,133c')에 체결수단(10)이 체결되어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와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가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관통홀(133c,133c')은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와 상기 기설치 연결부 사이의 강한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해 접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앞서 검토한 상기 제1관통홀(133a) 및 상기 제2관통홀(133b)과 같이, 상기 제2관통홀(133c,133c')은 y축 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되어, 모듈러 유닛(110)과 기설치 건축물(120)의 y축상 시공오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는 일측에 기설치 건축물(120)과 연결하는 체결수단(10)이 삽입되는 제3관통홀(133d)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관통홀(133d)은 앞서 제1관통홀(133a) 내지 제2관통홀(133c,133c')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z축 방향의 시공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모듈러 유닛(110)의 z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z축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설치 건축물(120)이 아파트인 경우, 상기 연결구조체(130)는 모듈러 유닛(110)을 아파트와 같은 기설치 건축물(120)의 발코니(121) 또는 복도와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아파트의 베란다의 경우, 베란다의 일부를 철거하고 베란다의 외측 절단면에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를 설치하여, 모듈러 유닛(110)을 상기 아파트 베란다 부분에 복수개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기설치 건축물(120)과 연결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증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수평방향으로 더 넓은 면적으로 증축하기 위해, 상기 모듈러 건축물과 기설치 건축물(12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넓이를 구비하는 판재 형상의 바닥 패널(140)을 삽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 패널(140)은 체결수단(10)과 상기 연결구조체(130)에 의해 일측은 모듈러 유닛(110)과 연결되고, 타측은 기설치 건축물(120)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모듈러 유닛(110)과 기설치 건축물(120)이 상기 연결구조체(130)에 의해 서로 연결된 후, 또는 상기 바닥 패널(140)이 모듈러 유닛(110)과 기설치 건축물(120)과 연결된 후에 모듈러 유닛의 수평부재(111a)와 기설치 건축물의 발코니(121)는 각각의 부재가 수평을 이루도록 마감재(122)가 상기 수평부재(111a)와 상기 발코니(121)의 상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 패널(140)의 설치에 따른 모듈러 유닛(110)과 기설치 건축물(120)의 바닥이 각각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수평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마감재(122)를 높이차가 발생하는 부분에 타설하여 모듈러 유닛(110)과 기설치 건축물(120)이 연결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유닛(110)과 기설치 건축물(120)을 연결하는 리모델링 건축물의 시공 방법(S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모델링 건축물 시공방법(S100)은 모듈러 유닛 준비단계(S110)와, 연결 준비 단계(S120)와, 결합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듈러 유닛 준비단계(S110)는 공장에서 제작된 모듈러 유닛(110)을 필요한 수량을 기설치 건축물(120)의 일측으로 운반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준비 단계(S120)는, 기설치 건축물(120)의 일측에 전술한 기설치 건축물(120)에 연결되는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를 기설치 건축물(120)의 일측에 설치하고, 모듈러 유닛(110) 일측에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기설치 건축물(120)에서 증축하고자 하는 부분의 일측을 철거하고 발코니 또는 복도와 같은 바닥면의 측면에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를 먼저 설치하고, 모듈러 유닛(110)의 일측에도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를 설치한다.
다음 단계로, 상기 결합단계(S130)는 연결 준비 단계(S120)가 끝난 뒤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와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를 연결하여 기설치 건축물(120)과 모듈러 유닛(11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먼저,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단계(S130)는 순차적으로 모듈러 유닛(110)을 적층하고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를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와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는 순차적으로 모듈러 유닛(110)을 적층하는 단계로, 복수개의 모듈러 유닛(110)을 먼저 적층 한 뒤 기설치 건축물(120)에 결합하기에 모듈러 유닛(110)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 또는 고층을 이루는 적층된 모듈러 유닛(110)을 수직으로 증축하는 경우에 설치의 편의상 순차적으로 모듈러 유닛(110)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달리,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단계(S130)는 다수개의 모듈러 유닛(110)을 먼저 적층하고, 적층된 다수개의 모듈러 유닛(110)을 연결하고자 하는 기설치 건축물(120)의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132)와 모듈러 유닛 연결부(131)를 연결하여 기설치 건축물을 증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단계(S130)는 모듈러 유닛(110)을 먼저 적층하여 결합한 뒤 기설치 건축물에 접합하는 방식으로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모듈러 유닛(110)의 설치시 시공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연결단계(S120)는 바닥패널 확장 공정(S121)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패널(140)이 상기 연결구조체(130)에 의해 모듈러 유닛(110)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패널 확장 공정(S121)에서 상기 바닥패널(140)의 일측이 모듈러 유닛(110)의 일측과 연결된 뒤, 상기 결합단계(S130)에서 상기 바닥패널과 기설치 건축물(120)이 결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바닥판재(140)가 모듈러 유닛(110)과 기설치 건축물(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어 수평방향으로 증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10: 모듈러 유닛 111a: 수평부재
111b: 수직부재 120: 기설치 건축물
130: 연결구조체 131: 모듈러 유닛 연결부
132: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 133: 관통홀
133a: 제1관통홀 133b: 제2관통홀
133c, 133c': 제3관통홀 133d: 제4관통홀
140: 바닥 패널
S100: 리모델링 건축물 시공방법
S110: 모듈러 유닛 준비 단계
S120: 연결 준비 단계
S121: 바닥 패널 확장공정
S130: 결합 단계

Claims (10)

  1. 일측은 모듈러 유닛과 연결된 모듈러 유닛 연결부; 및
    일측은 상기 모듈러 연결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기설치 건축물과 연결되는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듈러 유닛 연결부 또는 상기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시공오차를 줄이기 위해 일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모듈러 유닛 연결부는,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수평 부재를 연결하여 모듈러 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모듈러 유닛 연결부는,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연결하도록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모듈러 유닛 연결부와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를 연결하도록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2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는 일측에 기설치 건축물을 연결하도록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3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시공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관통홀이 각각의 축방향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구조체.
  7. 모듈러 유닛을 준비하는 준비 단계;
    기설치 건축물의 일측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 설치하고, 모듈러 유닛에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듈러 유닛 연결부를 설치하는 연결 준비 단계; 및
    기설치 건축물 연결부와 모듈러 유닛 연결부를 연결하여 기설치 건축물과 모듈러 유닛을 결합하는 결합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모델링 건축물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는,
    모듈러 유닛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기설치 건축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건축물 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는,
    다수개의 모듈러 유닛이 먼저 적층 된 뒤, 기설치 건축물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건축물 시공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준비 단계는,
    모듈러 유닛에 연결구조체를 이용하여 바닥 패널을 모듈러 유닛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바닥 패널의 타측에 모듈러 유닛 연결부를 설치하는 바닥 패널 확장공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모델링 건축물 시공방법.
KR1020120154483A 2012-12-27 2012-12-27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시공 방법 KR10146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483A KR101469443B1 (ko) 2012-12-27 2012-12-27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483A KR101469443B1 (ko) 2012-12-27 2012-12-27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704A true KR20140085704A (ko) 2014-07-08
KR101469443B1 KR101469443B1 (ko) 2014-12-08

Family

ID=5173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483A KR101469443B1 (ko) 2012-12-27 2012-12-27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4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681B1 (ko) * 2014-12-19 2016-06-23 삼성물산 주식회사 결합플레이트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KR101705260B1 (ko) * 2016-11-17 2017-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38213A (ko) 2020-03-31 2020-04-10 임춘만 아파트 베란다와 거실천장에 설치된것이 물체를 돌출할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637B1 (ko) * 2009-07-13 2009-10-23 금강공업 주식회사 보강형 연결구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681B1 (ko) * 2014-12-19 2016-06-23 삼성물산 주식회사 결합플레이트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KR101705260B1 (ko) * 2016-11-17 2017-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38213A (ko) 2020-03-31 2020-04-10 임춘만 아파트 베란다와 거실천장에 설치된것이 물체를 돌출할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443B1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8352C2 (ru) Сборный модуль для здания
RU263413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US10323428B2 (en) Sequence for constructing a building from prefabricated components
JP6983901B2 (ja) プレハブ方式ボリューメトリック建造モジュールのための接続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411740B2 (ja) モジュラ構造およびモジュラ構造建物のためのフレーム、基本フレームワーク、モジュール、プロファイル、および建造物要素のセット
WO2009046423A2 (en) Buildings formed of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modules
KR101629939B1 (ko) 하중전달 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9079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연결마구리판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69443B1 (ko)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시공 방법
ES2333636B1 (es) Modulo semirresistente prefabricado para construccion y procedimientode montaje en obra del mismo.
KR20160074746A (ko) 모듈러 유닛, 하중전달 브라켓을 갖는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50513A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43567B1 (ko) 유닛구조체용 보
US8065840B2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EP2894270A1 (en) Interlocking modular element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s and furniture.
CN106760139B (zh) 一种外贴式模块化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GB2514164A (en) Balcony
KR101324518B1 (ko) 유닛모듈시스템과 유닛모듈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주택 제작방법
KR100851878B1 (ko) 모듈러 주택용 패널 박스 모듈
KR20110011773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건축 구조체
JP6563463B2 (ja) 屋内居住空間リフォーム構法及び屋内居住空間リフォーム体
KR100694702B1 (ko) 모듈러 주택용 바닥 시스템
KR20100103170A (ko)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KR101830357B1 (ko) 벽체 시공용 블록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KR102580908B1 (ko) 철골 3d 모듈러 유닛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