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170A -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 Google Patents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170A
KR20100103170A KR1020090021647A KR20090021647A KR20100103170A KR 20100103170 A KR20100103170 A KR 20100103170A KR 1020090021647 A KR1020090021647 A KR 1020090021647A KR 20090021647 A KR20090021647 A KR 20090021647A KR 20100103170 A KR20100103170 A KR 2010010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ar building
building
toilet
balc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554B1 (ko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2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5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07Elements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모듈러 건축물에 있어서 내구연한이 짧은 구성부를 별도로 유닛화하여 시공할 수 있고, 내구연한 짧은 구성부의 유지관리 및 보수의 효율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모듈 유닛을 조립하여 시공되는 모듈러 건출물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구성부 중 내구연한이 다른 구성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구성부를 별도의 모듈 유닛으로 제작하여 시공하는 구조의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를 제공한다.
모듈러, 건축물, 모듈 유닛, 화장실 유닛, 발코니 유닛, 내구연한

Description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STRUCTURE FOR CONSTRUCTING MODULAR BUILDING}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모듈 유닛 이외의 건물 구성요소를 유닛화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된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공법(Modular Construction)은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모듈 유닛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공법이다. 상기 모듈 유닛은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 등을 포함한다. 이에 건축물의 90% 이상이 공장에서 완성된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제작된 각 모듈 유닛을 현장에서 상하, 전후, 좌우로 조립하여 완성된다.
상기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생산을 통한 품질의 향상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현장시공 시 공기 단축을 통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어 최근들어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에 있어서 모듈 유닛은 주로 방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한정되어 제작됨에 따라, 전체 건축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시공하거나 유지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물을 주로 사용하는 욕실의 경우 건물 골조에 비하여 설비의 노후화로 수명이 짧아 건축물 전체 내구기한 내에 두,세번 이상의 수리 및 개조를 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발코니의 경우 방을 구성하는 모듈 유닛의 연장선상에서 설치하는 경우 캔틸레버 구조로 뽑아내어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구조적으로 기존 설비 구조에 부담이 많이 가게 되며, 제작이 어려워 시공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모듈러 건축물에 있어서 내구연한이 짧은 구성부를 별도로 유닛화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된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모듈러 건축물에 있어서 내구연한 짧은 구성부의 유지관리 및 보수의 효율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된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시공 구조는 모듈 유닛을 조립하여 시공되는 모듈러 건출물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구성부 중 내구연한이 다른 구성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구성부를 별도의 모듈 유닛으로 제작하여 시공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별도의 모듈 유닛은 화장실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모듈 유닛은 발코니 유닛일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의 외측면에 면하도록 시공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의 외측면과의 접합을 위한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 유닛은 설비 배관을 위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건축물이 다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도록 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상하로 적층되는 각 유닛간에 접합을 위한 접합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 각층마다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의 적어도 2개 층 이상에 대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전체 층에 대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시공 구조에 의하면, 건물에 있어서, 내구연한이 떨어지는 화장실 등의 구성부만을 별도로 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존 구조체에 영향을 적게 주면서 시공 및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구연한이 떨어지는 구성부에 대한 유지 관리가 용이한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모듈러 건축물을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모듈러 건축물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모듈러 건축물의 각 구성부 중 내구연한이 다른 구성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구성부로써, 화장실 및 발코니를 예로 들어 그 시공하는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시공 구조는 화장실 및 발코니에 한정되지 않으며 건축물을 이루는 다양한 구성부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100)은 다수개의 층이 수직으로 적층되어 다층 건축물(100)을 이룬다. 상기 모듈러 건축물(100)의 각 층은 동일 형태로 이루어지며, 방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모듈 유닛(110)과, 화장실을 구 성하는 화장실 유닛(120) 및 베란다를 이루는 발코니 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러 건축물(100)은 상기 각 유닛들(110,120,130)이 적정 위치에서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방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모듈 유닛(110)은 동일한 형태이거나 서로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실 유닛(120)과 발코니 유닛(130)은 다른 모듈 유닛과 별도로 제작된다. 상기 각 유닛은 공장 등에서 완제품으로 제작되며 건설 현장으로 이동되어 조립된다.
상기 화장실 유닛(120)은 건축물(100)의 외면에 접하여 시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추후 화장실의 개수 및 보수시 해당 화장실 유닛(120)을 건축물(10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코니 유닛(130) 역시 건축물(100)의 외면에 접하여 시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장실 유닛(120)은 건축물(100)의 각 층마다 개별적으로 구비되며 각 화장실 유닛(120)은 해당 위치에 수직으로 적층되어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는 다층의 건축물(100)에 있어서 각 층마다 화장실 유닛(120)이 개별적으로 시공됨으로써, 보수해야될 화장실 유닛(120)만을 개별적으로 분리 개보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층 건축물(100)의 각 층마다 화장실 유닛(120)이 개별적으로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 외에 2개 이상의 층에 대해 하나의 화장실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화장실 유닛은 두 개 층 또는 세 개 층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외면에 적층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화장실 유닛의 개략적인 시공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장실 유닛(120)은 모서리에 조립을 위한 접합부(122)가 설치된다. 그리고 건축물(100)의 외면에는 상기 화장실 유닛(120)의 접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접합부(112)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화장실 유닛(120)은 모서리에 설치된 접합부(122)를 건축물(100)의 외면에 설치된 각 층의 접합부(112)에 일치시키고 볼트 등을 매개로 조립하여 건축물(100)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로 적층되는 화장실 유닛(120) 사이에도 상호 대응되는 접합부(122)간에 볼트 등을 매개로 접합시킴으로써 화장실 유닛(120)을 수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화장실 유닛(120)은 건축물(100)의 외면에 접하는 측면으로 설비 배관을 위한 덕트(1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100)의 외면에는 상기 덕트(1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배관커넥터(114)가 더욱 설치된다.
이에 상기 화장실 유닛(120)을 건축물(100) 해당 층의 외면에 조립하게 되면 접합부(112,122)를 매개로 화장실 유닛이 건축물 외면에 고정됨과 더불어 덕트(124)가 배관커넥터(114)와 연결되어 화장실 유닛(120)과 건축물(100) 사이의 설비 배관이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는 발코니 유닛(130) 역시 그대로 적용된다. 상기 발코니 유닛(130)은 건축물(100)의 외면에 접하여 설치되며, 발코니 유닛(130)의 측면과 건 축물(100)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접합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접합부 사이를 볼트 등을 매개로 접합시킴으로써 건축물(100)에 발코니 유닛(130)이 조립된다.
도 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건축물(100)은 다수개의 층이 수직으로 적층되어 다층 건축물(100)을 이룬다. 상기 건축물(100)의 각 층은 동일 형태로 이루어지며, 방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모듈 유닛(110)과 화장실을 구성하는 화장실 유닛(140) 및 베란다를 이루는 발코니 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화장실 유닛(140)과 발코니 유닛(150)은 다른 유닛과 별도로 제작된다. 상기 각 유닛은 공장 등에서 완제품으로 제작되며 건설 현장으로 이동되어 조립된다.
상기 화장실 유닛(140)과 상기 발코니 유닛(150)은 건축물(100)의 외면에 접하여 시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실 유닛(140)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150)은 상기 모듈러 건축물(100)의 전체 층에 대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화장실 유닛(140)은 건축물(10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코니 유닛(150) 역시 상기 건축물(10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장실 유닛(140)과 발코니 유닛(150)은 각각 건축물(100)의 외면의 해당 설치 위치에 접하여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화장실 유닛(140)과 발코니 유닛(150)의 측면 그리고 건축물(100)의 해당 설치 위치의 외면에는 각각 서로간의 연결을 위한 접합부가 설치된다. 상기 접합부의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장실 유닛(140)의 경우 덕트가 건축물(100)과 접하는 측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건축물(100)에는 상기 덕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덕트와의 연결을 위한 배관커넥터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화장실 유닛(140)을 건축물(100) 외면에 조립하게 되면 접합부를 매개로 고정됨과 더불어 덕트가 배관커넥터와 연결되어 화장실 유닛(120)과 건축물(100) 사이의 설비 배관이 연결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모듈러 건축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모듈러 건축물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구조로써, 화장실을 시공하는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건축물 110 : 모듈 유닛
112,122 : 접합부 114 : 배관커넥터
120,140 : 화장실 유닛 124 : 덕트
130,150 : 발코니 유닛

Claims (11)

  1. 모듈 유닛을 조립하여 시공되는 모듈러 건출물 시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구성부 중 내구연한이 다른 구성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구성부를 별도의 모듈 유닛으로 제작하여 시공하는 구조의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모듈 유닛은 화장실 유닛인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모듈 유닛은 발코니 유닛인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의 외측면에 면하도록 시공되는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의 외측면과의 접합을 위한 접합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유닛은 건축물과의 접면에 배관을 위한 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건축물의 외면에는 상기 덕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덕트에 연결되는 배관커넥터가 설치된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건축물이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 각층마다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상하로 적층되는 각 유닛간에 접합을 위한 접합부를 더욱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모듈러 건축물의 적어도 2개 층 이상에 대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유닛 또는 상기 발코니 유닛은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전체 층에 대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KR1020090021647A 2009-03-13 2009-03-13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KR10108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647A KR101081554B1 (ko) 2009-03-13 2009-03-13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647A KR101081554B1 (ko) 2009-03-13 2009-03-13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170A true KR20100103170A (ko) 2010-09-27
KR101081554B1 KR101081554B1 (ko) 2011-11-08

Family

ID=4300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647A KR101081554B1 (ko) 2009-03-13 2009-03-13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18B1 (ko) * 2013-04-04 2013-11-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모듈시스템과 유닛모듈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주택 제작방법
KR102271151B1 (ko) * 2020-11-13 2021-07-01 금강공업 주식회사 건축물의 바닥 타설 직후 공장제작 화장실 모듈을 인양하고 설치 시기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시공방법
KR102465330B1 (ko) 2022-01-21 2022-11-09 금강공업 주식회사 구조 일체형 패널라이징 옥탑 모듈러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275A (ja) * 1999-01-05 2000-07-18 Sekisui Chem Co Ltd 配管接続用継手及び建物ユニット
JP2002004408A (ja) * 2000-06-15 2002-01-09 Sekisui Chem Co Ltd バルコニー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554B1 (ko)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8352C2 (ru) Сборный модуль для здания
EP2617913B1 (en) Prefabricated panel for a building
EP261791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US20110016801A1 (en) Buildings formed of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modules
US20130305629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KR100643075B1 (ko) 모듈형 조립식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60040443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US20060130422A1 (en) Modular buildings
CN105178448B (zh) 木结构建筑梁柱连接节点结构
US20170167128A1 (en) Building with modules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 building
KR101081554B1 (ko) 모듈러 건축물 시공 구조
CN104763059A (zh) 建筑用连接件、框架结构和用连接件组装框架结构的方法
KR10183535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03174821U (zh) 一种拼装式建筑隔墙
CN106760139B (zh) 一种外贴式模块化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725412A (zh) 一种钢结构内嵌集成房屋体系
CN111119342A (zh) 一种联肢模块化装配式钢结构房屋
KR100995453B1 (ko) 블록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KR101324518B1 (ko) 유닛모듈시스템과 유닛모듈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주택 제작방법
CN112942898B (zh) 模块化整体装配式建筑体系及建筑模块单元和连接节点
CN211007197U (zh) 一种装配式轻质隔墙板连接结构
KR100851878B1 (ko) 모듈러 주택용 패널 박스 모듈
KR102580908B1 (ko) 철골 3d 모듈러 유닛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21529Y1 (ko) 육상건축물 및 해양구조물의 건축용 조립식 객실의 일체형구조
JP2020521894A (ja) 特に水平建物構造を構成するための平坦な建物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