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085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085A
KR20140085085A KR1020120155273A KR20120155273A KR20140085085A KR 20140085085 A KR20140085085 A KR 20140085085A KR 1020120155273 A KR1020120155273 A KR 1020120155273A KR 20120155273 A KR20120155273 A KR 20120155273A KR 20140085085 A KR20140085085 A KR 20140085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nozzle
vibration
nozzle unit
vibration pl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649B1 (ko
Inventor
이창욱
송기용
하건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49B1/ko
Priority to CN201310741202.7A priority patent/CN103892772B/zh
Publication of KR2014008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 노즐부 바디; 상기 유입된 공기에서 걸러진 먼지를 보관하는 먼지통;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하부에,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기의 작동 위치에서, 상기 청소기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는 내부에 팬모터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여 먼지를 걸러내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를 일반적으로 청소기라 부를 수 있다.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몸체와 흡입노즐이 연장 튜브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형 청소기와 몸체에 흡입노즐이 직접 연결되는 업라이트(up-right)형 청소기가 있다.
한편, 간이 청소기로 사용자가 청소기 몸체를 직접 잡은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핸디형 청소기도 많이 보급되어 있다.
최근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침구를 청소할 수 있는 침구 청소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침구 청소기도 핸디형 청소기라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핸디형 청소기와는 달리 침구 청소기에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핸디형 청소기는 대상물의 일부분을 간단하게 청소하기 위해 제작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핸디형 청소기의 취급 시 사용자의 자세로 인한 불편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캐니스터형 청소기와 업라이트형 청소기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이들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서있는 자세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침구 청소기를 사용하여 침구를 청소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을 들여 침구 전체를 골고루 청소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 시 사용자의 자세로 인한 불편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종래의 청소기, 특히 침구 청소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침구 청소기(1)는 상부 바디(2), 핸들(3), 노즐 바디(5) 그리고 하부 바디(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5)는 지면, 특히 침구에 수평하게 구비되며, 상기 노즐 바디(4)를 통해 침구를 청소하게 된다.
상기 노즐 바디(5)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노즐(6), 진동 플레이트(7) 그리고 상기 애지테이터(agitator, 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7)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여 침구 내의 먼지를 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애지테이터(8)는 침구 표면의 먼지를 쓸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진동 플레이트(7)와 애지테이터(8)의 작동으로 인해 침구 청소가 더욱 효과적이게 된다.
상기 하부 바디(4)는 상기 노즐 바디(5)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 바디(4)와 상기 노즐 바디(5)의 상부에 상기 상부 바디(2)가 결합되어 청소기의 몸체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4)에는, 지면에 대해서 상기 청소기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9)가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롤러(9)와 상기 애지테이터(8)에 의해 청소기가 지면 또는 침구 상에서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을 잡고 전후로 청소기를 주행시키면서 침구를 청소하게 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구 청소기는 전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침구 청소시 허리를 굽혀서 장시간 청소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아울러, 청소기 상부 바디(2)와 핸들(3)과의 위치 차이로 인해, 지면 또는 침구로 힘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사용자는 청소시 전방과 후방으로만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노즐 바디(5)가 지면이나 침구와 밀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효과적인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충분히 침구에 진동을 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소기의 높이를 키우기 위해 핸들(3)의 위치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청소기 상부 바디(2)의 형상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바디(2)의 형상과 핸들(3) 형상이 불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청소기의 전체적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청소기의 상부 바디(2)에 비해 핸들(3)이 너무 높게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부 바디(2)와 핸들(3)은 별도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핸들(3)의 높이를 키우게 되면 전체적인 외형이 커지게 되어, 취급이나 보관 시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한편, 안정적인 주행을 위해, 청소기의 무게 중심은 애지테이터(8)와 롤러(9) 사이에 구비된다. 그러나,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지면과 가깝기 때문에 주행을 위해 핸들(3)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모멘트 거리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바디(5)가 지면이나 침구와 밀착되지 않을 우려가 많다.
그리고, 하부 바디(4)와 노즐 바디(5)가 전체적으로 지면과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므로, 청소를 위한 주행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는, 청소와 무관한 영역이 지면과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이러한 형상은 청소 영역, 즉 노즐 바디(5) 면적을 키우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청소를 위해 시간당 주행 거리가 짧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결국 청소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청소기(1) 내부에서의 유로는 방향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공기 저항이 높은 문제가 있다.
먼저, 에어 가이드(11)을 통해서 공기는 먼지통(12)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11)에서는 공기가 상부, 후방 다시 상부로 방향 전환된다. 상기 먼지통(12)으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통 후방으로 배출되어 팬모터(13)로 유입된다. 상기 팬모터(13)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터(13)의 일측(지면 통과 방향)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유로 구조로 인해, 청소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외부로 배출되기까지 공기 유동의 방향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소음이 증가하고 원활한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소음 차폐를 위해 부가적인 구성들이 더욱 추가될 수 있으며, 팬모터를 수용하는 팬 모터 챔버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청소기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진동 플레이트(7)를 구동하는 진동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모터(14)가 회전하면 회전력은 벨트(15)를 통해 감속기어(16)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모터 자체의 회전으로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벨트(15)를 통해 토크가 향상되고, 감속 후 편심 베어링(17)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은 연결부재(18)를 통해 진동 플레이트(7)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80)는 탄성부재(19)를 통해 노즐 바디(5)에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모터(14)에서부터 진동 플레이트(7)까지 복잡한 연결 구조를 갖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연결 구조들은 흡입 노즐부에서의 공기 유로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아울러, 복잡하고 많은 구성들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물론, 모터의 고정 구조뿐만 아니라 편심 베어링(17)을 고정하는 구조가 추가되기 때문에 제조가 복잡한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히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 신뢰성 및 진동 효과가 증진된 진동시스템을 갖는 청소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진동 플레이트(32)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침구를 청소하도록 마련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구 청소기에서는 진동 플레이트(7)가 청소기(1)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진동 플레이트(7)가 제대로 작동을 하는지, 어느 정도의 진동을 가하고 있는지, 그리고 진동 플레이트(7)로 인해 침구에서 얼마나 많은 먼지가 비산되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진동 플레이트(7)가 청소기(1)의 하부에 구비되며, 그 높이 또한 매우 낮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진동 플레이트(32)가 침구에 진동을 가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의 시각적 관념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진동 플레이트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보다 견고히 청소기에 고정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청소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진동 플레이트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 플레이트의 파손, 손상, 변형 그리고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 편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간단히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신뢰성이 증진된 진동시스템을 갖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 자체가 진동하도록 하고, 모터의 진동을 진동 플레이트의 진동으로 전환하도록 하여, 진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시스템의 고정구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진동 모터를 통해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를 진동시킬 수 있어서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 모터의 위치를 흡입구의 수직 상부에 위치시켜,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 사이의 밸런스를 쉽게 유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허리를 굽히는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노즐 부분이 지면이나 침구와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청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히 흐르도록 하여, 청소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 노즐부 바디; 상기 유입된 공기에서 걸러진 먼지를 보관하는 먼지통;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하부에,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기의 작동 위치에서, 상기 청소기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외곽 형상은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외곽 형상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 대상물에 대응되는 저면부; 그리고 상기 저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청소기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저면부와 측면부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면부는 직접 침구에 진동을 가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저면부와 함께 진동을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상기 저면부의 두께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5mm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부는 실질적으로 침구에 진동을 가하는 부분이 아니라, 외부로 가시적으로 진동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디의 외곽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길이 인입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침대 헤드 보드나 벽면과 직접 부딪히지 않게 된다. 상기 측면부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곡면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는, 상부 수직 외벽; 그리고 상기 수직 외벽의 하부에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상하 진동에 의한 간섭 회피를 위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위치되는 하부 수직 외벽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 대상물에 대응되는 저면부; 그리고 상기 저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부의 최상단은 상기 상부 수직 외벽과 상기 하부 수직 외벽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는, 상기 측면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하부 수직 외벽의 하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구조와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구조를 통해, 진동 시 양자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 인해 허용되는 이동 이상으로 진동 플레이트가 이동될 때, 외부 충격으로부터 진동 플레이트가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최대 진폭을 제한하는 한편, 상기 진동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외력을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상부에 위치되는 진동 모터;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구비되는 연결홀; 그리고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진동 모터를 통해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고 상기 연결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홀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가 삽입되는 플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렌지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홀에서 상기 고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며, 지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를 갖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는, 상기 흡입 노즐부의 측면 최외곽을 이루는 흡입 노즐부 바디;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측면부가 상기 흡입 노즐부의 측면 최외곽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길이 인입되어, 상기 측면부가 상기 청소기 외부에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흡입구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는, 상기 측면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는, 상기 흡입 노즐부의 측면 최외곽을 이루는 상부 수직 외벽; 그리고 상기 수직 외벽의 하부에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측면부의 상하 진동에 의한 간섭 회피를 위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위치되는 하부 수직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서 상기 탄성 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부재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진동을 가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회전축의 편심 부하로 인해 자체 진동하는 모터; 청소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모터의 진동을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편심 부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편심추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편심추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원의 접선 방향으로 힘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힘으로 인해 모터 자체가 진동하게 된다.
상기 진동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 그리고 상기 모터 수용부와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모터와 모터 수용부의 진동을 진동 플레이트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모터와 모터 수용부의 진동을 회전 각도가 제한된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진동 플레이트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각도 제한을 위해 탄성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는 힌지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힌지축에서 전후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전후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서 하부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힌지축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수평 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편심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힌지축의 편심 관계로 인해, 상기 힌지축에서 회전력이 발생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력의 방향은 교대로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력은 연결부재의 회전을 야기시키며, 이는 연결부재 말단의 상하 진폭을 야기시키게 된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모터의 양측(좌우)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힌지축 각각에 대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힌지축은 동축을 이루고,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별개의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에 진동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모터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진동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 면적을 키워 진동으로 인한 청소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시간당 진동 횟수를 두 배로 키울 수 있으므로, 한층 더 청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지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 진동 플레이트 그리고 연결부재는 상기 바디에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바디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상하 진폭이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부를 갖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흡입 노즐부 바디; 그리고 회전축의 편심 부하로 인해 자체 진동하는 모터와 상기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를 갖는 진동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 시스템은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진동 방향에 대해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탄성 지지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흡입구의 전후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진동 플레이트는 서로 교차 방향으로 진동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시스템은, 모터 수용부; 상기 모터 수용부에 구비되는 힌지축; 그리고 상기 힌지축의 전후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진동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모터 수용부의 양측(좌우)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별개의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진동 플레이트는 서로 교차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을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는 힌지축 고정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 고정부재를 통해, 진동 모터와 모터 수용부의 병진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방향의 힘, 즉 병진 이동을 하려는 힘은 힌지축에서 회전력으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모터 수용부는, 모터 안착부; 그리고 상기 모터 안착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힌지축을 형성하는 이격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안착부를 덮되 모터 안착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이격 부재와 결합되는 모터 수용부 커버를 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조작을 위해 힘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 상기 흡입 노즐부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팬모터 실장부;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와 상기 팬모터 실장부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부와 상기 팬모터 실장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 베이스 바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부에 대응되는 베이스 바디(제1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진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베이스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진동 모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지면에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 바디의 상부에 상기 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는 전원 연결식 또는 충전식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가 구비되는 배터리 안착부는 전원 연결식 또는 충전식과 무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배터리 안착부에 배터리가 안착되면 충전식 청소기가 구현되고, 배터리 안착부에 배터리가 안착되지 않으면 전원 연결식 청소기가 구현될 것이다. 후자의 경우는 별도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코드가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안착부는 상기 제1 베이스 바디의 전방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청소기의 무게 중심을 보다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팬모터 실장부에 대응되는 베이스 바디(제2베이스 바디)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지면과의 높이 차이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모터 실장부에 대응되는 베이스 바디(제2베이스 바디)에, 지면에 대해서 중심축이 사선 방향이 되도록 팬모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선 방향의 제2베이스 바디에 마찬가지로 사선 방향으로 팬모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바디의 사선 방향과 나란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흡입 노즐부 후방 그리고 상기 팬모터 실장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면에 대해서 상기 흡입 노즐부와 함께 상기 청소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구 청소기의 무게 중심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 브라켓; 그리고 상기 지지부 브라켓에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는 하나일 수 있으나, 좌우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양쪽으로 두 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지지부 브라켓은 상기 팬모터 실장부와 상기 지면과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팬모터 실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 브라켓과 지면과의 맞닿을 수 있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좌우 폭 중 일부분에서만 하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 바디의 좌우 중심부분 일부부분에서만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팬모터 실장부에 구비되는 팬모터의 무게 중심은 상기 바퀴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청소기의 무게 중심은 지면에 대해서 상기 팬모터 실장부의 수직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조작을 위해 힘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 상기 흡입 노즐부 상부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면과의 높이 차이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바디; 사용자가 힘을 가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핸들부;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먼지통;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먼지통의 후방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팬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에서 상기 팬모터에 이르는 공기의 유로는, 상기 바디 내부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은 상기 바디의 경사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후방 상측으로 안내하여 상기 먼지통으로 공급하는 에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는 흡입구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흡입구의 수직 상부에 진동 모터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가 실질적으로 흡입 노즐부의 중심부를 이루므로, 흡입 노즐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진동 플레이트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흡입 노즐부의 중심부에 진동 모터를 구비하고, 진동 모터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이 대칭되도록 진동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먼지통은, 상기 팬모터와 연통되며, 상기 바디의 경사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구비되는 먼지통 토출부;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와 연통되며, 상기 먼지통 토출부에 비해서 상기 흡입 노즐부 측으로 더욱 치우치는 각도로 구비되는 먼지통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모터는, 상기 바디의 경사와 대응되도록, 중심축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바디 경사와 대응되는 공기 유로를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팬모터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모터 상부로 토출된 후, 상기 바디의 하부 양측으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부 후방 그리고 상기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면에 대해서 상기 흡입 노즐부와 함께 상기 침구 청소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바디의 후방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는 라운드 형상의 그립부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상기 바디의 경사 방향과 나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바디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흡입 노즐부를 이루는 제1베이스 바디; 상기 제1베이스 바디의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팬모터가 장착되는 제2베이스 바디;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 바디와 제2베이스 바디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 바디 양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바디 토출구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기의 작동 위치에서, 상기 청소기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청소가 제대로 수행되고 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신뢰성 및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의 전방과 후방에 진동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 상기 흡입 노즐부 상부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후방으로 갈 수록 상기 지면과의 높이 차이가 커지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먼지통과 팬모터가 구비되는 바디;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지면을 향해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입 노즐부와 함께 상기 바디를 상기 지면에 비접촉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부는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침구 청소기의 주행을 위하여 가하는 힘이, 상기 바디의 경사 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바디의 후방 상부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은 범위 내에서 서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각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을 통한 효과들도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청소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진동 플레이트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 플레이트의 파손, 손상, 변형 그리고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 편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간단히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신뢰성이 증진된 진동시스템을 갖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 자체가 진동하도록 하고, 모터의 진동을 진동 플레이트의 진동으로 전환하도록 하여, 진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시스템의 고정구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진동 모터를 통해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를 진동시킬 수 있어서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 모터의 위치를 흡입구의 수직 상부에 위치시켜,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 사이의 밸런스를 쉽게 유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허리를 굽히는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노즐 부분이 지면이나 침구와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청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히 흐르도록 하여, 청소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침구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구 청소기의 저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구 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침구 청소기의 진동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메인 바디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전방부에 대한 사시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진동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진동시스템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진동시스템에 진동 플레이트가 추가된 평면도;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흡입 노즐부 상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진동시스템의 진동 모터 수용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흡입 노즐부의 하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6은 도 5에 도시된 흡입 노즐부의 일부 단면도;
도 17은 가압부재를 포함한 흡입 노즐부의 부분 사시도;
도 18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에서 탄성지지구조 및 가압부재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00)의 외형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기(200)는 바디 또는 메인 바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청소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 바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바디(20)는 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 바디(20)의 중심선(S)이 지면에 대해서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바디(20)의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에 대한 높이 차이가 더욱 커지게 된다.
상기 중심선(S)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α)는 30°내지 50°임이 바람직하며, 대략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각도가 더욱 커질수록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고, 반대로 각도가 더욱 작아질수록 종래의 청소기에서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소기(200)는 지면이나 침대에 수평으로 놓인 침구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흡입 노즐부(25)가 청소 영역과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노즐부(25)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전방 하부를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기 흡입 노즐부(25) 상부에서부터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하부를 베이스 바디(22)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바디(22)의 전방 부분을 흡입 노즐부 바디 또는 제1 베이스 바디(23)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흡입 노즐부(25)에 대응되는 베이스 바디(22)를 제1베이스 바디(23)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3)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 베이스 바디(24)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 바디(22)의 전방은 제1베이스 바디(23)라 할 수 있고, 후방은 제2베이스 바디(24)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는 지면에 대응하여 수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는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높이차가 더욱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와 상기 지면과의 경사 각도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중심선(S)과 상기 지면과의 경사 각도(α)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는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베이스 바디(24)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20)를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 바디(20)의 후방 상측에는 핸들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부(80)를 잡고, 상기 흡입 노즐부(25)가 침구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 주행하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부를 이루는 바디 커버(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21)는 상기 베이스 바디(22)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들이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바디 커버(21)와 베이스 바디(22)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청소기(200)는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25)와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팬모터 실장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부(25)와 팬모터 실장부(26)는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 베이스 바디(22)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22)는 상기 흡입 노즐부(25)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 바디(23)와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에 대응되는 제2베이스 바디(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와 일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바디(22)의 상부에는 바디 커버(21)가 구비되어, 양자의 결합으로 전체적인 청소기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21)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 바디(22)의 형상과 부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바디 커버(21)도 마찬가지로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 커버(21)의 경사진 전면을 통해 먼지통(90)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통(90)의 장착 방향은 상기 청소기(200)의 경사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먼지통(90)에서 보다 원활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베이스 바디(23)에는 진동시스템(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시스템(30)은 진동 모터(31)와 진동 플레이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는 진동 모터(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하부에는 진동 플레이트(32)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흡입 노즐부(25)에 진동 모터(31)와 진동 플레이트(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31)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로 전달된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지면 또는 침구와 수평되도록 위치되어,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여 먼지를 털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베이스 바디(24)의 후방에는 전원 코드(4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코드(46)를 통해 청소기 작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200)는 침구 청소기에 적합할 수 있으므로, 청소 영역은 침구의 면적과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캐니스터 청소기나 업라이트 청소기와는 달리 청소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원 코드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00)에는, 상기 전원 코드(46)와 선택적으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원 코드(46)가 배제되고 배터리만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청소기(200)가 충전 스테이션(미도시)에 장착되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청소기에서 충전 방식과 전원 연결 방식이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터리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는 배터리 장착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 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배터리의 선택적 장착을 위해, 상기 배터리 장착부(41)는 충전 방식이든 전원 연결 방식이든 구분없이 모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터리의 무게는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의 장착 위치에 따라 청소기(200)의 전체 무게중심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높이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주행의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무게 중심을 낮추는 한편,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배터리를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 상부에 장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 장착부(41)는 흡입 노즐부(25)의 전방에 위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을 더욱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장착 위치를 통해서, 주행 안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전식 청소기가 아닌 전원 연결식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원 코드(46)가 전원에 인가된 경우에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터리가 메인 바디(20) 내부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이 메인 바디(20)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무게 중심과 지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식 청소기(배터리를 갖고 있는 청소기)가 아닌 전원 연결식 청소기의 경우를 설명한다.
청소시, 청소기의 바디 또는 메인 바디(20)는 실질적으로 애지테이터(44)에 의해서 지지된다. 즉, 흡입 노즐부(25)에 구비되는 애지테이터(44)에 의해 지면에 대해서 청소기가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기 애지테이터(44)의 후방, 더욱 구체적으로는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애지테이터(44)의 후방에 상기 청소기를 지지하는 지지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후방 그리고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제1베이스 바디(23)가 아닌 제2베이스 바디(24)에 지지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부(70)를 통해 형성되는 지지점은,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에서 지면에 대한 수직 하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은 상기 지지부(70)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무게 중심은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은, 지면에서 수직한 위치의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 그리고 상기 지지점에서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 상기 애지테이터(44)의 위치 그리고 상기 지지부(70)의 위치 사이의 관계로 인하여 상기 청소기(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를 통해서 사용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70)는 지지부 브라켓(71)과 바퀴(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에 상기 바퀴(7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퀴(72)가 상기 애지테이터(44)와 함께 청소기(200)를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는 지지점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와 상기 지면과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팬모터 실장부(2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베이스 바디(24)의 하부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제2 베이스 바디(40)의 좌우 폭 중 일부에서만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는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이 지면과 맞닿을 수 있는 면적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 영역과는 무관한 면적, 즉 청소와 무관하게 지면이나 침구와 맞닿을 수 있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퀴(72)는 지지부 브라켓(71)의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의 무게 중심은 상기 좌우 바퀴(7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청소기의 주행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보다 안정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청소기(100)의 주행은 사용자가 핸들부(80)를 잡고 힘을 가하면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80)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잡기가 편리하고 손목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80)의 위치는, 바디(2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된다. 미련한 디자인과 최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80)는 상기 바디(2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핸들부(80)는 바디(20)의 일부분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80)는 폐곡선을 갖도록 상기 바디(20)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핸들부(80)는 상기 바디 커버(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80)의 형상과 위치로 인해, 사용자는 주행을 위하여 바디(10)의 경사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즉, 전방 주행을 위해서, 전방뿐만 아니라 하방으로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경사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전방 성분과 하방 성분으로 나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핸들부(80)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하방 성분은, 상기 흡입 노즐부(25)를 지면에 더욱 밀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00)의 유로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지면 또는 침구로부터 공기와 먼지가 에어 가이드(42)를 통하여 청소기(2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42)는 지면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42)는 먼지통(90)과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42)는 흡입 노즐부(25)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후방 상측으로 안내하여 상기 먼지통(90)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먼지통(90)은 바디(20)의 경사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90)은 내부에 먼지가 수용되는 챔버(91)를 포함하고,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통 유입부(94) 그리고 공기가 배출되는 먼지통 토출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토출부(95)는 상기 바디(20)의 경사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토출부(95)는 메쉬 형태의 격벽(93)에 통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93)의 전방에는 필터(9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92)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고, 공기가 상기 먼지통 토출부(95)를 거쳐 팬 모터 어셈블리(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유입부(94)는 상기 에어 가이드(42)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 유입부(94)는 상기 먼지통 토출부(95)에 비해서 상기 흡입 노즐부(25) 측으로 더욱 치우치는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면에 대해서 더욱 수평하게 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42), 상기 먼지통 유입부(94) 그리고 상기 먼지통 토출부(95)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하여, 공기는 실질적으로 후방 경사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좌우, 상하 그리고 전후로 유로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공기 유동 방향은 팬 모터 어셈블리(50)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이 매우 원활히 수행될 수 있고,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는 팬모터 실장부(26)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모터 실장부(26)는 후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베이스 바디(24)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도 후방 경사지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중심축이 상기 바디(20)의 중심선(S)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로 인해, 실질적으로 바디(24) 내부에서 상기 바디(20)의 중심선(S)와 나란하거나 동일한 유로 방향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로 인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 모터(51)의 중심축도 상기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
상기 먼지통 토출부(9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패킹(55)를 거쳐서 팬 모터(51)를 감싸는 모터 챔버(52, 53)으로 유입된다. 상기 모터 챔버(52, 53)은 상부 모터 챔버(52)와 하부 모터 챔버(5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모터 챔버(52)와 하부 모터 챔버(53)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팬 모터(5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챔버(52, 53)은 챔버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챔버(52)의 상부에는 필터(5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바디(20) 내부에서 매우 미세한 먼지까지 걸러주기 위해 필터(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54)를 거쳐 배출되는 공기는, 모터 챔버(52, 53)의 좌우 양측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제1 베이스 바디(26)의 양측에 구비되는 바디 토출구(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20) 특히 바디 커버(21)의 내측과 상기 모터 챔버(52, 53)의 외측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배출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바디 커버(21)의 측면 공간을 활용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속 감소로 인해 배기풍으로 인한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모터 챔버(52, 53)를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팬 모터 어셈블리(50)으로 인한 소음 차폐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팬 모터(51)를 감싸는 모터 챔버를 이중으로 형성하지 않고 단일 챔버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모터 챔버(52)와 하부 모터 챔버(53)의 결합으로 단일 모터 챔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 커버(21)의 측면 공간을 활용하여 배기풍으로 인한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유로가 노즐 흡입구(26, 도 15 참조)에서부터 팬모터(51)에 이르기까지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메인 바디(20)의 경사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기의 유로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메인 바디(20) 내부의 공기 유로의 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원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빈 화살표는 먼지의 유동 경로 그리고 채워진 화살표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다. 따라서, 먼지는 먼지통까지 경사 방향으로 유입되고, 공기는 팬모터(51)까지 경사 방향으로 유입된다. 팬모터(51)에서 공기는 팬모터의 하부를 통해 상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72)의 위치와 상기 팬모터(51)의 무게 중심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상기 팬모터(51) 또는 팬모터 어셈블리(50)는 상대적으로 무겁다. 따라서, 이들의 무게가 전체 청소기의 무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이러한, 팬모터(51) 또는 팬모터 어셈블리(50)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상기 바퀴(72)와 지지부 브라켓(71)의 위치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바퀴(72)와 지지부 브라켓(71)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50)의 무게 중심은, 주행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퀴(72)를 통해 형성되는 지지점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팬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로 인해, 전체적인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상기 바퀴(72)의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청소기의 무게 중심을 더욱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배터리의 유무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서의 무게 중심은, 흡입 노즐부(25) 후방 그리고 지지부(70)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후방 상부로 경사진 제2 베이스 바디(24)의 지면에 대한 수직 상부에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충전식 또는 전원 연결식 어느 하나로 청소기가 구현되더라도,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진동시스템(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진동 발생 및 전달 메커니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 모터(31) 자체의 회전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진동 모터(31)의 회전축(31a)에 편심추(31b)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1a)의 회전으로 상기 편심추(31b)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편심추(31b)의 회전으로 인해 모터 전체에 진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모터 회전축(31a)의 편심 부하로 인해 모터가 자체 진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 자체의 진동은 진동 전달부재(33)를 통해 진동 플레이트(3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재(33)는 상기 모터(31)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34)와 상기 모터 수용부(34)와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 전달부재(33) 또는 상기 모터 수용부(34)는 힌지축(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은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은 진동 플레이트(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수용부(34) 또는 진동 전달부재(33)는 이격부재(3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33a)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31a)와 상기 힌지축(36)이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시키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이격부재(33 a)는 모터가 안착되는 모터 안착부(34a)와 상기 연결부재(35)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추(31b)가 회전하면서, 원운동의 접선 방향으로 힘(점선 화살표)이 발생한다. 상기 힌지축(36)을 기준으로 상기 편심추(31b)의 원운동에 따라 모멘트 거리(실선 화살표)가 달라진다. 이러한 접선 방향의 힘과 상기 모멘트 거리로 인해 상기 힌지축(36)에는 회전력이 발생한다. 아울러, 접선 방향의 힘과 모멘트 거리에 따라 회전 방향과 회전력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편심추(31b)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3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력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의 회전축(31a)과 상기 힌지축(36)의 편심으로 인해, 상기 힌지축(36)에서 회전력이 발생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축(31a)에 대해서 상기 힌지축(36)이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축(36)에서 모멘트가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멘트는 모터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 방향을 교번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축(31a)과 힌지축(36) 사이의 상하 이격 및 전후 이격으로 인해 회전 회전 방향이 교번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격부재(33a)에 의해서 이러한 이격들이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5)는 상기 힌지축(36)에서 전후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5)의 중심은 상기 힌지축(36)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31)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35)의 전후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36)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31a)의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편심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6)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35)의 전후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35)의 전방이 상부로 회전할 때, 상기 연결부재(35)의 후방이 하부로 회전한다. 그리고,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반대로 연결부재(35)의 전방이 하부로 회전하고, 상기 연결부재(35)의 후방이 상부로 회전한다.
상기 모터(31)가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과 후방은 상하로 매우 빠르게 진동하게 되며, 진동 방향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아울러, 상하 진폭은 탄성부재(37)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탄성부재(37)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부재(35)의 상하 진폭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7)는 댐퍼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부재(35)의 진폭(예를 들어, 3 내지 4 mm)만을 허용하고,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진동 모터(31)를 이용하여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를 진동시킬 수 있는 청소기(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모터(31)의 양측에 전술한 힌지축(36)과 연결부재(3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힌지축(36)은 동축을 이루고, 상기 힌지축(36)의 전후에 별개의 진동 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힌지축(36)들이 이루는 동축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별개의 진동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힌지축(36)과 진동 모터(31)의 회전축 사이의 편심으로 인해, 연결부재(36)의 진동 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부재(36)의 진동 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에 구비되는 진동 플레이트(32)가 하부로 이동될 때, 후방에 구비되는 진동 플레이트(32)는 상부로 이동한다. 반대로, 전방에 구비되는 진동 플레이트(32)가 상부로 이동될 때, 후방에 구비되는 진동 플레이트는(32)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흡입 노즐부(25)의 전방과 후방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진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32)와 진동 플레이트 사이의 교차 진동으로 인해, 보다 많은 면적에 진동을 가하게 되어, 청소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시간당 진동을 가하는 횟수를 두 배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청소 효율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진동시스템(30)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부(25)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노즐부(25)의 하부 중앙부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흡입구(25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구(25a)의 연장 방향은 청소기(200)의 주행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흡입구(25a)는 좌우 길이가 길고 전후 길이가 짧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5a)는 전술한 에어 가이드(42)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에어 가이드(42)의 일단이 상기 흡입구(25a)를 형성하고, 타단은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흡입구(25a)가 상기 에어 가이드(42)의 일단과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하부 그리고 상기 흡입구(25a)의 전후에는 각각 진동 플레이트(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의 외곽 형상은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형상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즉, 흡입 노즐부(25)의 형상이 원형일 수 있으므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의 외각 형상, 즉 테두리 형상은 반원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32)가 전체적으로 원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모터(31)는 실질적으로 상기 흡입구(25a)의 수직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진동 모터(31)의 길이 방향이 상기 흡입구(25a)의 길이 방향과 나란함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진동 시스템에서는 모터(14)의 길이 방향이 흡입구(6)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모터(14)가 흡입구(6)의 후방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모터(14)와 진동 플레이트(7) 사이의 진동 전달 메커니즘으로 인해, 흡입구(6)에서 먼지통(12)로 이르는 유로 구조가 복잡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11)의 구조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이 빈번하게 변경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25a)의 수직 상부에 진동 모터(31)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에어 가이드(42)의 형상을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모터 수용부(34)나 연결부재(35)와 에어 가이드(42)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해,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31) 자체가 진동한다. 따라서, 모터 수용부(34)와 연결부재(35)도 진동하게 된다. 즉, 진동시스템(30) 전체가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시스템(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한편, 발생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진동 플레이트(32)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먼저, 회전하는 모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31)의 상부에서 모터를 보호하는 커버가 필요하다. 물론, 상기 모터(31)는 모터 수용부(34)의 모터 안착부(34a)에 안착되므로, 상기 커버는 상기 모터 수용부(34)를 덮는 모터 수용부 커버(34a)임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1)는 자체 진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가 상기 모터(31)와 직접 맞닿는 경우, 모터 수용부 커버(34a)가 진동하여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가 상기 모터와 이격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는 이격 부재(33a)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는 상기 이격 부재(33a)와 소정 갭(d)를 갖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격 부재(33a)에는 상부로 돌출된 보스(39)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스(39)는 모터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가 상기 보스(39)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크류를 통해 상기 이격 부재(33a)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의 내측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발생될 수 있는 모터(31)와 모터 수용부 커버(34a) 사이의 접촉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시스템(30)의 대부분 구성은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시스템(30)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 탄성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모터(31), 모터 수용부(34) 그리고 이격 부재(33a)의 진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5)의 진동으로 전환된다. 즉, 편심추(31b)의 회전으로 인한 접선 방향의 힘이 힌지축(36)에서의 회전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36)에서의 병진 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모터(31), 모터 수용부(34) 그리고 이격 부재(33a)를 흡입 노즐부(25) 또는 제1 베이스 바디(23)에 고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는 힌지축 고정부재(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 고정부재(48)가 상기 힌지축(36)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36)에서의 병진 운동이 제한된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36)에서의 회전력으로 인해 연결부재(35)가 회전 방향이 교대로 바뀌면서 진동을 진동 플레이트(23)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 고정부재(48)를 통하여, 모터(31)를 안정적으로 제1베이스 바디(23)에 지지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진동시스템(30)의 탄성 지지구조, 특히 진동 플레이트(32)의 탄성 지지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진동 플레이트(32)의 형상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 플레이트(32)가 청소기의 작동 위치에서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진동 플레이트(32)가 침구를 때리는 모양을 가시화하여 청소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청소기의 흡입 노즐부(25)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를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의 외곽 형상은 제1 베이스 바디(23)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진동을 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3)에 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진동 플레이트(32)는 청소 중 침구가 아닌 딱딱한 물체와 접촉되어 파손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진동을 허용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되, 바닥의 침구를 제외한 딱딱한 물체와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 회피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저면부(32b)와 측면부(3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부(32)는 상기 저면부(32b)의 두께보다 큰 높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측면부(32)가 청소기(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침대 메트리스나 침대 위의 침구를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200)가 침대장, 침대 헤드 보드(head board) 또는 벽면에 부딪힐 수 있다. 이 경우, 진동하는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침대장, 침대 헤드 보드 또는 벽면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청소기가 낙하하는 경우,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에 직접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진동 플레이트(32)의 손상, 탈거, 파손 그리고 변형들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의 최외곽은 흡입 노즐부(25) 또는 제1베이스 프레임(24)의 내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부(25)가 원형인 경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청소 도중 진동 플레이트(32)가 벽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진동 플레이트(32)가 아닌 제1베이스 바디(24), 메인 바디(20) 또는 바디 커버(21)이 직접 벽면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 특히 테두리를 형성하는 진동 플레이트의 측면부(32)는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테두리 전체에 대해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흡입 노즐부(25)가 원형인 경우, 흡입 노즐부의 최대 반경보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최대 반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흡입 노즐부(25)가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이라 하더라도,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길이 인입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상하 진동을 하므로, 진동 시 제1 베이스 바디(2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 또는 제1 베이스 바디(24)는 상부 수직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직 외벽(23a)가 실질적으로 흡입 노즐부(25)의 최외각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수직 외벽(23a)가 외부의 벽면과 직접 맞닿을 수 있으므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가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는 상기 상부 수직 외벽(23a)의 하부에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23), 특히 측면부(23c)의 상하 진동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위치되는 하부 수직 외벽(23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면부(23c)의 최상단은 상기 상부 수직 외벽(23a)와 하부 수직 외벽(23b) 사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수직 외벽(23a)와 상기 하부 수직 외벽(23b) 사이에는 수평벽(23d)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평벽(23d)으로 인한 거리만큼, 상기 하부 수직 외벽(23b)이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3c)의 최상단과 상기 수평벽(23d)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즉,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허용 진동폭보다 상기 소정 거리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상적인 진동 플레이트(23)의 진동 조건에서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23)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저면부(32b)와 측면부(32a) 사이에는 곡면부(32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저면부(32b)는 상기 곡면부(32c)를 통해 상기 측면부(32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32c)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면적을 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32a)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면부(32a)의 최상단에서의 반경이 최대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면부(32a)를 최대한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시킴과 동시에 측면부(32a) 전체에서의 노출 거리(측면부(32a)와 제1 베이스 바디의 최외각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23)는 탄성부재(37)에 의해 제1 베이스 바디(24)에 탄성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37)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진동 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청소기가 미동작 중 낙하하는 경우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많은 충격을 상기 탄성 부재(37)가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 충격으로 인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23)가 허용되는 이격거리 이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시 진동이 3 내지 4 mm 일 때, 외부 충격으로 상기 진동 플레이트(23)가 상하 또는 전후로 상기 허용 이격거리 이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 플레이트(23)가 전술한 연결부재(35)나 탄성부재(37)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외부 충격으로 인해, 진동 플레이트(23)의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먼저, 전술한 수평부(23d)가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과도한 상승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과도한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 리브(23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3c)는 진동 플레이트(23)의 측면부(32a)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과도한 반경 방향 내측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 리브(23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하부 수직 외벽(23b)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직 외벽(23b)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측면부(32a)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될 때, 상기 측면부(32a)가 상기 보강 리브(23c)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강한 충격을 상기 보강 리브(23c)를 통해서 보다 견고한 제1 베이스 바디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의 강한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 플레이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전술한 탄성 부재(37)와 이를 통한 진동시스템(30)의 탄성 지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베이스 바디(24)에는 연결홀(4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홀(47)을 통해서, 제1 베이스 바디(24)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홀(47)을 통해서, 상부의 진동이 하부의 진동 플레이트(32)의 진동으로 전달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5)가 상기 연결홀(47)을 관통하여 흡입 노즐부(25)의 하부로 이어진다. 상기 연결부재(35)의 말단에는 진동 플레이트(32)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5)와 진동 플레이트(32)의 탄성 지지를 위해, 상기 연결홀(47)에는 탄성부재(37)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37)는 상기 연결홀(47)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플렌지부(37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렌지부(37a)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홀(47)의 테두리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플렌지부(37a)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37)가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에 고정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37a)의 반경 방향 내측, 즉 탄성부재(37)의 중심부에는 관통홀(37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7b)은 소정 높이를 갖고, 주름 형태로 내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7b)에는 상기 연결부재(35)가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5)가 상기 관통홀(37b)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35)가 제1 베이스 바디(24)에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5)의 관통된 말단에 상기 진동 플레이트(32)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도 상기 연결부재(35)를 통해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7)는 상기 플렌지부(37a)와 관통홀(37b) 사이에 연장부(37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37a)는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에 고정되며, 상기 관통홀(37b)은 진동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37c)가 실질적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연장부(37c)는 다이아프램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35)와 진동 플레이트(32)의 상하 이동폭이 제한되는 한편, 진동 플레이트(32)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진동 플레이트(32)의 이동이 과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탄성부재(37)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특, 탄성부재(37)가 관통홀(37b)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9)가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37)와 관통홀(37b) 사이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한 가압부재(49)가 제1 베이스 바디(24)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9)는 탄성부재(37)의 플렌지부(37a)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37a)는 상기 가압부재(49)를 통해 상기 관통홀(37b)에 더욱 밀착된다. 아울러, 상기 플렌지부(37a)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려할 때, 상기 가압부재(49)에 의해 이러한 이동이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7)가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에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기 진동시스템(30)이 보다 견고히 제1 베이스 바디(24)에 탄성 지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49)는 상기 플렌지부(37a)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어느 한쪽만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상부만을 가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49)는 플렌지부(37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플렌지부(37a)를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
진동 모터(31)로부터 연결부재(35)가 상기 플렌지부(37a)의 일부를 지나 상기 관통홀(37b)와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는 연결부재의 연장 경로를 제외하는 부분에서만 상기 플렌지부(37a)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49)는 상기 탄성 부재(37)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 또는 제1 베이스 바디(24)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가압부재(49)와 제1 베이스 바디(24)는 별도의 결합 수단(예를 들어 미도시된 스크류 이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수단은 진동시스템(30)과 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결합이 진동에도 불구하고 견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마찬가지로, 진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압부재(49)에서 상기 탄성 부재(37)에 가하는 가압력이 변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탄성 부재(37)가 제1 베이스 바디(24)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20 : 바디 (메인 바디) 21 : 바디 커버
22 : 베이스 바디 23 : 제1 베이스 바디
24 : 제2 베이스 바디 25 : 흡입 노즐부
25 : 팬모터 안착부 30 : 진동시스템
31 : 진동 모터 32 : 진동 플레이트
37 : 탄성 부재 49 : 가압 부재

Claims (23)

  1.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메인 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 노즐부 바디;
    상기 유입된 공기에서 걸러진 먼지를 보관하는 먼지통;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하부에,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기의 작동 위치에서, 상기 청소기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외곽 형상은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외곽 형상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 대상물에 대응되는 저면부; 그리고
    상기 저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청소기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디의 외곽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길이 인입되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곡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는,
    상부 수직 외벽; 그리고
    상기 수직 외벽의 하부에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상하 진동에 의한 간섭 회피를 위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위치되는 하부 수직 외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 대상물에 대응되는 저면부; 그리고
    상기 저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부의 최상단은 상기 상부 수직 외벽과 상기 하부 수직 외벽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는, 상기 측면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하부 수직 외벽의 하부에서,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조작을 위해 힘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핸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상부에 위치되는 진동 모터;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구비되는 연결홀; 그리고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진동 모터를 통해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고 상기 연결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홀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가 삽입되는 플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렌지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에서 상기 고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8.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며, 지면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를 갖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는,
    상기 흡입 노즐부의 측면 최외곽을 이루는 흡입 노즐부 바디;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측면부가 상기 흡입 노즐부의 측면 최외곽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길이 인입되어, 상기 측면부가 상기 청소기 외부에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흡입구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는, 상기 측면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는,
    상기 흡입 노즐부의 측면 최외곽을 이루는 상부 수직 외벽; 그리고
    상기 수직 외벽의 하부에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측면부의 상하 진동에 의한 간섭 회피를 위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위치되는 하부 수직 외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탄성 지지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서 상기 탄성 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부재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120155273A 2012-12-27 2012-12-27 청소기 KR101443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73A KR101443649B1 (ko) 2012-12-27 2012-12-27 청소기
CN201310741202.7A CN103892772B (zh) 2012-12-27 2013-12-27 真空吸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73A KR101443649B1 (ko) 2012-12-27 2012-12-27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085A true KR20140085085A (ko) 2014-07-07
KR101443649B1 KR101443649B1 (ko) 2014-09-23

Family

ID=5098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273A KR101443649B1 (ko) 2012-12-27 2012-12-27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3649B1 (ko)
CN (1) CN1038927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0488B2 (en) 2020-01-03 2023-07-04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2386B2 (ja) * 2007-09-18 2012-08-1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455643Y1 (ko) * 2008-05-07 2011-09-16 주식회사 부강샘스 진공 청소기용 타격장치
KR200448024Y1 (ko) 2009-10-15 2010-03-10 (주)제이디알 침구용 청소기
WO2011065647A2 (ko) * 2009-11-27 2011-06-03 Chae Byong-Tae 침구청소에 적합한 다기능 진공청소기
KR101154823B1 (ko) 2010-03-11 2012-06-08 한경희 타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
CN102755140A (zh) * 2011-04-27 2012-10-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的自动清洁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92772B (zh) 2017-11-14
KR101443649B1 (ko) 2014-09-23
CN103892772A (zh)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660B1 (ko) 청소기
KR101490267B1 (ko) 청소기
JP6779362B2 (ja) 掃除機のノズル
KR102266928B1 (ko) 걸레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
TW201832713A (zh) 清掃機
KR102021824B1 (ko) 로봇 청소기
EP2499952A1 (en) Nozzle of vacuum cleaner
US11969125B2 (en) Mobile robot
KR101443648B1 (ko) 청소기
KR101443649B1 (ko) 청소기
US11596285B2 (en) Mobile robot
CN104224046A (zh) 吸尘器
KR101507853B1 (ko) 청소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7199B1 (ko) 로봇 청소기
JP2010253206A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TWI846588B (zh) 用於清掃機的吸嘴
KR102297759B1 (ko) 로봇 청소기
JP6546863B2 (ja) 電気掃除機
KR101052158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060058292A (ko) 진공청소기용 물걸레 브러쉬
KR20100095041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