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717A -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717A
KR20140084717A KR1020120154472A KR20120154472A KR20140084717A KR 20140084717 A KR20140084717 A KR 20140084717A KR 1020120154472 A KR1020120154472 A KR 1020120154472A KR 20120154472 A KR20120154472 A KR 20120154472A KR 20140084717 A KR20140084717 A KR 20140084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member
power generating
support plate
pinion gear
foo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327B1 (ko
Inventor
손영준
양우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327B1/ko
Priority to US13/868,520 priority patent/US9150262B2/en
Publication of KR2014008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7/00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 B62D57/02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 B62D57/032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with alternately or sequentially lifted supporting base and legs; with alternately or sequentially lifted feet or sk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having parallel kinema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의 발모듈에 형성되며, 단부가 개구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 내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판;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는 동력전환유닛; 및 상기 동력전환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하단부의 일부분이 지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로봇의 발모듈이 지면에 착지시, 하단 끝부분이 지면에 지지되는 시점에서부터 발모듈이 지면에 착지할 때까지 발모듈이 이동된 거리만큼 구동력이 발생되는 동력발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이 상기 동력전환유닛을 통해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지지판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구성되는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APPARATUS FOR VARIABLE SUPPORTING FOOT OF ROBOT}
본 발명은 로봇의 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로봇의 발모듈에 별도의 전동장치 없이 지지면적의 가변 구조를 적용하여 하지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봇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족 보행 로봇과 착용식 로봇 등 족형 보행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보행 로봇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보행 거동 중 동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이처럼, 동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발바닥 면적을 넓게 설계하여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나, 보행 거동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발바닥에 힘센서를 장착하여 ZMP(Zero Moment Point)가 안정 영역을 벗어남을 감지하고, 구동기로 스톱퍼가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힘센서와 구동기는 많은 비용과 전력이 소모되고, 발모듈 설계시 레이아웃을 비롯하여 많은 제한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70009호의 "이족보행 로봇 발"가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로봇의 발 위치에 따라 지지부재가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는바, 여전히 보행 거동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70009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행 로봇의 발모듈에 별도의 전동장치 없이 지지면적의 가변 구조를 적용하여 하지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로봇의 발모듈에 형성되며, 단부가 개구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 내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판;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는 동력전환유닛; 및 상기 동력전환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하단부의 일부분이 지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로봇의 발모듈이 지면에 착지시, 하단 끝부분이 지면에 지지되는 시점에서부터 발모듈이 지면에 착지할 때까지 발모듈이 이동된 거리만큼 구동력이 발생되는 동력발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이 상기 동력전환유닛을 통해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지지판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환유닛은,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동력발생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제1랙기어; 상기 제1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재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피니언기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치합되며, 축방향을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전환하는 페이스기어; 상기 페이스기어의 축과 동심축 상에 설치되는 제2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2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지지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환유닛은,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동력발생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제1랙기어; 상기 제1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재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피니언기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축과 동심축 상에 설치되는 제2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2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지지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발생부재의 직선 이동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지면과 근접하도록 발모듈의 하단부에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발모듈의 측면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로봇의 발모듈이 지면에 착지할 때,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모듈의 측부에서 지지판이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로봇의 하중을 지지하는 발모듈에서의 지지면적이 증대되는바, 롤 및 피치에 의한 쓰러짐을 방지하고 동적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의 내부 구조와 동력전환유닛의 일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의 내부 구조와 동력전환유닛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의 동력 발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의 내부 구조와 동력전환유닛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의 동력 발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는 크게, 가이드홈(11), 지지판(25), 동력전환유닛, 동력발생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로봇의 발모듈(1)에 형성되며, 단부가 개구 형성된 가이드홈(11); 상기 가이드홈(11) 내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11)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판(25);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25)에 연결되는 동력전환유닛; 및 상기 동력전환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하단부의 일부분이 지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로봇의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시, 하단 끝부분이 지면에 지지되는 시점에서부터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할 때까지 발모듈(1)이 이동된 거리만큼 구동력이 발생되는 동력발생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부연하면, 먼저 가이드홈(11)은 상기 로봇의 발모듈(1)에 형성되는 것으로, 단부가 발모듈(1)의 일측면을 향해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1)은 상기 발모듈(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바,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시 상기 가이드홈(11)이 지면과 근접되도록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판(25)은, 상기 가이드홈(11)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홈(11)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1)은 발모듈(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바, 상기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시 상기 지지판(25)이 지면과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홈(11) 내에서 돌출되는바, 상기 지지판(25)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가이듬홈이 발모듈(1)의 측면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시, 상기 지지판(25)이 상기 발모듈(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로봇의 발모듈(1) 지지면적을 가변하여 증대시시키고, 또한 로봇의 측방향 쓰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환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25)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동력발생부재(1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동력발생부재(13)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상기 지지판(2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환유닛은 상기 동력발생부재(1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면서 지지판(25)이 직선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동력발생부재(13)는, 상기 동력전환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단부의 일부분이 지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로봇의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시, 하단 끝부분이 지면에 지지되는 시점에서부터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할 때까지 발모듈(1)이 이동된 거리만큼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시, 좌측의 도면과 같이 동력발생부재(13)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우측의 도면과 같이 발모듈(1)이 지면을 향해 이동되어 지면에 지지되면 상기 발모듈(1)이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동력발생부재(13)는 상기 발모듈(1)에 대해 상부로 이동하는 듯한 움직임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동력발생부재(13)에 형성된 제1랙기어(15)가 제1피니언기어(17)를 회전시키게 되어,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단부에는 복원스프링(27)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직선 이동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도 4의 오른쪽 도면과 같이 발모듈(1)이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도 4의 왼쪽 도면과 같이 발모듈(1)이 지면에 떨어지게 되면, 상기 복원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동력발생부재(13)를 하부로 밀게 되어 동력발생부재(13)의 위치를 복원시키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동력전환유닛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동력전환유닛은,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동력발생부재(13)의 일면에 형성된 제1랙기어(15)와, 상기 제1랙기어(15)와 치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피니언기어(17)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17)와 치합되며, 축방향을 상기 제1피니언기어(17)의 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전환하는 페이스기어(19)와, 상기 페이스기어(19)의 축과 동심축 상에 설치되는 제2피니언기어(21) 및, 상기 제2피니언기어(21)와 치합되도록 지지판(25)의 일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하단부가 지면에 닿아 눌려지게 되면, 상기 동력발생부재(13)에 대해 발모듈(1)이 하부로 이동되면서 동력발생부재(13)에 형성된 제1랙기어(15)에 맞물려 제1피니언기어(17)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피니언기어(17)에 치합된 페이스기어(19)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페이스기어(19)와 동심축 상에 구비된 제2피니언기어(2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피니언기어(21)는 지지판(25)의 상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판(25)이 가이드홈(11)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발모듈(1)의 외부로 돌출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전환유닛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동력전환유닛은, 상하로 직선 운동하는 동력발생부재(13)의 일면에 형성된 제1랙기어(15)와, 상기 제1랙기어(15)와 치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피니언기어(17)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17)의 축과 동심축 상에 설치되는 제2피니언기어(21) 및, 상기 제2피니언기어(21)와 치합되도록 지지판(25)의 일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하단부가 지면에 닿아 눌려지게 되면, 상기 동력발생부재(13)에 대해 발모듈(1)이 하부로 이동되면서 동력발생부재(13)에 형성된 제1랙기어(15)에 맞물려 제1피니언기어(17)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피니언기어(17)와 동심축 상에 구비된 제2피니언기어(2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피니언기어(21)는 지지판(25)의 상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판(25)이 가이드홈(11)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발모듈(1)의 외부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과 같이, 본 발명은 로봇의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할 때, 동력발생부재(13)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모듈(1)의 측부에서 지지판(25)이 돌출되어 지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로봇의 하중을 지지하는 발모듈(1)에서의 지지면적이 증대되는바, 롤 및 피치에 의한 쓰러짐을 방지하고 동적 안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발모듈 11 : 가이드홈
13 : 동력발생부재 15 : 제1랙기어
17 : 제1피니언기어 19 : 페이스기어
21 : 제2피니언기어 23 : 제2랙기어
25 : 지지판 27 : 복원스프링

Claims (6)

  1. 로봇의 발모듈(1)에 형성되며, 단부가 개구 형성된 가이드홈(11);
    상기 가이드홈(11) 내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11)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돌출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판(25);
    일단부가 상기 지지판(25)에 연결되는 동력전환유닛; 및
    상기 동력전환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하단부의 일부분이 지면보다 낮은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로봇의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시, 하단 끝부분이 지면에 지지되는 시점에서부터 발모듈(1)이 지면에 착지할 때까지 발모듈(1)이 이동된 거리만큼 구동력이 발생되는 동력발생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발생부재(13)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이 상기 동력전환유닛을 통해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지지판(25)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지지판(25)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유닛은,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동력발생부재(13)의 일면에 형성된 제1랙기어(15);
    상기 제1랙기어(15)와 치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피니언기어(17);
    상기 제1피니언기어(17)와 치합되며, 축방향을 상기 제1피니언기어(17)의 축방향과 직교하도록 전환하는 페이스기어(19);
    상기 페이스기어(19)의 축과 동심축 상에 설치되는 제2피니언기어(21); 및
    상기 제2피니언기어(21)와 치합되도록 지지판(25)의 일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유닛은,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동력발생부재(13)의 일면에 형성된 제1랙기어(15);
    상기 제1랙기어(15)와 치합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피니언기어(17);
    상기 제1피니언기어(17)의 축과 동심축 상에 설치되는 제2피니언기어(21); 및
    상기 제2피니언기어(21)와 치합되도록 지지판(25)의 일면에 형성된 제2랙기어(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발생부재(13)의 직선 이동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5)은 지면과 근접하도록 발모듈(1)의 하단부에서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5)은 발모듈(1)의 측면으로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KR1020120154472A 2012-12-27 2012-12-27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KR101428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472A KR101428327B1 (ko) 2012-12-27 2012-12-27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US13/868,520 US9150262B2 (en) 2012-12-27 2013-04-23 Apparatus for variable supporting foot of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472A KR101428327B1 (ko) 2012-12-27 2012-12-27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17A true KR20140084717A (ko) 2014-07-07
KR101428327B1 KR101428327B1 (ko) 2014-08-07

Family

ID=5101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472A KR101428327B1 (ko) 2012-12-27 2012-12-27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50262B2 (ko)
KR (1) KR1014283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409A1 (ko) * 2015-09-04 2017-03-09 주식회사 짐월드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US10391415B2 (en) 2015-09-04 2019-08-27 Gymworld Inc. Connecting member for self-assembly toy
KR102515305B1 (ko) * 2022-05-18 2023-03-29 에스케이엔펄스 주식회사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블랭크 마스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4201B (zh) * 2015-03-20 2017-01-0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带髋部振子准被动双足步行机器人系统
CN105599819B (zh) * 2015-12-17 2018-10-19 常州大学 仿人机器人两自由度串联低频机械足
CN107124899B (zh) * 2016-07-15 2019-07-0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可移动装置、移动拍摄设备、可移动装置控制系统及方法
CN106826752B (zh) * 2017-02-15 2019-04-19 新昌县管富机械有限公司 一种结构优化的送餐机器人底座
CN107416067A (zh) * 2017-09-25 2017-12-01 王莎莎 一种建筑工程利用太阳能的环保作业设备
CN110815179B (zh) * 2019-10-30 2020-12-29 盐城工学院 一种搭载机械臂的智能车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393A (en) 1992-05-20 1995-05-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Legged mobile robot foot structure
JP2968420B2 (ja) 1993-07-20 1999-10-25 株式会社タカラ 2足歩行ロボット
JPH11320463A (ja) * 1998-05-12 1999-11-24 Sony Corp 人工足部
US6116984A (en) * 1998-11-17 2000-09-12 Munoz; Armando Pop-out toy
JP2002219673A (ja) 2001-01-26 2002-08-06 Kansai Tlo Kk 二足歩行型ロボット
JP4532919B2 (ja) 2004-01-30 2010-08-25 学校法人東海大学 歩行ロボット
JP4585252B2 (ja) 2004-08-13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ロボット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の歩行制御方法
WO2006132330A1 (ja) 2005-06-08 2006-12-14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脚式移動体の平衡点安定化装置
KR101223496B1 (ko) * 2010-12-21 2013-01-17 이원희 이족보행 로봇 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409A1 (ko) * 2015-09-04 2017-03-09 주식회사 짐월드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US10391415B2 (en) 2015-09-04 2019-08-27 Gymworld Inc. Connecting member for self-assembly toy
KR102515305B1 (ko) * 2022-05-18 2023-03-29 에스케이엔펄스 주식회사 섀도우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블랭크 마스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327B1 (ko) 2014-08-07
US20140183320A1 (en) 2014-07-03
US9150262B2 (en)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327B1 (ko) 로봇용 발의 가변 지지장치
CN110072677A (zh) 用于有腿机器人的螺旋致动器
CN103568015B (zh) 力控制电动手
WO2020185719A3 (en) Inspection robot
RU2008139000A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узел шасс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и набор деталей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сполнительного механизма
ATE481289T1 (de) Lenksäule mit crasheinrichtung
RU2017115984A (ru) Система приводимых в действие подвижных платформ
CN110073579A (zh) 用于有腿机器人的马达和控制器整合
US9006916B2 (en) Pressure-to-rotation converter and pressure-to-electric converting system
CN203918632U (zh) 伸缩罩用固定夹具
EP2004502B8 (en) Pallet with wheels
CN103192279B (zh) 一种二维解耦运动平台
WO2013186302A3 (de) Arretiervorrichtung zum arretieren einer bewegbaren komponente
CN103672317A (zh) 一种精度可调层压式空间三平移柔性精密定位平台
CN106944951B (zh) 柔性检测定位装置和方法
CN203171265U (zh) 一种二维解耦运动平台
KR101644553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666840B1 (ko) 에너지 관리 장치
WO2015110283A3 (de) Kick-down-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KR102245792B1 (ko) 전동식 조향장치
RU144518U1 (ru) Мехатронный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модуль
JP5067487B2 (ja) 位置決め装置
JP3190613U (ja) 単軸線形アクチュエーター
JP2011047494A (ja) スライド装置
US8125731B2 (en) Encoder module with a slid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