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600A - 입체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600A
KR20140084600A KR1020120154239A KR20120154239A KR20140084600A KR 20140084600 A KR20140084600 A KR 20140084600A KR 1020120154239 A KR1020120154239 A KR 1020120154239A KR 20120154239 A KR20120154239 A KR 20120154239A KR 20140084600 A KR20140084600 A KR 20140084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lens
substrate
display pane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4600A/ko
Publication of KR2014008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Abstract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 패널; 상기 영상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영상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 패널에서 입사되는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굴절시키는 편광렌즈 필름; 및 상기 영상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렌즈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표시 패널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상태를 변환하는 편광제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렌즈 필름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넬 렌즈 형상의 렌즈부;및 상기 렌즈부 상에 형성된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장치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본 발명은 3D 무안경 방식으로 2차원 및 3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가 좌안과 우안의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에 의해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입체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안경 방식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를 이용해 좌안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과 배리어(Barrier)를 이용하여 좌안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배리어 방식이 있다.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슬릿 모양의 개구부가 나란히 배열된 배리어를 표시패널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배리어에 의하여 분리되어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입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작이 용이하나 배리어에 의하여 광이 차단되기 때문에 화면의 밝기저하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투명한 반원 통 형상을 갖는 렌티큘러 렌즈를 표시패널 상에 배치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에 의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분리되어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입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배리어 방식과 달리 화면 밝기가 저하되지는 않으나, 2차원/3차원 영상 출력 변환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렌티큘러 렌즈와 표시패널 사이에 표시패널에서 입사되는 광의 편광을 조절하여 2차원과 3차원 영상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편광렌즈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편광제어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렌티큘러 렌즈 방식 및 편광렌즈 제어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경우 렌티큘러 렌즈의 두께로 인해 박형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광제어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2차원 및 3차원 영상 변환이 가능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두께를 감소하여 박형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 패널; 상기 영상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영상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 패널에서 입사되는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굴절시키는 편광렌즈 필름; 및 상기 영상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렌즈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표시 패널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상태를 변환하는 편광제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렌즈 필름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넬 렌즈 형상의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 상에 형성된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편광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상에 프레넬 렌즈 형상의 충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충전부 상에 액정을 도포하여 렌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정을 UV 조사하여 상기 렌즈부의 액정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 상에 제 1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경우 편광렌즈 필름의 렌즈부가 프레넬 형상을 가짐으로써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경우 편광렌즈 필름의 렌즈부 외곽영역에 광흡수층을 형성함으로써 3D 크로스토크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2차원 영상 표시 모드에서의 편광렌즈 필름 및 편광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3차원 입체영상 표시 모드에서의 편광렌즈 필름 및 편광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편광렌즈 필름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표시 패널(120), 영상표시 패널(120) 하에 배치되어 영상표시 패널(12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10), 영상표시장치 상부에 위치하는 편광제어 패널(130) 및 편광제어 패널(130) 상부에 위치하는 편광렌즈 필름(140)을 포함한다. 이때, 영상표시 패널(120)이 OLED와 같이 직접 광을 발광하는 장치라면, 백라이트 유닛(110)은 생략할 수 있다.
먼저, 영상표시 패널(120)은 평면(또는 2D) 영상표시 모드와 입체(또는 3D) 영상표시 모드를 변환할 수 있는 것으로, 영상 표시 모드에 따라 소정의 평면 영상을 표시하거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한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 패널(12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의 평판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 패널(120)이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액정 모드는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TN), 횡전계(In Plane Switching: IPS) 및 수직배향(Vertical Alignment: VA) 모드를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110)으로부터 영상표시 패널(120)로 입사되는 광은 영상표시 패널(120)의 하부 편광판(미도시)의 투과축과 나란한 광만이 하부 편광판(미도시)을 지나 영상표시 패널(120)의 액정층(미도시)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액정층(미도시)을 통과하면서 광은 하부 편광판(미도시)의 투과축에 대해 90° 틀어진 광의 편광축이 수직방향(ⓧ) 선편광이 되어, 상부 편광판(미도시)을 통과하게 된다.
다음으로, 영상표시 장치를 통과한 빛은 편광제어 패널을 통과하면서 2차원 평면 영상 모드인경우 입사된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3차원 입체 영상 모드인 경우 광의 편광축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편광렌즈 필름으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 편광렌즈 필름(140)은 영상표시 패널(120)에 표시되는 영상을 2차원 평면 영상 모드에서는 그대로 통과시키고, 3차원 입체 영상 모드에서는 굴절률 차이에 의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함으로써 시청자에게 평면 영상 또는 입체 영상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편광렌즈 제어 패널(130) 및 편광렌즈 패널(140)을 도 2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2차원 영상 표시 모드에서의 편광렌즈 필름 및 편광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3차원 입체영상 표시 모드에서의 편광렌즈 필름 및 편광제어 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편광렌즈 필름(140)은 제1 기판(141a), 제2 기판(141b), 및 제1 기판(141a)과 제2 기판(141b) 사이에 형성된 충진부(146)와 렌즈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기판(141a) 및 제2 기판(141b)은 광을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진부(146)는 제2 기판(141b) 하에 배치되어 프레넬 렌즈의 형상을 가진다.이러한 충진부(146)는 자외선(Ultraviolet :UV) 경화성 고분자 물질이나 투명한 수지로 형성 될 수 있다.
렌즈부(144)는 제1 기판(141a)과 충진부(146) 사이에 형성되어, 충진부(146)의 형상에 의하여 프레넬 렌즈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렌즈부 중앙영역(c)의 경우 오목한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을 제외한 렌즈부 외곽영역(s)에는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렌즈부(144)는 RM(reactive mesogen)과 같이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는 UV 경화 액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RM은 광반응성 화합물로서, 자외선(UV)과 같은 광에 반응하여 제1 기판(141a) 상에 경화된다. 이때,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액정(145)은 RM이 경화되면서 초기 배열된 방향으로 고정된다.
한편, 렌즈부(144)는 액정(145)의 광학적 이방성에 의하여 액정의 장축 굴절률(ne)과 단축 굴절률(no)을 가진다. 충진부(146)는 액정의 단축 굴절률(no) 및 장축 굴절률(ne) 중 어느 하나의 굴절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편광렌즈 제어 패널(130)은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2차원 평면 영상을 표시하거나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드로 구분된다. 이러한 편광렌즈 제어 패널(130)은 제3 기판(131a), 제4 기판(131b), 하부 전극(132a), 상부 전극(132b), 및 하부 전극(132a)과 상부 전극(132b)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 기판(131a) 및 제4 기판(131b)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유리기판이나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132a)은 제3 기판(131a) 상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 전극(132b)은 제4 기판(131b) 하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전극(132a) 및 상부 전극(132b)은 외부로부터 전압이 공급되면, 수직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의 배열 방향을 변화시킨다.
액정층(135)의 액정 배향 상태는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TN), 횡전계(In Plane Switching: IPS) 및 수직배향(Vertical Alignment: VA) 모드가 가능하다.
편광제어 패널에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 2차원 평면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 모드가 구현되는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편광렌즈 패널(140)에 포함된 렌즈부(144)는 액정(145)의 광학적 이방성에 의하여 액정의 장축 굴절률(ne)과 단축 굴절률(no)을 가지고, 충진부(146)은 액정층(144)에 포함된 액정(145)의 장축 굴절률(ne) 동일하게 형성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렌즈부(144)는 영상표시 패널(120)에서 입사되는 광의 편광방향과 동일하게 광의 편광축이 수직방향(ⓧ)으로 초기 배열되어 형성된다고 가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극(132a) 및 상부 전극(132b)에 전압이 인가되면, 영상표시 패널(120)로부터 입사되는 편광축이 수직방향(ⓧ)인 광은 편광상태가 편광제어 패널(130)에 의해 변하지 않고 편광제어 패널을 통과하여 편광렌즈 필름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편광렌즈 필름(140)에 입사된 광은 렌즈부(144)에 포함된 액정(145)의 장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갖게 되어, 액정(145)의 장축 굴절률(ne)을 겪게 된다.
액정(145)의 장축 굴절률(ne)과 충진부(146)의 굴절률(ne)은 동일하므로, 광은 렌즈부(144)와 충진부(146)의 경계면에서 굴절없이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면 영상이 구현된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극(132a) 및 상부 전극(132b)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영상표시 패널(120)로부터 편광제어 패널(130)에 입사되는 광의 편광축이 수직방향(ⓧ)인 광은 액정의 배열방향을 따라 광의 편광축이 수평방향(↔)으로 변화되어 편광렌즈 필름(140)에 입사된다.
그리고, 편광렌즈 패널(140)에 입사되는 편광축이 수평방향(↔)인 광은 렌즈부(144)에 포함된 액정(145)의 단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므로, 액정(145)의 단축 굴절률(ne)을 겪게 된다.
액정(145)의 단축 굴절률(no)과 충진부(146)의 굴절률(ne)이 상이하므로, 입사된 광은 렌즈부(144)와 충진부(146)의 경계면에서 굴절하여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으로 각기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양안시차를 가지는 3차원 입체 영상이 구현된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편광렌즈 필름(140)의 렌즈부가 프레넬 렌즈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렌티큘러 렌즈 형태를 가지는 입체영상 장치보다 슬림한 형태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구현 가능하다.
이하 도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200)를 나타내었다.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200)를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편광렌즈 필름의 일부 구성에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 패널(220), 영상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편광제어 패널(230), 영상표시 패널하부에 위치하여 영상표시 패널로 광을 입사하는 백라이트 유닛(210)의 경우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 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렌즈 필름(240)은 제1 기판(241a), 제2 기판(241b), 및 제1 기판(241a)과 제2 기판(241b) 사이에 형성된 충진부(246)와 렌즈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기판(241a) 및 제2 기판(241b)은 광을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진부(246)는 제2 기판(241b) 하에 배치되어 있으며, UV 경화성 고분자 물질이나 투명한 수지로 형성 될 수 있다.
렌즈부(244)는 RM(reactive mesogen)과 같이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는 UV 경화 액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RM은 광반응성 화합물로서, 자외선(UV)과 같은 광에 반응하여 제1 기판(241a) 상에 경화된다. 이때,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액정(245)은 RM이 경화되면서 초기 배열된 방향으로 고정된다.
렌즈부(244)는 제1 기판(241a)과 충진부(246) 사이에 형성되어, 충진부(246)의 형상에 의하여 프레넬 렌즈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렌즈부 중앙영역(c)의 경우 오목한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을 제외한 렌즈부 외곽영역(s)에는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외곽영역(s)의 프리즘 형상과 충진부(246)의 경계면에는 광흡수층(247)이 형성된다. 광흡수층(247)은 외곽영역(s)의 경계면(248) 전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계면(248)의 일 영역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모드의 경우,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정(245)의 단축 굴절률(no)과 충진부(246)의 굴절률(ne)은 차이에 의해 편광제어 패널에서 편광렌즈 필름으로 입사되는 광이 렌즈부(244)와 충진부(246)의 경계면에서 굴절하게 된다. 이때 초점(P)의 방향으로 좌안영상용 빛과 우안영상용 빛으로 각기 진행하게 되는데, 프리즘형성 각도에 따라 진행하는 광의 방향이 틀어지는 경우가 있다. 광흡수층(247)은 이러한 광을 흡수하여 더욱 화질이 향상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광흡수층(247)은 블랙매트릭스와 같이 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렌즈부(244)는 액정(245)의 광학적 이방성에 의하여 액정의 장축 굴절률(ne)과 단축 굴절률(no)을 가진다. 충진부(246)는 액정의 단축 굴절률(no) 및 장축 굴절률(ne) 중 어느 하나의 굴절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렌즈 필름(340)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 2기판(341b)을 준비하고 제 2기판(341b) 상에 UV 경화성 고분자 물질을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몰드(미도시)를 이용하여 UV 경화성 고분자 물질을 프레넬 렌즈 형상을 갖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UV 램프를 UV 경화성 고분자에 조사해서 경화시킴으로써 프레넬 렌즈 형상의 충진부(346)를 형성한다.
충진부 중앙영역(c)의 경우 오목한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을 제외한 충진부 외곽영역(s)은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5(b) 내지 (c) 를 참고하면, 충진부(346)가 준비된 제 2기판(341b)상에 대응하여 개구부와 비개구부를 가지는 마스크를 위치시키고 개구부를 통해 스퍼터링 공법을 이용하여 광흡수층(347)을 코팅한다. 이때 광흡수층(347)이 원활하게 코팅될 수 있도록 충진부(346) 형성단계에서 프리즘 형성 각도를 조절 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는 충진부 외곽영역(c)에 형성된 프리즘에 대응하는 영역 전부 또는 일 영역에 개구부를 갖는다.
그다음 충진부 상에 RM(reactive mesogen)과 같이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는 UV 경화 액정을 채워넣는다.
상기 RM은 광반응성 화합물로서, 자외선(UV)과 같은 광에 반응하여 제2 기판(341b) 상에 경화된다. 이때,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액정(345)은 RM이 경화되면서 초기 배열된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로써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렌즈부 상부에 제 1기판(341a)을 형성함으로써 광흡수층(347)을 갖는 편광렌즈 필름(34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백라이트 유닛 144,244,344 : 렌즈부
120 : 영상표시 패널 146,246,346 : 충진부
130 : 편광제어 패널 247,347 : 광흡수층
140 : 편광렌즈 필름

Claims (8)

  1.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 패널;
    상기 영상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영상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 패널에서 입사되는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거나 굴절시키는 편광렌즈 필름; 및
    상기 영상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렌즈 필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표시 패널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편광상태를 변환하는 편광제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렌즈 필름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넬 렌즈 형상의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 상에 형성된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RM으로 구성되고 상기 충진부는 폴리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중앙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을 제외한 외곽영역을 가지며, 상기 외곽영역의 상기 렌즈부와 상기 충진부의 경계면의 일 영역에 형성된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입체영상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편광렌즈 필름으로 입사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3D 크로스토크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5.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 상에 프레넬 렌즈 형상의 충진부를 형성하는 단계;및
    상기 충진부상에 액정을 도포하여 렌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정을 자외선 조사하여 상기 렌즈부의 액정을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부 상에 제 1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RM으로 구성되고 상기 충진부는 폴리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중앙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을 제외한 외곽영역을 가지며, 상기 외곽영역의 상기 렌즈부와 충진부의 경계면에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외곽영역에 대응하는 일 영역에 개구부를 가지는 마스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를 이용하여 스퍼터링 공법으로 광흡수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편광렌즈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20154239A 2012-12-27 2012-12-27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20140084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39A KR20140084600A (ko) 2012-12-27 2012-12-27 입체 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39A KR20140084600A (ko) 2012-12-27 2012-12-27 입체 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600A true KR20140084600A (ko) 2014-07-07

Family

ID=5173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239A KR20140084600A (ko) 2012-12-27 2012-12-27 입체 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46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877B2 (en) Switchable lens device and 2- and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049706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8582043B2 (en) 2D/3D switchable LC lens unit for use in a display device
US9304322B2 (en) Phase difference element and display unit
US20140036176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unit
WO2012048485A1 (zh) 2d/3d切换的液晶透镜组件及显示装置
KR101233895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9448414B2 (en) Polarization control unit
US20160091726A1 (en) Polarization control unit and 2d and 3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3852936A (zh) 立体图像显示装置
KR20130106719A (ko) 액정 프리즘
KR20140015187A (ko) 스위처블 렌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KR101291806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40062349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161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259906B2 (en) Optical laminated bod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unit
KR20140147542A (ko) 2d/3d 영상표시장치
WO2014075297A1 (zh) 液晶透镜组件以及立体影像显示器
KR101961942B1 (ko) 편광제어 셀,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938692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93210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30053997A (ko) 편광 어셈블리 및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8928824B2 (en) Liquid crystal lens unit and stereoscopic display
KR20140084600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97451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