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583A -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583A
KR20140084583A KR1020120154197A KR20120154197A KR20140084583A KR 20140084583 A KR20140084583 A KR 20140084583A KR 1020120154197 A KR1020120154197 A KR 1020120154197A KR 20120154197 A KR20120154197 A KR 20120154197A KR 20140084583 A KR20140084583 A KR 20140084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membrane
sensing electrode
gas senso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234B1 (ko
Inventor
박광범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2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5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 G01N27/127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comprising 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8Micro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7Arrangements to check the analys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센서는, 기판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감지부;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를 가열시키는 가열부; 상기 감지부의 양단에 접촉되어 상기 감지부의 전기적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가열부와 상기 감지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형성되는 절연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GAS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센서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스가 에너지원으로 널리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공업 분야는 물론 가정용으로서도 가스 센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센서는 가스의 성분을 측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하거나 위험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체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성분량에 의한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가스 센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스 센서(10)는 기판(11)상의 멤브레인(Membrane)(12)위에 감지 전극(14)과 절연막(15)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감지부(17)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멤브레인(12)의 상부에 형성되는 감지부(17)에는 가스 센서(10)의 멤브레인(12), 감지 전극(14) 및 절연막(15)의 부착성을 높이기 위한 첨가물이 추가되어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 센서(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히터로 이루어진 가열부(13)를 이용하여 감지부(17)를 일정 온도로 가열해야만 한다.
이 때, 가스 센서(10)의 동작에 따른 가열부(13)에서 발생한 열로 인해 가열부(13), 멤브레인(12), 절연막(15) 및 감지 전극(14) 등의 구조물들에는 열팽창이 발생되고 각 구조물들의 열팽창 차이로 인해 멤브레인(12)을 포함한 구조물들에 열 변형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열 변형의 발생으로 인해 멤브레인(12) 상부에 위치한 감지부(17)는 다른 구조물에서 쉽게 분리되어 가스 센서(10)의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서 구조물들의 열 변형에 따른 감지부(17)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감지부(17)의 감지재료에 구조물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재료를 더 혼합하여 부착성능을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추가적인 재료의 혼합은 감지부(17)가 분리되는 것을 어느 정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 반면에 감지부(17)의 가스 검출 특성을 저하시키는 역효과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산업/공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가스 센서(10)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그 검출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되는 가스 센서(10)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존의 멤브레인 상부에만 형성되는 감지부를 멤브레인의 상부와 하부에 관통 형성하여 감지부가 멤브레인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센서는, 기판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감지부;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를 가열시키는 가열부; 상기 감지부의 양단에 접촉되어 상기 감지부의 전기적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가열부와 상기 감지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형성되는 절연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은, 실리콘 질화막(Si3N4), 실리콘 산화막(SiO2) 및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적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멤브레인을 관통하는 원형 또는 복수의 꼭지점을 가지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막은, 상기 멤브레인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과 동일한 모양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 및 감지 전극의 재료는 백금(Pt) 또는 금(Au)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와 상기 감지 전극은, 상기 절연막 하부의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가열부가 상기 절연막 하부에 위치하고 감지 전극이 절연막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실리콘 재질로 상기 멤브레인의 하부로부터 상기 기판의 하단까지 일정 간격을 식각하여 케비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은, a) 기판 상에 설치되는 멤브레인 상에 감지부를 가열을 위한 가열부와 상기감지부의 저항 변환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 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가열부 및 상기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절연막과 상기 멤브레인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멤브레인의 하부에 있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식각하여 케비티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액상의 감지재료를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와 하부에 도포하여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결합되는 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가열부 및 감지 전극의 상부 전면에 형성된 절면막의 각 일부를 식각하여, 상기 가열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가열부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양측으로 형성된 상기 감지 전극의 단부에 상기 감지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감지부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윈도우의 타단부에 감지부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외부에 연결하여 측정하기 위한 감지 전극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멤브레인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감지부가 멤브레인 상부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지부가 가스 센서의 구조물들의 열 변형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감지부의 부착구조를 통해 그 부착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종래의 감지부의 부착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재료의 혼합 없이 가스 검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 센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상에 멤브레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브레인 상에 감지부 및 감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구조물의 윈도우 및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브레인하부의 기판 일부에 케비티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A-A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100)는 기판(101)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 구멍(106)이 형성되는 멤브레인(102), 상기 멤브레인(10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106)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감지부(107), 상기 멤브레인(102)과 상기 감지부(107)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107)를 가열시키는 가열부(103), 상기 감지부(107)의 양단에 접촉되어 상기 감지부(107)의 전기적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 전극(104), 상기 가열부(103)와 상기 감지 전극(104)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형성되는 절연막(105) 및 이상의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판(1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100)는 종래의 도 1과 같이 멤브레인(12) 상부에 위치한 감지부(17)가 열팽창에 의해 다른 구조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2 및 도3과 같이 멤브레인(102) 및 절연막(105)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06)을 형성한다. 그리고, 감지부(107)를 형성할 때 감지부(107)가 멤브레인(102)의 상부와 하부에 함께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감지부(107)가 멤브레인(102)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감싸는 견고한 부착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감지부(107)가 멤브레인(102)에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가스 센서(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멤브레인(102)은 실리콘 질화막(Si3N4), 실리콘 산화막(SiO2) 및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적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멤브레인(102)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106)의 모양은 원형이나, 사각형, 육각형 등과 같이 복수의 꼭지점을 가지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절연막(105)은 멤브레인(102)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106)과 동일한 모양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103) 및 감지 전극(104)의 재료는 백금(Pt) 또는 금(Au)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103)와 상기 감지 전극(104)은 기본적으로 상기 절연막(105) 하부의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또는 약간의 구조 변경으로 가열부(103)는 절연막(105)의 하부에 그대로 위치시키고 감지 전극(104)을 절연막(105)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101)은 멤브레인(102)의 하부로부터 기판(101)의 하단까지 소정 간격을 식각하여 케비티(Cavity)를 형성한다.
한편, 다음의 도 4 내지 도 9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가스 센서(100)의 구조와 그 구조를 이루는 제조 방법(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상에 멤브레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101)은 실리콘 재질의 기판이 사용된다.
멤브레인(102)은 실리콘 질화막(Si3N4), 실리콘 산화막(SiO2), 실리콘 질화산화막(SiNO) 중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실리콘 질화막(Si3N4), 실리콘 산화막(SiO2), 실리콘 질화산화막(SiNO) 등의 복수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브레인 상에 감지부 및 감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위 단계에서 기판(101) 상에 멤브레인(102) 층이 형성되면, 멤브레인(102)의 상부에 감지부(107)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103)와 감지부(107)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 전극(104)을 각각 형성한다.
이 때, 가열부(103)와 감지 전극(104)의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백금(Pt) 또는 금(Au)이 사용될 수 있다. 백금과 금은 온도가 증가하더라고 쉽게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되지 않으며, 다른 재료들과 쉽게 반응하지 않으므로 가열상태에서의 안정적인 측정을 위해 적합한 재료이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앞선 공정으로 가열부(103)와 감지 전극(104)이 형성되면, 가열부(103)와 감지 전극(104)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가열부(103) 및 감지 전극(104)의 상부 전면에 절연막(105)을 형성한다.
다만, 위의 설명과 같이 상기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절연막(105)의 하부에 가열부(103)와 감지 전극(104)이 동일 평편상에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열부(103)는 절연막(105)의 하부에 위치하고 감지 전극(104)은 절연막(105)의 상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두 구조물 간의 절연을 행할 수도 있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구조물의 윈도우 및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7과 도 2를 참조하면, 앞선 공정으로 절연막(105)이 형성되면, 가열부(103)와 감지 전극(104)의 상부 전면에 형성된 절연막(105)의 일부를 식각하여 가열부(103)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가열부 윈도우(103-1)를 형성한다.
그리고, 양측으로 형성된 감지 전극(104)의 단부에 감지부(107)가 연결(접촉)될 수 있도록 감지부 윈도우(107-1)를 형성하고, 감지 전극(104)에 연결된 감지부(107)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외부에 연결하여 측정하기 위한 감지 전극 윈도우(104-1)를 형성한다.
여기서, 앞에서 언급된 다른 실시 예에서 가열부(103)가 절연막(105)의 하부에 위치하고 감지 전극(104)이 절연막(105)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감지 전극 윈도우(104-1) 및 감지부 윈도우(107-1)를 별도로 만드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절연막(105)과 멤브레인(102)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106)을 형성하며, 이 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106)의 모양은 원형이나, 사각형, 육각형 등과 같이 복수의 꼭지점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브레인하부의 기판 일부에 케비티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앞선 공정으로 각 구조물별 윈도우 및 복수의 관통 구멍(106)이 형성되면, 멤브레인(102)의 하부 영역에 존재하는 실리콘 기판 일부를 기판(101)의 하단까지 식각하여 케비티(Cavity)(108)을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절연막(105)과 멤브레인(102)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106)을 통해 멤브레인(102)의 하부에 까지 감지부(107)를 부착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멤브레인(102) 하부의 실리콘 기판(101) 일부를 식각하여 제거함으로써 가열부(103)에서 발행되는 열이 쉽게 실리콘 기판(101) 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가스 센서(10)의 구동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음,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감지를 위한 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타나낸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앞선 공정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106) 및 멤브레인(102)의 하부에 감지부(107)의 부착공간이 형성되면, 감지부(107)를 복수의 관통 구멍(106)을 통해 멤브레인(102)의 상부와 하부에 연장 형성되도록 도포한다.
이 때, 감지부(107)를 형성하기 위해 준비된 재료는 액상(液狀)으로 준비되어 감지재료를 복수의 관통 구멍(106)이 형성된 멤브레인(102)의 상부에 도포하면 액상의 감지재료 일부가 복수의 관통 구멍(106)을 통해 아래쪽으로 빠져나가면서 감지재료의 점도와 표면장력에 의해 멤브레인(102)의 하부에도 흡착된다.
즉, 도 9와 같이 멤브레인(102)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감지부(107)가 견고히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멤브레인(102)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감지부(107)가 멤브레인(102)의 상부와 하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감지부(107)가 구조물들의 열 변형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 센서(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부착구조로 감지부(107)의 부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종래에 감지부(107)의 부착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재료의 혼합 없이 가스 검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가스 센서 101: 기판
102: 멤브레인 103: 가열부
104: 감지 전극 105: 절연막
106: 관통 구멍 107: 감지부
108: 케비티

Claims (9)

  1. 기판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멤브레인;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감지부;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를 가열시키는 가열부;
    상기 감지부의 양단에 접촉되어 상기 감지부의 전기적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가열부와 상기 감지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형성되는 절연막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실리콘 질화막(Si3N4), 실리콘 산화막(SiO2) 및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적층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은,
    상기 멤브레인을 관통하는 원형 또는 복수의 꼭지점을 가지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스 센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멤브레인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과 동일한 모양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가스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 및 감지 전극의 재료는 백금(Pt) 또는 금(Au)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와 상기 감지 전극은,
    상기 절연막 하부의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가열부가 상기 절연막 하부에 위치하고 감지전극이 절연막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실리콘 재질로 상기 멤브레인의 하부로부터 상기 기판의 하단까지 일정 간격을 식각하여 케비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8. 내구성이 향상된 가스 센서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기판 상에 설치되는 멤브레인 상에 감지부를 가열을 위한 가열부와 상기감지부의 저항 변환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 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가열부 및 상기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절연막과 상기 멤브레인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멤브레인의 하부에 있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식각하여 케비티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액상의 감지재료를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와 하부에 도포하여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해 결합되는 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가열부 및 감지 전극의 상부 전면에 형성된 절면막의 각 일부를 식각하여, 상기 가열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가열부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양측으로 형성된 상기 감지 전극의 단부에 상기 감지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감지부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윈도우의 타단부에 감지부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외부에 연결하여 측정하기 위한 감지 전극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KR1020120154197A 2012-12-27 2012-12-27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7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197A KR101447234B1 (ko) 2012-12-27 2012-12-27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197A KR101447234B1 (ko) 2012-12-27 2012-12-27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583A true KR20140084583A (ko) 2014-07-07
KR101447234B1 KR101447234B1 (ko) 2014-10-07

Family

ID=5173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197A KR101447234B1 (ko) 2012-12-27 2012-12-27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2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14B1 (ko) * 2017-07-31 2019-01-17 한국광기술원 가스센서 패키지 및 그의 조립방법
WO2023033264A1 (ko) * 2021-08-30 2023-03-09 (주)포인트엔지니어링 Uv led를 이용한 가스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911B1 (ko) 2020-04-03 2022-02-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플렉시블 가스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111B1 (ko) * 2007-06-28 2009-04-20 전자부품연구원 가스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64693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 가스 센서 및 그 제작 방법
KR101094342B1 (ko) * 2009-05-14 2011-12-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습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135404B1 (ko) * 2010-03-29 2012-04-17 전자부품연구원 가스센서 어레이용 마이크로 플랫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14B1 (ko) * 2017-07-31 2019-01-17 한국광기술원 가스센서 패키지 및 그의 조립방법
WO2023033264A1 (ko) * 2021-08-30 2023-03-09 (주)포인트엔지니어링 Uv led를 이용한 가스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234B1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368B2 (en) Micro-electromechanical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thermal reservoir
KR101805784B1 (ko) 마이크로 히터 및 마이크로 센서 및 마이크로 센서 제조방법
EP2762864B1 (en) Membrane-based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75193B1 (ko) 정전 용량형 센서
CN105445420B (zh) 微加热器和微传感器及其制造方法
US10697920B2 (en) Gas sensor
KR102210634B1 (ko) 마이크로 히터 및 마이크로 센서
US10180406B2 (en) Semiconductor gas sens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47234B1 (ko)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8759136B2 (en) Method for creating monocrystalline piezoresistors
JP6470985B2 (ja) マイクロヒータ及びセンサ
KR101686123B1 (ko) 마이크로 히터 및 마이크로 센서
JP2008032451A (ja) 容量変化型圧力センサ
JP6140500B2 (ja) ガスセンサ
WO2013183203A1 (ja) 赤外線放射素子
JP2006084231A (ja) 容量式湿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60811B1 (ko) 마이크로 히터 및 마이크로 센서
WO2016132935A1 (ja) 接触燃焼式ガスセンサ
KR20220019227A (ko) 가스 센서
US9130081B2 (en) Bolometer having absorber with pillar structure for thermal shorting
JP2019515279A (ja) ガスセンサ
JP5086195B2 (ja) 接触燃焼式ガスセンサ
KR20200025203A (ko)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190862B1 (ko) 마이크로 히터 제조방법 및 마이크로 센서 및 마이크로 센서 제조방법
JP2016219365A (ja) マイクロヒータ及び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