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314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결정하여 진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결정하여 진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314A
KR20140084314A KR1020147014430A KR20147014430A KR20140084314A KR 20140084314 A KR20140084314 A KR 20140084314A KR 1020147014430 A KR1020147014430 A KR 1020147014430A KR 20147014430 A KR20147014430 A KR 20147014430A KR 20140084314 A KR20140084314 A KR 2014008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te
low power
data traffic
wireless device
sa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5738B1 (ko
Inventor
유 왕
규-천 이
광밍 쉬
톰 친
타-얀 시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8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according to average transmission signal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국(MS)에 대한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를 제시한다. 절전 모드는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 내에 MS에서 관찰되는 트래픽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저조한 전체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된다면, 디바이스는 제 1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예를 들어, 관리 목적이나 유지 목적이 아닌)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지 않는다면, 디바이스는 (제 1 저 전력 상태보다 더 깊은) 제 2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결정하여 진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ENTERING POWER SAVING MODE IN A WIRELESS NETWORK}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전 모드들의 사용을 통한 무선 네트워크들의 에너지 효율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전기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al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및 시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 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도시, 국가, 지방 그리고 심지어 전세계 레벨 상에서 서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전기 통신 표준들에 채택되어 왔다. 최근에 부상한 전기 통신 표준의 일례는 LTE이다. LTE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반포된 범용 모바일 전기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모바일 표준에 대한 확장(enhancement)들의 세트이다. LTE는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모바일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더욱 잘 지원하고, 비용들을 낮추며, 서비스들을 개선하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며, 다운링크(DL: downlink) 상에서 OFDMA를, 업링크(UL: uplink) 상에서 SC-FDMA를, 그리고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개방형 표준들과 더욱 잘 통합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LTE 기술에 있어 추가적인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가급적, 이러한 개선들은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들 및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는 전기 통신 표준들에 적용 가능해야 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저조한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 동안 임의의 실제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 동안 임의의 실제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 경우,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 동안 실제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유휴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저조한 전체 데이터 트래픽 기간들 동안에,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저조한 전체 데이터 트래픽 기간들 동안에,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저조한 전체 데이터 트래픽 기간들 동안에,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본 개시의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앞서 간략히 요약된 설명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양상들의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단지 특정한 전형적인 양상들을 도시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는데, 이는 설명이 다른 동등하게 유효한 양상들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다중 액세스(OFDM/OFDMA)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송신기 및 예시적인 수신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이동국의 시간에 따른 예시적인 작동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들을 참조로 특정 양상들이 설명되며, 여기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 엘리먼트들을 지칭하기 위해 동일 참조 부호들이 사용된다. 다음 기재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특정 양상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는, 특정 양상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직교 다중화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들을 비롯한 다양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들로 분할하는 변조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를 이용한다. 이러한 부반송파들은 또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OFDM에 따라, 각각의 부반송파는 데이터로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된 부반송파들을 통해 전송하도록 인터리빙된 FDMA(IFDMA: interleaved FDMA)를, 인접한 부반송파들의 한 블록을 통해 전송하도록 로컬화된 FDMA(LFDMA: localized FDMA)를, 또는 인접한 부반송파들의 다수의 블록들을 통해 전송하도록 확장된 FDMA(EFDMA: enhanced FDMA)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벌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OFDM에 따라 그리고 시간 도메인에서는 SC-FDMA에 따라 전송된다.
직교 다중화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는 WiMAX 시스템이다. 마이크로파 액세스에 대한 전 세계적인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을 나타내는 WiMAX는 장거리들에 걸쳐 높은 스루풋의 광대역 접속들을 제공하는 표준 기반 광대역 무선 기술이다. 현재 WiMAX의 2가지 주요 애플리케이션: 고정 WiMAX 및 모바일 WiMAX가 존재한다. 고정 WiMAX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가정 및 업무용의 광대역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점 대 다점(point-to-multipoint)이다. 모바일 WiMAX는 OFDM 및 OFDMA를 기반으로 하며, 광대역 속도들로 셀룰러 네트워크들의 완전한 이동성(full mobility)을 제공한다.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은 고정 및 모바일 광대역 무선 액세스(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시스템들에 대한 에어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기 위한 신흥 표준 기구이다. 이러한 표준들은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물리 계층(PHY: physical layer)들과 하나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계층을 정의한다. 4개의 물리 계층들 중 OFDM 및 OFDMA 물리 계층이 고정 및 모바일 BWA 영역들에서 각각 가장 대중적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WiMax 애플리케이션들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다른 변조 및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른 전기 통신 표준들로 쉽게 확장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개념들은 최적화된 에볼루션 데이터(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Ultra Mobile Broadband)로 확장될 수 있다. EV-DO 및 UMB는 CDMA2000 표준군의 일부로서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에 의해 반포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이며, CDMA를 이용하여 이동국들에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또한 광대역-CDMA(W-CDMA) 및 TD-SCDMA와 같은 CDMA의 다른 변형들을 이용하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DMA를 이용하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진화형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LTE, IEEE 802.20, 및 OFDMA를 이용하는 플래시-OFDM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GPP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이용되는 다중 액세스 기술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좌우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이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일례를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기지국(104)에 의해 각각 서비스되는 다수의 셀들(102)에 대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104)은 사용자 단말들(106)과 통신하는 고정국일 수 있다. 기지국(104)은 대안으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다른 어떤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은 시스템(100) 전역에 분산된 다양한 사용자 단말들(106)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들(106)은 고정적(즉, 정지)일 수도 있고 움직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들(106)은 대안으로 원격국들, 액세스 단말들, 단말들, 가입자 유닛들, 이동국들, 스테이션들, 사용자 장비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들(106)은 셀룰러폰들,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무선 모뎀들, 랩톱 컴퓨터들, 개인용 컴퓨터들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기지국들(104)과 사용자 단말들(106) 간의 전송들을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들 및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FDMA 기술들에 따라 기지국들(104)과 사용자 단말들(106) 사이에서 신호들이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경우라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OFDM/OF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04)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6)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108)로 지칭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6)로부터 기지국(104)으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110)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운링크(108)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도 있고, 업링크(110)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도 있다.
셀(102)은 다수의 섹터들(112)로 분할될 수 있다. 섹터(112)는 셀(102) 내의 물리적 커버리지 영역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의 기지국들(104)은 셀(102)의 특정 섹터(112) 내에 전력의 흐름을 집중시키는 안테나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들은 지향성(directional) 안테나들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202)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례이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기지국(104) 또는 사용자 단말(106)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이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또한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06)는 프로세서(204)에 명령들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20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4)는 일반적으로 메모리(2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기초로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206) 내의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 가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2)와 원격 위치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20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210)와 수신기(212)는 트랜시버(214)로 결합될 수도 있다. 안테나(216)가 하우징(208)에 부착되어 트랜시버(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트랜시버(21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하여 정량화(quantify)하기 위한 노력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218)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218)는 이러한 신호들을 총 에너지, 의사 잡음(PN: pseudonoise) 칩들별 파일럿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로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데이터 버스 외에도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도 포함할 수 있는 버스 시스템(22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OFDM/OFDMA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송신기(302)의 일례를 나타낸다. 송신기(302) 부분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송신기(210)로 구현될 수 있다. 송신기(302)는 다운링크(108)를 통해 사용자 단말(106)에 데이터(306)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104)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송신기(302)는 또한 업링크(110)를 통해 기지국(104)으로 데이터(306)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6)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송될 데이터(306)는 직렬-병렬(S/P: serial-to-parallel) 변환기(308)에 대한 입력으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S/P 변환기(308)는 송신 데이터를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로 분할할 수 있다.
그 다음,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은 맵퍼(312)에 대한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맵퍼(312)는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N개의 성상도 포인트에 맵핑할 수 있다. 맵핑은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shift keying),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PSK: quadrature phase-shift keying), 8 위상 시프트 키잉(8PSK: 8 phase-shift keying), 직교 진폭 변조(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과 같은 어떤 변조 성상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맵퍼(312)는 N개의 병렬 심벌 스트림들(316)을 출력할 수 있는데, 각각의 심벌 스트림(316)은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320)의 N개의 직교 부반송파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이러한 N개의 병렬 심벌 스트림들(316)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표현될 수 있고 IFFT 컴포넌트(320)에 의해 N개의 병렬 시간 도메인 샘플 스트림들(318)로 변환될 수 있다.
이제 용어에 관한 간략한 정보가 제공될 것이다.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N회의 병렬 변조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N개의 변조 심벌들과 같은데, 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N 맵핑 및 N-포인트 IFFT와 같고, 이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유용한) OFDM 심벌과 같은데, 이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N개의 샘플들과 같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하나의 OFDM 심벌(Ns)은 Ncp(OFDM 심벌당 보호 샘플들의 수) + N(OFDM 심벌당 유용한 샘플들의 수)과 같다.
N개의 병렬 시간 도메인 샘플 스트림들(318)은 병렬-직렬(P/S: parallel-to-serial) 변환기(324)에 의해 OFDM/OFDMA 심벌 스트림(322)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보호 삽입 컴포넌트(326)는 OFDM/OFDMA 심벌 스트림(322)에서 연속한 OFDM/OFDMA 심벌들 사이에 보호 구간을 삽입할 수 있다. 그 다음, 보호 삽입 컴포넌트(326)의 출력은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프론트엔드(328)에 의해 원하는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상향 변환될 수 있다. 그 다음, 안테나(330)가 결과적인 신호(332)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또한 OFDM/OFDMA를 이용하는 무선 디바이스(202)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신기(304)의 일례를 나타낸다. 수신기(304) 부분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수신기(212)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304)는 다운링크(108)를 통해 기지국(104)으로부터 데이터(306)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106)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기(304)는 또한 업링크(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6)로부터 데이터(306)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104)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송된 신호(332)는 무선 채널(334)을 통해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안테나(330')에 의해 신호(332')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332')는 RF 프론트엔드(328')에 의해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될 수 있다. 그 다음, 보호 제거 컴포넌트(326')가 보호 삽입 컴포넌트(326)에 의해 OFDM/OFDMA 심벌들 사이에 삽입되었던 보호 구간을 제거할 수 있다.
보호 제거 컴포넌트(326')의 출력은 S/P 변환기(324')에 제공될 수 있다. S/P 변환기(324')는 OFDM/OFDMA 심벌 스트림(322')을 N개의 병렬 시간 도메인 심벌 스트림들(318')로 분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심벌 스트림들 각각은 N개의 직교 부반송파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컴포넌트(320')는 N개의 병렬 시간 도메인 심벌 스트림들(318')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N개의 병렬 주파수 도메인 심벌 스트림들(316')을 출력할 수 있다.
디맵퍼(312')는 맵퍼(312)에 의해 수행되었던 심벌 맵핑 동작의 역을 수행함으로써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출력할 수 있다. P/S 변환기(308')는 N개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310')을 단일 데이터 스트림(306')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이 데이터 스트림(306')은 송신기(302)에 대한 입력으로서 제공되었던 데이터(306)에 대응한다. 엘리먼트들(308', 310', 312', 316', 320', 318', 324')은 모두 기저대역 프로세서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결정하여 진입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국(MS: mobile station)에 대한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를 제시한다. 절전 모드는 미리 정해진 기간의 시간 동안 MS에서 관찰되는 트래픽의 양과 타입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기술은 서로 다른 레벨들의 절전 상태들을 갖는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WiMAX)에서 이동국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무선 표준들(예를 들어, IEEE 802.16e)은 다수의 절전 상태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저 전력 상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어떤 비율의 시간 동안 낮춰지는 슬립 모드에 대응할 수 있는데, 이는 슬립 윈도우 또는 "이용 불능" 기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 2 저 전력 상태는, 추가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낮춰지고 그리고/또는 제 1 저 전력 상태에 비해 더 긴 시간 동안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낮춰지는 더 깊은 저 전력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은 비슷한 레벨들 또는 정도들의 더 낮은 전력 상태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트래픽이 적을 때 MS에 대해 제 1 저 전력 상태와 제 2 저 전력 상태(예를 들어, 슬립 모드 또는 유휴 모드) 간에 선택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서빙 기지국(BS: base station) 또는 이동국이 절전 모드를 트리거할 수 있다.
도 4는 MS에 대해 저 전력 상태들 간에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400)을 나타낸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동작들은 MS에 의해 또는 서빙 BS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BS는 MS에 대한 저 전력 상태를 선택한 다음, 선택된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하도록 MS에 지시할 수 있다.
402에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동작들이 시작된다. 404에서, 저조한 전체 데이터 트래픽 기간들 동안에,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406에서,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트래픽의 타입은 유지 목적 또는 관리 목적(제어 트래픽)이 아닌 데이터 트래픽을 의미하는 "실제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할 수 있다.
WiMAX와 같은 일부 무선 표준들에서는, 접속 식별(CID: connection identification)이 MS와 BS 사이의 물리적 트래픽 경로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목적 및 유지 목적에 관련된 트래픽을 제외한) 실제 데이터 트래픽은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데이터 트래픽을 포함하는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 데이터 트래픽 CID들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CID들을 사용하여, 특정 양상들은 MS 개시 슬립 모드 또는 유휴 모드를 어떻게 트리거할지 결정한다.
시간 기간 동안, MS는 데이터 트래픽을 관찰하지 못할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 트래픽이 저조할 수도 있다. MS는 미리 정해진 기간의 시간에 임의의 유효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CID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MS가 미리 정해진 기간의 시간 동안 임의의 DL/UL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CID들을 관찰한다면, MS는 MS 개시 슬립 모드를 트리거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간의 시간 동안 MS가 어떠한 DL/UL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CID들도 관찰하지 못한다면, MS는 MS 개시 유휴 모드를 트리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저 전력 상태들이 선택되는 MS에 대한 예시적인 타이밍도(500)를 나타낸다.
예시된 바와 같이, MS(506)는 (예를 들어, 이용 가능 윈도우(502) 동안) BS로부터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BS로부터의 실제 데이터 트래픽 없이(예를 들어, 512) 얼마간의 시간이 지난 후, MS는 슬립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MS가 슬립 모드에 진입할 때, MS는 슬립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508). 슬립 타이머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립 타이머가 만료(run out)되기 전 임의의 시점에 슬립 모드가 해제(deactivate)된다면, 슬립 타이머가 삭제될 수 있다. 슬립 모드가 해제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기간 이후에 슬립 타이머가 만료된다면(예를 들어, 509), MS는 유휴 모드를 트리거할 수 있다(510).
다른 양상의 경우, 슬립 타이머가 실행 중인 동안, MS는 슬립 윈도우(504)(예를 들어, MS가 이용 불가능한 윈도우)의 크기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특정 개수의 시간들에 대해 슬립 윈도우의 크기가 계속해서 증가된다면, MS는 슬립 타이머를 삭제하고 유휴 모드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립 윈도우의 각각의 시간 크기는 일정량씩 또는 가변량으로 증가될 수 있다. 예컨대, 슬립 윈도우의 크기가 증가되는 시간들의 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기 위해 카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카운터는 슬립 윈도우의 크기가 증가될 때마다 그 이전 값에 1을 더할 수 있다. 카운터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에 이른다면, MS는 유휴 모드를 트리거하기 위한 프로시저를 시작할 수 있다. 슬립 윈도우의 크기가 감소될 때, 카운터는 0으로 리셋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는, 디바이스가 깨어 있어 청취하고 있는 시간에 대한, 디바이스가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낮춰져) 저 전력 상태인 시간의 양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기초로 저 전력 상태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슬립 사이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슬립 비율(sleep ratio)이 정의될 수 있으며:
Figure pct00001
여기서 sr은 슬립 비율이고, lw는 청취 윈도우(예를 들어, MS가 이용 가능한 시간의 윈도우)의 크기이며, sw는 슬립 윈도우(예를 들어, MS가 이용 불가능한 시간의 윈도우)의 크기이다.
미리 정해진 기간의 시간 동안 MS가 슬립 모드이고 슬립 비율이 임계치(예를 들어, 95%)보다 높다면, MS는 유휴 모드를 트리거(예를 들어, 더 많은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깊은 슬립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600)을 나타낸다. 동작들(600)은 도 4에 도시된 더 일반적인 동작들(400)의 구현 예로 여겨질 수 있다.
602에서, 디바이스(예를 들어, MS 또는 BS)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604에서, 저조한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된다면,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 동안 임의의 실제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606에서,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 동안 임의의 실제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체크할 수 있다. 608에서,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 동안 임의의 실제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된다면,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610에서,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 동안 실제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지 않는다면, 디바이스는 유휴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MS 디바이스는 제 1 저 전력 상태(예를 들어, 슬립 모드)의 진입시 타이머(예를 들어, 슬립 타이머)를 초기화할 수 있고, 타이머 만료시 제 2 저 전력 상태(예를 들어, 유휴 모드)의 진입을 트리거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가 해제되면 슬립 타이머를 삭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또한, 슬립 타이머가 실행 중인 동안 슬립 윈도우의 크기를 추적하기 위해 카운터를 초기화할 수 있고, 카운터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에 도달하면 유휴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은 MS가 효과적으로 절전 모드를 선택하여 MS의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다수의 절전 모드들을 지원하는 임의의 무선 기술(예를 들어, WiMAX,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는 2개 또는 그보다 더 많은 절전 모드들을 가질 수 있다. 제안된 방법들은 디바이스에 의해 임의의 수의 절전 모드들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일부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러 다른 코드 세그먼트들에, 서로 다른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다른 예들 및 구현들이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본질로 인해,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의 결합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서로 다른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비롯하여, 물리적으로 다양한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 중 적어도 하나"로 서문이 쓰여진 항목들의 리스트에 사용된 "또는"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와 B와 C)를 의미하도록 택일적인 리스트를 나타낸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또한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전송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적용 가능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이와 달리 획득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서버에 연결되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콤팩트 디스크(CD)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디바이스에 연결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얻을 수 있도록, 이러한 저장 수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위에서 예시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배치,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 대해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개조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저조한 전체 데이터 트래픽 기간들 동안에,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에 걸쳐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의 검출을 식별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데이터 트래픽 접속 식별(CID: connection identification)들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낮춰지는 저 전력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는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보다 더 깊은 저 전력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더 깊은 저 전력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낮춰지는 것에 추가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낮춰지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은 관리 또는 유지 목적이 아닌 트래픽에서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상기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된 경우,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상기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시 타이머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을 관찰하지 않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는 경우,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와 연관된 슬립 윈도우의 크기를 추적하기 위해 카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윈도우 크기가 증가될 때마다 상기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슬립 윈도우의 크기가 감소되는 경우, 상기 카운터를 0으로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와 연관된 이용 가능 윈도우의 크기 및 슬립 윈도우의 크기에 적어도 기초하여 슬립 비율(sleep ratio)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슬립 비율이 임계치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10.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저조한 전체 데이터 트래픽 기간들 동안에,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듀레이션에 걸쳐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타입의 검출을 식별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데이터 트래픽 접속 식별(CID)들을 검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낮춰지는 저 전력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는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보다 더 깊은 저 전력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더 깊은 저 전력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에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낮춰지는 것에 추가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의 전력이 낮춰지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은 관리 또는 유지 목적이 아닌 트래픽에서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상기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된 경우,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하기로 결정하기 위한 수단;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상기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하기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시 타이머를 초기화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을 관찰하지 않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는 경우,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와 연관된 슬립 윈도우의 크기를 추적하기 위해 카운터를 초기화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카운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윈도우 크기가 증가될 때마다 상기 카운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슬립 윈도우의 크기가 감소되는 경우, 상기 카운터를 0으로 리셋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 전력 상태와 연관된 이용 가능 윈도우의 크기 및 슬립 윈도우의 크기에 적어도 기초하여 슬립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슬립 비율이 임계치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 2 저 전력 상태에 진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19.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저조한 전체 데이터 트래픽 기간들 동안에,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20.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명령들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저조한 전체 데이터 트래픽 기간들 동안에,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 동안 특정 타입의 데이터 트래픽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을 기초로, 제 1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 아니면 제 2 저 전력 상태로의 진입을 트리거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47014430A 2011-10-31 2012-10-10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결정하여 진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575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86,087 US9386526B2 (en) 2011-10-31 2011-10-31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entering power saving mode in a wireless network
US13/286,087 2011-10-31
PCT/US2012/059507 WO2013066578A1 (en) 2011-10-31 2012-10-10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entering power saving mode in a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314A true KR20140084314A (ko) 2014-07-04
KR101575738B1 KR101575738B1 (ko) 2015-12-08

Family

ID=4717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430A KR101575738B1 (ko) 2011-10-31 2012-10-10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결정하여 진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86526B2 (ko)
EP (1) EP2774421B1 (ko)
JP (1) JP5964444B2 (ko)
KR (1) KR101575738B1 (ko)
CN (1) CN103959865B (ko)
IN (1) IN2014CN02824A (ko)
TW (1) TW201322803A (ko)
WO (1) WO2013066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5131A1 (en) * 2011-11-14 2015-12-17 Metanoia Communications Inc. Crosstalk Management For OFDM Communication Systems In Power Efficient Transmission Mode
US8792407B2 (en) * 2012-02-21 2014-07-2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ower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8797911B2 (en) * 2012-02-21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078266B2 (en) 2012-10-11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on access terminals
US9161308B2 (en) 2013-08-26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utonomous discontinuous transmission in access terminals
US9524015B2 (en) * 2014-02-19 2016-12-2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evice optimized power management
WO2018208225A1 (en) * 2017-05-12 2018-11-15 Razer (Asia-Pacific)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fying button click force
KR102394217B1 (ko) * 2017-09-15 2022-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력 소모 절감을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9493B1 (en) 2000-04-24 2004-12-07 Denso Corporation Adaptive adjustment of sleep duration to increase standby time in wireless mobile stations
KR20040092830A (ko) * 2003-04-29 200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구간 설정 방법
TWI225200B (en) 2003-06-24 2004-12-11 Lite On Technology Corp Fast wake-up wireless signal receiving device
KR100606065B1 (ko) 2003-09-01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3582B1 (ko) 2003-12-12 2010-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동작 스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7447526B2 (en) 2005-10-28 2008-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saving method for wireless sensor network
US8260372B2 (en) * 2006-06-30 2012-09-04 Nokia Corporation Traffic monitoring for regulating states of a terminal
US20080009328A1 (en) 2006-07-05 2008-01-10 Motorola, Inc. Sleep mode optimization for reducing battery lif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284707B2 (en) * 2006-11-07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power-saving mechanism for VoIP services
AU2008204768A1 (en) 2007-01-11 2008-07-17 Qualcomm Incorporated Using DTX and DR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87406B2 (en) 2007-04-18 2010-08-31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adaptively changing snoozing intervals of wireless devices
KR101340177B1 (ko) 2007-10-19 201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모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90201871A1 (en) * 2008-02-12 2009-08-13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utilization of channel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090279467A1 (en) 2008-05-09 200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and effective power saving design
KR20100006110A (ko) * 2008-07-08 2010-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망에서의 전력 소모 방지 방법
KR20110000479A (ko) * 2009-06-26 2011-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립모드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102356B1 (ko) 2009-07-15 2012-01-03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통신망에서 슬립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102589A (ko) 2010-03-11 2011-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557889B1 (en) * 2011-08-12 2019-07-17 BlackBerry Limited Simplified ue + enb mess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4421A1 (en) 2014-09-10
JP2014534772A (ja) 2014-12-18
IN2014CN02824A (ko) 2015-07-03
US20130107774A1 (en) 2013-05-02
KR101575738B1 (ko) 2015-12-08
TW201322803A (zh) 2013-06-01
WO2013066578A1 (en) 2013-05-10
US9386526B2 (en) 2016-07-05
CN103959865B (zh) 2017-10-13
CN103959865A (zh) 2014-07-30
EP2774421B1 (en) 2015-12-09
JP5964444B2 (ja)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738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절전 모드를 결정하여 진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220964B1 (ko) 다중-모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빠른 서비스 선택 및 획득
US84229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ation and activation of power saving classes by a mobile station in a sleep mode
EP229489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e terminal operation in overlaid networks
EP234731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ate-driven power savings for wimax
US86995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versity idle mode in a mobile station
KR101182875B1 (ko) 무선 통신을 위해 보안 키들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002903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ndover scanning in fdd or h-fdd networks
WO20101273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dma evdo paging interval alignment with an overlaid wimax network
US2010010538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active idle mode handoff
US8693979B2 (en) Power efficient emergency call triggered tracking method
US20130095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ells in an idle or sleep mode
US8171175B2 (en) Methods and systems using data rate driven protocol accelerator for mobile devices
US823828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ssion scheduling during sleep mode in WIMAX networks
US20130142114A1 (en) Enhancement of Replay Pro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30107860A1 (en) REDUCING SERVICE INTERRUPTION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ALLS DUE TO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RAT) HAND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