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505A -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505A
KR20140083505A KR1020120153360A KR20120153360A KR20140083505A KR 20140083505 A KR20140083505 A KR 20140083505A KR 1020120153360 A KR1020120153360 A KR 1020120153360A KR 20120153360 A KR20120153360 A KR 20120153360A KR 20140083505 A KR20140083505 A KR 20140083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vator
safety net
net assemb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응균
신동환
김대희
이은석
양영철
윤승현
Original Assignee
과천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과천시시설관리공단 filed Critical 과천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20153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505A/en
Publication of KR2014008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5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apparatus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net assembly does not block a moving path of an elevator while the elevator is operated. The safety net assembly automatically blocks the moving path of the elevator while the elevator is not operated. Thus, a falling accident of a worker or an elevator user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승강기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Elevator}{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가 운행될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가 승강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지 않고, 승강기가 운행되지 않을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승강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승강기 이용자의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afet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net assembly in which when the elevator is operated, the safety net assembly does not block the moving path of the elevator, and when the elevator is not operated, the safety net assembly automatically blocks the moving path of the elevator , And an elevator safet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fall accident of a worker or an elevator user.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 다수층의 지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건물에는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elevators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s where the underground spaces of high-rise buildings and multiple floors are formed.

그런데, 최근에는 이용자가 승강기 문을 임의로 열거나, 승강기 문에 기대어 있는 상태에서 승강기 문이 열리는 등의 사고로 인하여, 이용자가 승강기 통로 아래로 떨어져서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 사고에 이르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however, the user often falls down the elevator passageway due to an accident such as the user opening the elevator door at will or opening the elevator door while leaning on the elevator door, resulting in severe injury or death It is true.

또한, 건물의 건축 단계에서 작업자가 승강기 통로 아래로 떨어지는 사고 역시 자주 발생되고 있다.In addition, an accident that an operator falls down the elevator passageway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of the building is also frequently occurring.

한편, 이러한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01-0000257에는 엘리베이터 홀 추락 방호틀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such a drop accident,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2001-0000257 discloses an elevator hall crash protection frame.

그러나, 상술한 엘리베이터 홀 추락 방호틀은, 건물의 건축 단계에서 작업자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일 뿐, 승강기가 운행되는 건물에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elevator hall crash protection frame is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and used by a worker at the building stage of the building, and can not be installed in a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is operated.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승강기가 운행될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가 승강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지 않고, 승강기가 운행되지 않을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승강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승강기 이용자의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backgrou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net assembly in which a safety net assembly does not block a moving path of an elevator when an elevator is operated and automatically shut off a moving path of an elevator when the elevator is not operate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safet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fall accident of a user of an elevator.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가 이동하는 통로 상에서 구동부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망 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net assembly is provided rotatably by a driving force provided by a driving unit on a passage through which an elevator moves, thereby preventing a fall accid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또한, 상기 안전망 어셈블리는, 소정 간격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 세트;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프레임과, 타단을 연결하는 제4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 세트; 및 상기 제1프레임 세트와 제2프레임 세트로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안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safety net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rame set includ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second frame set including a third frame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nd a fourth frame connecting the other end; And a safety net installed in an inner space made up of the first frame set and the second frame set.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기 출입문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상기 제1프레임 세트 중, 상기 통로에서 상기 출입문의 반대편 벽면에 설치되는 회동지지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frame,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a pivotal support provided on a wall surface opposite to the door in the passage, of the first frame set installed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And a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elevator.

또한, 상기 통로에서 상기 출입문 방향의 벽면에는, 상기 안전망 어셈블리가 상기 통로를 차단했을 때, 상기 제2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elevator safet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cond frame when the safety net assembly is blocked by the wall surface of the passage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통로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protruding inward of the passage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승강기가 운행될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가 승강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지 않고, 승강기가 운행되지 않을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승강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승강기 이용자의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vator is operated, the safety net assembly does not block the moving path of the elevator, and when the elevator is not operated, the safety net assembly automatically blocks the moving path of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s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승강기 안전장치가 통로 상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elevator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levator safety device of FIG. 1 is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passageway.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elevator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은 도 1의 승강기 안전장치가 통로 상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levator safety device of FIG. 1 is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passageway.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안전장치(100)는 승강기가 이동하는 통로(310) 상에서 구동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망 어셈블리(130); 및 구동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elevator safet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ssage 310 on which the elevator moves, by a driving force provided by the driving unit 110, A safety net assembly 130 to prevent accident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10.

안전망 어셈블리(130)는 작업자 또는 이용자가 승강기 통로(310)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안전망 어셈블리(130)는, 소정 간격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3)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 세트;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3)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프레임(135)과, 타단을 연결하는 제4프레임(137)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 세트; 및 제1프레임 세트와 제2프레임 세트로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안전망(139)을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The safety net assembly 130 functions to prevent an operator or a user from falling down the elevator passageway 310. More specifically, the safety net assembly 130 includes a first frame 131 ) And a second frame (133); A second frame set including a third frame 135 connecting the first frame 131 and one end of the second frame 133 and a fourth frame 137 connecting the other end; And a safety net 139 provided in an inner space made up of a first set of frames and a second set of frames.

제1프레임 세트를 이루는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3)은 승강기 출입문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데, 이 중 제1프레임(131)은 승강기 출입문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제2프레임(133)은 승강기 출입문에 인접하에 배치된다.The first frame 131 and the second frame 133 constituting the first frame set ar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The first frame 131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levator door, The frame 13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elevator door.

한편, 제1프레임(131)은 통로(310)에서 출입문의 반대편 벽면(311)에 설치되는 회동지지체(1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회동지지체(150)에는 베어링(151)이 구비되어 있고, 제1프레임(131)은 베어링(151)을 매개로 회동지지체(15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The first frame 131 is rotatably supported by a rotation support body 150 installed on a wall surface 311 opposite to the door in the path 310. The rotation support body 150 is provided with a bearing 151 The first frame 131 is inserted into the pivot support 150 via the bearing 151 and is rotatably supported.

이어서, 제2프레임 세트는 제3프레임(135)과 제4프레임(137)을 포함하여 이뤄지는데, 제3프레임(137)은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3) 각각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고, 제4프레임(137)은 제1프레임(131)과 제2프레임(133) 각각의 타단을 서로 연결한다.The second frame set includes a third frame 135 and a fourth frame 137. The third frame 137 includes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frame 131 and the second frame 133, And the fourth frame 137 connects the other ends of the first frame 131 and the second frame 133 with each other.

이처럼 제1프레임 세트와 제2프레임 세트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뤄짐으로써, 제1프레임 세트와 제2프레임 세트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Thus, the first frame set and the second frame se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 space is formed in the first frame set and the second frame set.

안전망(139)은 전술한 제1프레임 세트와 제2프레임 세트로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에 구비된다.The safety net 139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made of the first frame set and the second frame set described above.

구동부(110)는 제1프레임 세트 중 제1프레임(13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데, 일 예로, 구동부(110)는 전동 모터로 제공되어서, 전동 모터의 축과 제1프레임(131)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제1프레임(131)에 스프라켓을 결합시키고,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도 스프라켓을 결합시킨 후, 이들 스프라켓들을 체인로 연결함으로써,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제1프레임(131)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The driving unit 110 is provided as an electric motor so that the axis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first frame 131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31 of the first set of frames. The sprocke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rame 131, the sprocket may be coupl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sprockets may be connected by a chain so that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frame 131 have.

한편, 승강기가 이동하는 통로(310)에서 출입문 방향의 벽면(313)에는, 안전망 어셈블리(130)가 통로(310)를 차단했을 때, 제2프레임(133)을 지지하는 지지부(21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부(210)는 일 예로, 제2프레임(133)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통로(3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afety net assembly 130 blocks the passage 310, the supporting portion 210 supporting the second frame 133 is further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313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in the passage 310 in which the elevator moves. The supporting portion 21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ward of the passage 310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133, for example.

이와 같이 지지부(210)를 형성함으로써, 안전망 어셈블리(130)가 통로(310)를 차단했을 때, 좀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안전망 어셈블리(13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By forming the support portion 210 in this way, the safety net assembly 130 can be more firmly and stably supported by the safety net assembly 130 when the passage 310 is blocked.

추가로, 지지부(210)에는 제1리미트스위치(330)가 구비되고, 통로(310)에서 출입문의 반대편 벽면(311)에는 제2리미트스위치(350)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제1리미트스위치(330)와 제2리미트스위치(350)는 안전망 어셈블리(130)의 회동 구간을 제한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first limit switch 330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210 and the second limit switch 350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wall 311 of the door 310 in the passage 310. The first limit switch 330 and the second limit switch 350 generate a signal that limits the rotation period of the safety net assembly 130.

즉, 안전망 어셈블리(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프레임(133)이 제1리미트스위치(330)와 접촉하게 되면, 제1리미트스위치(330)는 접촉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는 전송받은 접촉 신호에 따라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안전망 어셈블리(130)가 일방향으로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한다.That is, when the safety net assembly 130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frame 133 contacts the first limit switch 330, the first limit switch 330 transmits a contact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act signal so that the safety net assembly 130 is no longer rotated in one direction.

또한, 안전망 어셈블리(13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프레임(133)이 제2리미트스위치(350)와 접촉하게 되면, 제2리미트스위치(350)는 접촉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는 전송받은 접촉 신호에 따라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안전망 어셈블리(130)가 타방향으로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한다.In addition, when the safety net assembly 13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second frame 133 contacts the second limit switch 350, the second limit switch 350 transmits a contact signal to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act signal so that the safety net assembly 130 is no longer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제어부는 구동부(1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승강기가 운행될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130)를 출입문의 반대편 벽면(311) 쪽으로 회전시켜서 안전망 어셈블리(130)가 승강기의 이동 통로(310)를 차단하지 않도록 구동부(110)를 작동시키고, 승강기가 운행되지 않을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130)를 출입문 방향의 벽면(313) 쪽으로 회전시켜서 안전망 어셈블리(130)가 승강기의 이동 통로(310)를 차단하도록 구동부(110)를 작동시킨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10. More specifically, when the elevator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130 rotates the safety net assembly 130 toward the opposite wall surface 311 of the door so that the safety net assembly 130 is moved to the moving path of the elevator The safety net assembly 130 is rotated to the wall surface 313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so that the safety net assembly 130 is moved to the moving path 310 of the elevator, The driving unit 110 is operated.

이를 위해, 제어부는 리미트스위치들(330,350)로부터 전송되는 접촉 신호에 따라 구동부(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미 입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부(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mit switches 330 and 350, o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10 by an already inputted progra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승강기가 운행될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가 승강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지 않고, 승강기가 운행되지 않을 때에는 안전망 어셈블리가 자동으로 승강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게 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승강기 이용자의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vator is operated, the safety net assembly does not block the moving path of the elevator, and when the elevator is not operated, the safety net assembly automatically blocks the moving path of the elevator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all accident of a worker or an elevator us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승강기 안전장치
110 : 구동부
130 : 안전망 어셈블리
131 : 제1프레임
133 : 제2프레임
135 : 제3프레임
137 : 제4프레임
139 : 안전망
150 : 회동지지체
151 : 베어링
310 : 통로
100: Elevator safety device
110:
130: Safety net assembly
131: 1st frame
133: Second frame
135: Third frame
137: fourth frame
139: Safety net
150:
151: Bearing
310: passage

Claims (2)

승강기가 이동하는 통로 상에서 구동부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망 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장치.
A safety net assembly rotatably mounted on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vator is moved by a driving force provided by a driving unit to prevent a fall acciden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 어셈블리는,
소정 간격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 세트;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프레임과, 타단을 연결하는 제4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 세트; 및
상기 제1프레임 세트와 제2프레임 세트로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안전망;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기 출입문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상기 제1프레임 세트 중, 상기 통로에서 상기 출입문의 반대편 벽면에 설치되는 회동지지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안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net assembly includes:
A first frame set includ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second frame set including a third frame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nd a fourth frame connecting the other end; And
And a safety net disposed in an inner space made up of the first frame set and the second frame set,
The driving unit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onal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first frame rotatably supported by a turning support body provided on a wall surface opposite to the doorway in the passage among the first frame set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way door .
KR1020120153360A 2012-12-26 2012-12-26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KR201400835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360A KR20140083505A (en) 2012-12-26 2012-12-26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360A KR20140083505A (en) 2012-12-26 2012-12-26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505A true KR20140083505A (en) 2014-07-04

Family

ID=5173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360A KR20140083505A (en) 2012-12-26 2012-12-26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50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61B1 (en) * 2020-09-15 2021-02-04 (주)대륜엘리스 Elevator hoistway fall prevention device
WO2022124534A1 (en) * 2020-12-09 2022-06-16 (주)대륜엘리스 Device for automatic prevention of elevator hoistway f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61B1 (en) * 2020-09-15 2021-02-04 (주)대륜엘리스 Elevator hoistway fall prevention device
WO2022124534A1 (en) * 2020-12-09 2022-06-16 (주)대륜엘리스 Device for automatic prevention of elevator hoistway f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65396A (en) The anti-error telephone-moving structure of elevator lifting
WO2005108732A3 (en) High load operation of an industrial roll door
KR101351329B1 (en) Driving apparatus for gate-bar of vehicle crossing gate
KR20150013410A (en) Apparatus for elevating screen doors of vertical open-close type
KR20170054858A (en) Safety railing device for drop prevention
KR20140083505A (en)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
KR101036020B1 (en) Fall prevention device of industrial lift
KR20140134887A (en) Apparatus for elevating screen doors of vertical open-close type
US20140061354A1 (en) Blind cord winder integrating with stopping control
KR100934165B1 (en) The arkade constructure that have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instrument
JP2010070320A (en) Safety switch for elevator maintenance operation and elevator
JP4694096B2 (en) Elevator car handrail device
KR101894830B1 (en) Safety equipment for installing at low pit of elevator way
KR101589158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double sliding window
JP2006124989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9453371B2 (en) Electric rolling door
KR200405830Y1 (en) A fire of sensing temperature motorized damper
JP2015168519A (en) Elevator door control mechanism and elevator door control method
CN108483200B (en) Elevator door system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101843325B1 (en) Lift door safety switchgear
JP2008024480A (en) Emergency braking device of passenger conveyor
EP3153446B1 (en) Elevator safety device
KR200477029Y1 (en) Semi-automatic turn stile gate
KR20150063966A (en) Controller integrated driving system for automatic door
EP3208416B1 (en)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