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321A -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 - Google Patents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321A
KR20140083321A KR1020120152931A KR20120152931A KR20140083321A KR 20140083321 A KR20140083321 A KR 20140083321A KR 1020120152931 A KR1020120152931 A KR 1020120152931A KR 20120152931 A KR20120152931 A KR 20120152931A KR 20140083321 A KR20140083321 A KR 20140083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art
pair
substrates
metal
receiv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254B1 (ko
Inventor
송원철
이상복
이동열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2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과 같은 금속성 물질이 부착되어 투입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투입구 후방의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판면에 각각 복수의 코일쌍으로 이루어진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를 구비하여, 송신 코일부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유도 자장에 따라 수신 코일부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자성체를 부착하여, 상기 자성체를 이용하여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를 포화시켜, 클립이나 스테플러칩과 같은 금속 이물질이 투입되는 경우에만, 투입되는 금속 이물질의 자속밀도 변화에 따라 수신 코일부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가 변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폐투입구를 통해 다수 매의 지폐가 다발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지폐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에 의해 센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투입구 후방의 반송로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금속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와; 상기 송신 코일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발진기와; 상기 수신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기로부터 검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반송로에 금속 이물질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는 자성체가 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A Metallic-object detecting device and the method of detecting metallic-object in AT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과 같은 금속성 물질이 부착되어 투입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투입구 후방의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판면에 각각 복수의 코일쌍으로 이루어진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를 구비하여, 송신 코일부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유도 자장에 따라 수신 코일부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자성체를 부착하여, 상기 자성체를 이용하여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를 포화시켜, 클립이나 스테플러칩과 같은 금속 이물질이 투입되는 경우에만, 투입되는 금속 이물질의 자속밀도 변화에 따라 수신 코일부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가 변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폐투입구를 통해 다수 매의 지폐가 다발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지폐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에 의해 센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는 각종 금융자동화기기(ATM ; Automatic Teller Machine)가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고객이 은행 직원의 도움 없이 입금, 출금 또는 이체 등의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동화장치이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낱장단위 즉, 지폐를 한 장씩 순차적으로 투입받아 처리하게 되는 일명 노트바이노트(note by note) 방식의 낱장투입 방식과, 지폐를 다발 단위로 한꺼번에 투입받아 처리하게 되는 다발 투입 방식이 있는데, 종래의 낱장투입 방식은 고객으로 하여금 일일이 낱장의 지폐를 투입하도록 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불편함을 야기하고 처리 시간도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주로 다발 투입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또한,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또는 지폐처리기에 있어서도 지폐를 다발로 투입하는 방식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
한편, 일상 생활에서 다수 매의 종이매체를 관리하기 위해 클립이나 스테플러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종이뿐만 아니라, 지폐의 경우도 클립 또는 스테플러 등을 이용하여 다수 매씩 관리하는 경우가 있으며, 은행에서도 다수 매의 지폐를 관리하기 위해 클립이나 스테플러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의 이용시, 이와 같은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지폐 다발을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투입구에 투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 경우 해당 지폐 다발이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수납처리될 때 지폐 다발 사이에 잔류하는 클립 또는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성 물질로 인해 지폐의 걸림이 유발되거나 내부의 각종 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등록특허 제 7,055,73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폐 다발이 투입되는 수납부의 적어도 일측의 경계벽을 따라 배열되는 에디 커렌트 센서(eddy-current sensor)로 구성된 금속탐지용 센서를 구비한 자동지폐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지폐의 위조 방지 등의 다양한 목적에 따라,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미세 금속성분이 포함되어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유럽 등에서 사용되는 지폐의 경우에는 자성 물질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상술한 미국등록특허 제 7,055,73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금속탐지용 센서를 구비한 자동지폐처리장치를 통해 지폐를 처리하는 경우, 지폐의 매수가 1~2장 정도로 적을 때에는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다수의 지폐가 다발로 투입되는 경우에는, 투입되는 지폐 다발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같은 정상 지폐에 포함된 금속 성분에 센서가 반응하여, 지폐의 투입을 중지시키게 되는 등의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과 같은 금속성 물질이 부착되어 투입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에 있어서 지폐투입구 후방의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판면에 각각 복수의 코일쌍으로 이루어진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를 구비하여, 송신 코일부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유도 자장에 따라 수신 코일부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자성체를 부착하여, 상기 자성체를 이용하여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를 포화시켜, 클립이나 스테플러칩과 같은 금속 이물질이 투입되는 경우에만, 투입되는 금속 이물질의 자속밀도 변화에 따라 수신 코일부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가 변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폐투입구를 통해 다수 매의 지폐가 다발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지폐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에 의해 센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투입구 후방의 반송로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금속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와; 상기 송신 코일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발진기와; 상기 수신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기로부터 검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반송로에 금속 이물질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는 자성체가 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감지장치는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자성체를 부착하여, 상기 자성체를 이용하여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를 포화시켜, 클립이나 스테플러칩과 같은 금속 이물질이 투입되는 경우에만, 투입되는 금속 이물질의 자속밀도 변화에 따라 수신 코일부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가 변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폐투입구를 통해 다수 매의 지폐가 다발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지폐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에 의해 센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투입되는 물질의 자력곡선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에서 정상적인 지폐 다발이 지폐투입구에 투입되는 경우,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측정되는 감지신호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에서 지폐 다발에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투입되는 경우,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측정되는 감지신호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판에 형성되는 코일부(송신 코일부, 수신 코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판의 일측면에 코일부(송신 코일부, 수신 코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에서 지폐 다발에 클립이 포함되어 투입되는 경우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는 지폐투입구(140) 후방의 반송로(15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기판(130)과, 상기 한 쌍의 기판(130)의 서로 대향하는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신 코일부(111) 및 수신 코일부(112)와, 송신 코일부(111)에 전류를 공급하는 발진기(170)와, 수신 코일부(112)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180)와, 검출기(180)로부터 검출신호를 전달받아 반송로에 금속 이물질의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기판(130) 중 일측의 기판(130)에는 자성체(120)가 부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120)는 지폐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를 포화시켜, 다수 매의 지폐가 다발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지폐에 인쇄된 미세 금속성분에 의해 센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3과 관련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기판 중 일측의 기판에만 자성체(120)를 구비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기판 모두에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의 금속감지장치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기판(130)은 지폐투입구 후방의 반송로(15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며, 한 쌍의 기판(130)의 대향하는 판면에는 송신 코일부(111)와 수신 코일부(112)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송신 코일부(111)는 한 쌍의 기판(1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발진기(17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반송로(150) 상에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신 코일부(112)는 상기 송신 코일부(111)와 대향하도록 한 쌍의 기판(130)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며, 송신 코일부(111)에 의해 발생된 유도 자기장에 의하여 수신 코일부(112)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송신 코일부(111)와 수신 코일부(112)는 복수의 코일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지폐투입구(14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클립 또는 스테플러칩 등과 같은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금속 이물질의 영향으로 반송로(150) 상의 자기장에 변화가 생기게 되고, 자기장이 변화함에 따라 수신 코일부(112)에 흐르는 유도 전류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신 코일부(112)에 흐르는 유도전류가 변화됨에 따라, 검출기(180)를 통해 수신 코일부(112)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변화를 검출하며, 검출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검출기(180)로부터 전달받은 검출신호의 변화를 측정하여, 투입되는 지폐에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지폐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투입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지폐의 투입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투입되는 물질의 자력곡선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자기장 내의 금속물질은 자속밀도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금속물질의 자속밀도의 변화는 물질의 물성에 따라 각각 다른 양태를 보이게 된다.
도 3은 상술한 자속밀도의 변화 양태를 보여주고 있는 그래프로서, 도 3의 곡선 1은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른 클립 또는 스테플러칩 등의 철(Fe)이 주성분인 금속물질의 자속밀도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곡선 2는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자기장에 의해 금속 물질이 자화되는 경우,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하면, 금속 물질의 자속밀도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기는 하나, 그 물성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가 어느 한도 이상 커지게 되면 자기장의 세기에 관계없이 자속밀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자기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의 자속밀도는 곡선 1을 따라 증가하다가 어느 점 이상이 되면 자속밀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자기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며, 마찬가지로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도 곡선 2를 따라 증가하다가 어느 점 이상이 되면 자속밀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자기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때,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곡선 2를 따라 증가하는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는,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곡선 1)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교적 작은 자기장의 세기에서 포화상태에 이르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130)에 자성체(120)를 구비함으로써 반송로(150) 상에 일정 세기, 즉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가 포화될 정도 이상의 세기를 갖는 자기장을 미리 인가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자기장의 세기에서 포화상태가 되는, 지폐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는 상기 자성체(12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포화상태가 되게 된다.
반면에,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의 자속밀도는 여전히 불포화 상태에 머무르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의 송신 코일부(112)에 전류를 인가하여 반송로(150) 상에 형성되는 자장의 세기를 증가시키게 되면, 지폐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는 자성체에 의해 이미 포화상태가 되어 반송로(140) 상의 자장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됨으로써 수신 코일부(112)를 통해 검출되는 유도전류가 변하지 않게 되지만, 반면에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은 여전히 자속밀도가 변화하게 되어(즉,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의 자속밀도는 인가되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 곡선 3과 같은 변화를 보임.), 반송로(140) 상의 유도 자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수신 코일부(112)를 통해 검출되는 유도전류가 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에서는 지폐가 다발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지폐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에 의한 검출기(180)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는 경우에만 수신 코일부(112)에 흐르는 유도전류가 변하게 되어 검출기(180)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금속 이물질의 검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치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에서 정상적인 지폐 다발이 지폐투입구에 투입되는 경우,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측정되는 감지신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에서 지폐 다발에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투입되는 경우,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측정되는 감지신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투입구(140)를 통해 정상적인 지폐 다발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오실로스코프를 통한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투입구(140)를 통해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이 지폐 다발에 포함되어 투입되는 경우에는 오실로스코프를 통한 신호의 변화가 큰 폭으로 감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클립이나 스테플러칩 등의 금속 이물질이 지폐투입구(140)를 통해 반송로(150)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수신 코일부(112)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변화가 감지되어, 제어부(190)에서 지폐의 투입을 중지하게 되지만, 지폐 다발이 지폐투입구(140)를 통해 반송로(150)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자성체(120)의 작용에 의해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을 포화시킴으로써 수신 코일부(112)에 흐르는 유도전류가 변하지 않게 되어 제어부(190)에서 반송로(150)에 금속 이물질이 투입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으로 인해 지폐의 투입이 중지되는 등의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판에 형성되는 코일부(송신 코일부, 수신 코일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판의 일측면에 코일부(송신 코일부, 수신 코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코일부(111, 112)의 구조는 동일 형상의 코일쌍을 기판(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형성하여, 코일과 코일 사이의 불감대를 보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코일쌍 사이에는 절연필름(160)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된 코일과 코일 사이를 절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일부(111, 112)는 복수의 코일쌍으로 형성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코일쌍은 두 개의 코일이 다수열로 배열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폐투입구(140)를 통해 반송로(150)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된 지폐가 투입되면, 금속 이물질이 포함된 지폐가 송신 코일부(111) 및 수신 코일부(112)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금속 이물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쌍의 첫 번째 열의 코일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의 변화와 두 번째 열의 코일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의 변화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 때, 검출기(180)는 첫 번째 열의 코일과 두 번째 열의 코일 간에 발생하는 유도전류 변화의 차이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190)는 유도전류 변화의 차이가 감지되는 코일쌍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일부(111, 112)를 형성하는 복수의 코일쌍이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코일쌍은 두 개의 코일이 다수열로 배열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코일과 코일 사이의 불감대를 보상함과 동시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감지장치에서 지폐 다발에 클립이 포함되어 투입되는 경우의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폐(10)의 좌측 상단에 클립(20)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지폐가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로(150)를 통해 투입되게 되면, 금속 이물질이 송신 코일부(111) 및 수신 코일부(112)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금속 이물질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수신 코일부(112)의 코일쌍 중 첫 번째 열에 형성된 a코일에 흐르는 유도전류는 변화하게 되는 반면, 상기 코일쌍 중 두 번째 열에 형성된 b코일에 흐르는 유도전류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코일쌍 중 첫 번째 열에 형성된 a코일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변화와 두 번째 열에 형성된 b코일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변화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검출기(180)에 의해 코일쌍에 흐르는 유도전류 변화의 차이가 감지됨으로써, a코일 및 b코일로 구성된 코일쌍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한편, 한 쌍의 기판부(130)에 각각 형성되는 송신 코일부(111)와 수신 코일부(112)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송신 코일부(111)와 수신 코일부(112) 사이의 간격은 센서의 검출 감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송신 코일부(111)와 수신 코일부(112)는 검출기(180)에 의해 유도전류의 변화가 감지될 수 있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송신 코일부(111)와 수신 코일부(112) 간의 간격을 14mm 내지 16mm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감지장치는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자성체를 부착하여, 상기 자성체를 이용하여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인쇄된 도료 또는 은선 등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를 포화시켜, 클립이나 스테플러칩과 같은 금속 이물질이 투입되는 경우에만, 투입되는 금속 이물질의 자속밀도 변화에 따라 수신 코일부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가 변화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폐투입구를 통해 다수 매의 지폐가 다발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지폐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에 의해 센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 : 지폐 20 : 클립
111 : 송신 코일부 112 : 수신 코일부
113 : 제1 코일 114 : 제2 코일
120 : 자성체 130 : 기판부
140 : 지폐투입구 150 : 반송로
160 : 절연필름 170 : 발진기
180 : 검출기 190 : 제어부

Claims (7)

  1.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투입구 후방의 반송로에 구비되어, 투입되는 지폐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금속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구비되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와;
    상기 송신 코일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발진기와;
    상기 수신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기로부터 검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반송로에 금속 이물질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는 자성체가 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는,
    각각 복수의 코일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쌍은,
    두 개의 코일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형상의 코일쌍이 다수열로 배열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열로 배열되는 복수의 코일쌍은,
    인접한 코일쌍들이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코일쌍 사이에는,
    절연필름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6. 지폐투입구 후방의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의 대향하는 판면에 각각 형성되는 송신 코일부 및 수신 코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속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금속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자성체를 이용하여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에 포함된 미세 금속성분의 자속밀도를 포화시킴으로써, 투입되는 지폐에 금속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에만, 투입되는 금속 이물질의 자속밀도 변화에 따라 수신 코일부에서 검출되는 유도전류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부와 수신 코일부를,
    각각 두 개의 코일로 이루어지는 동일한 형상의 코일쌍을 다수열로 배열하여 구성하여,
    유도전류의 변화가 검출되는 코일쌍의 배열위치를 파악함으로써, 투입되는 지폐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
KR1020120152931A 2012-12-26 2012-12-26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 KR101554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931A KR101554254B1 (ko) 2012-12-26 2012-12-26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931A KR101554254B1 (ko) 2012-12-26 2012-12-26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321A true KR20140083321A (ko) 2014-07-04
KR101554254B1 KR101554254B1 (ko) 2015-09-18

Family

ID=5173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931A KR101554254B1 (ko) 2012-12-26 2012-12-26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2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182A (ko) 2014-10-20 2016-04-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속 이물질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물질 감지 방법
KR20160046183A (ko) 2014-10-20 2016-04-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속 이물질 감지 장치
US11767187B2 (en) 2019-04-11 2023-09-26 Glory Ltd.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foreign-object entry determin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2745A (ja) 2003-12-15 2005-06-30 Toshiba Corp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及び異物検出装置
JP5417968B2 (ja) 2009-04-27 2014-02-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被検出体の検出方法
JP2014190886A (ja) 2013-03-28 2014-10-06 Nidec Sankyo Corp 異物検出装置および異物検出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182A (ko) 2014-10-20 2016-04-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속 이물질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물질 감지 방법
KR20160046183A (ko) 2014-10-20 2016-04-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속 이물질 감지 장치
US11767187B2 (en) 2019-04-11 2023-09-26 Glory Ltd.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foreign-object entry determin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254B1 (ko) 201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326B2 (en) Magnetic detection system for use in currency process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EP0057972A2 (en) A device for detecting a metal strip embedded in paper
US201202563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thickness of a sheet document
KR20100094992A (ko) 자기 패턴 검출 장치
KR101554254B1 (ko) 금속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감지방법
JP3283931B2 (ja) 磁気質検出装置
JP5856695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669912B1 (ko) 금속 이물질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물질 감지 방법
JPS63317891A (ja) 証券検査装置
US8789751B2 (en)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RU215598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онтроля защищенных от подделки документов
CN105574982B (zh) 一种线圈磁芯全桥结构的读磁器
JP4292015B2 (ja) 紙葉類判別センサ
CN109975726B (zh) 用于证实价值文件磁性安全特征的设备和为证实价值文件磁性安全特征对测量值补偿的方法
JP4702431B2 (ja) 紙幣識別装置
KR20160046183A (ko) 금속 이물질 감지 장치
US6032779A (en) Control of magnetic printed sheets
KR20150079060A (ko)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 이물질 감지 방법
KR20100083274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테이프권 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16301B1 (ko) 자성물질 식별 장치 및 지폐 계수기
JP4633665B2 (ja) 円板状金属用識別装置
JP2000099788A (ja) 磁気ヘッド装置および識別装置
KR20160048348A (ko) 수신 코일별 차등 감지 기준을 적용한 금속 이물질 감지 방법
KR101413954B1 (ko) 매체 감지 장치 및 금융기기
JP2023061224A (ja) 紙葉類識別装置、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