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514A -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514A
KR20140082514A KR1020120152593A KR20120152593A KR20140082514A KR 20140082514 A KR20140082514 A KR 20140082514A KR 1020120152593 A KR1020120152593 A KR 1020120152593A KR 20120152593 A KR20120152593 A KR 20120152593A KR 20140082514 A KR20140082514 A KR 2014008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ylinder
roll
driving
n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태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2514A/ko
Publication of KR2014008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연속 주조시 스트랜드 세그먼트에 구비되는 주편 이송을 위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에 의하면, 경압하 환경의 N 번째 세그먼트 보다 주편 압하량을 증가하는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크기를 상기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실린더 보다 증대시키어 미끄럼 없이 주편 인발이 이루어도록 구성되되, 상기 N+1,2...n 번째 세그먼트에 구비된 구동롤의 압하실린더는 주편 압하량에 대응하여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세그먼트에서 주편 압하량이 20mm 이상인 경우 구동롤의 압하 실린더의 크기를 증대시키어 주편 인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되, 크기가 증대된 구동롤 압하실린더의 작동유 압력제어를 통하여 주편에 과도한 압하력이 인가되는 것은 방지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trand diriven roll pressure of continuous casting line}
본 발명은 연속 주조시 스트랜드 세그먼트에 구비되는 주편 이송을 위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세그먼트에서 주편 압하량이 20mm 이상인 경우 구동롤의 압하 실린더의 크기를 증대시키어 주편 인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되, 크기가 증대된 구동롤 압하실린더의 작동유 압력제어를 통하여 주편에 과도한 압하력이 인가되는 것은 방지시키는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 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은 액상의 용강을 일정한 형태의 고상으로 연속 응고시키는 공정이다.
도 1에서는 알려진 연속 주조 설비(100)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련과정을 마친 용강이 담겨지는 래들(미도시)에서 턴디쉬(10)로 용강이 주입되고, 턴디쉬(10)에 일시 저장된 용강은 주형(20)에 공급되며, 주형(20)에서의 1차 냉각, 주형 하부 스트랜드 라인에서의 2차 냉각을 거쳐 응고시킴에 따라, 빌렛(billet), 블룸(bloom), 슬라브(slab) 등과 같은 주편(S)을 연속하여 생산된다. 공정을 말한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형(20)을 통해 배출되는 용강(Molten steel)(M)은 주형(20)에서 1차 냉각을 거쳐 표면이 다소 응고된 상태로 연속 주조 설비(100)의 세그먼트(Segment)(30)에 구비되는 상,하부 롤러(32)(34)사이로 인입된다.
그리고, 용강의 빠른 응고를 위해 냉각수가 분사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주편(S)의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간다.
한편, 상기 세그먼트(30)에 구비되는 롤러(32)(34)들은 통상 5~10개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서 용강이 주조 및 압연되어 슬라브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세그먼트(30)는, 기본적으로 상,하부 롤러(32)(34)들이 탑재되는 상,하부 프레임(36)(38)에 총 4개의 압하 실린더(40)들이 구비되고 이들은 프레임 측면의 사이드 박스(42)(44)에 제공되면서 타이로드(46)로 연계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롤러(42)들은 프레임(36)(38)사이의 거더(48)(50)들에 조립되고, 하부 롤러는 하부 프레임 상에 제공된다.
또한, 이와 같은 세그먼트의 상부 거더 중앙측에는 주편 이송을 위한 독립 실린더(100)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 거더(112)에 모터가 연계되어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되는 상부 구동롤(110)이 구비되고, 하부 프레임의 중앙측 거더상에는 마주하여 하부 구동롤(120)이 대응 배치된다.
그런데, 종래 연속 주조공정에서는 주편(S)의 중심부 결함을 줄이기 위하여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편(S)의 응고 완료 부근의 세그먼트(30)를 N+1번째 세그먼트라할 때, 응고 완료 직전인 N번째 세그먼트(30)에서 주편(S)의 두께를 축소 압하하는 경압하 기술이 적용되었다.
이때, 주편(S)의 두께 압하량을 증가시키면 주편의 변형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트랜드 하류로 주편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인발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결국 주편(S)을 하류로 인발하기 위하는 구동력의 증가 즉, 구동롤을 압하하는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에서의 압하력이 증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편(S)을 하류로 연속하여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세그먼트(30)들이 연속하여 배열된 스트랜드에 여러 개의 구동롤(110)(120)이 배치되어 있고 구동롤을 통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력을 구동력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구동롤(110)(120)과 주편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편(S)과 구동롤(110)(120)의 표면 사이에는 마찰이 존재하기는 하나, 주편(S)과 구동롤간의 밀착력이 약하면 주편과 구동롤 사이에서는 미끄러짐 현상(슬립)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이와 같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 구동롤(110)이 탑재되는 중앙측 거더(112)에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가 장착되고, 이와 같은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에는 높은 압력의 작동유를 공급하여 상부 구동롤(110)을 압하하여 상부 및 하부 구동롤(110)(120)사이에서 롤과 주편의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6의 N+1 세그먼트(30)와 같이 주편(S)의 중심부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중심부 응고 완료 전에, 두께 방향으로 주편(S)의 압하량을 통상의 경압하인 4~5mm에서 20mm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주편(S)의 변형 저항의 증가함에 따라, 주편(S)을 스트랜드 하류로 이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인발 저항이 크게 증가한다.
한편, 도 6 및 도 7과 같이 N, N+1,N+2 세그먼트에서 구동롤(110)의 압하 실린더(100)의 크기가 같은 경우에는, 유압펌프(P)에서 제어부(C)로 제어 작동되는 압력제어밸브(V1)를 거쳐 연계되는 유압라인(L1)은 동일한 작동유 유압조건으로 구축되어 있다. 이때, PG는 압력게이지이고 V는 작동유의 실린더 방향 절환밸브이다.
따라서, 도 6과 같은 종래의 경우, 주편(S)을 정상적으로 인발하기 위해서는 구동롤(110)의 더 증대된 압하 구동력이 필요한 경우, 동일한 크기의 압하 실린더(100)로는 주편(S)과 구동롤(110) 표면 사이를 충분히 압착시키어 주편과 구동롤 표면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없다.
결국, 이와 같은 미끄러짐에 의한 주편(S)의 표면의 결함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구동롤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주편에 정밀하게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편 인발도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세그먼트에서 주편 압하량이 20mm 이상인 경우 구동롤의 압하 실린더의 크기를 증대시키어 주편 인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되, 크기가 증대된 구동롤 압하실린더의 작동유 압력제어를 통하여 주편에 과도한 압하력이 인가되는 것은 방지시키는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으로서, 경압하 환경의 N 번째 세그먼트 보다 주편 압하량을 증가하는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크기를 상기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실린더 보다 증대시키어 미끄럼 없이 주편 인발이 이루어도록 구성되되,
상기 N+1,2...n 번째 세그먼트에 구비된 구동롤의 압하실린더는 주편 압하량에 대응하여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는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와 상기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는 별도의 유압라인으로 구동이 제어되되, 상기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는 상기 N 번째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작동유 압력범위를 포함하여 제어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작동유 압력제어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P2 = (A1/A2)×P1
P1 :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작동유 압력
P2: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작동유 압력
A1 :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단면적
A2 :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단면적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 주조시 통상의 경압하에 비하여 증가된 압하량 예를 들어, 주편의 두께 방향으로 20mm 이상의 압하량으로 주편을 압하하는 경우, 주편의 변형저항이 증가되어 주편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인발저항보다 더 큰 구동력이 필요한 경우 이를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크기를 증가시키어 구동롤에서의 주편과의 미끄러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경압하 압하시에는 압하량이 증가된 해당 구동롤 압하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을 경압하시의 구동롤 압하실린더에 작용하는 작동유 압력과 실린더 단면적의 비로 산출하여 크기가 증가된 구동롤의 압하실린더의 작동유 압력을 제어하여 주편에 과도한 압하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연속 주조 공정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연속 주조기의 세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종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의 세그먼트를 통한 주편 압하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7은 도 6의 종래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유압계통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크기가 주편 압하량의 증가시 변경된 세그먼트를 통한 주편 압하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실린더의 유압계통을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주편 압하량 및 주조 폭에 따른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작동유 압력 설정값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먼저, 도 8 및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과 관련된 세그먼트와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유압 계통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경압하 예를 들어, 4-5mm 정도의 주편 압하를 구현하는 경합하 작동 세그먼트를 N번째 세그먼트라하고, 해당 세그먼트(30)에 구비된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도면부호를 100으로 설명한다.
또한, 세그먼트(30)와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다만, N번째 세그먼트 이후 주편의 압하량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대략 20mm 이상의 주편 압하를 구현하는 세그먼트를 N 번째 세그먼트 이후의 N+1,2...n 번째 세그먼트로 설명하며, 이때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도면부호는 100'로 설명하고, N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 보다 크게 도시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속 주조시 경압하하는 N 번째 세그먼트 보다 주편 압하량이 증가하는 이후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의 크기를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 보다 증대시키어 미끄럼 없이 주편 인발이 이루어도록 구성되되, 상기 N+1,2...n 번째 세그먼트에 구비된 구동롤의 압하 실린더는 주편 압하량에 대응하여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경압하를 구현하는 해당 N번째 세그먼트 이후, 주편 압하량을 크게 한 N+1 번째 이후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는 크기를 크게 하여 주편 압하량에 따른 반발에 따른 주편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N+1 번째 이후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는 크기는 N번째 세그먼트 보다 커졌으나, N번째 세그먼트와 같이 경합하하는 경우에는 작동유의 압력제어를 통하여 구동롤 압하실린더의 작동을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에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경우, N+1 번째 이후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와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간 구동롤 압하실린더를 가동시키는 유압라인(L2)(L1)은 별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종래 주편 압하량의 변동이 발생되어도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유압라인이 하나의 L1라인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압하 실린더의 크기가 커지면 크기가 작은 구동롤 압하실린더의 작동유 압력 환경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될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9와 같이 경합하 환경의 N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는 L1의 유압라인으로 작동유 압력 제어가 이루어 지지만, N+1,2..n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도 8의 100')이 경우에는 별도의 유압라인 L2로 가동시키어 작동유 압력제어를 별도 제어하여, N+1 번째 세그먼트에서의 주편 압하중 크기가 커짐에 따른 주편의 과도한 압하를 방지토록 구동롤 압하실린더(100')의 작동유 압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는 경압하 하는 N 번째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의 작동유 압력범위도 포함하여 작동제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는 크기는 증가하여도 주편 압하 환경에 대응하여 적절한 구동롤의 압하를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속 주조시 주편(S) 중심부 내부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N+1 번째 세그먼트(30)의 주편 응고 말기 부근(도 1 참조)에주편의 두께 방향으로 압하하는 양을 통상의 경압하하는 4~5 mm 에서 20mm 이상으로 주편 압하량을 증가시켜 주조를 하는 경우, 압하량의 증가에 따른 주편 내부의 변형 저항이 증가하고, 따라서 구동롤(110)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주편(S)을 스트랜드 하류 방향으로 인발하기 위하여는, 주편의 인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인발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N+1 번재 세그먼트의 구동롤(2)의 구동력이 증대되어야 하고, 이는 구동롤 압하실린더의 압하력이 커져야 하고, N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실린더(100)의 크기만으로는 이를 감당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편의 응고말기 주편의 두께 압하량 증가에 따른 주편의 인발저항의 증가시에도 주편(S)을 안정적으로 인발하기 위하여 구동롤(110)의 구동력 증가를 통하여 증가된 구동력이 주편과 구동롤 표면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되도록 하여, 주편(S)과 구동롤(110) 표면사이의 미끄러짐은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주편은 안정적으로 인발할 수 있도록 구동롤의 압하 실린더(100')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롤 압하실린더의 크기를 크게하여도 N번째 세그먼트에서의 경합하의 4~5mm 주편의 두께 압하 조건에서도 크기가 커진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를 공유되는 작동유 압력으로 제어하도록, 유압라인을 별도로 구축하여, 이를 유압게통에 적용하는 것이다.
즉,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계통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실린더(100')와 N번째 구동롤 압하실린더(100)는 각각 L1,L2의 유압라인으로 구축되고, 각각의 유압라인 L1,L2에는 오일펌프에서 분기된 라인으로 각각의 압력제어밸브(V1)(V2)를 포함하고, 각각의 유압라인 L1,L2에는 제어부(C)와 연게된 각각의 압력 게이지(PG)를 포함하며, 작동유의 실린더 포트 방향을 제어하는 작동밸브(V)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경합하 환경의 N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실린더(100)와 그 크기가 증대된 본 발명과 관련된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실린더(100')의 작동유 공급압력은 별도로 제어된다.
결국, 주편의 두께 압하량에 따라 정적한 주편의 인발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롤 압하실린더(100)(100')들의 압하력을 제어하되, 이들 실린더들은 크기가 다르나 작동유 압력을 개별 제어함으로써, 공유된 작동유 압력범위를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압하력이 큰 구동롤 압하실린더(100')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 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작동유 압력 조건을 적용하는데, 주편의 응고말기 주편 압하량이 4~5mm 이하로 통상적인 경압하인 경우에는 크기가 커진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압력은 감소시켜 주편의 폭에 따라 도 10에서 경압하 압력 곡선으로 압하실린더(100')의 작동유 압력을 설정한다.
반대로, 주편 압하량이 20mm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크기가 커진 구동롤 압하실린더(100')에 공급하는 작동유 압력은 증가시켜 도 10에서 200mm 이상의 주편 압하에 해당하는 작동유 압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경압하시(4~5mm 압하) 압력은 주편에 동일한 힘을 전달하기 위해서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크기가 큰 경우에 더 작은 압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P2 = (A1/A2)×P1
P1 : 작은 압하실린더에 공급하는 압력
P2: 큰 압하실린더에 공급하는 압력
A1 : 작은 압하실린더의 단면적
A2 : 큰 압하실린더의 단면적
예를 들어,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구동롤 압하실린더(100')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은 주편 압하량에 따라 2가지로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주편 응고 말기의 주편 두께 압하량이 4~5mm 이하로 작은 경압하의 경우, 크기가 큰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감소시켜 주편의 폭에 따라 도 10의 그래프의 아래쪽에 나타낸 직선에 따라 설정된 작동유 압력을 공급하고, 주편의 응고말기 주편의 두께 압하량이 20mm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구동롤 압하실린더(100')에 공급하는 작동유 압력은 증가시켜 주편의 폭에 따라 도 10의 그래프 위쪽에 나타낸 직선에 따라 설정된 작동유 압력으로 공급하는 이중화된 압력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경우 주편의 압하량을 20mm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경우, 주편의 변형저항이 증가되어 주편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인발 저항보다 더 큰 구동롤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주편과 구동롤 표면 사이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작동유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크기가 큰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의 가동시 주편에 과도한 압하력이 작용하는 것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30.... 세그먼트 100,100'... 구동롤 압하실린더
110,120... 구동롤

Claims (3)

  1.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으로서,
    경압하 환경의 N 번째 세그먼트 보다 주편 압하량을 증가하는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의 크기를 상기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실린더(100) 보다 증대시키어 미끄럼 없이 주편 인발이 이루어도록 구성되되,
    상기 N+1,2...n 번째 세그먼트에 구비된 구동롤의 압하 실린더(100')는 주편 압하량에 대응하여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는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1,2...n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와 상기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는 별도의 유압라인(L2)(L1)으로 구동이 제어되되,
    상기 N+1,2...n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는 상기 N 번째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의 작동유 압력범위를 포함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100')의 작동유 압력제어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의 압하력 제어방법.
    P2 = (A1/A2)×P1
    P1 :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작동유 압력
    P2: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작동유 압력
    A1 : 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단면적
    A2 : N+1,2...n 번째 세그먼트의 구동롤 압하 실린더의 단면적
KR1020120152593A 2012-12-24 2012-12-24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 KR20140082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593A KR20140082514A (ko) 2012-12-24 2012-12-24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593A KR20140082514A (ko) 2012-12-24 2012-12-24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514A true KR20140082514A (ko) 2014-07-02

Family

ID=5173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593A KR20140082514A (ko) 2012-12-24 2012-12-24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25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2207A (zh) * 2019-11-12 2020-02-18 苏州大学 一种连铸坯组合压下方法
CN111842822A (zh) * 2020-07-29 2020-10-30 安阳市新普钢铁有限公司 一种连铸扇形段控压工艺
CN113042697A (zh) * 2021-03-09 2021-06-29 河南科技大学 一种连铸用冷却牵引复合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2207A (zh) * 2019-11-12 2020-02-18 苏州大学 一种连铸坯组合压下方法
CN110802207B (zh) * 2019-11-12 2021-09-24 苏州大学 一种连铸坯组合压下方法
CN111842822A (zh) * 2020-07-29 2020-10-30 安阳市新普钢铁有限公司 一种连铸扇形段控压工艺
CN113042697A (zh) * 2021-03-09 2021-06-29 河南科技大学 一种连铸用冷却牵引复合装置
CN113042697B (zh) * 2021-03-09 2022-11-22 河南科技大学 一种连铸用冷却牵引复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9574B1 (en) Continuous cast sla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167974A1 (en) Continuous casting machine sector section for deep pressing of continuous casting blank solidification tail end and deep pressing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blank solidification tail end
CN1318166C (zh) 动力调整从两侧支撑和/或引导由金属且特别是钢构成的铸坯的导辊扇形段的方法和设备
MXPA00008838A (es) Procedimiento de colocacion para un segmento de rodillo de aparato de colada de cuerda.
EP2937162A1 (en) Hybrid cooling nozz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nozzle of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using same
KR20140082514A (ko) 연속 주조의 스트랜드 구동롤 압하력 제어방법
RU2383411C2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для литья тонки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олос и установка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JP5843050B2 (ja) 連続鋳造設備
CA2558481C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support rollers on a continuous casting machine for molten metals in particular for molten steel materials
CN104889354B (zh) 一种提高连铸坯凝固末端压下效果的拉矫机扭矩控制方法
US67795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ne or more roll segments in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for casting metals, especially for steel materials
US88072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horizontal casting of a metal band
JP2006192488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RU226177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слитков при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е металлов, в частности стали
CN104395005B (zh) 连续工作式带材浇注和轧制设备
DE102010007660A1 (de) Stranggießmaschine
JP2011147985A (ja) 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CN1162230C (zh) 一种连铸轻压下方法及其实施该方法的装置
JP2000015409A (ja) 連続鋳造方法
JP2000079457A (ja) 連続鋳造機のロールセグメント間隔制御装置
KR101024587B1 (ko) 열간압연설비
KR100472531B1 (ko) 연속주조설비중 구동롤의 압하 제어방법
JP2009136908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込終了後の鋳片の引抜方法
KR101406465B1 (ko) 연속주조용 톱존 벤더세그먼트
CN110114171A (zh) 连续铸造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