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483A -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483A
KR20140081483A KR1020120151273A KR20120151273A KR20140081483A KR 20140081483 A KR20140081483 A KR 20140081483A KR 1020120151273 A KR1020120151273 A KR 1020120151273A KR 20120151273 A KR20120151273 A KR 20120151273A KR 20140081483 A KR20140081483 A KR 20140081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advertisement
advertisement content
screen
conte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9364B1 (ko
Inventor
강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5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3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본 발명은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특정 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매체를 통한 광고가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신문과 같은 전통적인 매체뿐만 아니라, 컴퓨터를 통한 온라인 광고, 더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광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도 웹 서버에 접속하는 등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광고 시장의 새로운 매체로써 자리잡게 되었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가정에 구비되는 개인용 컴퓨터 등과 비교할 때 화면의 크기가 작아서 각종 광고를 그 화면에 표시하는데 여러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열람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한 그 웹 페이지만을 표시하는데도 화면 크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별도의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를 위해 광고 콘텐츠를 숨김 상태 또는 최소화한 상태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를 클릭하면 광고 콘텐츠가 숨김 상태에서 표시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최소화한 상태에서 확장 표시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클릭 기반 광고 표시 방식은 사용자가 실수로 잘못 클릭하는 경우 원하지 않는 광고가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으므로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화면상의 특정 위치를 사용자가 터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 콘텐츠가 화면(예를 들어 화면 전체)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 불만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광고란 것은 사용자들에게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안내한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내용의 광고인 경우에는 오히려 사용자의 반감을 살 수 있다는 측면도 있다.
따라서 광고 콘텐츠의 표시는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보고자 하는 의도가 정확하게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고, 이와 함께 광고 콘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가급적 사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술적 구성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에 따라 광고 콘텐츠 표시 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광고 표시에 따른 사용자의 불만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는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아이콘 표시부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광고 콘텐츠 표시부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과금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아이콘 이동 조작에 따라 숨겨져 있었거나 표시 대기 상태이던 광고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기울기 센서(예를 들어 G 센서)를 활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특정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광고 콘텐츠 표시와 연계된 재미를 안겨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 제공 서버(200), 광고 과금 서버(300),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웹 페이지 제공 서버(200)는 소정의 웹 페이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때 웹 페이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소정의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코드는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에 따른 태그 또는 코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이루어지는 등 클라이언트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규격의 코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고 과금 서버(30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웹 페이지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경우에 광고 표시에 따른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광고와 관련된 과금 처리는 광고주에게 광고 표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광고와 관련된 과금 처리 그 자체는 기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망에 접속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무선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소정의 광고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기능 블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의 수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웹 페이지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의 실행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아이콘 표시부(120),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 과금 정보 전송부(140), 센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센서부(150)는 터치 센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의 접촉 및 드래그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기울기 센서는 단말기의 기울기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중력 센서는 중력의 방향 또는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는 단위시간당 물체 속도의 변화나 충격 여부 등을 감지하는 센서(중력 센서로서 기능할 수도 있음)이고,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각속도 변화량이나 회전 정보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각종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특히 웹 페이지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전력 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터치 패드와 결합한 형태인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이콘 표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광고 영역과 후술하는 제2 광고 영역은 웹 페이지에서 정의된 내용에 따라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사용자가 그 제1 광고 영역과 제2 광고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광고 영역과 제2 광고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형태나 일부가 중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한 어느 하나의 영역이 다른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다. 특히 제2 광고 영역은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표시해야 할 광고 콘텐츠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은 실제 표시되는 광고 콘텐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이미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은 다시 말하면 센서부(150)의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센서부(150)에 터치 센서가 구비된 경우 아이콘 표시부(120)는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동 명령을 감지하고, 다른 예로써 센서부(150)에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구비된 경우 아이콘 표시부(120)는 해당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아이콘 표시부(120)는 이러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이 감지되면 그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도록 설정된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아이콘 표시부(120)는 이동 명령에 포함된 방향 및 속도에 따라 해당하는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에 따라 이동하는 콘텐츠 연결 아이콘은 웹 페이지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적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킴에 있어서, 아이콘 표시부(120)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예를 들어 터치 드래그 속도 또는 단말기를 옆으로 기울이는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되,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그 임계 위치로부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와 무관한 기 설정된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 표시부(12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임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동기화시켜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고,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종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아이콘 표시부(120)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되,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그 임계 위치로부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한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 표시부(12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임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동기화시켜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고,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여기서의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는 임계 위치 이후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의 이동을 위해 입력되는 속도-단적인 예로 사용자의 드래그 속도-일 수도 있고, 또는 임계 위치까지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이동한 평균 속도일 수도 있으며 또는 임계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의 이동 속도일 수도 있음)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곱한 값을 갖는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종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기 설정된 가중치는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다.
제1 광고 영역과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서로 구분되는 영역일 수 있는데, 이때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는, 아이콘 표시부(12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제2 광고 콘텐츠와 매칭된 제2 아이콘으로 대체 표시하고, 제2 아이콘을 표시한 이후에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2 아이콘을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광고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현재 제2 광고 영역에 웹 페이지의 특정 내용들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면서 그 웹 페이지의 특정 내용들을 가리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웹 페이지의 내용들이 표시되는 화면 크기가 제2 광고 영역보다 더 큰 경우에는,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제2 광고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웹 페이지의 내용들이 그대로 표시되도록 하고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되던 웹 페이지의 내용만 광고 콘텐츠로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를 표시함에 있어서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슬라이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또는 좌에서 우로, 광고 콘텐츠가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앞서 언급한 제2 아이콘이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예를 들어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그 이동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과금 정보 전송부(14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과금 정보 전송부(14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시점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과금 정보는 광고 과금 서버(3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의 광고 표시에 따른 과금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써, 광고 표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즉, 과금 정보에는 광고 콘텐츠가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만이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의 제어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배경이미지 또는 소정의 웹 페이지 내용이 이동통신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고, 제2 광고 영역은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제1 광고 영역에 표시한다(단계 S1). 이러한 예가 도 4(a)에 도시되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광고 영역에 표시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편의상 제1 아이콘이라 칭한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1 광고 영역에 표시된 제1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즉, 터치 드래그)이 감지되면(단계 S3) 그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제1 아이콘을 이동시킨다(단계 S5).
사용자의 터치 입력(즉, 터치 드래그)에 따라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는데,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에 도달한 상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처럼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단계 S7)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그 제1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즉, 제1 광고 콘텐츠)를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한다(단계 S9). 본 실시예에서 제2 광고 영역은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4(c)와 같이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 제1 광고 콘텐츠를 표시한다.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광고 표시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11).
도 4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비례하는 속도로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일 예로 하여 나타냈으나, 제1 아이콘은 소정의 위치 즉, 임계 위치 이후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상관없는 기 설정된 속도로, 또는 터치 입력 속도에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한 속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었다.
도 5에서는 임계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맞춰 제1 아이콘이 이동하다가, 임계 위치 이후에는 제1 아이콘이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임계 위치 이후에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제1 아이콘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마치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로 빨려 들어가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사용자들에 소정의 재미를 줄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 광고 영역에 제1 광고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제2 광고 영역과 제1 광고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은 이러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제1 아이콘이 제1 광고 영역에 포함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b)는 사용자의 제1 아이콘에 대한 터치 드래그에 따라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c)는 제1 아이콘의 종착 위치 도달에 따라 제2 광고 영역에 제1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즉, 제1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c)와 앞서 설명한 도 4(c)를 비교하면 제1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도 제1 아이콘 역시 함께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1 광고 콘텐츠가 표시된 이후, 종착 위치에 있는 제1 아이콘을 다른 광고 콘텐츠(즉, 제2 광고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2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고 콘텐츠와 함께 제2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b)는 사용자가 제2 아이콘을 터치 드래그 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c)는 제2 아이콘이 초기 위치에 도착한 경우 제2 광고 영역에 그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즉, 제2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7(c)에서 초기 위치에 도착한 제2 아이콘을 또 다른 광고 콘텐츠(즉, 제3 광고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3 아이콘으로 대체시킬 수 있고, 이후의 과정은 도 6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따라 제3 콘텐츠가 표시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이동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고 영역에 제1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이면 제1 아이콘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도 8(b)와 같이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8(c)와 같이 제1 아이콘에 대응되는 제1 광고 콘텐츠를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한다.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의 도 7(c)의 상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해당 광고의 닫힘 버튼을 클릭하여 닫거나 또는 다른 예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 등과 같이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한 제1 광고 콘텐츠를 제거하고, 도 8(d)와 같은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착 위치에 있던 제1 아이콘을 대신하여 제2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도 8(d)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왼쪽으로 기울이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9(a)와 같이 제2 아이콘이 제1 광고 영역의 종착 위치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왼쪽으로 기울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이콘을 초기위치까지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제2 아이콘이 초기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고 영역에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제2 광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도 4에서 설명한 임계 위치와 관련된 내용과, 제1 광고 영역과 제2 광고 영역이 중첩 없이 구분될 수 있다는 내용 등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포함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특정 기능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API를 활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웹 페이지 제공 서버
300 : 광고 과금 서버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아이콘 표시부 130 : 광고 콘텐츠 표시부
140 : 과금 정보 전송부 150 : 센서부

Claims (13)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기 구비된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동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와, 기 구비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상기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와;
    (b2)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상기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임계 위치로부터 상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와 무관한 기 설정된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와;
    (b4)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상기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임계 위치로부터 상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한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영역과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서로 구분되는 영역이고,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제2 광고 콘텐츠와 매칭된 제2 아이콘으로 대체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아이콘이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을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아이콘이 화면상의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아이콘 표시부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광고 콘텐츠 표시부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과금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터치 센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와, 상기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상기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되,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임계 위치로부터 상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와 무관한 기 설정된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되,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임계 위치로부터 상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한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영역과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서로 구분되는 영역이고,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제2 광고 콘텐츠와 매칭된 제2 아이콘으로 대체 표시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표시한 이후에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을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며,
    상기 광고 콘텐츠 표시부는 상기 제2 아이콘이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20151273A 2012-12-21 2012-12-21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42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273A KR101429364B1 (ko) 2012-12-21 2012-12-21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273A KR101429364B1 (ko) 2012-12-21 2012-12-21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483A true KR20140081483A (ko) 2014-07-01
KR101429364B1 KR101429364B1 (ko) 2014-08-11

Family

ID=5173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273A KR101429364B1 (ko) 2012-12-21 2012-12-21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5740B2 (en) 2015-06-30 2021-07-0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Advertisement push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745B1 (ko) * 2018-08-14 2024-02-07 주식회사 케이티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사용자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270A (ja) * 2000-01-25 2001-08-03 Minolta Co Ltd 電気機器、電気機器への広告方法、課金システム及び課金方法
KR100854406B1 (ko) * 2008-04-17 2008-08-26 서장원 영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88393B1 (ko) * 2008-11-19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40047A (ko) *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케이티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5740B2 (en) 2015-06-30 2021-07-0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Advertisement push system,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364B1 (ko)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1010B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9535595B2 (en) Accessed location of user interface
US9317196B2 (en) Automatic zooming for text selection/cursor placement
JP6433111B2 (ja) 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広告を提供する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JP6100287B2 (ja) 端末複数選択操作方法及び端末
WO2014021261A1 (ja) 情報処理装置、選択操作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197841B (zh) 图片浏览方法及其系统和终端设备
US93109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content on screen using pointing device
EP2680119A2 (en) Enhanced user interface to suspend a drag and drop operation
EP2678858A1 (en) Multi-display type device interactions
JP2011090532A (ja) 端末装置、機能実行方法、機能実行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11279300B (zh) 在多显示器环境中提供丰富的电子阅读体验
JP5254399B2 (ja) 表示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520878A (zh) 頁面元素的控制方法及裝置
KR20150025214A (ko) 동영상에 비주얼 객체를 중첩 표시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20210067476A1 (en) Intelligent chat object sending animations
KR101429364B1 (ko)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01599263B (zh) 一种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界面的显示方法
CN109976605B (zh) 班牌内容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899578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997328B2 (ja) 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JP2014032554A (ja) 広告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広告表示制御方法
US20150058792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navigation, display interactivity and multi-browser arrays
KR101419612B1 (ko)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908238B1 (ko)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