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238B1 -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238B1
KR101908238B1 KR1020170114477A KR20170114477A KR101908238B1 KR 101908238 B1 KR101908238 B1 KR 101908238B1 KR 1020170114477 A KR1020170114477 A KR 1020170114477A KR 20170114477 A KR20170114477 A KR 20170114477A KR 101908238 B1 KR101908238 B1 KR 101908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witchback
screen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수정
Original Assignee
우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수정 filed Critical 우수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의 스크롤 입력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이동을 처리하기 위해 스위치백 UI(Switch-back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 (User Interface Element)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수행된 스크롤의 방향에 따라 상기 스위치백 UI를 화면에 표시할 가장자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화면상의 가장자리 위치에 상기 스위치백 UI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소정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witch-back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터치 스크린의 스크롤 입력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이동을 처리하기 위해 스위치백 UI(Switch-back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한 프레임 영역에 보여줄 콘텐츠가 많은 경우 스크롤(scroll)을 이용해 콘텐츠 내의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스크롤을 통해 콘텐츠의 맨 끝이나 맨 앞에 도달했을 때 스크롤 종료를 처리하는 방법은 OS(Operating System)에 따라 다른데, 안드로이드에서는 화면이 스크롤 방향으로 살짝 더 이동했다가 되돌아오며 화면의 끝을 알리고, 애플사의 IOS에서는 화면 전체가 튕겨서 화면의 끝을 알리는 바운스백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스크롤을 하다가 콘텐츠의 끝에 도달하면 화면의 마지막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만이 사용되었으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콘텐츠를 스크롤하여 다 보았을 때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스크롤하여 전부 보고난 후에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스위치백 UI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콘텐츠나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도록 스위치백 UI를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 (User Interface Element)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Switch-back User Interface)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수행된 스크롤의 방향에 따라 상기 스위치백 UI를 화면에 표시할 가장자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화면상의 가장자리 위치에 상기 스위치백 UI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소정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위치백 UI의 유형, 스위치백 UI에 포함시킬 UI 엘리먼트, 스위치백 UI에 표시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서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그에 대응하는 스위치백 UI를 사전 정의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스위치백 UI의 구성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백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상에 표시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정보의 내용과 관련하여 추천할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링크 정보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은, 상기 스위치백 UI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된 화면에 연관된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백 UI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돌아갈 때, 상기 생성된 링크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반환시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은, 상기 스위치백 UI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UI 엘리먼트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연관된 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백 UI를 종료하고 상기 수신된 링크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링크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은, 상기 발생된 스크롤 종료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기 전에 화면 내용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특정 표시를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백 UI 제공 장치는,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과; 실행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 상에서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 엘리먼트(Element)를 포함하는 스위치백(Switch-back) UI를 동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위치백 UI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고, 소정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스크롤하여 전부 보고난 후에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스위치백 UI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콘텐츠나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도록 스위치백 UI를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의 애플리케이션, 광고, 콘텐츠 등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뿐만 아니라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백 UI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백 UI를 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링크들을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백 UI를 통해 호출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반환값을 제1 애플리케이션에 표시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의 유형에 따른 스위치백 UI를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의 내용에 따른 스위치백 UI를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로부터 수신한 링크 정보를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반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백 UI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백 UI(Switch-back User Interface)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스위치백 UI는 사용자가 이용중인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이동하거나 보고 있는 콘텐츠와 다른 콘텐츠를 바로 불러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스크롤 종료 이벤트에 연동시킨 것을 말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위치백 UI 제공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10), 프로세서(120), 저장부(13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련된 구성요소들 만을 기술하고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이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백 UI 제공 장치(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휴대용 게임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네비게이션 장치, 태블릿(tabl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어떤 컴퓨팅 장치의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터치 스크린(110)은 정보의 출력과 함께 표시되는 화면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표시부(112)와 터치입력 감지부(111)로 구성될수 있다.
표시부(112)는 프로세서(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터치 스크린(110) 상에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12)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아이템들의 리스트, 문서, 웹 페이지,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화면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은 화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원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화면을 소정의 영역으로 분할한 것이다.
한 프레임에 표시할 정보가 프레임의 크기를 넘어가는 경우, 화면의 스크롤링(scrolling)을 통하여 프레임에 표시되지 않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스크롤의 방향은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대각선 방향 또는 회전 방향이 될 수 있다. 스크롤 가능한 범위를 의미하는 스크롤 범위(scroll range)는 해당 스크롤 방향으로의 콘텐츠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스크롤 범위는 스크롤 방향에 있는 콘텐츠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가 될 수 있다.
터치입력 감지부(111)는 터치 스크린(110)의 표면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표면에 가해진 압력 변화, 정전 용량의 변화 또는 광량의 변화 등과 같은 센서들의 상태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입력 감지부(111)는 사용자의 터치, 터치 입력의 움직임, 터치 입력 패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입력 감지부(111)는 센서들의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의 위치,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 터치 입력의 이동 및 이동시의 터치 입력의 시작 위치, 종료 위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또는 이동 속도 등을 더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입력 감지부(111)는 드래그(drag), 플릭(flick), 탭(tap), 터치&홀드(touch and hold), 더블 탭(double tap), 패닝(panning), 스윕(sweep) 등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입력 감지부(111)는 감지된 터치 입력을 프로세서(120)로 전송하며,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 처리를 수행한다.
터치입력 감지부(111)는 터치 스크린(110) 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프레임 영역에 대한 스크롤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110) 상의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스크롤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ck Drive, HDD),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메모리 카드 등 다양한 형태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110)의 동작을 비롯하여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터치 스크린(110) 상의 프레임 영역에 콘텐츠를 표시하고, 스크롤 입력의 스크롤 방향에 따라 프레임 영역 내에서 콘텐츠를 이동시킬 것이다. 프로세서(120)는 스크롤 입력이 계속되어 스크롤 범위의 끝에 도달하는 경우 스크롤 종료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스크롤 범위의 끝이 프레임 영역의 일면에 닿은 위치에서 콘텐츠의 이동을 중지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120)는 스위치백 UI를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시키며, 이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인터셉트하여 스크롤 종료에 따른 OS의 기본 처리 대신에 또는 이 기본 처리에 더하여 스위치백 UI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프로세서(120)는 현재 실행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하고, 이 화면 상에서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User Interfac Element)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한 후,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스위치백 UI를 표시할 위치는 스크롤 중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고 있는 화면 가장자리가 바람직하다.
이때 스위치백 UI를 살짝만 내리거나 올려서 일부만 보여주고,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가 당겨서 더 내리거나 올리는 등 스크롤이 끝나는 이벤트가 한번 더 발생하거나, 일부만 표시된 스위치백 UI를 터치하는 등 소정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스위치백 UI를 완전한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할 것이다.
즉, 먼저 스위치백 UI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하고,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에 대해 소정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UI 엘리먼트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 정보 또는 바로가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아이콘, 텍스트, 이미지, 버튼 등 스위치백 UI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스위치백 UI는 하나 이상의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스위치백 UI는 사용자가 장치(100)에서 자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의 리스트로서 생성되거나,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링크 정보나 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백 UI의 제2 형태는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표시한 것이고, 제1 형태는 해당 스위치백 UI가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 사용자에게 암시를 주기 위해 일부만을 표시한 형태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백 UI 제공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위치백 UI 제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또한, 스위치백 UI 제공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외부의 사이트나 장치에 접속함에 있어서도 이 통신 인터페이스(140)가 이용된다. 이때, 네트워크는 인터넷, 이동통신망,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AN(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방식의 네트워크라도 사용 가능하다.
스위치백 UI 제공 장치(100)는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현재 화면에 실행중이고 스크롤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 후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50)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해 스위치백 UI의 유형, 스위치백 UI에 포함시킬 UI 엘리먼트, 스위치백 UI에 표시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스위치백 UI의 제공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스위치백 UI를 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며, 사용자가 포그라운드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별도로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포그라운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치백 UI를 제공한다.
도2를 참조하면, 단계 S20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도 3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애플리케이션(300)의 소정 프레임 영역에서 스크롤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20)는 스크롤 방향에 따라 콘텐츠를 이동하여 터치 스크린(110)에 보여준다. 이 예에서는 위 방향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화면을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하고 있다.
단계 S21에서는, 스크롤 처리 중 스크롤 범위의 끝에 도달하여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스크롤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용도, 기능, 제공업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화면에 표시중인 정보의 유형, 및 정보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에서는, 상기와 같이 획득된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구성되는 맞춤형 스위치백 UI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한다.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어떤 콘텐츠를 보고 있는지 등 상황에 따라 다르게 스위치백 UI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만족감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그에 대응하는 스위치백 UI의 구성 정보를 사전 정의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부(130)에 생성해놓고 이를 이용하여 스위치백 UI의 동적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백 UI의 구성 정보는 스위치백 UI의 유형이나 형태, 스위치백 UI에 포함시킬 UI 엘리먼트에 대한 정보, 스위치백 UI에 표시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스크롤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스위치백 UI의 구성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치백 UI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백 UI의 동적 구성을 위해 외부 서버(150)의 지원을 받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스크롤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150)로 전송하며, 그 응답으로써 서버(150)로부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메타데이터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제공할 스위치백 UI의 유형이라던가 스위치백 UI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UI 엘리먼트에 대한 정보, 스위치백 UI에서 제공할 콘텐츠나 정보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위치백 UI의 유형이나 형태, 스위치백 UI에 포함시킬 UI 엘리먼트, 스위치백 UI에 표시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스위치백 UI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백 UI의 동적 구성을 위해 스크롤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고 있는 정보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상에 표시된 정보를 읽어서 파싱함으로써 정보의 내용을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의 내용과 관련하여 추천할 콘텐츠를 결정한 후, 이 추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백 UI의 동적 구성을 위해 사용자의 선호도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이들 제2 애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링크 정보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3에서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스크롤중인 프레임 영역) 상에서 수행된 스크롤의 방향에 따라 스위치백 UI를 화면에 표시할 가장자리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스크롤이 화면 아래 방향으로 수행중인 경우는 화면의 가장자리 하단에 스위치백 UI를 표시하고, 스크롤이 화면 위 방향으로 수행중인 경우는 화면의 가장자리 상단에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도록 결정한다.
추가적으로 스크롤의 방향에 따라 스위치백 UI의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스위치백 UI는 미리보기식으로 보여줄 영역을 포함하는데, 스크롤 방향에 따라 이 미리보기 영역을 어디에 붙이는지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크롤 방향이 화면 아래 방향인 경우 미리보기 영역을 스위치백 UI의 상단에 붙이는 포맷으로 스위치백 UI를 생성한다면, 스크롤이 종료되는 화면 하단 가장자리에 스위치백 UI의 일부만 포함하는 제1 형태를 표시할 때 미리보기 영역이 화면에 나타나고 나머지 영역은 감춰지게 될 것이다.
다른 예로, 스크롤 방향이 화면 위 방향인 경우 미리보기 영역을 스위치백 UI의 하단에 붙이는 포맷으로 스위치백 UI를 생성한다면, 스크롤이 종료되는 화면 상단 가장자리에 스위치백 UI의 일부만 포함하는 제1 형태를 표시할 때 미리보기 영역이 화면에 나타나고 나머지 영역은 감춰지게 될 것이다.
단계 S24에서는, 상기와 같이 결정된 표시 위치 및/또는 포맷으로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되, 스위치백 UI의 일부 즉 미리보기 영역만을 포함하는 제1 형태로 표시한다.
도 3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롤 입력을 계속하여 스크롤 범위의 끝에 도달한 경우, 동적으로 구성된 스위치백 UI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320)가 화면에 나타나며, 이 예에서는 스크롤 방향과 대응하는 하단 가장자리에 스위치백 UI의 제1 형태(320)가 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320)를 보고 관심이 있다면 도 3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등의 입력을 하게 될 것이다.
한편, 스크롤 종료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320)를 표시하기 전에 화면 내용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특정 표시를 보여주어, 사용자가 스크롤이 종료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25에서는, 추가적인 스크롤 입력, 터치 등 미리 지정된 소정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330)은 도 3d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UI 엘리먼트 전체를 보여주는 크기로 표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있으면 스위치백 UI의 전체 기능이 다 보이도록 변환하지만,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없으면 사용자가 스위치백 UI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위치백 UI가 해당 가장자리로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링크들을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예시한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400)에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이 감지되고 스크롤 범위의 끝까지 스크롤되어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에 응답하여 스위치백 UI가 생성되어 미리보기 형태(410)로 화면의 좌측 하단에 표시된다..
이 예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스위치백 UI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사용자가 제1 애플리케이션 이용 후 다음으로 호출한 적이 있는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도록 사전 정의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생성된 스위치백 UI의 제1 형태(410)로써 어떤 스위치백 UI가 사용 가능한지 안내하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정의 인터랙션을 입력하면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보여주는 제2 형태(410)로 변환되며,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420)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콘들(421, 422, 423, 424)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이들 아이콘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바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스크롤 종료시 나타나는 스위치백 UI 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을 닫으면 다시 스위치백 UI로 포커스가 돌아오게 된다.
이때 스위치백 UI는 호출되었던 제2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으로부터 반환된 값을 기존의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었던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된 화면에 연관된 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두었다가, 스위치백 UI로부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돌아갈 때, 상기와 같이 생성된 링크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반환시켜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백 UI를 통해 호출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반환값을 제1 애플리케이션에 표시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위치백 UI(420)를 통해 호출한 검색 엔진 애플리케이션(500)을 이용한 후 닫거나 스위치백 UI(420)를 다시 열면, 스위치백 UI(420)로 포커스가 이동되는데, 이때 제2 애플리케이션(500)이 생성한 검색 결과 화면을 캡쳐하고 그에 연관된 링크 정보가 생성된다. 추후, 제1 애플리케이션(400)을 터치하거나 스위치백 UI(420)를 종료시켜 제1 애플리케이션(400)으로 포커스가 전환되면, 캡쳐된 화면(511)과 링크 정보(512)를 포함하는 대화(510)가 제1 애플리케이션(400)에 자동 입력될 것이다.
또한, 기존에 실행되던 제1 애플리케이션(400)에서 포커스가 존재하는 컴포넌트가 있었다면, 스위치백 UI(420) 실행시 제1 애플리케이션(400) 상에서 포커스가 어디 있는지 기억하였다가, 스위치백 UI(420) 종료 후 제1 애플리케이션(400)으로 돌아갈 때 원래 포커스가 존재하던 콤포넌트로 제2 애플리케이션(500)으로부터의 반환값을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애플리케이션(400)의 인스턴트 메시지 입력 창에 포커스가 있었던 경우, 제2 애플리케이션(500)으로부터의 반환값인 화면 캡쳐 데이터와 링크 정보가 인스턴트 메시지 입력 창에 자동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의 유형에 따른 스위치백 UI를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저장된 사진 이미지들을 스크롤하고 있으며,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의 유형이 사진이므로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화면 하단의 스위치백 UI에서 '인화 서비스'를 터치하면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의 내용에 따른 스위치백 UI를 제공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을 하고 있으며, 검색 결과를 스크롤하여 스크롤 범위의 끝에 도달하게 되면, 검색 내용에 연관된 추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백 UI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파싱하여 에어컨에 관련된 내용임을 확인하고, 이 정보의 내용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생성하였다. 사용자가 화면 하단의 스위치백 UI에서 UI 엘리먼트 '에어컨 특가 찬스'를 선택하면 에어컨 특가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로부터 수신한 링크 정보를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반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스크롤을 하다가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위치백 UI가 생성되어 표시되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백 UI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UI 엘리먼트에 대한 정보를 서버(150)로 전송하고, 서버(150)로부터 UI 엘리먼트에 연관된 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스위치백 UI를 종료하고 링크 정보를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링크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제1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코엑스 공식 앱(800)을 켠 상태에서 스크롤 입력을 이용해 콘텐츠를 보고 있다가 스크롤 범위의 끝에 도달해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본 발명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코엑스 공식 앱(800)에 대한 정보를 서버(150)로 전송할 것이다.
서버(15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코엑스 공식 앱(800)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보내며, 메타데이터에는 스위치백 UI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다. 서버(150)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정보와 그와 관련하여 스위치백 UI를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애플리케이션, 콘텐츠, 광고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필요 정보를 검색하여 보내줄 것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백 UI(850)는 'COEX 할인행사'와 '봉은사 행사정보'로 이동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801, 802)를 포함하도록 동적으로 구성되어 표시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사용자가 화면 상에서 위로 드래그하여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을 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우측 가장자리에 스위치백 UI(850)가 표시되었다.
사용자가 스위치백 UI(850)에서 'COEX 할인행사'(801)를 선택하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스위치백 UI(850)를 통해 서버(150)에 링크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것이다. 수신되는 링크 정보는 코액스 공식 앱 상에서 코엑스 할인행사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바로가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백 UI(850)를 종료하고 기존에 포그라운드로 실행되던 코엑스 공식 앱(800)으로 상기 링크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도 8의 (b)와 같이 해당 콘텐츠가 코엑스 공식 앱(8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봉은사 행사정보'(802)를 선택하는 경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링크 정보는 봉은사 관련 행사 정보를 볼 수 있는 웹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할 것이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870)을 호출하고 상기 링크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870)이 '봉은사 행사정보'(802)에 대응하는 주소의 콘텐츠를 받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백 UI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의 (a)는 매일 다른 단어를 학습하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 가능한 스위치백 UI, (b)는 로또 추천 번호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 가능한 스위치백 UI, (c)는 할인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 가능한 스위치백 UI, (d)는 신년 운세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 가능한 스위치백 UI를 도시한 것으로, 스위치백 UI의 제2 형태 즉 전체가 표시된 상태이다. 각 스위치백 UI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810, 820, 830, 840)이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 부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롤 종료시에도 각기 다른 스위치백 UI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전략에 따라 달라지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위치백 UI가 생성될 수도 있으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보고 있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 다른 스위치백 UI가 생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스위치백 UI 제공 장치
110: 터치 스크린
111: 터치입력 감지부
112: 표시부
120: 프로세서
130: 저장부
140: 통신 인터페이스부
150: 서버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 (User Interface Element)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Switch-back User Interface)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수행된 스크롤의 방향에 따라 상기 스위치백 UI를 화면에 표시할 가장자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화면상의 가장자리 위치에 상기 스위치백 UI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소정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해당 제1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콘텐츠에 따라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호출되면, 호출되었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으로부터 반환된 값을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치백 UI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위치백 UI의 유형, 스위치백 UI에 포함시킬 UI 엘리먼트, 스위치백 UI에 표시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서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그에 대응하는 스위치백 UI를 사전 정의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스위치백 UI의 구성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백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상에 표시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정보의 내용과 관련하여 추천할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링크 정보를 나타내는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백 UI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캡쳐하고 캡쳐된 화면에 연관된 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백 UI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돌아갈 때, 상기 생성된 링크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반환시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백 UI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UI 엘리먼트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연관된 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백 UI를 종료하고 상기 수신된 링크 정보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링크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스크롤 종료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기 전에 화면 내용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특정 표시를 보여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9. 스위치백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컴퓨터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 (User Interface Element)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Switch-back User Interface)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서 수행된 스크롤의 방향에 따라 상기 스위치백 UI를 화면에 표시할 가장자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화면상의 가장자리 위치에 상기 스위치백 UI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소정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며,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해당 제1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콘텐츠에 따라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호출되면, 호출되었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으로부터 반환된 값을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치백 UI를 재구성하는 스위치백 UI 제공방법을 실행시키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과;
    실행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 상에서 스크롤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UI 엘리먼트((User Interface Element)를 포함하는 스위치백 UI(Switch-back User Interface)를 동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위치백 UI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고,
    소정의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백 UI의 전체를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스위치백 UI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과 해당 제1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콘텐츠에 따라 스위치백 UI를 동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호출되면, 호출되었던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으로부터 반환된 값을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며,
    제1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치백 UI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백 UI 제공 장치.
KR1020170114477A 2017-04-06 2017-09-07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08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951 2017-04-06
KR20170044951 2017-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238B1 true KR101908238B1 (ko) 2018-10-15

Family

ID=6386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477A KR101908238B1 (ko) 2017-04-06 2017-09-07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566A1 (ko) * 2018-10-02 2020-04-09 우수정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87B1 (ko) 2007-09-04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메뉴검색 피드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87B1 (ko) 2007-09-04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메뉴검색 피드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566A1 (ko) * 2018-10-02 2020-04-09 우수정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89008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AU2013206192B2 (en) Touch and gesture input-based control method and terminal therefor
US20170034328A1 (en) Mobile computing terminal with more than one lock scre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130335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CN111339032B (zh) 管理具有多页面的文件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10444979B2 (en) Gesture-based search
CN106155517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20160357364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ocument Viewing Application
KR20130016329A (ko) 폴더들을 관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20064946A1 (en) Resizable filmstrip view of images
WO2014197745A1 (en) One handed gestures for navigating ui using touchscreen hover events
CN103020110A (zh) 创建并维护所浏览的文档的图像
KR102343361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JP6039613B2 (ja) 表示プログラム、端末装置、表示方法及び配信装置
US11902651B2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visual content in media
KR20150081073A (ko) 글랜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JP5937262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配信装置および配信方法
WO2013040761A1 (en) Gesture based search
KR101908238B1 (ko) 스위치백 ui 제공 방법 및 장치
JP6224682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配信装置
KR101899578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158903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配信装置
KR101429364B1 (ko)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13434073A (zh) 活动窗口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634431B1 (ko) 오브젝트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