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671A - 컨베이어 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671A
KR20140079671A KR1020120148943A KR20120148943A KR20140079671A KR 20140079671 A KR20140079671 A KR 20140079671A KR 1020120148943 A KR1020120148943 A KR 1020120148943A KR 20120148943 A KR20120148943 A KR 20120148943A KR 20140079671 A KR20140079671 A KR 20140079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bracket
variabl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829B1 (ko
Inventor
황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48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8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롤러 교환 작업의 효율성이 개선된 컨베이어 벨트 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장치는, 수평 프레임과, 이 수평 프레임에 설치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단에 설치된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수평 프레임 상이 위치하되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롤러;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 일단을 지지하되,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면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변화하는 높이 가변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 장치 {CONVEYOR BELT APPRATUS}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롤러 교환시 간단한 작동만으로 롤러 교환을 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운송물을 운반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제철소에서도 광석, 코크스, 석탄 및 기타 부원료를 운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대부분의 벨트 컨베이어는 그 재질이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운송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의 동력 전달 및 운송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벨트 컨베이어는 항상 텐션을 유지하여야 한다.
한편,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롤러 등에 마모가 생겨 벨트가 사행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는바, 적절한 시점에서 롤러를 교환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컨베이어 벨트 장치는 중앙롤러(1), 이 중앙롤러(1)를 중심으로 각각 양 측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좌측롤러(3) 및 우측롤러(5)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앙롤러(1), 좌측롤러(3) 및 우측롤러(5) 상에는 벨트(B)가 안착되며, 이 벨트(B)는 낙코크스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롤러(1), 좌측롤러(3) 및 우측롤러(5)에 그 저면이 지지된 상태로 무한궤도로 회전하는바,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완만한 호 형상을 이루면서 운송물을 운반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 장치는 수평 프레임(HF)과 좌측면 프레임(LF) 및 우측면 프레임(RF)을 포함하는바, 수평 프레임(HF) 상에는 별도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수직 프레임(VF1) 및 제2수직 프레임(VF2)이 설치된다.
제1수직 프레임(VF1) 및 좌측면 프레임(LF) 사이에는 좌측롤러(3)의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수직 프레임(VF1) 및 제2수직 프레임(VF2) 사이에는 중앙롤러(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수직 프레임(VF2)과 우측면 프레임(RF) 사이에는 우측롤러(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벨트(B)가 좌측면 프레임(LF) 또는 우측면 프레임(RF)이 지지된 상태에서 좌측롤러(3) 또는 우측롤러(5)가 각각 좌측면 프레임(LF) 및 우측면 프레임(RF)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좌측면 프레임(LF) 내지 우측면 프레임(RF)을 절단하여 좌측롤러(3) 내지 우측롤러(5)를 교환해야만 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자재를 과다 소모하게 되는 것은 물론, 근무자에게 불필요한 작업 부하가 가중되는바, 전체적으로 작업성이 저하되며 조정 작업시 안전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18858호(2002.3.9.)에는 "벨트 컨베이어용 캐리어 및 지지롤러 교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벨트면을 지지하여주는 캐리어/경사롤러에 관한 것으로, 롤러스탠드의 상부면에 장착되되 상부면에 캐리어롤러의 축을 수용하는 오목홈이 형성되며, 측면부에 안내레일과 고정스톱퍼가 상하로 장착되어진 한 쌍의 캐리어지지대와, 지지대의 안내레일에 승하강가능하게 삽입되되, 상부면에 오목홈내로 수용되는 롤러의 축을 고정하여주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측면부에 고정스톱퍼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스톱퍼가 구비된 고정브래킷와, 고정스톱퍼와 이동스톱퍼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어 오목홈내에 끼워진 롤러의 축을 고정홈으로 밀착하여주는 탄성스프링과, 이동스톱퍼의 하부면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몸체가 롤러스탠드 내에 구비된 쉬브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와이어로프와, 이 와이어로프의 후단부에 연결되어진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롤러스탠드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캐리어 및 지지롤러 교환장치'에 따르면 캐리어 롤러 교환시 손잡이를 잡아당겨 고정 브라켓의 몸체부를 하향시켜, 고정홈에 끼워진 캐리어롤러의 축을 인출 가능한 상태로 셋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용 캐리어 및 지지롤러 교환장치'는 캐리어 롤러 축을 고정하고 있던 고정브라켓 자체를 소정 높이 만큼 하향시켜야 하는 것은 물론, 캐리어 롤러 및 경사롤러 사이에 별도의 구성 요소를 장착하여야 하는바, 설치 및 작업 공간이 더 많이 필요하고,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복잡한 구성요소가 연동하여 전체적인 작동 관계가 발생되므로 부품 고장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롤러 교환 작업시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측면 프레임 측에서 확보하는 것이 안전 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서 필수적인데, 상술한 선행기술은 롤러 교환을 위한 셋팅 과정이 측면 프레임이 아닌 그 내측 방향에서 이루어지는바,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것은 물론, 작업자가 투입되는 경우 안전 사고 발생 위험도 증대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18858호(2002.3.9.)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구성만으로 롤러 교환시 소정의 교환 작업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장치는, 수평 프레임과, 이 수평 프레임에 설치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단에 설치된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수평 프레임 상이 위치하되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롤러;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 일단을 지지하되,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면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변화하는 높이 가변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가변 지지부는, 상기 경사롤러를 마주보는 정면은 개방되고, 배면에는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마련된 가변 브라켓과, 상기 경사롤러를 마주보는 정면은 개방되고 측면 및 배면의 내측면은 상기 가변 브라켓의 측면 및 배면의 외측면에 접하되 그 배면에는 상기 가변 브라켓 탈거시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단이 마련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면 및 상기 가변 브라켓의 일측면에는 각각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이 일측면에 그 일단이 걸리되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과하는 볼트와,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과하는 상기 볼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브라켓의 내측면까지 조여짐으로써 상기 고정 브라켓 및 가변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측면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 브라켓의 배면에는 거치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턱은 상기 가변 브라켓의 거치단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롤러 교환 작업시 롤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소정의 작업 공간이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롤러를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며, 측면 프레임 절단시 투입되는 작업 인원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안전 사고 발생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롤러를 교환할 수 있는바, 비용 절감은 물론, 고장 가능성도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컨베이어 벨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서 롤러 교환을 위해 가변 브라켓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가변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높이 가변 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을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장치는, 수평 프레임(12), 수직 프레임(14) 및 측면 프레임(16)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 경사롤러(20), 높이 가변 지지부(30)를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12)은 경사롤러(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단면은 "∧"을 갖는다.
이러한 수평 프레임(12) 상에는 수직 프레임(14)이 설치되는바, 통상 수직 프레임(14)은 두 개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중앙롤러(C) 및 경사롤러(20)의 양 끝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수평 프레임(12)의 양 측단에는 측면 프레임(16)이 설치된다.
통상 측면 프레임(16)은 경사롤러(20)의 회전축(20a)을 지지하지만,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서는 측면 프레임(16) 상에 높이 가변 지지부(30)가 고정 결합되며, 이 높이 가변 지지부(30)가 경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롤러(20)가 정상 상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높이 가변 지지부(30)는 원 상태를 유지하면서 경사롤러(20)의 회전축(20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롤러(20) 등에 마모가 발생하여 이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높이 가변 지지부(30)의 높이가 낮아지는바, 경사롤러(20)의 경사 각도 또한 작아지며, 이로 인해 원래 경사롤러(20)의 설치 각도와 최종 경사롤러(20)의 설치 각도 차이에 상당하는 만큼 경사롤러(20)의 이동 공간이 확보되어 롤러 교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장치의 일요부인 높이 가변 지지부(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높이 가변 지지부(30)는 경사롤러(20)의 회전축(20a)을 지지하고 있다가 경사롤러(20) 교환 작업이 필요한 경우 그 높이를 낮추어 경사롤러(20) 이동 공간을 마련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롤러(20) 회전축(20a)의 거치 각도가 작아지므로 원래 거치 각도와 최종 거치 각도의 차이에 해당하는 만큼 이동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높이 가변 지지부(30)는 고정 브라켓(32)과 가변 브라켓(34)을 포함한다.
가변 브라켓(34)은 경사롤러(20)와 마주보는 정면이 개방되고, 그 배면에는 경사롤러(20)의 회전축(20a)이 거치되는 거치홈(34a)이 마련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32)의 정면 역시 개방되고 그 측면 및 배면의 내측면은 가변 브라켓(34)의 측면 및 배면에 접하며, 그 배면에는 가변 브라켓(34)이 고정 브라켓(32)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거치홈(34a)을 대신하여 경사롤러(20)의 회전축(20a)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단(32a)이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32) 및 가변 브라켓(34)의 일측면에는 각각 제1체결공(32b) 및 제2체결공(34b)이 마련되는바, 볼트(B) 및 너트(N)를 이용하여 고정 브라켓(32) 및 가변 브라켓(34)을 조립할 수 있다.
즉, 볼트(B)의 일단(볼트의 머리)을 고정 브라켓(32)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키면, 그 타단은 제1체결공(32b) 및 제2체결공(34b)을 통과하여 가변 브라켓(34) 내측면에 이르게 되는데, 가변 브라켓(34) 내측면에서 볼트(B)의 타단에 너트(N)를 회전 결합시키되 이러한 너트(N)가 가변 브라켓(34) 내측면에 접하게 되면 고정 브라켓(32) 및 가변 브라켓(34)의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고정 브라켓(32)의 타측면은 개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변 브라켓(34)을 고정 브라켓(32)으로부터 분리할 때 가변 브라켓(34)을 타측면 방향으로 잡아 당겨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변 브라켓(34)의 배면에는 거치턱(34c)이 돌출 형성되는바, 가변 브라켓(34)의 거치턱(34c)을 고정 브라켓(32)의 거치단(32a)에 거치함으로써, 가변 브라켓(34)을 고정 브라켓(32)에 안착시켜 안정된 지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장치에 따르면, 롤러 교환시 가변 브라켓(34)을 고정 브라켓(32)으로부터 분리하여 롤러 이동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롤러 교환을 위해 측면 프레임(16)을 절단할 필요가 없는바, 측면 프레임(16) 절단에 따른 자재 비용 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롤러 교환 작업의 효율성이 개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프레임부 12 : 수평 프레임
14 : 수직 프레임 16 : 측면 프레임
20 : 경사롤러 20a : 회전축
30 : 높이 가변 지지부
32 : 고정 브라켓 32a : 거치단
32b : 제1체결공
34 : 가변 브라켓 34a : 거치홈
34b : 제2체결공 34c : 거치턱

Claims (5)

  1. 수평 프레임과, 이 수평 프레임에 설치된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단에 설치된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수평 프레임 상이 위치하되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롤러;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 일단을 지지하되,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면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변화하는 높이 가변 지지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가변 지지부는, 상기 경사롤러를 마주보는 정면은 개방되고, 배면에는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마련된 가변 브라켓과, 상기 경사롤러를 마주보는 정면은 개방되고 측면 및 배면의 내측면은 상기 가변 브라켓의 측면 및 배면의 외측면에 접하되 그 배면에는 상기 가변 브라켓 탈거시 상기 경사롤러의 회전축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단이 마련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면 및 상기 가변 브라켓의 일측면에는 각각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이 일측면에 그 일단이 걸리되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과하는 볼트와,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과하는 상기 볼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변 브라켓의 내측면까지 조여짐으로써 상기 고정 브라켓 및 가변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측면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변 브라켓의 배면에는 거치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턱은 상기 가변 브라켓의 거치단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장치.


KR1020120148943A 2012-12-18 2012-12-18 컨베이어 벨트 장치 KR101421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43A KR101421829B1 (ko) 2012-12-18 2012-12-18 컨베이어 벨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43A KR101421829B1 (ko) 2012-12-18 2012-12-18 컨베이어 벨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671A true KR20140079671A (ko) 2014-06-27
KR101421829B1 KR101421829B1 (ko) 2014-07-23

Family

ID=5113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943A KR101421829B1 (ko) 2012-12-18 2012-12-18 컨베이어 벨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9961A (zh) * 2019-12-27 2020-04-03 安徽华汇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码头原材料输送的运输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121U (ko) * 1987-07-28 1989-02-02
KR200281021Y1 (ko) * 2002-04-24 2002-07-1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롤러각도조절이 가능한 롤러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9961A (zh) * 2019-12-27 2020-04-03 安徽华汇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码头原材料输送的运输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829B1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021B2 (en) Suspension conveyance apparatus
CN109843758B (zh) 物料处理装置的传送带配置
US10124958B2 (en) Conveyor device for transporation structures
JP2014502586A (ja) 調整可能なキャリッジを持つ吊上装置
EP15845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nd removing an endless conveyor belt
CN110436115A (zh) 传送装置
CN110436117A (zh) 传送装置
CN105836391A (zh) 轻型短距离皮带输送设备
KR101128375B1 (ko)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US8186504B2 (en) Curved belt conveyor
US20080217139A1 (en) Curved Band Conveyor
KR101421829B1 (ko) 컨베이어 벨트 장치
CN211168479U (zh) 传送装置
KR100960998B1 (ko) 컨베이어 롤러 스탠드
CN110436113A (zh) 弯道传送装置
CN110540023A (zh) 输送机和输送机系统
CN110436116A (zh) 传送装置
CN110436112A (zh) 弯道传送装置
KR20130074203A (ko)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각도조절장치
KR100602203B1 (ko) 장력조절 로울러의 착탈이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CN110436114A (zh) 传送装置
KR101030971B1 (ko) 가변형 아이들러 설치구조
US20180222682A1 (en) Multi-drive conveyor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210914141U (zh) 适用于多种安装方式的辊轮松紧调节座
KR102147039B1 (ko) 티바가 구비된 커브 벨트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