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153A -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153A
KR20140079153A KR1020120148802A KR20120148802A KR20140079153A KR 20140079153 A KR20140079153 A KR 20140079153A KR 1020120148802 A KR1020120148802 A KR 1020120148802A KR 20120148802 A KR20120148802 A KR 20120148802A KR 20140079153 A KR20140079153 A KR 20140079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백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9153A/ko
Publication of KR2014007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Abstract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고, 방향지시등 제어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발광유닛을 점등시키고, 상기 발광유닛은 차체의 측면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배광패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AUTOMOTIVE LAMP SYSTEM AND AUTOMOTIV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턴시그널 램프의 표시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고전압 방출(High intensity discharge, HID) 등과 같은 광원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최근에 이르러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를 최소화 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복잡한 램프 구성 및 가공 단계의 증가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램프의 수명 연장 및 작은 크기로 인한 램프의 공간상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추세이다.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면서도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턴시그널 램프(10)는 원하는 진행방향을 전방 또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테일램프에 인접하여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차량에 명확한 방향지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량의 전방램프(20)뿐만 아니라 차량의 측방 사이드 미러에 추가적인 방향지시등(30)이 구비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향지시등 구성은 차량의 정측방에 위치하는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식별되기 어려우므로, 다른 차량 또는 보행자 등과 충돌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헤드램프와 테일램프는 디자인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발전하고 있으나, 방향지시등은 점멸되는 일반적인 램프의 구성에서 크게 달라진 바가 없으므로, 운전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미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측면에서도 턴시그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디자인 측면에서 개선된 미감을 나타내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고, 방향지시등 제어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발광유닛을 점등시키고, 상기 발광유닛은 차체의 측면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배광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가이드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반사광을 차체의 측면에 투영시킨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보정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차체의 측면 바디부에 턴시그널 램프와 대응되는 배광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면에 위치한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차량 방향전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측면에 배광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디자인 측면에서 향상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턴시그널 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기본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발광유닛(100)의 배치 위치가 개시된다. 도 3은 발광유닛(100)이 소등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4는 발광유닛(100)이 점등된 상태를 도시한다. 발광유닛(100)은 빛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차량의 측면에 구비되어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배광패턴(200)을 형성한다.
발광유닛(100)은 차량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버튼 또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차량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조작될 수 있다.
또한, 발광유닛(100)은 차량의 방향지시등과 연계되어 방향지시등과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유닛(100)은 한쌍으로 구비되고, 차체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차량 운전자가 우회전을 하기 위해 우측 방향지시등을 점등한 경우, 차량의 우측에 구비된 발광유닛(100)이 동시에 점등될 수 있다. 반대로, 좌회전을 하기 위해 좌측 방향지시등을 점등한 경우, 차량의 좌측에 구비된 발광유닛(100)이 동시에 점등될 수 있다.
발광유닛(100)은 일반적인 차량의 방향지시등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주기에 따라 점멸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점멸되는 방향지시등과 달리 발광유닛(100)은 지속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100)에 의해 형성된 배광패턴(200)은 차량의 측면 바디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측면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광패턴(200)은 하나의 연속된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불연속적인 형태 또는 복수의 바 형태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배광패턴(200)은 차량의 측면의 일부에 소정 면적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유닛(100)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된 램프 유닛 예를 들어 테일램프 또는 리어램프의 구성과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배광패턴(200)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유닛(100)은 차량의 측면 전방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배광패턴(2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유닛(100)은 소정의 문양 또는 형상을 가지는 배광패턴(2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주간과 야간 주행시에 차체의 측면이 다른 문양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야간 주행시에 새로운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광유닛(100)은 방향지시등과 별도로 제어될 수 있으며, 야간 주행시에 방향지시등의 점등 여부와 무관하게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발광유닛(100)의 색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일반적인 방향지시등의 색상인 앰버(amber)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배광 법규에 따라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색상이 적용될 수 있다.
발광유닛(100)이 생성한 배광패턴(200)이 차체의 측면에 선명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발광유닛(100)을 구비한 차량의 차체 측면에는 소정의 표면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소정 이상의 반사율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유닛(100)은 차체의 측면에 구비되되, 차체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발광유닛(100)에서 빛을 발생시켜 차체의 측면에 배광패턴(200)이 맺히도록 구성하기 위해, 차체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발광유닛(100)의 출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광유닛(100)의 최외각 지점과 차체의 측면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광유닛(100)의 돌출 높이는 생성하고자 하는 배광패턴(200)의 길이 및 발광유닛(100)의 휘도, 조사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광패턴(20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발광유닛(100)의 돌출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리어램프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리어램프 또는 테일램프의 하우징이 외곽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우징의 내부에 발광유닛(100)이 배치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유닛(100)의 광원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리어램프, 테일램프 또는 방향지시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는, 발광유닛(100) 자체로 별도의 광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유닛(100), 발광유닛(10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00)을 포함하고, 제어유닛(300)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고, 방향지시등 제어명령이 발생한 경우 발광유닛(100)을 점등시키고, 발광유닛(100)은 차체의 측면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배광패턴(200)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100)은 제어유닛(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이 제어될 수 있으며,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점멸을 반복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유닛(100)은 차량의 방향지시등과 연계되어, 방향지시등의 점등과 동시에 발광유닛(100)이 점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유닛(300)은 조작감지유닛(400)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이 감지되면 제어유닛(300)으로 작동명령의 종류를 전달할 수 있다. 조작감지유닛(400)을 통해 방향지시등 제어명령이 발생하게 되면, 제어유닛(300)은 방향지시등을 제어하는 동시에 발광유닛(100)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작감지유닛(400)은 차량 운전석에 구비된 방향지시기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향지시기가 조작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유닛(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유닛(300)은 발광유닛(110) 등의 구성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의 컨트롤 유닛(ECU) 등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동작순서가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먼저, 조작감지유닛(400)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한다(S10). 조작감지유닛(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향지시기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에 방향지시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하는 행위를 감지할 수 있다. 발광유닛(100)이 방향지시등과 별도로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조작감지유닛(400)은 발광유닛(100)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해 구비된 별도의 버튼 또는 스위치에 연결되어 해당 버튼 또는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조작감지유닛(400)에서 소정의 조작을 감지할 경우, 제어유닛(300)으로 소정의 신호를 전달한다(S20). 예를 들어, 방향지시기가 작동된 상태인 경우, 제어유닛(300)으로 소정의 방향지시등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다. 방향지시등 시그널은 방향지시등의 방향(좌측 또는 우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유닛(100)이 방향지시등과 별도로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조작감지유닛(400)은 발광유닛(100)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해 구비된 별도의 버튼 또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이에 대한 시그널을 제어유닛(3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유닛(300)이 조작감지유닛(400)으로부터 시그널을 수신하고, 방향지시기의 조작이 감지된 경우 발광유닛(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광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S30).
발광유닛(100)이 방향지시등과 별도로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조작감지유닛(400)은 발광유닛(100)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해 구비된 별도의 버튼 또는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해당 버튼 또는 스위치의 작동상태가 감지된 경우 발광유닛(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광유닛(10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발광유닛(100)은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배광패턴(200)을 형성할 수 있다(S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광패턴(200)은 방향지시등의 점등/소등 상태와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독자적으로 점등/소등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발광유닛(100)이 방향지시등과 동일한 형태로 배광패턴을 생성하는 경우, 발광유닛(100)을 제어하여 배광패턴(200)을 생성하는 시점과 동시에 또는 다른 시점에 방향지시등을 점등/소등할 수 있다(S50).
즉, 방향지시등이 먼저 점등되고 이후에 배광패턴(200)이 생성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점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내부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110), 광원(110)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20), 및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가이드하는 렌즈(130)를 포함하고, 렌즈(130)는 반사광을 차체의 측면에 투영시킨다.
광원(110)은 빛을 발생시키며, 전력을 공급받아 광원(110)이 발광함으로써 차량의 자체 측면으로 배광패턴(200)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110)은 차량의 소정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의 좌우측으로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광원(11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원(100)은 제어유닛(200)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광원(100)은 소정의 배광패턴(200)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00)은 서로 배치되는 높이 또는 위치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각의 광원(100)으로부터 형성되는 배광패턴(200)의 조사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은 발광유닛(100)의 최상단(최외각)에 배치되어 조사 범위가 가장 넓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광원은 발광유닛(100)의 중단에 배치되어 조사 범위가 감소될 수 있으며, 제3 광원은 발광유닛(100)의 최하단(차량측)에 배치되어 근거리를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100)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복수의 광원의 종류 및 위치를 조절하여 배광패턴(200)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광원(110)은 LED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110)은 복수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GB 타입의 LED 광원이 채용되어, 다양한 색을 나타내는 배광패턴(200)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원(110)은 복수의 광학소자로 구성되고, 복수의 광학소자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각각의 광학소자는 적색광(R), 녹색광(G) 및 청색광(B)을 발광하는 구성일 수 있다.
광원(110)의 하부면과 밀착되는 히트싱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트싱크는 히트 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 스프레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열 전달 면적 증가를 위하여 히트 스프레드의 일측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히트싱크는 다수의 방열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히트싱크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빠르게 냉각시키기 위한 팬(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히트싱크는 광원(110) 및/또는 기판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원(110)과 히트싱크와의 배치관계는 변경될 수 있다. 광원(110)과 히트싱크 사이에는 서로 맞닿는 면을 균일하게 하고 연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히트패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광원(110)은 LED 소자 이외에도 일반적인 방전벌브일 수 있으며, 직선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장치일 수도 있다.
광원(110)은 차체의 측면 바디부에 배광패턴(200)을 생성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향지시등의 제어와 동시에 점등/소등될 수 있다.
광원(110)은 배광패턴(200)의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원(110)은 프론트램프, 헤드램프, 리어램프, 테일램프, 방향지시등의 광원과 별개의 구성일 수 있으며, 동일한 광원이 하나 이상의 램프에서 공유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유닛(100)의 광원(110)은 방향지시등의 광원일 수 있으며, 하나의 광원에 의해 방향지시등과 발광유닛(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광원(110)은 차량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배광패턴(200)을 생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100)은 차량의 다른 램프 구성 예를 들어 리어램프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어램프의 하우징 내에 발광유닛(100)이 배치될 수도 있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의 개수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소정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리플렉터(120)는 광원(110)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렌즈(130)는 리플렉터(120)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가이드하며, 배광패턴(200)의 종류에 따라 렌즈(130)의 형태도 변경될 수 있다. 렌즈(13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빛을 집광 또는 분산시키는 모든 형태의 렌즈(130)가 적용될 수 있다.
렌즈(1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렌즈(130)를 통과한 광은 차체의 측면으로 투영되어 배광패턴(200)을 형성할 수 있다.
광원(110)이 차량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경우, 렌즈(13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배광패턴(20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구조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이전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되, 렌즈(130)의 방향이 지면을 향하도록 조절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리플렉터(120)와 렌즈(130)를 거쳐, 차량의 차체 측면에 배광패턴(200)을 형성하는대신, 차량의 좌우측 인접한 지면에 배광패턴(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지시등 역할을 수행하는 배광패턴(200)이 차량의 측방 지면에 형성되어, 인접한 차량에 방향지시 시그널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발광유닛
110: 광원
120: 리플렉터
130: 렌즈
200: 배광패턴
300: 제어유닛
400: 조작감지유닛

Claims (11)

  1.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유닛; 및
    상기 발광유닛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고, 방향지시등 제어명령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발광유닛을 점등시키고,
    상기 발광유닛은 차체의 측면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배광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차체의 측면에 부착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차체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차체의 리어램프와 일체로 구성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체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패턴은 상기 차체의 측면의 일부에 소정 면적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7.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가이드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반사광을 차체의 측면에 투영시키는, 차량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로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차체의 리어램프와 일체로 구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20148802A 2012-12-18 2012-12-18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 KR20140079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02A KR20140079153A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02A KR20140079153A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153A true KR20140079153A (ko) 2014-06-26

Family

ID=5113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802A KR20140079153A (ko) 2012-12-18 2012-12-18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915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322B1 (ko) * 2015-01-29 2016-02-22 김성근 차량 측면 라이트 장치
KR20160025733A (ko) 2014-08-28 2016-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EP3173686A1 (en) * 2015-11-27 2017-05-31 SL Corporation Vehicle lamp
EP3858674A1 (en) * 2020-01-29 2021-08-04 Arrival Limited Lamp assembly for a vehicle
EP4043282A1 (de) * 2021-02-16 2022-08-17 odelo GmbH Fahrzeugpartie und eine solche aufweisendes fahrzeug
US11865968B2 (en) 2020-09-16 2024-01-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and lamp control modu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733A (ko) 2014-08-28 2016-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596322B1 (ko) * 2015-01-29 2016-02-22 김성근 차량 측면 라이트 장치
EP3173686A1 (en) * 2015-11-27 2017-05-31 SL Corporation Vehicle lamp
US9931977B2 (en) 2015-11-27 2018-04-03 Sl Corporation Vehicle lamp
EP3858674A1 (en) * 2020-01-29 2021-08-04 Arrival Limited Lamp assembly for a vehicle
US11865968B2 (en) 2020-09-16 2024-01-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and lamp control module
EP4043282A1 (de) * 2021-02-16 2022-08-17 odelo GmbH Fahrzeugpartie und eine solche aufweisendes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811B2 (en) Vehicular headlamp
JP516025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199798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US9243768B2 (en) Light source for headlight and headlight
KR20140079153A (ko)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차량용 램프
US7959337B2 (en) Vehicle light and method
CN109027944B (zh) 混合式前照灯系统和方法
WO2007069123A2 (en) Led collimator element for a vehicle headlight with a low-beam function
KR20130000203A (ko) 차량용 램프
KR101307976B1 (ko) 다중 le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led 헤드램프
JP2009286199A (ja) 歩行者照射用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JP5415237B2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KR10136109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80076708A (ko) 차량용 램프
KR101371539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0153270A (ja) 発光装置
KR10198600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80073069A (ko) 차량용 램프
KR102122412B1 (ko) 차량용 램프
KR101375772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0712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356684B1 (ko) 차량용 헤드램프
CN210424859U (zh) 车辆用灯具
EP3620329B1 (en) Vehicle lamp assembly
JP2009286198A (ja) 歩行者照射用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