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063A -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063A
KR20140078063A KR1020120146907A KR20120146907A KR20140078063A KR 20140078063 A KR20140078063 A KR 20140078063A KR 1020120146907 A KR1020120146907 A KR 1020120146907A KR 20120146907 A KR20120146907 A KR 20120146907A KR 20140078063 A KR20140078063 A KR 2014007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er
terminal
user termin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8063A/ko
Publication of KR2014007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발생 시,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안심 귀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버의 작동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서비스 개시 위치 및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 푸시(push)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탐색된 경로를 벗어나거나 사용자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을 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긴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보호자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위험 상황으로 확인되면 긴급 호출국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구조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AFETY RETURNING-HOME NAVIGATION SERVICE}
본 발명은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발생 시,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안심 귀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청소년 간 폭행, 어린이 및 여성들의 납치와 성범죄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고 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고 및 범죄 등을 예방하기 위해 안심 서비스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안심서비스는 주로 존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위험 상황 시 단말의 비상 버튼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서비스는 존 내 사고 발생 또는 갑작스런 사고로 인해 비상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경우엔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방법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서비스는 사용자의 부주의나 통신, 단말의 오류에 의한 오동작과 같은 허위 상황에 대해 확인하는 방법이 명쾌하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관련하여 발명이 명칭이 "모바일폰을 이용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인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7232호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떠한 상황에 처해있더라도 위험을 알릴 수 있고, 사용자 실수, 통신 장애 및 단말기 오작동과 같은 허위 상황을 판별할 수 있는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버의 작동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서비스 개시 위치 및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 푸시(push)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탐색된 경로를 벗어나거나 사용자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을 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긴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보호자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위험 상황으로 확인되면 긴급 호출국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구조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가 위험 상황이 아니라고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탐색 또는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재실행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경로를 탐색할 때 회피구간, 우범지역 및 안전지대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급 상황 시 별도의 호출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위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따르면 보호자의 확인을 통해 사용자 실수, 통신 장애 및 단말기 오작동과 같은 허위 상황을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 측에서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서버 측에서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1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에 포함된 서버(12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서버(120) 및 보호자 단말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11), 위치 탐색부(112), 단말기 처리부(113) 및 단말기 통신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참조). 사용자 단말기(110)에 포함된 각 구성은 하기에 더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11)는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소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11)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지도 데이터와, 회피구간, 우범지역 및 안전 지역과 같은 지역 특성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위치 탐색부(112)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탐색 또는 추적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위치 탐색부(112)는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GPS, 센서 및 이동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가속도계 또는 지자기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통신 기지국을 통해 전파를 수신하는 모듈과,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하는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위치 탐색부(112)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지에 관계 없이, 현재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탐색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GPS, 센서 또는 이동통신 모듈의 종류는 앞서 언급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단말기 처리부(113)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10)에 저장된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서버(120)와의 통신을 가능케 하는 단말기 통신부(114)를 통하여 서버 연결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단말기 처리부(113)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목적지 정보와 사용자의 서비스 개시 위치를 서버(120)로 송신한다.
또한, 단말기 처리부(1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20)로부터 송신된 경로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의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경로 데이터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와 서비스 개시 위치, 그리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사이에 위험 지역 등을 고려하여 탐색된 경로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로 데이터의 탐색은 서버(120)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술되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말기 처리부(113)에서 별도의 경로 데이터베이스를 참고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경로 데이터의 탐색은 회피구간, 우범지역 및 안전지대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경로의 탐색은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 정보와 사용자의 서비스 개시 위치를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탐색된 경로는 위험 지역을 우회하도록 설정되므로 사용자의 위협 노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예를 들어, 사고다발위치 및 범죄의 빈도수가 높은 위치 등과, 안전 구역 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처리부(113)는 위치 탐색부(112)로부터 탐색된 사용자의 위치가 설정된 경로를 벗어났을 때, 또는 서버(120)로부터 푸시 데이터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기간 내로 사용자가 서버(120)에 푸시 응답을 하지 않을 때, 단말기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120)에 긴급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즉, 단말기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또는 설정에 따라 확인하여, 경로를 벗어난 경우 서버(120)에 긴급 신호를 송신한다. 경로를 벗어난 경우에 대한 판단은 경로에서 기 설정된 거리만큼 벗어났을 때 경로를 벗어났다고 판단한다. 물론, 단말기 처리부(113)는 서버(120)에서 푸시 메세지를 전송 받았을 때에도, 기 설정된 주기 내에 사용자가 푸시 응답을 하지 않으면 서버(120)에 긴급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단말기 처리부(113)는 아래에서 서버(120)를 참조로 설명되는 것처럼, 보호자 확인 후, 사용자가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서버(120)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외형 정보 및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21), 서버 처리부(122) 및 서버 통신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
데이터베이스(121)는 사용자 및 보호자의 정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지도 데이터, 그리고 회피구간, 우범지역 및 안전 지역과 같은 지역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및 보호자의 정보는 사용자 및 보호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및 보호자의 정보는 사용자가 위급 상황일 때, 구조 요원들이 위급 상황인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외형 정보 또는 얼굴 사진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21)는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도면에서 데이터베이스(121)는 서버(120)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데이터베이스(121)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1)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110)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서버 처리부(122)는 서버 통신부(123)를 통하여 단말기 처리부(113)와 연결되어 통신을 개시하고, 단말기 처리부(113)에서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사실을 보호자에게 통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식별자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를 식별한다.
또한, 서버 처리부(122)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서버 처리부(122)는 데이터베이스(121)를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지역 특성 정보를 참조하여 경로를 탐색한다. 즉, 서버 처리부(122)에 의해 탐색된 경로는 사고다발위치 및 범죄의 빈도수가 높은 위치를 우회한 경로이다. 따라서, 경로는 앞서 언급된 것처럼, 위험 요소가 적은 경로로 탐색되어, 사용자가 안전한 경로로 귀가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본 실시예에서 경로 탐색 기능은 서버 처리부(122)에서 이루어지는 서술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이 기능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서버의 부하 또는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의 단말기 처리부(113)에서 데이터베이스(121)를 참조로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서버 처리부(122)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푸시 메세지를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푸시 메세지는 사용자의 안전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알림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푸시 메세지는 알림 기능을 갖는 다른 형태, 즉 SMS, MMS 및 이메일과 같은 기존의 방식 또는 차후에 개발될 알림 기능을 갖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서버 처리부(122)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긴급 신호를 수신하면, 보호자가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확인은 앞서 언급된 푸시 메세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SMS, MMS 및 이메일과 같은 다른 알림 메세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확인 결과에서 사용자가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즉,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단말기의 오류로 인해 긴급 메세지가 송신된 것이라면,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탐색 또는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재실행을 요청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요청한 후, 긴급 호출국(30)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정보를 송신하고, 구조 요청을 수행한다. 여기서, 긴급 호출국(30)은 경찰, 병원, 소방서 및 보안 및 경비 업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 측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설정된 경로는 도면 부호 41로, 위험 또는 우범지대는 도면 부호 42로, 안전 지대는 도면 부호 43으로, 그리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도면 부호 44로 도시된다. 도면 4에 도시된 것처럼, 경로(41)는 위험 또는 우범지대(42)를 우회하여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지대(43)가 디스플레이에 도시되어, 사용자의 안전확보를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45는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 경로 이탈 거리, 위험 또는 우범 지대 인접 거리, 안전지대 거리 및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서버(120)에서 푸시 메세지(46)를 송신하면, 사용자는 버튼(47) 입력을 통해 푸시 응답을 해줘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의 보호자 단말기(130) 측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의 예시를 도시한다.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기(130)를 통해 사용자의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 및 사용자의 위험 상황 의심 여부 등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10)와 보호자 단말기(130)는 스마트폰의 예시로 서술되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기(110)와 보호자 단말기(130)는 앞서 서술된 기능을 수행될 수 있는 기기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해 위에서 언급하여 중복되는 서술은 이하의 서술에서 생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간의 통신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간의 통신이 개시되면, 서버는 보호자에게 사용자가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는 사실을 통보한다. 그 후,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와 서비스 개시 위치는 단말기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에서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와 서비스 개시 위치, 그리고 사용자 주변의 회피구간, 우범지역 및 안전지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경로를 탐색한다(S120). 이렇게 탐색된 경로는 다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되어 사용자 단말기에서 경로가 설정된다. 이러한 경로 탐색은 본 예시에서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술되었지만,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별도의 경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 후,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푸시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S130)가 이루어진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경로를 벗어나거나 서버에 푸시 응답을 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확인 결과 사용자가 설정된 경로를 벗어나거나,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버에 푸시 응답을 하지 않았다면 제어는 S150 단계로 전달된다. 그렇지 않다면 제어는 S120 단계로 되돌아가서, 상술된 단계들을 반복한다.
S14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경로를 벗어나거나,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버에 푸시 응답을 하지 않았다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서버로 긴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서버에서 긴급 신호를 수신하면, 보호자에게 사용자가 위험 상태인지 확인 요청을 하는 단계(S160)가 수행된다.
S160 단계에서 보호자 확인을 통해 사용자가 위험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70)가 수행된다. 이러한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가 위험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어는 S180 단계로 전달되고, 그렇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의 오작동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긴급 신호가 송신된 것이라면, 제어는 S120 단계로 전달되어 상술된 단계들을 반복하게 된다.
사용자가 위험 상태라고 판단되면, 서버에서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긴급 호출국에 송신하고 구조 요청하는 단계(S180)가 수행된다. 여기서 긴급 호출국은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경찰서, 소방서, 병원 및 경비 업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 측에서 작동되는 과정을 서술한다.
먼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서버와 연결하는 단계(S210)가 수행된다.
그 후,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고, 서비스 개시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S220)가 수행된다. 이러한 목적지 정보와 서비스 개시 위치는 서버로 송신되어, 전술한 경로의 탐색에 사용된다.
서버에서 경로 데이터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 데이터를 송신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탐색된 경로 데이터를 수신 및 설정하는 단계(S230)가 수행된다.
그 후,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S240)가 수행된다. S240 단계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탐색하며, 사용자가 경로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 이 때, 사용자가 경로에서 기 설정된 거리이상으로 벗어나면, 제어는 S260단계로 전달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탐색하는 중, 서버로부터 푸시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S250)가 수행된다.
그 후, 사용자가 설정된 경로를 벗어나거나,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서버에 푸시 응답을 하지 않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60)가 수행된다. 이러한 푸시 응답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S26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경로를 벗어나거나 서버에 푸시 응답을 하지 않았다면, 제어는 S270 단계로 전달된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는 위험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 제어는 S240 단계로 전달된다.
S270 단계는 서버로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알리는 긴급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S270 단계에서 서버는 긴급 신호를 수신한 후, 보호자에게 사용자가 위험 상황인지 확인 요청을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서버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하여, 긴급 호출국을 통해 출동한 구조 요원들이 사용자를 식별하고 찾는데 도움을 준다.
이하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 측에서 작동되는 과정을 서술한다.
사용자 단말기에서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서버로 연결 요청을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단계(S310)가 수행된다.
그 후, 보호자에게 사용자가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했다는 사실을 통보하는 단계(S320)가 수행된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개시 위치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
서버에서 서비스 개시 위치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최적의 경로 데이터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S330)가 수행된다. 여기서, 탐색된 경로는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위험 지역 또는 우범 지대를 우회하여 탐색된 경로이다.
S330 단계 이후, 서버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푸시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S340)가 수행된다. 이러한 푸시 메세지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사용자의 안전 확인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메세지이다. 또한, 이러한 푸시 메세지의 송신 간격은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는 S340 단계를 수행한 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송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50),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송신되지 않았다면, 제어는 S340 단계로 전달된다. 그렇지 않다면 단계는 S360 단계로 전달된다.
S360 단계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S35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송신되었을 때 수행되는 단계이다. S360 단계는 사용자가 정말 위험한 상태인지의 확인을 위해 보호자에게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긴급 신호는 사용자가 위급 상황이기에 송신되는 신호이지만,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기계의 오작동 등에 인해 송신된 신호일 수 있기에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S360 단계를 거쳐 보호자를 통한 사용자의 안전 확인 후, 사용자가 위험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70)가 수행된다. S370 단계에서, 사용자가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380 단계로 전달된다. 그렇지 않다면 제어는 다시 S340 단계로 전달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다시 요청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재작동을 요청할 수 있다.
S380 단계는 사용자가 위험 상태로 판단되어,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외형 정보를 긴급 호출국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외형 정보는 긴급 호출국을 통해 출동한 구조 요원들이 사용자를 식별하고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서버
130 : 보호자 단말기

Claims (1)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서비스 개시 위치 및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 푸시(push)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탐색된 경로를 벗어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을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긴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보호자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위험 상황으로 확인되면 긴급 호출국에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구조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서버의 작동 방법.
KR1020120146907A 2012-12-14 2012-12-14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78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907A KR20140078063A (ko) 2012-12-14 2012-12-14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907A KR20140078063A (ko) 2012-12-14 2012-12-14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063A true KR20140078063A (ko) 2014-06-25

Family

ID=5112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907A KR20140078063A (ko) 2012-12-14 2012-12-14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806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613A1 (ko) * 2015-04-10 2016-10-13 주식회사 다누시스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888542B1 (ko) 2017-05-22 2018-08-16 (주)바인테크 동행시스템
WO2019045192A1 (ko) * 2017-08-31 2019-03-07 김다혜 안심귀가를 위한 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10047055A (ko) 2019-10-21 2021-04-29 김학선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613A1 (ko) * 2015-04-10 2016-10-13 주식회사 다누시스 안전경로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888542B1 (ko) 2017-05-22 2018-08-16 (주)바인테크 동행시스템
WO2019045192A1 (ko) * 2017-08-31 2019-03-07 김다혜 안심귀가를 위한 관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10047055A (ko) 2019-10-21 2021-04-29 김학선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JP5094370B2 (ja) 救助要請システム
US8175572B2 (en) 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40078063A (ko) 안심귀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9187A (ko) 사용자의 위험 상태 공유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 타이머를 실행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86211A (ko) 비상 전화의 지정 수신자 우선 연결 방법, 및 그 시스템
EP3422317A2 (en) Method and device for seeking help and smart footwear
KR101166075B1 (ko) 위치기반 사용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US8610568B2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US20170215029A1 (en) Biosensor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ed by workers undertaking dangerous operations
KR20140049168A (ko)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가 탑재된 긴급호출모듈을 이용한 긴급호출 시스템 및 긴급호출 방법
US1021275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ed by workers undertaking dangerous operations
KR20150116178A (ko) 스마트폰 앱과 경보기를 통한 안전 귀가 시스템
US20190156657A1 (en) Method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persons through smart mobile terminals and web services
KR101063915B1 (ko) 사고예방 시스템 및 사고예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605746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신고 시스템
KR102136882B1 (ko) Sns를 이용하여 홈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KR20120019842A (ko)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한 통합 구조센터 시스템 및 그 구조 서비스 방법
CN105263004A (zh) 基于摄像监控系统的主动申请式安全防护方法
KR20130141404A (ko) 이동하는 사용자를 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JP6603546B2 (ja) 防災支援システム
KR101540330B1 (ko) 위치 및 시간 기반 사용자 위험 상황 감지 방법
KR101334627B1 (ko) 이동하는 사용자를 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101602339B1 (ko)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중 위치 정보 및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89545B1 (ko) 차량 2차 사고 방지용 네비게이션, 이를 이용한 차량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